데이비드 델린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비드 델린저는 부유한 공화당원 집안에서 태어나 예일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온 신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미국의 평화 운동가이자 사회 운동가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양심적 병역 거부로 투옥되었으며, 시민권 운동과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68년 시카고 7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항소심을 통해 무죄로 뒤집혔다. 델린저는 비폭력 저항과 사회 정의를 위해 헌신했으며, 여러 저서를 남겼고 2004년 버몬트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카고 7인 - 애비 호프먼
애비 호프먼은 청년국제당 창립 멤버이자 시카고 7인 재판의 피고인으로, 1960년대 반문화 운동의 상징적 인물이며, 연극적인 시위와 사회 비판적 활동을 통해 사회 변혁을 추구한 미국의 사회운동가, 반전 운동가, 작가이다. - 시카고 7인 - 애니타 호프먼
애니타 호프먼은 대한민국의 정당인이다. - 미국 사회당 당원 - 칼 샌드버그
칼 샌드버그는 다양한 직업을 거치며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한 미국의 시인, 작가, 언론인이자 민속 음악가로, 시카고를 배경으로 한 시, 퓰리처상을 수상한 『옥수수 껍질』, 에이브러햄 링컨 전기, 그리고 미국 민속 음악을 소개한 『미국의 노래자루』 등을 통해 미국 문학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 사회당 당원 - 제임스 코널리
제임스 코널리는 아일랜드의 사회주의자, 혁명가, 노동운동가로서 스코틀랜드와 미국에서 노동 운동에 참여하고 아일랜드 사회주의 공화당을 창당하고 아일랜드 운수 및 일반 노동자 연합을 조직하는 데 기여했으며, 1916년 부활절 봉기에서 더블린 지역 사령관으로 활동하다 처형되었고 그의 사상은 아일랜드 독립 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이피 - 주디 콜린스
주디 콜린스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배우, 작가, 사회운동가로서, 포크 리바이벌 운동에 참여하여 포크 가수로 데뷔한 후 "Both Sides, Now"로 그래미상을 수상하고 다양한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지며 활동했다. - 이피 - 애비 호프먼
애비 호프먼은 청년국제당 창립 멤버이자 시카고 7인 재판의 피고인으로, 1960년대 반문화 운동의 상징적 인물이며, 연극적인 시위와 사회 비판적 활동을 통해 사회 변혁을 추구한 미국의 사회운동가, 반전 운동가, 작가이다.
데이비드 델린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데이비드 델린저 |
출생일 | 1915년 8월 22일 |
출생지 | 미국 매사추세츠 주 웨이크필드 |
사망일 | 2004년 5월 25일 |
사망지 | 미국 버몬트 주 몬트필리어 |
직업 | 작가 활동가 평화주의자 |
배우자 | 엘리자베스 피터슨 |
학력 | |
대학교 | 예일 대학교 (학사) 옥스퍼드 대학교 뉴 칼리지 유니언 신학교 |
활동 | |
알려진 활동 | 정치 활동, 시카고 세븐 |
2. 초기 생애 및 교육
델린저는 매사추세츠주 웨이크필드에서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1][25] 그의 아버지 레이먼드 페닝턴 델린저는 예일대학교 출신의 변호사이자 저명한 공화당원이었으며, 캘빈 쿨리지 대통령과 친구 사이였다.[1][25] 어머니는 마리아 피스케였고, 외할머니인 앨리스 버드 피스케는 미국 혁명 자녀회에서 활동했다.[1][7][2][31][26]
델린저는 예일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온 신학교에서 교육받았으나, 안락한 배경을 거부하고 사회 운동에 투신했다.[3][4] 대공황 시기 부랑자들과의 생활, 나치 독일 방문, 스페인 내전 구급차 운전 경험 등을 통해 일찍부터 평화주의 및 반파시즘 신념을 다졌다.[5]
델린저는 예일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이후 옥스퍼드 뉴 칼리지에서 1년간 공부했으며,[3][27] 목회자가 되기 위해 컬럼비아 대학교의 유니온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3][4][27][28] 예일대학교 재학 시절, 그는 훗날 경제학자이자 정치 이론가가 되는 월트 로스토우와 동급생이자 친구였다.[5][29] 델린저는 자신의 안락한 배경에 안주하지 않고, 대공황 시기에 예일대학교를 잠시 나와 부랑자들과 함께 생활하며 사회의 불평등을 경험했다.[5][29]
