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죄 랑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죄 랑키는 1951년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난 헝가리의 피아니스트이다. 부다페스트 음악원에서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여 프란츠 리스트 음악원을 졸업했으며, 츠비카우 로베르트 슈만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국제적인 경력을 쌓았다.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했으며, 고전부터 현대까지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했다. 헝가리 최고의 문화상인 코슈트 상을 두 번 수상했고, 아내와 듀엣 리사이틀을, 아들과 함께 3인 가족 연주를 하기도 했다. 랑키는 헝가리에서 '헝가리의 삼두마차' 또는 '헝가리의 삼대 거장'으로 불리며, 헝가로톤에서 다양한 음반을 녹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프란츠 리스트
프란츠 리스트는 19세기 헝가리 출신의 "피아노의 왕"이라 불린 천재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혁신적인 기법과 화려한 연주, 교향시 창시, 표제음악 발전, 바그너 지원, 종교 음악 작곡, 후진 양성 등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헝가리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버르토크 벨러
버르토크 벨러는 헝가리 민속 음악을 연구하여 고전주의, 낭만주의, 민속 음악을 결합한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을 구축한 20세기 헝가리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민족음악학자이다. - 1951년 출생 - 김무성
김무성은 한양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김영삼 전 대통령의 상도동계 핵심 인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차례 국회의원을 역임, 한나라당(새누리당, 자유한국당)에서 주요 당직을 수행하며 다양한 정치적 활동을 펼친 정치인이다. - 1951년 출생 - 고든 브라운
고든 브라운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정치인으로, 영국 의회 하원 의원, 재무장관을 거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유엔 교육 담당 특사로 활동한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데죄 랑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란키 데죄 |
출생일 | 1951년 9월 8일 |
출생지 | 부다페스트 |
국적 | 헝가리 |
직업 | 피아니스트 |
활동 기간 | 미상 |
배우자 | 미상 |
자녀 | 미상 |
모교 | 리스트 페렌츠 음악 대학교 |
음악 스타일 | |
장르 | 클래식 음악 |
악기 | 피아노 |
2. 생애와 경력
헝가리 부다페스트 출신의 세계적인 피아니스트이다.[1] 프란츠 리스트 음악원에서 안드라스 쉬프, 졸탄 코치시 등과 함께 수학했으며,[2][1][3] 츠비카우 로베르트 슈만 국제 콩쿠르 우승을 계기로 국제적인 활동을 시작했다.[4]
유럽, 미국, 일본 등 세계 각지에서 활발하게 연주 활동을 펼쳤으며,[1] 고전부터 현대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레퍼토리를 선보였다.[2] 졸트 두르코의 피아노 협주곡을 초연하는 등 현대 음악 해석에도 기여했다.[4]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 및 저명한 지휘자들과 협연했으며,[1][3][5] 헝가리 최고 문화상인 코슈트 상을 두 차례 수상하며 음악적 공로를 인정받았다.[1]
1985년부터는 피아니스트인 아내 에디트 클루콘과 듀오 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으며,[1][3][5] 역시 피아니스트인 아들 란키 퓔뢰프와도 함께 연주한다.[6] 모교인 프란츠 리스트 음악원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후학 양성에도 기여했다.[4]
2. 1. 초기 생애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났다.[1] 그는 여덟 살에 부다페스트 음악원에서 피아노 레슨을 받기 시작했다. 13세에는 부다페스트 음악학교에 입학하여 1964년부터 1969년까지 클라라 마테(Klára Máthé)를 사사했다.[2] 이후 1969년부터 1973년까지 프란츠 리스트 음악원에서 Pál Kadosa와 Ferenc Rados에게 배웠다.[2][1][3] 그의 동기 중에는 유명 피아니스트인 안드라스 쉬프와 졸탄 코치시가 있었다. 코치시와 함께 그는 미국 투어 중인 부다페스트 심포니 오케스트라에 관한 두 편의 헝가리 다큐멘터리에 출연하기도 했다. 'Tizenhatezer Kilometer... A MRT Szimfonikus Zenekara Amerikaban' (1971)과 'Kocsis Zoltán es Ránki Dezső – Kettős Arckép' (1976, '코치시 졸탄과 랑키 데죄 - 더블 초상')이다.2. 2. 국제적 경력
