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이비드 하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비드 하비는 1935년 영국에서 태어난 지리학자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브리스틀 대학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뉴욕 시립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학문적 경력을 쌓았다. 하비는 공간과학 연구를 시작했으나, 이후 사회 불평등과 자본주의 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연구로 방향을 전환했다. 그는 마르크스주의 지리학의 주요 인물로, 자본주의의 공간적 논리를 분석하고 신자유주의를 비판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주요 저서로 『사회 정의와 도시』, 『자본의 한계』,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신자유주의의 간략한 역사』, 『반란하는 도시들』 등이 있으며, 앙리 르페브르의 '도시에 대한 권리' 개념을 발전시켜 도시 공간의 민주적 통제를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문학자 - 도정일
    도정일은 영문학자이자 사회운동가로, 경희대학교 교수, 도서관장,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문화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으나, 2016년 학력 위조 논란 이후 이를 인정했고, 저서로는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등이 있다.
  • 인문학자 - 페테르 파울 루벤스
    페테르 파울 루벤스는 플랑드르의 바로크 미술 거장으로, 종교화, 역사화, 초상화, 풍경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역동적이고 풍부한 색채의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풍만한 여성의 육체 묘사로 유명하고 외교관으로도 활동했다.
  • 도시지리학자 - 제인 제이콥스
    제인 제이콥스는 도시 계획과 경제에 대한 혁신적인 관점을 제시한 캐나다계 미국인 저술가이자 활동가로, 『미국의 대도시의 죽음과 삶』에서 혼합 용도 개발과 하향식 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자동차 중심 도시 개발을 비판했으며, '거리의 눈'과 '보도의 발레' 개념을 통해 도시 안전과 활력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하여 도시 계획 및 경제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도시지리학자 - 장 고트망
    장 고트망은 러시아 제국 우크라이나 출신의 지리학자로, 메갈로폴리스 개념을 정립하고 도시 지리학 및 정치 지리학에 기여했으며, 존스 홉킨스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 미국의 지리학자 - 이 푸 투안
    이 푸 투안은 인문지리학 발전에 기여한 중국계 미국인 지리학자로, 공간, 장소, 인간과 자연의 관계, 인간 경험의 양가성 연구, 특히 토포필리아 개념 제시를 통해 인간과 장소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으며, 여러 대학의 교수를 역임하고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았다.
  • 미국의 지리학자 -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는 미국의 지리학자, 지질학자, 기상학자로, 지형 윤회 이론을 정립하여 지형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미국지리학회 창설과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 초기 활동에 기여했지만, 환경 결정론적 시각과 과학적 인종차별적 주장이 있다는 비판도 받는다.
데이비드 하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데이비드 하비
원어명David Harvey
출생일1935년 10월 31일
출생지영국, 켄트 주 지링엄
국적영국
학력케임브리지 대학교 존스 칼리지 지리학과 (1962년 지리학 박사)
직업지리학자, 인문학자, 인류학자, 경제학자, 사회이론가, 사상가, 저술가
소속뉴욕 시립 대학교 대학원
상훈영국 왕립 지리학회의 후원 메달
웹사이트데이비드 하비 공식 웹사이트
학문 분야
분야인류학, 지리학, 정치경제학, 사회이론
알려진 업적마르크스주의 지리학
지리학에서의 양적 혁명
비판 지리학
경제 인류학
정치 인류학
도시의 권리
시간 공간 압축
수탈에 의한 축적
박사 논문 제목1800–1900년 켄트에서의 농업 및 농촌 변화 양상
박사 논문 연도1961년
수상
영국 왕립 지리학회후원 메달

2. 생애와 학문적 경력

데이비드 하비는 1935년 길링엄에서 태어났다.[2][3] 길링엄 남자 고등학교와 케임브리지 세인트 존스 칼리지를 졸업했다. 1961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초기 연구는 19세기 켄트 주 홉 생산에 관한 역사 지리학 연구였으며, 당시 케임브리지와 영국에서 널리 퍼져있던 지역-역사적 연구 전통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연구는 파리에 관한 그의 후기 연구에서도 나타난다.[4]