옥스퍼드 대학교 재학 중에는 나치 독일을 방문했으며, 스페인 내전 당시에는 스페인에서 구급차 운전사로 활동했다.[5][29] 그는 프란시스코 프랑코 장군이 이끄는 국민파에 반대했다. 델린저는 훗날 이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신념을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스페인 내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은 간단했습니다. 히틀러가 반대편을 이끌고 있더라도, 제너럴 모터스, US스틸, 또는 체이스 맨해튼 은행을 위해 총을 들고 싸울 유혹조차 받지 않았습니다."[5][29]
3. 정치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양심적 병역 거부로 투옥되었고, 수감 중 인종 차별에 반대하는 활동을 벌였다.[6][30] 전후에는 다양한 평화 단체 설립 및 활동에 참여했으며,[7][31] 냉전 시기에는 비무장화를 촉구하는 국제적인 자전거 행진을 주도하기도 했다.[8][32]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시민권 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자유 행진에 동참하고 단식 투쟁을 벌였으며,[10][34] 평화주의 잡지 ''해방''(Liberation)을 창간하여 사상적 기반을 마련했다.[10][11][34][35]
베트남 전쟁 시기에는 반전 운동의 주요 인물로 활동하며, 5번가 베트남 평화 퍼레이드 위원회를 이끌고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등과 협력했다.[11] 전쟁의 실상을 알리기 위해 베트남을 직접 방문하고,[12][36] 납세 거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쟁에 반대했다.[13][14][37][38] 그의 모든 활동은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 저항 원칙에 기반했다.[38]
3. 1. 제2차 세계 대전과 양심적 병역 거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델린저는 반전 운동가로서 양심적 병역 거부를 선언하여 투옥되었다. 연방 교도소 수감 중, 그는 동료 양심적 병역 거부자인 랄프 디지아와 빌 서덜랜드 등과 함께 교도소 내 식당에서 벌어지는 인종 차별에 항의하는 운동을 벌였고, 이들의 노력 끝에 식당의 인종 분리 정책은 폐지되었다.[6][30]
3. 2. 전후 평화 운동
1946년 2월, 델린저는 급진적인 평화주의 단체인 '비폭력 혁명 위원회'(Committee for Nonviolent Revolution) 설립에 참여했다.[7][31] 1948년에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 중앙 위원회'(Central Committee for Conscientious Objectors)를 공동으로 설립했다.[7] 그는 오랫동안 반전 저항 연맹(War Resisters League)의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1955년 3월에는 직원으로 합류했다.[7]
1951년 7월부터 11월까지 델린저는 랄프 디지아, 빌 서덜랜드, 아트 에머리와 함께 '평화 창조자'(Peacemakers)의 후원을 받아 비무장화를 위한 파리-모스크바 자전거 행진에 참가했다. 이들은 냉전 시대의 긴장 속에서 연합군 점령하의 빈에 있는 소련군 본부까지 도달하며 동서 진영 간의 평화와 이해를 증진하고자 노력했다.[8][32] 델린저는 당시의 위험에 대해 회고하며, 최악의 경우 투옥될 각오가 되어 있었다고 말했다.[32] 이 자전거 행진은 1960년부터 1961년까지 이어진 샌프란시스코-모스크바 평화 행진(San Francisco to Moscow Walk for Peace)에 중요한 영감을 주었다.[9][33]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 델린저는 미국 남부에서 자유 행진에 참여했으며, 감옥에서 여러 차례 단식 투쟁을 벌였다.[10] 1956년에는 도로시 데이, A. J. 머스트와 함께 평화주의적이면서도 비마르크스주의적 좌파 성향의 잡지 ''해방''(''Liberation'')을 창간하여 사상적 구심점 역할을 했다.[10][11][34][35]
델린저는 엘리너 루즈벨트, 호찌민,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애비 호프먼, A. J. 머스트, 그렉 캘버트(Greg Calvert), 제임스 베벌, 데이비드 맥리놀즈 등 다양한 인물들과 교류하고 우정을 쌓았다. 특히 프레드 햄프턴을 비롯한 흑표당 당원들과도 관계를 맺으며 폭넓은 연대 활동을 펼쳤다.[11] 그는 5번가 베트남 평화 퍼레이드 위원회(Fifth Avenue Vietnam Peace Parade Committee) 의장으로서 많은 반전 단체들과 협력했으며,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제임스 베벌이 1960년대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의 주요 지도자로 부상하는 데 기여했다.[11]
