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슨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슨트는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학술 직함이다. 동유럽 국가에서는 부교수 또는 조교수에 해당하며, 서유럽에서는 벨기에를 제외하고는 독일어권 국가에서 중간 수준의 학술 직위를 나타낸다. 북유럽에서는 핀란드, 스웨덴 등에서 사강사와 유사한 학술 직함으로 사용되며, 노르웨이에서는 과거 부교수와 교수의 중간 직급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강의에 중점을 둔 직책으로 변경되었다. 그 외 터키,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네시아 등에서도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원 직급 - 교수
교수는 대학 등 고등 교육 기관에서 전문 학술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사람으로, 영연방 국가와 북유럽에서는 최고 학술 직급을,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박사후 과정 학자에게도 사용되며, 강의, 연구 외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여러 직급과 형태가 존재하며, 임용 자격과 급여는 국가별로 상이하다. - 교원 직급 - 하빌리타치온
하빌리타치온은 특정 국가에서 박사 학위 취득 후 교수 자격을 얻기 위한 학위 또는 시험으로, 마치면 사강사 칭호를 얻으며 독일 등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 교육 관련 직업 - 교수
교수는 대학 등 고등 교육 기관에서 전문 학술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사람으로, 영연방 국가와 북유럽에서는 최고 학술 직급을,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박사후 과정 학자에게도 사용되며, 강의, 연구 외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여러 직급과 형태가 존재하며, 임용 자격과 급여는 국가별로 상이하다. - 교육 관련 직업 - 가정교사
가정교사는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개별 교육을 제공하는 지도자나 교사로, 과거 사교육 형태로 기능했으며 현대에는 성적 향상, 특정 과목 지도, 수험 대비, 정서적 지원 등을 목적으로 고용되고,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활동하며 온라인 가정교사가 보편화되고 있고, 대한민국에서는 과외 교습이 규제되지만 교육 불평등 해소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슨트 | |
---|---|
기본 정보 | |
직업 분야 | 교육 |
직업 유형 | 고등 교육 |
관련 직업 | 교사 강사 교수 연구원 |
역할 | |
역할 | 교육 기관에서 가르치는 사람 |
추가 정보 | |
설명 | 대학교나 교육 기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사람을 의미한다. "도슨트"라는 용어는 라틴어 "docere"에서 유래했으며, "가르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학사 학위 이상의 고등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해당된다. 도슨트는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다양한 교육 방법과 기술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을 돕고, 지적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학, 전문대학, 대학원 등 다양한 교육 기관에서 활동하며, 강의, 세미나, 워크숍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 활동을 수행한다. 학생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토론을 유도하며, 연구 활동을 지도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학생들과 상호 작용한다.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학생들이 비판적 사고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등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끊임없이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한 지식을 업데이트하고, 새로운 교육 방법과 기술을 습득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
기타 | |
한국어 '도슨트' |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에서 전시물에 대한 지식을 설명해 주는 사람 |
2. 동유럽
독일어 사용 국가들의 학문적 전통을 가진 체코, 헝가리, 폴란드,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에서 도첸트(Docent)는 정교수 아래의 학술 직위이다. 리투아니아, 불가리아에서는 부교수에 해당하며,[3] 옛 유고슬라비아에서 분리 독립한 국가들에서는 조교수(assistant professor)에 해당한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에서는 교수 아래의 학술 직위이며, 아르메니아에서는 부교수에 해당하는 도첸트 직함이 과학 후보 또는 과학 박사 학위를 가진 사람이 정 교수가 되기 전에 수여받는다.
