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맥두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비드 맥두걸은 1809년 오하이오에서 태어나 1882년 사망한 미국 해군 장교이다. 그는 1828년 해군에 입대하여 지중해, 서인도 제도, 본국 함대 등에서 복무했으며, 미국-멕시코 전쟁과 시모노세키 해협 사건에 참전했다. 특히 1863년 시모노세키 해협에서 조슈 번의 함대를 공격하여 격침시키는 활약을 펼쳤으며, 이후 남태평양 함대 사령관을 역임하고 퇴역 후 소장으로 진급했다. 그의 이름을 딴 구축함 2척이 건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의 외국인 - 펠리체 베아토
펠리체 베아토는 19세기 주요 역사적 사건과 에도 시대 일본의 모습을 생생하게 기록한 영국 국적의 사진작가로서, 그의 사진들은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 막말의 외국인 - 예프피미 푸탸틴
예프피미 푸탸틴은 러시아 제국의 해군 군인이자 외교관으로서 페르시아, 일본, 중국과의 관계 수립에 기여했으며, 특히 시모다 조약 체결을 통해 러일 관계의 기초를 다지고 교육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강압적인 교육 정책으로 비판받았다. - 1882년 사망 - 찰스 다윈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론을 제시하여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초를 세운 영국의 자연과학자이다. - 1882년 사망 - 민겸호
민겸호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명성황후를 지지하고 개화 정책을 추진했으며 임오군란 때 살해된 후 충숙공의 시호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1809년 출생 - 찰스 다윈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론을 제시하여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초를 세운 영국의 자연과학자이다. - 1809년 출생 - 펠릭스 멘델스존
펠릭스 멘델스존은 1809년 독일에서 태어난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이며,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로서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바흐의 음악 부활에 기여했으며, 라이프치히 음악원을 설립했다.
데이비드 맥두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데이비드 스톡턴 맥두걸 |
원어 이름 | David Stockton McDougal |
![]() | |
출생일 | 1809년 9월 27일 |
사망일 | 1882년 8월 7일 |
사망 장소 | 캘리포니아주샌프란시스코 |
묻힌 곳 | 캘리포니아주오클랜드, 마운틴 뷰 공동묘지 |
출생지 | 오하이오주 |
별명 | (정보 없음) |
군 복무 정보 | |
복무 기간 | 1828–1871년 |
최종 계급 | [[File:USN Rear Admiral rank insignia.jpg|35px]] 소장 |
지휘 | "Warren" "John Hancock" 와이오밍 "South Pacific Squadron" |
참전 | |
전투/전쟁 | 미묵 전쟁 "Mosquito Fleet Campaign" 베라크루스 봉쇄 베라크루스 포위전 시모노세키 전쟁 시모노세키 해전 |
훈장 |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관련 인물 | (정보 없음) |
이후 활동 | (정보 없음) |
2. 생애
데이비드 맥두걸은 1809년 9월 2일 오하이오주에서 태어나 1828년 4월 1일 해군에 입대했다. 이후 30년 동안 지중해 함대, 서인도 함대, 본국 함대, 오대호 등에서 복무하며 전투 슬루프 ‘워렌’, 증기예인선 ‘존 핸콕’의 함장을 맡았다. 미국-멕시코 전쟁 중에는 준장 매튜 C. 페리의 베라크루즈 봉쇄 및 베라크루즈 공방전에 참여하기도 했다.
1862년부터 1864년까지는 전투슬루프 와이오밍의 함장으로 동아시아에 파견되어 해적과 남부 연합의 사략선으로부터 미국 시민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했다.[1] 1863년 7월 16일에는 시모노세키 해협 전투에서 조슈 번의 해안 포대 및 군함 3척과 교전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1864년 3월 2일 현역 대령으로 진급했으며, 1869년 12월 23일에는 남태평양 함대의 지휘를 맡았다. 1871년 9월 27일 퇴역 후 1873년 8월 24일 소장으로 임명되었다. 1882년 8월 7일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사망하여 오클랜드의 마운틴 뷰 묘지에 안장되었다.[2]
2. 1. 초기 생애 및 경력
1809년 9월 2일 오하이오주에서 태어났다. 1828년 4월 1일 사관후보생으로 해군에 입대했다.[1] 이후 30년 동안 지중해, 서인도 제도, 본국 함대에서 복무했으며, 미시간주의 오대호에서도 복무했다. 미국-멕시코 전쟁 중인 1846년부터 1848년까지 USS ''미시시피''에서 복무하면서 준장 매튜 C. 페리의 베라크루즈 봉쇄 및 베라크루즈 공방전에 참여했다. 이후 1854년부터 1856년까지 군함 슬루프 USS ''워렌''을, 1856년에는 증기 예인선 USS ''존 핸콕''을, 1861년부터 1864년까지는 스크류 슬루프 USS ''와이오밍''을 지휘했는데, 이 배를 타고 태평양을 항해하며 미국 상선을 해적과 남부 연합의 습격으로부터 보호했다. ''와이오밍''은 처음에는 바하칼리포르니아 준주 근처를 순찰했고, 이후 남쪽으로 이동하여 남아메리카 해역에서 작전을 수행한 후 극동으로 향했다.2. 2. 시모노세키 해전
1863년 5월, 존왕양이 운동으로 외국 세력 배척 분위기가 고조되던 일본에서, 조슈 번은 시모노세키 해협을 봉쇄하고 있었다. 6월 25일, 조슈 번은 미국 상선 펨브로크 호를 포격했고, 이 사건은 7월 10일 요코하마의 미국 공사 로버트 프루인에게 알려졌다. 프루인은 와이오밍 함장 데이비드 맥두걸 중령과 함께 막부 관리에게 항의하고 배상금을 요구했다. 맥두걸은 시모노세키 해협 전투에서 조슈 번의 해안 포대와 3척의 배와 교전하여 두 척을 격침시키고 다른 한 척에 큰 피해를 입혔다.이 전투로 와이오밍은 11곳에 피탄되었고, 4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당했다. 와이오밍은 조약 준수를 위해 일본을 공격한 최초의 외국 군함이 되었다.