1966년에는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을 모두 방문하여 미군의 폭격이 현지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목격했다. 그는 이후 비평가들이 자신의 하노이 방문만을 문제 삼고 사이공 방문은 의도적으로 외면했다고 지적했다.[12][36] 1968년에는 베트남 전쟁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세금 납부를 거부하는 "작가 및 편집자 전쟁 세금 저항"(Writers and Editors War Tax Protest) 선언에 서명했으며,[13][37] 이후 전쟁세 저항 프로젝트(War Tax Resistance project)의 후원자가 되어 납세 거부를 통한 반전 운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지지했다.[14][38] 델린저는 이러한 활동 전반에 걸쳐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 저항 원칙을 중요한 신념으로 삼았다.[38]
3. 3. 시민권 운동 참여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방 교도소에서 그는 랄프 디지아와 빌 서덜랜드(Bill Sutherland) 등 다른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과 함께 식당의 인종 차별에 항의했고, 이는 결국 식당의 인종 통합으로 이어졌다.[6][30]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델린저는 미국 남부에서 벌어진 시민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자유 행진에 동참했으며, 인종 차별 철폐를 요구하며 감옥에서 여러 차례 단식 투쟁을 벌였다.[10][34] 이 시기 그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제임스 베벌과 같은 시민권 운동 지도자들과 교류했으며, 프레드 햄프턴을 비롯한 흑표당 인사들과도 관계를 맺었다. 델린저는 킹과 베벌이 1960년대 반전 운동에서도 지도적인 역할을 하도록 도왔다.
1956년에는 도로시 데이, A. J. 머스트와 함께 평화주의적이면서 비마르크스주의적인 좌파 성향의 잡지 ''해방''(Liberation)을 창간하여 활동의 장을 마련했다.[10][11][34][35]
3. 4.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델린저는 미국 남부에서 시민권 운동을 지지하는 자유 행진에 참여했고, 감옥에서 여러 차례 단식 투쟁을 이끌었다. 1956년, 그는 도로시 데이 및 A. J. 머스트와 함께 평화주의적 비마르크스주의 좌파를 위한 포럼으로서 잡지 ''해방(Liberation)''을 창간했다.[10][11][34][35]
델린저는 엘리너 루즈벨트, 호찌민,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애비 호프만, A. J. 머스트, 그렉 캘버트, 제임스 베벌, 데이비드 맥리놀즈와 같은 다양한 인물들과 접촉하고 우정을 쌓았다. 또한 그가 매우 존경했던 프레드 햄프턴을 포함한 많은 흑표범당 당원들과도 교류했다. 그는 5번가 베트남 평화 퍼레이드 위원회(Fifth Avenue Vietnam Peace Parade Committee) 의장으로서 많은 반전 단체들과 함께 일했으며, 1960년대 반전 운동에서 킹과 베벌을 지도자 위치에 올리는 데 기여했다.
1966년 델린저는 미국 폭격의 영향을 직접 알아보기 위해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을 모두 방문했다. 그는 나중에 비평가들이 사이공 방문은 무시하고 하노이 방문에만 집중했다고 회상했다.[12][36]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이 심화됨에 따라 델린저는 반전 운동이 확산되는 가운데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 원칙을 자신의 활동에 적용했다. 1968년, 그는 베트남 전쟁에 항의하여 납세 거부를 실천하기로 서약한 "작가 및 편집자 전쟁 세금 저항(Writers and Editors War Tax Protest)" 선언에 서명했고,[13][37] 나중에는 전쟁에 대한 항의의 형태로 세금 저항을 실천하고 옹호하는 전쟁 세금 저항 프로젝트(War Tax Resistance project)의 후원자가 되었다.[14][38]
이러한 활동의 정점 중 하나는 1968년 시카고에서 열린 1968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반전 시위대가 활동한 후, 델린저와 다른 여러 사람이 폭동을 선동할 의도로 주 경계를 넘었다는 연방 정부의 혐의로 기소된 시카고 7 재판이었다. 이어진 재판에서 델린저와 그의 공동 피고인들은 베트남 전쟁을 비판하는 전국적인 플랫폼을 만들었다. 1970년 2월 18일, 그들은 음모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델린저를 포함한 5명의 피고인은 폭동을 선동하기 위해 주 경계를 넘은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모든 피고인과 두 변호사는 법정 모독 혐의로 형을 선고받았다. 델린저는 32건의 법정 모독 혐의로 29개월 16일의 형을 선고받았다.