2. 1.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에서 도슨트는 독일어 사용 국가들의 부교수에 해당한다.2. 2. 불가리아
불가리아에서 도슨트는 독일어 사용 국가들의 부교수에 해당한다.2. 3.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
옛 유고슬라비아에서 분리 독립한 국가들에서는 도슨트가 조교수(assistant professor)에 해당한다.2. 4. 체코, 헝가리, 폴란드,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독일어 사용 국가들의 학문적 전통을 가진 체코, 헝가리, 폴란드,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에서 도첸트(Docent)는 정교수 아래의 학술 직위이다. 이들 국가에서 도첸트는 서유럽 국가의 부교수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으로 간주된다. 특히 체코에서는 도첸트 직위를 가진 사람은 독립적인 연구 수행 및 강의 능력을 인정받는다.[3]폴란드에서는 과거 도첸트 직함이 정교수가 되기 위한 필수 요건이었으나, 현재는 이 요건이 사라져 지난 20년간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현재는 연구에 참여하지 않는 교사나 강사에게 도첸트 직함이 수여될 수 있으며, 과학 연구자만이 교수 직함을 신청할 수 있다. 따라서 도첸트는 교사와 강사에게 주어지는 최고 직함이다.[3]
2. 5.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에서 '''도첸트'''는 교수 아래의 학술 직위이다.3. 서유럽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 독일어권 지역에서 Dozent|도첸트de 또는 Hochschuldozent|호흐슐도첸트de는 대학이나 이와 유사한 기관의 중간 수준 학술 직위를 나타낸다. 사강사(Privatdozent) 칭호는 교수 자격(Habilitation)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여 정교수 감독 없이 독립적으로 가르칠 권리를 부여받은 사람에게 수여된다. Privatdozent|사강사de는 임시 또는 영구적인 학술 직원 자격으로 Dozent|도첸트de 또는 Hochschuldozent|호흐슐도첸트de로 임용될 수 있다.
프랑스를 비롯한 프랑스어 사용 국가에서 '마이트르 드 콩페랑스' (MCF)는 도슨트에 해당하며, 미국의 부교수 또는 영국의 시니어 리더와 유사하다. 이는 공무원 지위를 가지는 종신직 학술 직위이다.[1] 프랑스 고등교육부는 다른 국가의 프로페서프랑스어와 마이트르 드 콩페랑스프랑스어(MCF)에 해당하는 학술 직위를 요약한 표를 제공한다.[2]
3. 1. 벨기에
벨기에에서 도슨트는 4가지 교수 직위 중 첫 번째 직급이다. 벨기에의 교수 직급에는 도슨트, 수석 도슨트, 교수, 수석 교수가 있다.[1]벨기에 플란데르스 대학교에서 '도센트'는 4개의 대학교수 직급 중 첫 번째이며, 나머지 직급은 호프트도센트|수석 도센트nl, 호글라르|교수nl, 거본 호글라르|정교수nl이다.[1] 플란데르스 대학교에서 도센트 직함을 받으려면 박사 학위를 소지해야 한다.[1] 프랑스어권 대학교에서는 '도센트'라는 단어가 직함에 사용되지 않는다.[1]
3. 2.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 독일어권 지역에서 Dozent|도첸트de 또는 Hochschuldozent|호흐슐도첸트de는 대학이나 이와 유사한 기관의 중간 수준 학술 직위를 나타낸다.사강사(Privatdozent) 칭호는 특정 조건 하에 교수 자격(Habilitation)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사람에게 수여되며, 정교수 감독 없이 독립적으로 가르칠 권리를 부여한다. Privatdozent|사강사de는 임시 또는 영구적인 학술 직원 자격으로 Dozent|도첸트de 또는 Hochschuldozent|호흐슐도첸트de로 임용될 수 있다.