츠비카우 로베르트 슈만 국제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한 이후,[4] 그는 국제적인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유럽, 스칸디나비아, 소련, 미국 및 일본 등지에서 활발하게 공연했다.[1] 특히 1970년대에는 일본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음악대학 여학생들 사이에서는 아이돌과 같은 인기를 누리기도 했다.랑키는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했는데,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암스테르담 콘세르트헤보우,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등이 대표적이다.[1][3][5] 또한 게오르그 솔티 경, 샨도르 베그, 로린 마젤, 주빈 메타와 같은 저명한 지휘자들과 함께 작업했다.[1][3][5]
2. 3. 헝가리에서의 활동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나 프란츠 리스트 음악원에서 Pál Kadosa와 Ferenc Rados를 사사했다.[2][1][3] 그는 동기인 안드라스 쉬프, 졸탄 코치시와 함께 헝가리를 대표하는 피아니스트로 꼽히며, 특히 일본에서는 이들과 함께 "헝가리의 삼두마차[8]" 또는 "헝가리의 삼대 거장"으로 불린다. 코치시와 함께 미국 투어 중인 부다페스트 심포니 오케스트라에 관한 헝가리 다큐멘터리 'Tizenhatezer Kilometer... A MRT Szimfonikus Zenekara Amerikaban' (1971)과 'Kocsis Zoltán es Ránki Dezső – Kettős Arckép' (1976)에 출연하기도 했다.그의 레퍼토리는 고전부터 현대를 아우르며, 특히 프란츠 리스트나 바르토크 벨러와 같은 헝가리 작곡가의 작품 해석으로 잘 알려져 있다.[2] 1984년에는 졸트 두르코의 피아노 협주곡을 초연했다.[4] 헝가리 음악계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헝가리 최고의 문화상인 코슈트 상을 두 번 수상했다.[1]
1985년부터는 피아니스트인 아내 에디트 클루콘과 함께 두 대의 피아노나 연탄곡을 연주하며 듀오 리사이틀을 자주 열고 있다.[1][3][5] 아들인 란키 퓔뢰프 역시 피아니스트로, 부자 3명이 함께 연주회를 갖기도 한다.[6] 또한 모교인 부다페스트의 프란츠 리스트 음악원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4]
2. 4. 가족
1985년부터 아내 에디트 클루콘과 함께 듀엣 리사이틀을 자주 연주한다.[1][3][5] 두 사람 사이에 아들 퓔뢰프 랑키를 두었으며, 그 역시 뛰어난 피아니스트이다.[6]3. 연주 스타일 및 레퍼토리
랑키의 레퍼토리는 고전 시대(모차르트, 베토벤)부터 낭만주의 시대(슈만, 브람스)를 거쳐 현대 작품(쿠르탁)까지 다양하다.[2] 특히 프란츠 리스트나 바르토크의 해석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모차르트, 쇼팽, 라벨의 작품도 즐겨 연주한다. 그는 졸트 두르코의 피아노 협주곡(1984)을 초연하기도 했다.[4]
1985년부터는 피아니스트인 아내 에디트 클루콘과 함께 두 대의 피아노 및 연탄 작품을 연주하는 듀엣 리사이틀을 자주 열고 있다.[1][3][5]
일본에서는 코치슈 졸탄, 시프 안드라스와 함께 "헝가리의 삼두마차[8]" 또는 "헝가리의 삼대 거장" 등으로 불린다.
4. 수상 경력
wikitext
연도 | 수상 내역 |
---|---|
츠비카우 국제 슈만 콩쿠르 1위 | |
1972 | 그랑프리 뒤 디스크 (쇼팽 리사이틀, 1971년 녹음) |
1973 | 리스트 페렌츠상 |
1978 | 코슈트 상 |
1982 | 부다페스트시 예술상 |
1984 | 공훈 예술가 |
1988 | 바르토크-파스토리상 |
1990 | 뛰어난 예술가 |
2005 | 프리마 프리미시마상 |
2006 | 바르토크 기념상 (헤렌드) |
2006 | 헝가리 공화국 공로 훈장 (중간 십자장, 별장) |
2007 | 헝가리 예술상 |
2008 | 코슈트 상 |
2014 | 부다페스트 명예 시민 |
5. 음반
랑키는 주로 헝가로톤 레이블에서 음반을 녹음했으며, 그의 주요 음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작곡가 | 작품 | 레이블 및 연도 | 협연자 |
---|---|---|---|
버르토크 | 세 개의 풍자 작품 Op. 8c / 야만적 알레그로 / 피아노 입문 / 소나티네 / 루마니아 민속 무곡 / 루마니아 크리스마스 캐롤 / 모음곡 Op. 14 / 세 개의 헝가리 민요 | 헝가로톤, 1967 | |
슈만 | 피아노 협주곡 A단조 Op. 54 | 헝가로톤, 1970 | |
쇼팽 | 연습곡, Op. 10 / 녹턴 B장조, Op.9/3 / 발라드 F장조, Op. 38 / 발라드 G단조, Op. 23 | 헝가로톤, 1971 | |