줄리어스 호프만 판사의 재판 처리 방식과 FBI의 변호사 도청 사실이 드러나면서, 헌법 권리 센터의 도움으로 2년 후 제7순회 항소 법원은 유죄 판결을 뒤집었다. 항소 법원은 줄리어스 호프만 이외의 판사 앞에서 법정 모독 혐의에 대한 재판을 명령했다. 델린저는 결국 5건의 법정 모독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이미 복역한 기간으로 형이 집행되었다.[15][16]
4. 시카고 7 재판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이 심화됨에 따라 델린저는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 원칙을 자신의 활동에 적용했다. 이러한 활동 중 하나로 1968년 시카고에서 열린 1968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벌어진 반전 시위가 있었다. 이 시위 이후, 델린저와 다른 여러 활동가들은 폭동을 선동할 의도로 주 경계를 넘었다는 연방 정부로부터의 혐의로 기소되었다. 처음에는 8명이 기소되었으나 한 명은 재판이 분리되어, 델린저를 포함한 나머지 7명은 "시카고 7"로 불리며 재판을 받게 되었다.[39]
피고인들은 시카고 7 재판을 베트남 전쟁의 부당함을 공론화하는 장으로 활용하면서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다.[39] 1970년 2월 18일, 배심원단은 피고인들의 음모 혐의에 대해 무죄 평결을 내렸으나, 델린저를 포함한 5명의 피고인에 대해서는 폭동을 선동하기 위해 주 경계를 넘은 혐의로 유죄 판결을 내렸다.[39] 또한, 재판 과정에서의 발언과 행동으로 인해 줄리어스 호프만 판사는 모든 피고인과 변호인 두 명에게 법정 모독죄를 선고했다. 델린저는 32건의 법정 모독 혐의로 총 29개월 16일의 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재판 과정에서 호프만 판사의 편파적인 재판 진행과 FBI가 변호인단을 도청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재판의 공정성에 대한 심각한 의문이 제기되었다.[39][40] 결국 2년 뒤, 헌법 권리 센터의 법률적 도움을 받아 제7순회 항소 법원은 폭동 선동 혐의에 대한 유죄 판결을 파기했다. 항소 법원은 또한 호프만 판사가 아닌 다른 판사에게 법정 모독 혐의 재판을 다시 진행하도록 명령했다. 재심 결과 델린저는 5건의 법정 모독 혐의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이미 복역한 기간이 인정되어 추가적인 수감은 면할 수 있었다.[15][16]
5. 이후 활동
1971년 12월, 미시간주 앤아버에서 열린 존 싱클레어 자유 집회에서 연설하며 사회 운동가로서의 활동을 이어갔다.[17][41]
1970년대 후반에는 고다드 대학교의 성인 학위 프로그램과 버몬트 대학교에서 2년 동안 강의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18][19][42][43] 2001년에는 모교인 고다드 대학교의 거주형 학부 프로그램 졸업생들에게 졸업식 연설을 하도록 초청받기도 했다.[20][44]
델린저는 좌파 또는 반체제적 관점에서 쓰여진 미국 대안 뉴스 잡지인 세븐 데이스의 창립자이기도 했다. 그는 1975년 10월 발행을 중단한 ''램파츠'' 잡지의 구독자 명단을 확보하여[21], 1975년에 미리 보기판을 시작으로 1977년부터 정기적으로 잡지를 발행했지만 재정 문제 등으로 1980년에 발행을 중단했다.
1986년, 예일 대학교 1936년 졸업생 동기회 50주년 기념 모임에서 델린저는 기념록에 자신의 삶의 신조를 다음과 같이 남겼다: "내 삶의 방식이 금욕적이거나 엄격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나는 오랫동안 전쟁, 폭력, 불의에 대해 만족스럽게 '아니오'라고 말할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해 왔다. 동시에 삶, 사랑, 웃음에 대해 '예'라고 말하지 않는 한 말이다."[22] 이는 그의 평화주의적 신념과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보여준다.