현재 뉴욕에 거주하고 있으며, 1990년 1월에 태어난 델피나라는 딸이 있다.[5]

2. 1. 학문적 경력

1960년대 중반 무렵, 하비는 사회과학의 동향에 따라 정량적 방법을 사용하여 공간과학과 실증주의 이론에 기여했다. 이러한 연구의 뿌리는 그가 케임브리지에 있을 때 보였는데, 지리학과에는 리처드 졸리(Richard Chorley)와 피터 해겟(Peter Haggett)도 있었다. 그의 저서 『지리학에서의 설명(Explanation in Geography)』(1969)은 지리학의 방법론과 철학에 있어 획기적인 책으로, 과학철학의 원리를 지리적 지식 분야에 적용했다. 그러나 출판 후 하비는 다시 방향을 바꾸어 사회 불의 문제와 자본주의 시스템 자체의 본질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그는 『설명』에서 주장한 내용으로 돌아가지 않았지만, 칸트의 종합적 선험적 지식의 결과로 본 지역-역사적 전통의 지리학에서 절대 공간과 예외주의에 대한 비판에 부합한다.

하비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브리스틀 대학교 강사, 존스 홉킨스 대학교 조교수·교수,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뉴욕 시립 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하였다.

자본론』을 중심으로 하는 마르크스주의를 지리학에 응용한 비판적 지리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그의 교육·연구·정치적 활동은 사회 불평등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반영하며, 현재 지리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논문이 인용되는 학자이다.

1973년 저서 『도시와 사회 불평등』(Social Justice and the City)에서 도시 빈곤과 그로 인한 질병에 직면할 때 지리학은 “객관적(objective)” 입장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23]

1982년 저서 『자본의 한계』(일본어 번역서명: 『공간편성의 경제이론 ― 자본의 한계』)에서 자금과 재정의 기능, 그리고 자본주의 위기 형성에 있어서의 “공간적 모멘트(spatial moment)”에 대해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확장하고 혁신적인 논의를 전개했다.[24]

2010년 저서 『자본의 〈수수께끼〉』에서는 자본주의 본질에 있는 초도덕성(amorality)과 무법성(lawlessness)을 고려하여 규제 자본주의(regulatory capitalism), 윤리적 자본주의(ethical capitalism) 등의 논의는 근본적인 오류라고 주장했다.[25]

하비는 스웨덴의 레츠이우스 금메달, 영국 왕립 지리학회의 후원자 메달[26], 볼라틴 루드 국제상 등 많은 수상 경력이 있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와 덴마크 로스킬데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8년에는 영국 학사원 회원으로 선출되었고,[27] 2007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도 선출되었다.[28] 2007년에는 톰슨 로이터의 과학 정보 연구소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인용 횟수에서 인문·사회 과학 분야 저술가 중 18위를 차지했다.[29]

3. 주요 이론 및 연구

데이비드 하비는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지리학에 적용하여 자본주의 사회의 공간적 불평등과 도시 문제 등을 연구했다. 그는 1973년 저서 『사회 정의와 도시』에서 도시 빈곤과 불평등 문제에 직면할 때 지리학이 객관적인 입장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지리학의 역할을 강조했다.[8]