베토벤 | 소나타 8번 C단조, Op. 13 비창, 소나타 24번 F#장조, Op. 78, 소나타 21번 C장조, Op. 53 '발트슈타인' | 헝가로톤, 1971 | |
모차르트, 라벨, 브람스 | 모차르트: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D장조, K448 / 라벨: 나의 어머니 거위 / 브람스: 하이든 주제에 의한 변주곡, Op. 56b | 헝가로톤, 1973 | 졸탄 코치슈 |
모차르트 | 두 대, 세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 헝가로톤, 1973 | 졸탄 코치슈, 안드라스 쉬프, 헝가리 국립 오케스트라, 야노스 페렌치크 (지휘) |
슈만 | 사육제 / 숲의 정경 | 헝가로톤, 1973 | |
슈베르트 | 방랑자 환상곡, E♭장조 피아노 곡, 피아노 소나타 G장조 | 헝가로톤, 1974 | |
슈베르트 | B♭장조 소나타, 즉흥곡 | 데논, 1975 | |
버르토크 | 두 대의 피아노와 타악기를 위한 소나타 | 헝가로톤, 1976 | 졸탄 코치슈, 페렌츠 페츠 (타악기), 요제프 마르톤 (타악기) |
모차르트 | 피아노 독주곡 전집 | 헝가로톤, 1976 | |
버르토크 | 미크로코스모스, 아이들을 위해 (1908–1909) | 헝가로톤, 1977 | |
드뷔시 | 영상 I-II / 어린이의 뜰 / 기쁨의 섬 | 헝가로톤, 1977 | |
리스트 | 단테 소나타 | 헝가로톤, 1978 | |
모차르트 | 피아노 듀엣 소나타 (전집) | 헝가로톤, 1978 | 졸탄 코치슈 |
모차르트 | 피아노 협주곡: 9번 & 14번 | 헝가로톤, 1978 | |
스트라빈스키 | 페트루슈카에서 세 개의 악장 / 피아노 래그 음악 / 탱고 / A단조 세레나데 / 소나타 | 헝가로톤, 1979 | |
슈만 | 어린이의 정경 Op.15 / 환상곡 Op.17 / 아라베스크 Op.18 | 헝가로톤, 1979 | |
베토벤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와 변주곡 (전집) | 헝가로톤, 1979 | 미클로시 페레니 (첼로) |
모차르트 | 피아노 사중주 KV 478 & 493 | 텔레풍켄, 1979 | 에데르 콰르텟 |
브람스 | 피아노 오중주 바단조. Op. 34 | 헝가로톤, 1980 | 바르토크 콰르텟 |
바이너, 스트라빈스키, 버르토크, 슈만, 베르디, 드뷔시 | 클라리넷을 위한 작품 | 커먼 베르케스 (클라리넷) | |
쇼팽 | 전주곡 | 헝가로톤, 1982 | |
슈베르트, 슈만, 브람스, 리스트, 볼프 | 가곡 | 헝가로톤, 1982 | |
브람스, 베토벤, R. 슈트라우스 | 브람스: 호른 삼중주 / 베토벤: 호른 소나타 / R. 슈트라우스: 안단테 | 헝가로톤, 1983 | 페렌츠 타르야니 (호른), 가보르 타카치너지 (바이올린) |
라벨 | 소나티네, 우아하고 감상적인 왈츠, 밤의 가스파르, 하이든의 이름에 의한 미뉴에트, 전주곡 | 헝가로톤, 1984 | |
브람스 | 간주곡 op.116–119, 발라드 op.10 | 하모니아 문디 프랑스, 1994 | |
버르토크 | 피아노 협주곡 3번, 세 개의 풍자 작품, 야만적 알레그로, 모음곡 Op. 14 | 헝가로톤, 1994 | |
사티, 리스트 | 사티: 소크라테스 / 리스트: 십자가의 길 | 부다페스트 음악 센터 레코드, 2005 | 에디트 클루콘 |
참조
[1]
웹사이트
Ránki Dezső
http://info.bmc.hu/s[...]
info.bmc.hu
2010-01-25
[2]
문서
Biographical note in booklet accompanying Teldec CDs 9031-76139-2
1992
[3]
웹사이트
Ránki Dezső
http://www.lfkz.hu/o[...]
Liszt Ferenc Kamarazenekar (Liszt Ferenc Chamber Orchestra)
2010-01-25
[4]
서적
Dictionnaire des interprètes et de l'interpretation musicale au XX siècle.
Éditions Robert Laffont
1995
[5]
웹사이트
Dezső Ránki and Edit Klukon in London – The Christmas Concert hosted by the Hungarian Embassy and the Hungarian Cultural Centre
http://www.mfa.gov.h[...]
Embassy of the Republic of Hungary in London
2010-01-25
[6]
웹사이트
Fulop Ranki
[7]
웹사이트
Ránki Dezső
https://port.hu/adat[...]
port.hu
2018-12-29
[8]
웹사이트
1970年代半ば、ハンガリーの若手ピアニスト三羽烏として、ラーンキ、コチシュ、シフという名が音楽誌、レコード誌に登場した。
https://columbia.jp/[...]
columbia.jp
2018-12-29
[9]
웹인용
Ránki Dezső
http://info.bmc.hu/s[...]
info.bmc.hu
2010-01-25
[10]
문서
Biographical note in booklet accompanying Teldec CDs 9031-76139-2
1992
[11]
웹인용
Ránki Dezső
http://www.lfkz.hu/o[...]
Liszt Ferenc Kamarazenekar (Liszt Ferenc Chamber Orchestra)
2010-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