평생에 걸친 평화주의적 가치에 대한 헌신과 평화 운동 대변인으로서의 활동을 인정받아, 델린저는 1992년 9월 26일 평화 수도원 양심의 용기 상을 수상했다.
노년에도 그의 사회 참여는 계속되었다. 1996년 시카고에서 1968년 이후 처음으로 열린 민주당 전당대회 기간 동안, 델린저는 시카고 연방 청사 앞에서 벌어진 시위에 참여했다. 이 시위에서 그는 자신의 손자와 시민권 운동 역사가 랜디 크린, 브래드포드 리틀, 애비 호프만의 아들 앤드류를 포함한 9명과 함께 체포되었다.[23] 이는 권력에 대한 비판과 저항 정신이 여전함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2001년, 델린저는 버몬트주 몽펠리에의 젊은 활동가 그룹을 이끌고 캐나다 퀘벡시티로 가서 미주자유무역지대(FTAA) 창설 회의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했다.[24] 이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를 낸 것으로 평가받는다.
델린저는 2004년 버몬트주 몽펠리에의 히턴우즈 요양원에서 8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6. 사망
델린저는 장기간 히턴 우즈 요양원에 머문 후, 2004년 미국 버몬트주 몽펠리에에서 사망했다.[24] 그는 사망하기 몇 년 전부터 알츠하이머병을 앓았다.
7. 대중문화
데이비드 델린저의 삶과 투쟁은 여러 영화를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다.
- 1987년 영화 《시카고 8의 음모: 시카고 7 재판》(Conspiracy: The Trial of the Chicago 8영어)에서는 피터 보일(Peter Boyle)이 델린저 역을 맡았다.
- 2007년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영화 《시카고 10》(Chicago 10영어)에서는 딜런 베이커(Dylan Baker)가 델린저의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 2010년 영화 《시카고 8》(The Chicago 8영어)에서는 피터 맥켄지(Peter Mackenzie)가 델린저 역을 맡았다.
- 2020년 드라마 영화 《시카고 7의 재판》(The Trial of the Chicago 7영어)에서는 존 캐럴 린치(John Carroll Lynch)가 델린저를 연기했다.
8. 저작
- ''혁명적 비폭력: 데이브 델린저의 에세이''. 인디애나폴리스: 밥스-머릴, 1970.
- ''우리가 아는 것보다 더 강력한 힘: 민주주의를 향한 국민 운동''. 가든 시티, 뉴욕: 앵커 프레스, 1975.
- ''베트남 재방문: 은밀 작전에서 침략, 재건까지''. 보스턴, 매사추세츠: 사우스 엔드 프레스, 1986.
- ''예일에서 감옥까지: 도덕적 반체제 인사의 삶''. 뉴욕: 판테온 북스, 1993. (자서전)
- * 일본어 번역: D. 델린저 저, 요시카와 유이치 역, 「アメリカ」が知らないアメリカ―反戦・非暴力のわが回想|「아메리카」가 시라나이 아메리카―한센・히보̄료쿠노 와가 카이소̄일본어(''미국(アメリカ)이 모르는 미국-반전・비폭력의 나의 회상''), 후지와라 쇼텐, 1997.
- "왜 나는 1940년 10월 징병에 등록을 거부했고 그것이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가". 래리 가라(Larry Gara)와 레나 매 가라(Lenna Mae Gara) 편집, ''몇 개의 작은 촛불: 제2차 세계 대전의 반전주의자들이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켄트 주립대학교 출판부, 1999, 20–37쪽.
- 「人間の国」へ―米日市民の対話|「닌겐노 쿠니」에―베이니치 시민노 타이와일본어(''인간(人間)의 나라로―미일 시민의 대화''). 오다 마코토와의 대담집. 깁슨 마츠이 요시코(ギブソン松井佳子) 번역. 후지와라 쇼텐, 1999.
참조
[1]
뉴스
David Dellinger, of Chicago 7, Dies at 88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4-05-27
[2]
웹사이트
Directory of the National Society of the Daughters of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Memorial continental hall
2018-03-28
[3]
웹사이트
Lifelong Protester David Dellinger Dies (washingtonpost.com)
https://www.washingt[...]