3. 1. 마르크스주의 지리학과 도시 연구

하비는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지리학에 적용하여 자본주의 사회의 공간적 불평등과 도시 문제를 분석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1973년 저서 『사회 정의와 도시』에서 그는 도시 빈곤과 불평등 문제에 직면할 때 지리학이 객관적인 입장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지리학의 역할을 강조했다.[8] 그는 자본주의가 공간을 통해 어떻게 작동하고 재편되는지, 그리고 도시화 과정이 어떻게 자본 축적과 계급 투쟁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1972년 빈민가 형성에 관한 에세이에서 하비는 "혁명적 실천을 통해 검증된" "혁명적 이론"의 창출을 주장했다.[7] 변증법적 유물론은 그의 후속 연구, 특히 자본주의에 대한 급진적인 지리적 분석을 더욱 발전시킨 『자본의 한계』(1982)에 영향을 미쳤다. 이 책에서 하비는 화폐와 금융의 기능, 그리고 자본주의 위기 형성 과정에서의 '공간적 순간'에 관하여 마르크스 이론을 확장하고 혁신했다.[9]

3. 2. 자본의 공간적 논리와 신자유주의 비판

1982년 저서 『자본의 한계』에서 하비는 변증법적 유물론에 기반하여 자본주의에 대한 급진적인 지리적 분석을 더욱 발전시켰다. 그는 화폐와 금융의 기능, 그리고 자본주의 위기 형성 과정에서의 '공간적 순간'에 관하여 마르크스 이론을 확장하고 혁신했다.[9] 그는 자본주의가 공간적 확장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 하지만, 이는 또 다른 위기를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 집필한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1989)은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과 주장에 대한 유물론적 비판을 통해 이러한 사상들이 실제로 자본주의 내부의 모순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2005년 저서 『신자유주의의 간략한 역사』에서 그는 1970년대 중반 이후 신자유주의 이론과 상이한 관행에 대한 역사적 검토를 제공한다. 그는 신자유주의화된 세계 정치 경제를 소수의 이익을 위해 다수가 희생되는 시스템으로 개념화하며, "소유에 의한 축적"을 통해 계급 구분이 (재)창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주장한다.

하비는 현대 경제 위기에 대한 장기적인 관점을 제시한 『자본의 수수께끼』(2010)에서 자본주의의 본질은 그 비도덕성과 무법성에 있으며, 규제 자본주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근본적인 오류를 범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10]

3. 3. '도시에 대한 권리'와 반란하는 도시

앙리 르페브르의 '도시에 대한 권리(right to the city)' 개념을 발전시켜, 도시 공간이 자본의 논리에 의해 지배되는 것에 저항하고, 모든 시민이 도시를 민주적으로 통제하고 변화시킬 권리를 주장했다. 2012년 저서 『반란하는 도시들』에서 그는 전 세계 도시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사회 운동과 저항을 분석하며, 도시가 자본주의에 대한 대안적 사회를 구축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2010년대 초반 '아랍의 봄', '월가를 점령하라' 시위 등에서 나타난 도시 점거 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4. 한국 사회에 대한 영향

데이비드 하비의 이론은 한국의 학계와 시민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저서들은 한국어로 번역 출간되어 널리 읽히고 있으며, 그의 이론은 한국 사회의 도시 문제, 불평등, 신자유주의 정책에 대한 비판적 논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하비의 이론을 바탕으로 도시 재생, 주거 복지 정책, 부동산 투기 방지 대책, 소득 주도 성장, 공공 부문 강화, 사회적 경제 활성화 등 대안적 경제 정책을 주장하고 있다.

4. 1. 한국의 도시 문제와 불평등 연구

데이비드 하비의 도시 이론은 한국의 도시 재개발, 부동산 투기, 주거 불평등 문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특히 그의 '소유에 의한 축적' 개념은 신자유주의 이론 및 관행에 대한 역사적 검토를 통해, 용산 참사, 강남 재건축 등 도시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폭력과 불평등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10]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하비의 이론을 바탕으로 도시 재생, 주거 복지 정책, 그리고 부동산 투기 방지 대책을 주장하고 있다.