2. 2. 1. 전투의 배경
1863년 5월, 존왕양이 운동으로 일본 내 외국 세력 배척 분위기가 고조되었다. 도쿠가와 이에모치는 고메이 천황에게 1863년 6월 25일(분큐 3년 5월 10일) 양이를 실행하겠다고 알렸고, 여러 번에도 이를 통보했다. 대부분의 번은 이를 무시했으나, 양이 운동의 중심이었던 조슈 번은 시모노세키 해협에 포대를 설치하고 병력 약 1,000명과 군함 4척을 배치하여 해협 봉쇄 태세를 갖추었다.[1]6월 25일, 조슈 번은 다노우라 앞바다에 정박한 미국 상선 펨브로크(Pembroke)를 발견했다. 구사카 겐즈이 등 강경파의 주장으로 양이 결행이 결정되었고, 26일 새벽 조슈 번 군함들이 펨브로크 호를 포격했다. 해안 포대도 포격을 가했다. 펨브로크 호는 분고 수도로 피신했으며,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나가사키 기항을 취소하고 상하이로 향했다.[1]
이 사건은 7월 10일이 되어서야 요코하마에 알려졌다. 미국 공사 로버트 프루인은 와이오밍 함장 맥두걸 중령과 함께 막부 관리에게 사태의 심각성을 알리고 배상금 청구를 언급했다. 막부 관리는 사과하며 자체 처리를 약속했다.[1]
맥두걸은 프루인에게 시모노세키의 적함을 격침시켜 사태를 진정시켜야 한다고 주장했고, 양이파의 기세를 꺾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1]

와이오밍은 즉시 출항 준비를 시작, 7월 13일 시모노세키로 출항했다. 7월 15일 저녁 히메시마 남쪽에 정박했고, 다음 날 아침 해협으로 향했다. 9시에는 전투 배치를 발령하고, 10시 45분 해협에 돌입했다. 육상에서는 와이오밍의 도착을 알리는 연기가 피어올랐다.[1]
11시 45분경, 해안 포대의 포격이 시작되자 와이오밍은 11인치 포로 반격했다. 맥두걸은 해안 포대는 무시하고 조슈 해군 함정 3척을 목표로 진격하라고 명령했다. 와이오밍은 조슈 번의 브리그(계해마루)와 바크(고신마루) 사이를 통과하며 증기선(진술마루)에 접근했다. 이 과정에서 와이오밍 승무원 6명이 사망 또는 부상했다.[1]
와이오밍은 얕은 여울에 좌초되었으나, 곧 이초에 성공하고 달그렌포로 진술마루를 포격하여 격침시켰다. 이어서 고신마루를 격침시키고 계해마루를 대파했다. 1시간 남짓한 전투 후, 와이오밍은 요코하마로 귀환했다. 와이오밍은 11곳에 피탄되었고, 4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당했다. 와이오밍은 조약 준수를 위해 일본을 공격한 최초의 외국 군함이 되었다.[1]
2. 2. 2. 전투의 경과
1863년 5월, 존왕양이 기운이 높아지던 일본에서 도쿠가와 이에모치는 고메이 천황에게 6월 25일부터 양이를 실행하겠다고 알리고 여러 번에 통지했다. 많은 번이 이를 무시했으나, 양이 운동의 중심이었던 조슈 번은 시모노세키 해협에 포대를 설치하고 병력과 군함을 배치하여 해협 봉쇄 태세를 갖추고 있었다.6월 25일, 조슈 번은 나가사키를 거쳐 상하이로 향하던 미국 상선 펨브로크(Pembroke)를 발견했다. 구사카 겐즈이 등 강경파의 주장으로 양이를 결행, 26일 새벽에 조슈 번 군함과 해안 포대가 펨브로크를 포격했다. 펨브로크는 분고 수도로 탈출, 사상자는 없었지만 나가사키 기항을 취소하고 상하이로 향했다.