[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David Dellinger
http://repository.wu[...]
[5]
웹사이트
A quote from From Yale to Jail
https://www.goodread[...]
[6]
간행물
David Dellinger, 1915–2004
Nonviolent Activist
2004-05-01
[7]
서적
David Dellinger: the life and times of a nonviolent revolutionary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11-10-02
[8]
웹사이트
Ralph DiGia Fund for Peace & Justice » Timeline of a Life of Activism
https://web.archive.[...]
2020-09-16
[9]
서적
You come with naked hands; the story of the San Francisco to Moscow march for peace.
http://worldcat.org/[...]
Greenleaf Books
1966
[10]
서적
Direct ac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
뉴스
David Dellinger, of Chicago 7, Dies at 88
https://www.nytimes.[...]
2004-05-27
[12]
웹사이트
"Interview with David T. Dellinger, 1982."
https://archive.toda[...]
1982-08-31
[13]
뉴스
Writers and Editors War Tax Protest
New York Post
1968-01-30
[14]
간행물
A Call to War Tax Resistance
The Cycle
1970-05-14
[15]
뉴스
Obituary: David Dellinger : Pacifist elder statesman of the anti-Vietnam Chicago Eigh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UK)
2004-05-28
[16]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Dellinger
http://ccrjustice.or[...]
Center for Constitutional Rights
[17]
뉴스
John Sinclair: The Rally and the Release
https://news.google.[...]
1971-12-16
[18]
뉴스
Life on the Edge: The turbulent public and private lives of David Dellinger & Elizabeth Peterson
Rutland Herald/Times Argus
2006-05-29
[19]
서적
The Vermont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20]
비디오
video from Goddard College's archives
https://vimeo.com/13[...]
[21]
뉴스
The State
https://www.newspape[...]
Los Angeles Times
1976-03-07
[22]
간행물
A Man Who Didn't Obey
The Progressive
2004-08-01
[23]
뉴스
UPI report
https://www.upi.com/[...]
UPI
1996-08-28
[24]
웹사이트
Peace activist Dellinger dies at age 88
https://www.rutlandh[...]
2004-05-26
[25]
뉴스
David Dellinger, of Chicago 7, Dies at 88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4-05-27
[26]
웹사이트
Directory of the National Society of the Daughters of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Memorial continental hall
2018-03-28
[27]
웹사이트
Lifelong Protester David Dellinger Dies (washingtonpost.com)
https://www.washingt[...]
[28]
웹사이트
Interview with David Dellinger
http://repository.wu[...]
[29]
웹사이트
A quote from From Yale to Jail
https://www.goodread[...]
[30]
간행물
David Dellinger, 1915–2004
Nonviolent Activist
2004-05-01
[31]
서적
David Dellinger: the life and times of a nonviolent revolutionary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11-10-02
[32]
웹사이트
Ralph DiGia Fund for Peace & Justice » Timeline of a Life of Activism
http://www.ralphdigi[...]
2020-09-16
[33]
서적
You come with naked hands; the story of the San Francisco to Moscow march for peace.
http://worldcat.org/[...]
Greenleaf Books
1966
[34]
서적
Direct ac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5]
뉴스
David Dellinger, of Chicago 7, Dies at 88
https://www.nytimes.[...]
2004-05-27
[36]
웹사이트
"Interview with David T. Dellinger, 1982."
http://openvault.wgb[...]
2022-08-07
[37]
뉴스
Writers and Editors War Tax Protest
New York Post
1968-01-30
[38]
간행물
A Call to War Tax Resistance
The Cycle
1970-05-14
[39]
뉴스
Obituary: David Dellinger : Pacifist elder statesman of the anti-Vietnam Chicago Eigh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4-05-28
[40]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Dellinger
http://ccrjustice.or[...]
[41]
뉴스
John Sinclair: The Rally and the Release
https://news.google.[...]
Village Voice
2010-02-14
[42]
뉴스
Life on the Edge: The turbulent public and private lives of David Dellinger & Elizabeth Peterson
Rutland Herald/Times Argus
2006-05-29
[43]
서적
The Vermont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44]
비디오
video from Goddard College's archives
https://vimeo.com/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