3. 3. 프랑스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국가(특히 프랑스)에서, '마이트르 드 콩페랑스' (MCF)는 도슨트, 즉 미국의 부교수 또는 영국의 시니어 리더에 해당할 수 있다. 이는 공무원 지위를 누리는 종신직 학술 직위이다.[1] 프랑스 고등교육부는 다른 국가의 프로페서프랑스어와 마이트르 드 콩페랑스프랑스어(MCF)에 해당하는 학술 직위를 요약한 표를 제공한다.[2]4. 북유럽
덴마크와 노르웨이에서 '도센트'는 전통적으로 부교수와 교수의 중간 직급으로, 영국의 리더와 유사했다. 1985년 노르웨이에서 이 직함이 폐지되면서 모든 대학 도센트는 정교수가 되었다.[4] 2006년에는 강의 기반 승진 기준을 가진, 교수와 행정적으로 동등한 새로운 도센트 직함이 노르웨이에 다시 도입되었다.[4]
4. 1. 핀란드, 스웨덴,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핀란드, 스웨덴, 에스토니아, 라트비아에서 도센트(핀란드어 dosentti|도센티fi, 스웨덴어 docent|도센트sv, 에스토니아어 dotsent|도첸트et, 라트비아어 docents|도첸츠lv)는 독일의 사강사와 유사한 자격을 갖춘 사람에게 부여되는 학술 직함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전문 분야에 대한 강의를 할 것으로 기대되며, 전문적인 활동이 허락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대부분의 도센트는 해당 대학교에 고용되지만, 보통 다른 직위(종종 수석 강사; universitetslektor|우니베르시테트슬렉토르sv)를 갖는다.[4] 스웨덴 등에서 사용되는 스칸디나비아의 ''도센트'' 직함은 외래어 ''도센트''의 사용과 혼동을 피하기 위해 영어로 ''reader''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 핀란드에서는 핀란드 도센트 연합이 영어로 ''부교수''라는 용어를 권장하는 반면,[5] 헬싱키 대학교는 도센트라는 직함을 사용한다.[6]도센트는 스웨덴 학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등급의 직함으로, 최고 등급은 (정)교수이다. 도센트 직함은 고용 피라미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교육적 직함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는 해당 개인이 학문적 경력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도록 전문성 수준을 보장하는 것이다. 모든 박사 과정 지도교수는 도센트 자격을 갖춰야 한다. 도센트 직함 수여를 위해서는 연구 분야에 대한 뛰어난 이해, 연구 문제 제기 및 독립적인 연구 프로그램 수행 능력, 연구 프로젝트를 이끌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해야 한다. 또한, 연구자는 상당한 과학적 연구 경험을 갖추고 과학 저널에 많은 논문을 게재해야 한다.
스웨덴에서는 과거에 급여를 받는 도센트(docentstipendiat|도센트스티펜디아트sv)와 급여를 받지 않는 도센트(oavlönad docent|오아블뢰나드 도센트sv) 직책이 모두 존재했다. 급여를 받는 도센트는 도센트 직함을 평생 유지하며, 최대 6년 동안 대학교에서 급여를 지급하는 장학금을 받았다. 급여를 받지 않는 도센트는 순수하게 학문적 직함이었다(역시 평생). 오늘날, 대부분의 대학교는 급여를 받지 않는 도센트 직함만 수여한다. 스웨덴 농업 과학 대학교와 찰머스 공과 대학교는 여전히 급여를 받는 도센트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 직함은 대부분 조교수(biträdande universitetslektor|비트레단데 우니베르시테트슬렉토르sv) 또는 부교수(universitetslektor|우니베르시테트슬렉토르sv/선임 강사)로 고용된 사람들이 엄격한 연구 심사를 거쳐 국제적으로 뛰어난 명성을 얻었을 때 수여된다. "Docent"는 스웨덴어 직함 "docent"의 영어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스웨덴어 직함 "docent"는 직위라기보다는 역량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일부 상황에서는 "reader"와 "associate professor"를 영어 번역어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핀란드에서, ''도슨트''(dosentti|도센티fi, docent|도센트sv)는 대학교에서 수여하는 순수 학술 직함이다. 이 직함은 영어권 국가의 대학교 시스템과 비교하기 위해 종종 부교수 또는 준교수로 번역된다. 도슨트 직함은 이를 수여하는 부서의 결정에 따라 평생 또는 정해진 기간 동안 수여될 수 있다. 필수 조건으로, 후보자는 자신의 분야에 대한 포괄적인 지식, 출판 또는 기타 방식으로 입증된 독립적인 연구 또는 예술 작업 능력, 그리고 훌륭한 교육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8][9] 지원자는 해당 분야에서 최소 두 편의 박사 학위 논문에 해당하는 과학적 출판물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10] 후보자는 교육 기술을 입증하는 강연을 해야 하며, 학술 위원회에서 평가를 받는다.