4. 2. 신자유주의 정책 비판과 대안 모색

하비는 1970년대 중반 이후 신자유주의 이론과 그 다양한 실제 적용 사례들을 역사적으로 분석한 『신자유주의의 간략한 역사』(2005)를 저술했다.[10] 그는 이 책에서 신자유주의화된 세계 정치 경제를 소수의 이익을 위해 다수가 희생되는 시스템으로 규정하고, 이를 통해 "소유의 축적을 통한 축적"이라는 과정을 거쳐 계급 구분이 (재)창조되는 결과를 낳았다고 주장한다.[10]

하비는 『자본의 수수께끼』(2010)에서 현대 경제 위기의 장기적인 관점을 제시하며, 자본주의가 세계를 지배하게 된 과정과 그로 인한 금융 위기 발생 이유를 설명한다.[10] 그는 자본주의의 본질이 비도덕성과 무법성에 있으며, 규제된, 윤리적인 자본주의를 논하는 것은 근본적인 오류라고 지적한다.[10]

이러한 하비의 신자유주의 비판은 대한민국 사회의 경제 불평등, 노동 시장 불안정, 사회 양극화 문제를 분석하는 데 중요한 시각을 제공한다. 그의 이론은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한국 사회에 도입된 신자유주의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적 사회 모델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진영에서는 하비의 이론을 바탕으로 소득 주도 성장, 공공 부문 강화, 사회적 경제 활성화 등 대안적 경제 정책을 주장하고 있다.

5. 수상 및 명예

David Harvey영어는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아 영국 학사원 회원(1998년)[27],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2007년)[28]으로 선출되었다. 스웨덴의 레츠이우스 금메달, 영국 왕립 지리학회 후원자 메달[26], 볼라틴 루드 국제상 등을 수상했으며,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덴마크 로스킬데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6. 저서


  • ''Explanation in Geography'' (Edward Arnold, 1969)

: 松本正美일본어 역 『지리학 기초론――지리학에서의 설명』(古今書院, 1979년)

  • ''Society, the City, and the Space-Economy of Urbanism''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1972)
  • ''Social Justice and the Cit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3)

: 竹内啓一일본어・松本正美일본어 역 『도시와 사회적 불평등』(일본 브리태니커(ブリタニカ・ジャパン), 1980년)

  • ''The Limits to Capita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 松石勝彦일본어・水岡不二雄일본어 역 『공간 편성의 경제 이론――자본의 한계(상·하)』(대명당(大明堂), 1989년)

  • ''Consciousness and the Urban Experience'' (Blackwell, 1985)
  • ''The Urbanization of Capital'' (Blackwell, 1985)

: 水岡不二雄일본어 감역 『도시의 자본론――도시 공간 형성의 역사와 이론』(아오키 서점(青木書店), 1991년)

  • ''The Urban Experience'' (Blackwell, 1989)
  •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An Enquiry into the Origins of Cultural Change'' (Blackwell, 1990)

: 吉原直樹일본어 감역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아오키 서점, 1999년/개역판・치쿠마 학예문고(ちくま学芸文庫), 2022년)

  • ''Justice, Nature and the Geography of Difference'' (Blackwell, 1996)
  • ''Spaces of Hop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 ''Spaces of Capital: Towards a Critical Geography'' (Routledge, 2001)
  • ''The New Imperi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 本橋哲也일본어 역 『뉴 임페리얼리즘』(아오키 서점, 2005년)

  • ''Paris, Capital of Modernity'' (Routledge, 2003)

: 大城直樹일본어・遠城明雄일본어 역 『파리――모더니티의 수도』(아오토샤(青土社), 2006년)

  • ''A Brief History of Neoliber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 渡辺治일본어 감역, 森田成也일본어、木下ちがや일본어、大屋定晴일본어, 中村好孝일본어 역 『신자유주의――그 역사적 전개와 현재』(작품사(作品社), 2007년)

  • ''Spaces of Neoliberalization: Towards a Theory of Uneven Geographical Development'' (F. Steiner, 2005)

: 本橋哲也일본어 역 『네오리베럴리즘이란 무엇인가』(아오토샤, 2007년)

