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빌리타치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빌리타치온(Habilitation)은 "적합하게 만들다"라는 뜻의 중세 라틴어에서 유래한 용어로, 17세기 신성 로마 제국에서 시작되어 박사 학위 취득 후 학문적 역량을 인정받기 위한 자격으로 발전했다. 현재 알제리, 프랑스, 독일 등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각 국가별로 명칭과 세부 절차에 차이가 있다. 하빌리타치온은 독립적인 연구 및 지도 능력을 평가하며, 일반적으로 박사 학위 논문보다 높은 수준의 연구 성과를 요구한다. 독일에서는 하빌리타치온을 둘러싼 논쟁이 있었으며, 폐지 시도가 있었으나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원 직급 - 교수
교수는 대학 등 고등 교육 기관에서 전문 학술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사람으로, 영연방 국가와 북유럽에서는 최고 학술 직급을,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박사후 과정 학자에게도 사용되며, 강의, 연구 외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여러 직급과 형태가 존재하며, 임용 자격과 급여는 국가별로 상이하다. - 교원 직급 -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은 박사 학위 취득 후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연구 및 학술 활동에 참여하는 연구자로, 대학원 연구를 주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불안정한 고용 환경과 낮은 임금 등의 어려움에 직면해 있으며, 학계와 정부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독일의 교육 - 독일 연구협회
독일 연구 협회(DFG)는 독일의 주요 연구 지원 기관으로, 과학, 공학, 인문학 분야의 연구를 보조금, 연구상, 인프라 자금 지원 등을 통해 장려하며, 과거 나치 정권에 협력한 역사가 있으나 현재는 국제적인 협력 관계를 맺고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 - 독일의 교육 - 응용학문대학
응용학문대학은 이론과 실무 균형을 중시하며 산업체 협력을 통해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실용적인 학문 교육 기관으로, 독일의 Fachhochschule 모델을 따라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활발히 운영되며, 볼로냐 프로세스에 따라 학사 및 석사 학위 체계를 갖추고 산업 현장 즉시 투입 가능한 인재를 배출한다.
하빌리타치온 | |
---|---|
학위 정보 | |
학위명 | 대학 교수 자격 |
학위 종류 | 박사 학위 후 자격 |
설명 | 대학에서 강의할 자격을 주는 학위이다. 특정한 조건 아래에서 박사 학위 소지자에게 대학 교수 자격을 부여한다. |
국가별 현황 | |
독일 | 독일에서는 하빌리타치온이 대학 교수 자격으로 인정된다. |
프랑스 | 프랑스에서는 아그레가시옹이 대학 교수 자격으로 인정된다. |
핀란드 | 핀란드에서는 대학 교수 자격으로 인정된다. |
기타 | |
참고 | 교수 자격은 나라마다 다르다. |
2. 역사 및 어원
"하빌리타치온"이라는 용어는 "적합하게 만들다, 적응시키다"라는 뜻의 중세 라틴어 habilitarela에서 유래했으며, 고전 라틴어 habilisla ("적합한, 적절한, 숙련된"이라는 뜻)에서 파생되었다.[1] 이 학위는 17세기 신성 로마 제국에서 발전했다.[1] 처음에는 하빌리타치온이 "박사 자격"과 동의어였으나, 19세기 독일에서 "박사 학위를 소지하는 것만으로는 차세대에게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것처럼 보였을 때" "박사후 자격"과 동의어가 되었다.[2] 그 후, 독일 대학 시스템에서는 학업 과정을 마치는 개시 논문 (Inauguraldissertationde)과 교수직으로 가는 길을 여는 하빌리타치온 논문 (Habilitationsschriftde)의 두 개의 박사 논문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3]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 독일어권 국가와 일부 동유럽 국가에서 하빌리타치온을 시행하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는 하빌리타치온을 대학교수가 되기 위한 자격으로 보며, 가르칠 수 있는 자격 또는 권한을 취득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
프랑스어권의 자격인 집합체(Agrégation)는 대학교수 자격으로 번역된다. 단, 프랑스에는 ''Habilitation à diriger des recherches''라는 자격이 존재한다.
3. 시행 국가
하빌리타치온은 박사 과정 졸업을 전제로 하며, 박사 과정보다 광범위한 분야의 연구 업적과 해당 분야에 대한 포괄적 이해 능력을 요구한다. 하빌리타치온 과정은 최종 시험으로 완료되지만,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 과정이며, 그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하빌리타치온 논문이다.
최근 시행 국가에서는 하빌리타치온 자격 획득에 걸리는 긴 시간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으로 존폐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여러 대학에서 하빌리타치온이 필요 없는 주니어 교수 제도를 병행하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다.