이 사건은 7월 10일 요코하마에 전해졌고, 미국 공사 로버트 프루인은 막부 담당자에게 항의하고 배상금 청구를 언급했다. 데이비드 맥두걸은 로버트 프루인에게 시모노세키의 적함을 격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고, 두 사람은 양이파를 방치하면 안 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thumb
와이오밍은 즉시 출항 준비를 시작, 7월 13일 시모노세키로 출발했다. 7월 15일 저녁 히메시마 남쪽에 도착, 다음 날 아침 해협으로 향했다. 9시에는 전투 배치를 발령하고, 10시 45분 해협에 돌입했다. 육지에서 3개의 연기가 오르며 와이오밍의 도착을 알렸다.
11시 45분경, 해안 포대의 포격이 시작되자 와이오밍은 11인치 포로 반격했다. 맥두걸은 만의 포대는 무시하고 조슈 해군 함정 3척을 목표로 진격하라고 명령했다. 와이오밍은 조슈 번의 브리그(계해마루)와 바크(고신마루) 사이를 지나 증기선(진술마루)에 접근했다. 고신마루 또는 계해마루의 포탄이 와이오밍에 명중, 2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당했다. 해병대원 1명도 유산탄 파편에 맞아 사망했다.
와이오밍은 해도에 없는 얕은 여울에 좌초되었으나, 승무원의 노력으로 이초에 성공, 11인치 달그렌포로 진술마루를 포격했다. 포탄이 진술마루의 보일러를 폭발시키고 치명타를 가해 침몰하기 시작했고, 승무원은 탈출했다.
와이오밍은 고신마루와 계해마루를 향해 정확한 포격을 가해 고신마루를 격침시키고, 계해마루를 대파시켰다. 맥두걸은 7월 23일 보고서에서 "조슈 번에 대해 가한 징벌 행위는 그들에게 잊을 수 없는 것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1시간 남짓한 전투 후, 와이오밍은 요코하마로 돌아갔다. 11곳에 피탄되었고, 굴뚝과 삭구에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4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당했으며, 부상자 중 1명은 후에 사망했다. 와이오밍은 조약을 지키기 위해 일본을 공격한 최초의 외국 군함이 되었다.
2. 2. 3. 전투의 결과
1863년 6월 26일 (분큐 3년) 조슈번이 미국 상선 펨브로크 호를 포격한 사건 이후, 요코하마에 있던 미국 공사 로버트 프루인은 와이오밍호 함장 맥두걸 중령과 함께 막부 관리에게 이 사건에 대해 항의하고, 배상금 청구를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막부 관리는 사과하며 자체적으로 처리할 테니 미국 측은 아무것도 하지 말아 달라고 요청했다.그러나 맥두걸은 프루인에게 시모노세키의 적함을 격침시켜 사건을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프루인도 이에 동의했다. 이에 따라 와이오밍호는 즉시 출항 준비를 시작하여 7월 13일 시모노세키로 출발했다.
7월 16일 와이오밍호는 시모노세키 해협에 진입하여 조슈번 함대 및 포대와 전투를 벌였다. 와이오밍호는 조슈번의 증기선 진술마루를 격침시키고, 고신마루를 격침, 계해마루에 큰 피해를 입혔다. 이 과정에서 와이오밍호도 피해를 보아 4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당했다(그 중 1명은 나중에 사망).
thumb
1시간 남짓한 전투 후, 와이오밍호는 요코하마로 귀환했다. 이 전투는 미국 군함이 일본을 공격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맥두걸은 이 전투가 조슈 번에게 잊을 수 없는 징벌이 될 것이라고 보고했다.
2. 3. 이후의 생애
1869년 12월 23일 맥두걸은 남태평양 함대 사령관에 임명되었다.[1]1871년 9월 27일 퇴역했으며, 1873년 8월 24일 소장으로 진급했다.[2]
1882년 8월 7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사망했으며, 오클랜드에 있는 마운틴 뷰 묘지에 묻혔다.[2] 그의 이름을 딴 군함은 2척이 있는데, 오브라이언 급 구축함(DD-54)과 포터급 구축함(DD-358)이다.
3. 유산
1871년 9월 27일 재향 목록에 이름이 게재되었고, 1873년 8월 24일 소장으로 진급했다. 1882년 8월 7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사망했다.
그를 기리기 위해 USS 맥두걸(McDougal)로 명명된 두 척의 배가 있다. 오브라이언급 구축함 DD-54 및 포터급 구축함 DD-358이다.
참조
[1]
뉴스
Naval Movements.; PROGRESS OF LOCAL MEN OF WAR. Published: April 30, 1864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864-04-30
[2]
웹사이트
Mountain View Cemetery in Oakland: David Stockton McDougal
http://mountainviewp[...]
2008-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