전통적으로 도슨트 직위는 급여가 없는 정식 직위였지만, 2009년 법률 개정으로 인해 이는 직함만 남게 되었다.[11] 따라서, 오늘날 도슨트 직위는 개인의 전문성에 대한 공식적인 인정이며, 부교수에 해당하는 직함으로서, 강의할 권리 (venia legendi|베니아 레겐디la)와 박사 과정 학생들을 독립적으로 지도할 권한을 부여한다. 도슨트는 대학교에서 교수, 부교수, 조교수, 대학교 강사 또는 연구원으로 일하거나, 또는 다른 곳에서 전일제로 근무할 수 있다. 도슨트 직위는 해당 직함을 가진 자가 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주요 연구자가 되어 연구 그룹을 이끌고, 박사 과정 학생의 책임 지도 교수가 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핀란드 법률에 따르면, 이 직함은 어떠한 경우에도 취소될 수 없다. 학계에서는 형사 유죄 판결과 같은 경우에 직함 취소가 가능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다.[12]
4. 2. 노르웨이
노르웨이에서 도센트(dosentno)라는 명칭은 1985년까지 정교수 바로 아래 직급이자 førsteamanuensis(미국의 부교수 및 영연방의 선임 강사에 해당)보다 상위에 있는 직책으로 사용되었다. 자격 요건은 정교수와 동일했지만, 당시 각 학과에는 일반적으로 한 명의 교수만 있었고, 유사한 자격을 갖춘 다른 학자들은 도센트로 임명되었다. 따라서 도센트는 의자가 없는 교수(extraordinarius 교수)로 볼 수 있었다. 이 명칭은 많은 영연방 국가의 리더 또는 부교수 및 유럽 대륙의 extraordinarius 교수와 유사했다. 1985년에 대학교에서 이 명칭이 폐지되면서 모든 도센트는 정교수 지위로 승진했다.[13]도센트 명칭은 칼리지 도센트(høgskoledosentno)의 형태로 지방 칼리지(distriktshøgskolerno)에서 계속 사용되었는데, 이는 교수에 미치지 못하는 강의 중심 직책이다. 2000년대에 이 명칭을 가진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 1995년에 칼리지 도센트는 교수로 승진할 수 있는 권리를 얻었다. 2003년에는 강의 도센트(undervisningsdosentno) 직책이 도입되었다. 이 명칭은 2006년에 그냥 도센트(dosentno)로 변경되었지만, 1985년 이전 대학교에서 사용되던 이전의 도센트 직책의 후속 직책은 아니다. 이 직책은 칼리지 도센트와 유사하며 연구보다는 강의 활동에 중점을 둔다.
칼리지 도센트 및 (강의) 도센트 명칭은 거의 독점적으로 칼리지 및 신생 대학교에서 사용되며, 구 대학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강의) 도센트는 행정적으로 교수의 직책과 동등한 것으로 국가 급여 등급 시스템 내에서 분류되지만, 도센트로의 승진은 교수 임명보다 연구 업적에 비해 강의 자격에 더 중점을 두는, 다른 일련의 장점을 기반으로 한다. 대학교 또는 대학 칼리지에서 선임 강의 펠로우(førstelektorno)로 정규직을 가진 사람은 도센트로 승진을 신청할 수 있다.[14] 2006년 변경 이후 노르웨이에는 연구와 강의에 중점을 둔 경력, 연구에 중점을 둔 경력, 강의에 중점을 둔 경력의 세 가지 병렬적인 학문적 경력 사다리가 있다.[15]
5. 기타 국가
터키의 대학에서 도슨트는 부교수와 동급이며, 조교수와 정교수 사이의 직급이다.[16] 도첸트tr는 강사 박사와 교수 사이의 학술 직위로, 박사 학위를 소지하고 대학 간 위원회에서 규정한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정교수가 되려면 도첸트 직함이 필수적이다.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에서 도센트|pt, 도센트|nl는 '교사', '교수'의 동의어이며, 모든 학위에서 널리 사용된다. 스페인에서 도센트 수준의 학자는 국립 품질 평가 및 인증 기관(ANECA)에서 프로페서르 티툴라르 데 우니베르시다드|es(대학 부교수) 인증을 받은 사람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아프리칸스어 단어 dosent|도센트af가 직급에 관계없이 모든 전임 대학교 강사를 지칭하는 반면, 인도네시아에서는 인도네시아어 단어 dosen|도슨id이 직급에 관계없이 모든 고등 교육 강사를 지칭한다.