  • ''Spaces of Global Capitalism'' (Verso, 2006)
  • ''Cosmopolitanism and the geographies of freedom''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 大屋定晴일본어・森田成也일본어・中村好孝일본어・岩崎明子일본어 역 『코스모폴리타니즘ーー자유와 변혁의 지리학』(작품사, 2013년)

  • ''A companion to Marx's Capital'' (Verso, 2010)

: 『<자본론>입문』(森田成也일본어・中村好孝일본어 역, 작품사, 2011년)

  • ''The enigma of capital: and the crises of capi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 『자본의 <수수께끼>――세계 금융공황과 21세기 자본주의』(森田成也일본어・大屋定晴일본어・中村好孝일본어・新井田智幸일본어 역, 작품사, 2012년)

  • ''Rebel cities: from the right to the city to the urban revolution'' (Verso, 2012)

: 『반란하는 도시――자본의 도시화와 도시의 재창조』(森田成也일본어・大屋定晴일본어・中村好孝일본어・新井大輔일본어 역, 작품사, 2013년)

참조

[1] 뉴스 Most cited authors of books in the humanities, 2007 https://www.uky.edu/[...] 2017-10-10
[2] 웹사이트 Harvey, David 1935– https://www.encyclop[...] 2021-04-10
[3] 웹사이트 David Harvey https://geographical[...] 2021-04-10
[4] 서적 Paris, Capital of Modernity Routledge 2003
[5] 웹사이트 FreshEd #100 – A Marxist critique of higher education (David Harvey) https://soundcloud.c[...]
[6] 서적 The Urban Geography Reader Psychology Press 2005
[7] 저널 A Commentary on the Comments https://onlinelibrar[...] 1972
[8] 서적 The Urban Geography Reader Psychology Press 2005
[9]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10] 서적 The enigma of capital: and the crises of capitalism Profile Books
[11] 웹사이트 Ellen Churchill Semple Day http://geography.as.[...] 2015-06-30
[12] 웹사이트 CEDENET Ecuador https://cenedet.word[...]
[13] 웹사이트 Reading Marx's Capital http://davidharvey.o[...] 2008
[14] 웹사이트 Reading Capital http://davidharvey.o[...] 2020-07-28
[15] Youtube Reading Marx's Capital with David Harvey – YouTube https://www.youtube.[...] 2022-10-28
[16] 서적 A Companion to Marx's Capital Verso Books 2010
[17] 서적 David Harvey: a critical reader John Wiley & Sons 2008
[18] 웹사이트 Honorary doctorates – Uppsala University, Sweden http://www.uu.se/en/[...] 2023-06-09
[19] 웹사이트 Portal Universidad de la República {{!}} Títulos Honoris Causa http://www.universid[...] 2020-07-14
[20] 웹사이트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a Participatory Society – Interim Committee http://www.iopsociet[...] 2012-03-31
[21] 서적 The new imperialism http://archive.org/d[...]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2] 서적 A brief history of neoliberalism http://archive.org/d[...] Oxford;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3] 서적 The Urban Geography Reader Psychology Press 2005
[24]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25] 서적 The enigma of capital: and the crises of capitalism Profile Books
[26] 웹사이트 Medals and Awards, Gold Medal Recipients http://www.rgs.org/N[...] Royal Geographical Society 2014-04-02
[27] 웹사이트 Professor David Harvey FBA https://www.thebriti[...] British Academy 2020-03-29
[28] 웹사이트 Professor David Harvey https://www.amacad.o[...]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2020-03-29
[29] 뉴스 Most cited authors of books in the humanities, 2007 https://www.timeshig[...] 2017-10-10
[30] 웹사이트 Reading Marx's Capital http://davidharvey.o[...] 2008
[31] Youtube https://www.youtube.[...]
[32] 서적 A Companion to Marx's Capital Verso Book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