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C. 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비드 C. 강은 다양한 주제에 관해 저술 활동을 하는 학자이다. 그는 정실 자본주의, 북핵 문제, 중국의 부상, 동아시아 국제 관계, 미국의 동아시아 안보 전략, 그리고 북한 문제 등 동아시아 관련 주제를 주로 다룬다. 주요 저서로는 『정실 자본주의: 한국과 필리핀의 부패와 개발』, 『핵 북한: 관여 전략에 대한 논쟁』, 『부상하는 중국: 동아시아의 평화, 권력, 질서』, 『서구 이전의 동아시아: 5세기의 무역과 조공』 등이 있다. 또한 언론 기고와 강연을 통해 북한 문제에 대한 분석과 의견을 제시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국제관계학자 - 아키라 이리에
아키라 이리에는 미국에서 태어난 일본계 미국인 역사학자로, 외교사에 문화적 관점을 통합하여 국제 관계 연구를 확장하고 미국과 동아시아 관계, 냉전 시대 아시아 등에 대한 연구로 학계에 기여했으며, '역사의 국제화'를 주장하며 국제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미국의 국제관계학자 - 로버트 길핀
로버트 길핀은 고전적 현실주의에 기반하여 국제 관계와 국제 정치 경제를 연구하고 국가 안보 이익을 강조한 미국의 정치학자로, 그의 연구는 후대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주요 저서로는 『국제 관계의 정치 경제』 등이 있다. - 다트머스 대학교 교수 - 존 매카시 (컴퓨터 과학자)
존 매카시는 LISP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고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는 데 기여한 인공지능 분야의 선구적인 컴퓨터 과학자로서, 가비지 컬렉션 기법 발명, 유틸리티 컴퓨팅 개념 제시 등 컴퓨터 과학 발전에 혁신적인 공헌을 했다. - 다트머스 대학교 교수 - 호세 도노소
호세 도노소는 1924년 칠레에서 태어나 칠레 가톨릭대학교 교수, 잡지 편집자 등을 역임했으며, 상류층의 몰락과 퇴폐를 고발하는 작품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칠레의 소설가이다. - 북한학자 - 강명도
강명도는 평양 출신으로 북한 요직을 거쳐 1994년 탈북하여 대한민국으로 망명한 김일성 외척 출신의 북한 전문가로, 대학교수와 방송 활동, 저술 등을 통해 북한 사회의 실상과 내부 비밀을 알리고 있다. - 북한학자 - 안드레이 란코프
안드레이 란코프는 러시아 출신으로 김일성종합대학 유학 후 현재 국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북한의 정치, 사회, 역사, 특히 권력 구조와 주민 생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NK News, 코리아타임스 등 여러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고 Korea Risk Group의 이사로 활동하는 등 북한 관련 연구 및 대중 활동을 활발히 이어가는 북한학 전문가이다.
데이비드 C. 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강찬웅 |
로마자 표기 | Gang Chan-oong |
출생일 | 1965년 1월 17일 |
국적 | 미국 |
직업 | 대학교수 |
소속 |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
학력 | |
학사 | 스탠퍼드 대학교 |
석사 및 박사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경력 | |
현재 직위 |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교수 및 소장 |
과거 강사 | 다트머스 대학교 정교수 스탠퍼드 대학교 예일 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고려대학교 |
2. 연구 및 저서
데이비드 C. 강은 북한 문제와 동아시아 국제 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특히, 그는 북한을 '정상 국가'로 간주하고, 그들의 행동이 생존과 안보를 위한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는 2011년 ''국제 안보''에 "그들은 자신들이 정상이라고 생각한다: 북한에 대한 지속적인 질문과 새로운 연구 - 서평"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패트릭 맥이처른, 스테판 해거드, 마커스 놀란드, 김숙영의 세 가지 학술 연구를 사용하여 공산 정권으로서 북한의 생존 방식과 미래 노력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2010년 이전에는 주로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에서 책을 출간하였으며, 2002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정실 자본주의에 대한 책을, 2003년에는 핵무기를 보유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책을, 2007년에는 중국의 급작스러운 발전에 대한 책을 각각 출간하였다.