5. 1. 터키
터키의 대학에서 도슨트는 부교수와 동급이며, 조교수와 정교수 사이의 직급이다.[16] 터키에서 도첸트tr는 조교수에 해당하는 학술 직위로, 강사 박사와 교수 사이에 위치한다. 도첸트tr 후보는 박사 학위를 소지해야 하며 대학 간 위원회에서 규정한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정교수가 되려면 도첸트 직함이 필수적이다. 최근에는 도첸트 논문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대신 후보는 자신의 분야에서 저널 논문 수 편이나 저널 기사와 동등한 수준의 연구 수준의 책을 증거로 제시해야 한다.5. 2.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에서 도센트|pt, 도센트|nl는 '교사', '교수'의 동의어이며, 모든 학위에서 널리 사용된다.스페인에서 도센트 수준의 학자는 국립 품질 평가 및 인증 기관(ANECA)에서 프로페서르 티툴라르 데 우니베르시다드|es(대학 부교수) 인증을 받은 사람이다. 이는 영국에서 '부교수' 또는 독일에서 도첸트|de에 해당한다. ANECA에서 평가하는 다음 단계는 유럽 기준에 따라 '대학 교수'인 카테드라티코 데 우니베르시다드|es이다.
5. 3.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아프리칸스어 단어 dosent|도센트af가 직급에 관계없이 모든 전임 대학교 강사를 지칭하는 반면, 인도네시아에서는 인도네시아어 단어 dosen|도슨id이 직급에 관계없이 모든 고등 교육 강사를 지칭한다.참조
[1]
웹사이트
Maîtres de conférences
https://www.enseigne[...]
2020-10-02
[2]
웹사이트
COMPARAISON DES CARRIERES DES ENSEIGNANTS-CHERCHEURS DE PAYS ETRANGERS
https://www.galaxie.[...]
French Ministry of Higher Education and Research
[3]
문서
ЗАКОН ЗА РАЗВИТИЕТО НА АКАДЕМИЧНИЯ СЪСТАВ В РЕПУБЛИКА БЪЛГАРИЯ (чл. 2, ал. 3)
http://www.lex.bg/bg[...]
[4]
웹사이트
Forskrift om ansettelse og opprykk i undervisnings- og forskerstillinger
https://lovdata.no/d[...]
2018-01-26
[5]
웹사이트
Dosentti-nimikkeen kääntäminen
http://dosenttiliitt[...]
2021-01-04
[6]
웹사이트
Docents
https://www.helsinki[...]
2021-01-04
[7]
서적
Svensk-engelsk ordbok för den högre utbildningen
https://www.uhr.se/p[...]
Universitets- och högskolerådet
[8]
웹사이트
Applying for the Title of Docent at the Faculty of Medicine
https://www.utu.fi/e[...]
[9]
웹사이트
FINLEX ® - Ajantasainen lainsäädäntö: Kumottu säädös Yliopistoasetus (kumoutunut) 115/1998
http://www.finlex.fi[...]
2017-09-02
[10]
PDF
https://www.utu.fi/s[...]
2022-03
[11]
웹사이트
FINLEX ® - Ajantasainen lainsäädäntö: Yliopistolaki 558/2009
http://www.finlex.fi[...]
2019-04-01
[12]
웹사이트
Pitäisikö dosentin arvonimi voida perua? Oikeustieteiden professorin mukaan nykykäytäntö on epäjohdonmukainen
https://www.aamuleht[...]
2018-10-30
[13]
간행물
Dosent, in Store Norske Leksikon
2005
[14]
문서
Forskrift om ansettelse og opprykk i undervisnings- og forskerstillinger
http://lovdata.no/do[...]
[15]
문서
Forskrift om ansettelse og opprykk i undervisnings- og forskerstillinger
http://www.regjering[...]
Regjeringen.no
2006-02-20
[16]
문서
Büyük Larousse Sözlük ve Ansiklopedisi 1986 "Doçent: Üniversite öğretim üyeliğinde yardımcı doçent ile profesör arasında yer alan akademik unvan."
[17]
웹인용
도슨트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유진투자증권, 서울시립미술관과 ‘유진 아트체크인 시즌3’ 진행
한강 서울함공원에서 물놀이…서울대공원에선 산림치유
베테랑이 전하는 미술 전시·해설 노하우…‘경향 시니어 도슨트 아카데미’
사이버한국외대, 우수강의상 및 2025년 장기근속자 포상 시상식 개최
130대 1 경쟁률 뚫고 서울역으로…KT 픽 고객 모여든 이유 [르포]
머리부터 발끝까지, 컬리의 첫 오프라인 공간 '오프컬리' 뜯어보기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