2. 1. 주요 저서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2024년 | 권력 전환 그 너머: 동아시아 역사의 교훈과 미·중 관계의 미래 |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
2022년 | 모방을 통한 국가 형성: 동아시아 모델 |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
2020년 | 세계를 보는 동아시아: 현대 국제 질서를 형성한 12가지 사건 |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
2017년 | 미국의 그랜드 전략과 21세기 동아시아 안보 |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
2010년 | 서구 이전의 동아시아: 5세기의 무역과 조공 |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 |
2009년 | 북한과의 관여: 실행 가능한 대안 | SUNY 출판부 | 김성철 공저 |
2007년 | 부상하는 중국: 동아시아의 평화, 권력, 질서 |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 |
2003년 | 핵 북한: 관여 전략에 대한 논쟁 |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 차 빅터 공저 |
2002년 | 정실 자본주의: 한국과 필리핀의 부패와 개발 |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2. 2. 연구 논문
데이비드 C. 강은 2011년 ''국제 안보''에 발표한 논문 "그들은 자신들이 정상이라고 생각한다: 북한에 대한 지속적인 질문과 새로운 연구 - 서평"에서 북한의 대외 및 대내 정책, 행동 동기, 그리고 예측 가능성을 다루었다. 그는 패트릭 맥이처른, 스테판 해거드, 마커스 놀란드, 김숙영의 세 가지 학술 연구를 통해 공산 정권으로서 북한의 생존 방식과 미래 노력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3. 언론 및 강연
데이비드 C. 강은 언론 매체 기고 및 강연 활동을 통해 한국 정치와 국제 관계에 대한 전문 지식을 공유하고 있다. 뉴욕 타임즈, 워싱턴 포스트, CNN 등 주요 언론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으며, 강연을 통해 한국의 역사와 북한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한다.[7][8][9][10][11][12][13][14][15]
3. 1. 언론 발표 자료
- 뉴욕 타임즈: 김정은의 정치적 역할 이해[7]
- 워싱턴 포스트 (WNYC): 북한에 대한 우려 분석[8]
- CNN: 김정은 이복 형제 죽음에 대한 분석[9]
- 동아시아 포럼: 북한 낙관론 분석 정리[10]
- 동아시아 포럼: 문재인-김정은 정상회담이 북미 정상회담보다 중요하다는 분석[11]
- 타임: 도널드 트럼프가 김정은을 만나려는 이유 분석[12]
3. 2. 열린 강연
데이비드 C. 강의 열린 강연에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개요[13], 북한과 대한민국의 헤드라인을 다룬다. 여기서는 북한의 경제와 전반적 상황을 소개하고[14], 북한의 군사 전략을 분석한다.[15]참조
[1]
뉴스
힐디 강씨 '한국역사 자료로서의 족보' 출간
http://www.koreatime[...]
The Korea Times
2007-10-19
[2]
서적
Kang, David C. (David Chan-oong), 1965-
http://id.loc.gov/au[...]
Library of Congress
[3]
웹사이트
David C. Kang
https://dornsife.usc[...]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USC Korean Studies Institute
[4]
서적
Kang, David C. (David Chan-oong), 1965-
http://id.loc.gov/au[...]
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2020-05-26
[5]
인용
힐디 강씨 ‘한국역사 자료로서의 족보’ 출간
http://www.koreatime[...]
한국일보
2007-10-19
[6]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David C. Kang
https://msbfile03.us[...]
[7]
웹사이트
New York Times: Kim Jong-un Is Not a Freakish Buffoon
https://www.nytimes.[...]
[8]
웹사이트
WNYC's On the Media: Should We Be Worried About North Korea, Or Not?
https://www.wnyc.org[...]
[9]
웹사이트
the death of Kim Jong-Un's half brother
https://edition.cnn.[...]
[10]
웹사이트
Reasons to be optimistic about North Korea
http://www.eastasiaf[...]
[11]
웹사이트
The Moon–Kim summit is the main event
http://www.eastasiaf[...]
[12]
웹사이트
TIME: Donald Trump Needs the North Korea Meeting More Than Kim Jong-un
http://time.com/5293[...]
[13]
Youtube
An Overview of Korea
https://www.youtube.[...]
[14]
Youtube
North Korea Beyond the Headlines PART 1: Introducing North Korea
https://www.youtube.[...]
[15]
Youtube
North Korea Beyond the Headlines Part 2: Dealing with North Korea's Military Challenge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