하빌리타치온 자격은 다음 국가 또는 지역에서 존재하거나 존재했었다.국가/지역 명칭 비고 알제리 Habilitation à diriger des recherches|연구 지도 자격프랑스어 (HDR)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Habil. dr.|하빌리타치온 박사lt 현재 폐지, 이전 취득자는 평생 사용 가능 오스트리아 Priv.-Doz.|사강사de (이전 Univ.-Doz.|대학 강사de) 벨라루스 Доктар навук|과학 박사be () 벨기에 (프랑스어 사용 지역) Agrégation de l'enseignement supérieur|고등교육 교수 자격프랑스어 2010년까지 브라질 Livre-docência|자유강사pt 불가리아 Доцент|도첸트bg () 체코 doc.|도첸트cs (docentcs) 덴마크 dr. med./scient./phil.|의학/과학/철학 박사da 이집트 العالمية|알리미야ar (/) 핀란드 Dosentti|도센티fi/Docent|도센트sv 프랑스 Habilitation à diriger des recherches|연구 지도 자격프랑스어 (HDR) 독일 Priv.-Doz.|사강사de 및/또는 Dr. habil.|하빌리타치온 박사de 그리스 υφηγεσία|이피게시아el (υφηγητής|이피기티스el) 1983년 폐지 헝가리 Dr. habil.|하빌리타치온 박사hu 이탈리아 Abilitazione scientifica nazionale|국가 과학 자격it 2012년부터 라트비아 Dr. habil.|하빌리타치온 박사lv 1995년부터 미수여, 이전 취득자는 평생 사용 가능 리투아니아 Dr. habil.|하빌리타치온 박사lt 2003년부터 미수여 룩셈부르크 autorisation à diriger des recherches|연구 지도 허가프랑스어 (ADR) 몰도바 폴란드 dr hab.|하빌리타치온 박사pl (doktor habilitowany|하빌리타치온 칭호를 받은 박사pl) 포르투갈 Agregação|아그레가상pt 대학교수 대상[15] 포르투갈 habilitação|아빌리타상pt 대학 외부 연구소 연구원 대상[16] 루마니아 abilitare|아빌리타레ro 러시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Доктор наук|과학 박사ru ()[4] 세르비아 () 슬로바키아 Docent|도센트sk 슬로베니아 Docent|도센트sl 스페인 Agregado|아그레가도es 연구 자격 스웨덴 Docent|도센트sv 스위스 PD|사강사de 및/또는 Dr. habil.|하빌리타치온 박사de 튀니지 Habilitation à diriger des recherches|연구 지도 자격프랑스어 (HDR)
포르투갈에서는 agregação|아그레가상pt[15]과 habilitação|아빌리타상pt[16] 두 가지 자격 부여 학위가 있다. 전자는 대학교수, 후자는 대학 외부 연구소 연구원에게 수여되지만 법적으로 동등하며, 정교수 또는 책임 연구원 경력의 정점에 도달하는 데 필요하다. 두 학위 모두 과정 지도 등 과학 활동 성과를 평가한다.
두 학위 취득 과정은 유사하며, 박사 학위 소지자는 자격 논문을 제출한다. agregação|아그레가상pt은 박사 학위 취득 후 업적 이력서, 강의 보고서(또는 제안), 강의 요약으로 구성되며, habilitação|아빌리타상pt은 학술 과정 보고서 대신 연구 제안 또는 고급 박사 과정 제안을 제출한다. 5~9명의 정교수 또는 책임 연구원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서류를 평가하고, 승인되면 이틀간 공개 변론을 한다.
프랑스어권의 집합체(Agrégation)는 대학교수 자격으로 번역되지만, 프랑스에는 Habilitation à diriger des recherches|연구 지도 자격프랑스어이라는 자격이 존재한다.
3. 1. 유럽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 독일어권 국가 및 몇몇 동유럽 국가들에서 하빌리타치온을 시행하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는 하빌리타치온을 통해 가르칠 수 있는 자격 또는 권한을 취득하며, 이는 대학교수가 되기 위한 자격으로 여겨진다.[4]
하빌리타치온은 박사 과정 졸업을 전제로 하며, 박사 과정보다 더 광범위한 분야에서 높은 연구 업적과 해당 분야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능력을 요구한다. 하빌리타치온 과정은 최종 시험으로 완료되지만, 실제로는 여러 단계로 구성된 과정이며, 그중 가장 핵심은 하빌리타치온 논문이다.[4]
최근에는 하빌리타치온 자격 획득에 소요되는 긴 시간 때문에 존폐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여러 대학에서 하빌리타치온이 필요 없는 주니어 교수 제도를 병행하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다.[4]
독일에서는 하빌리타치온을 통해 교수 자격(Lehrbefähigung)을 획득하며, 과정을 마치면 사강사(Privatdozent) 칭호가 주어진다. 일부 대학에서는 Dr. habil.이라는 칭호를 부여하기도 한다.[4]
오스트리아에서는 국가법(오스트리아 대학법 UG2002 §103[8])에 따라 하빌리타치온 절차가 규정되어 있다. 학위 수여 과정에는 상원의 소위원회 심사(학생 대표 포함)와 외부 평가가 포함된다. 하빌리타치온을 취득하면 해당 대학을 대표하여 연구 및 지도를 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기관 재학 여부와 관계없이 유효하다(Habilitation ad personamla). 정교수 임용에는 ''베니아 도켄디(venia docendi)''(UG2002 §98(12))가 포함되며, 이는 임용 기간에만 제한된다(UG2002 §98(13) – Habilitation ad positionemla).[4]
하빌리타치온은 독립적인 연구 및 지도 권한을 보장하지만, 대학 규정에 따라 하빌리타치온이 없는 준교수에게도 이러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현재 주요 오스트리아 대학들은 석사 과정 학생에게는 이를 허용하지만, 박사 과정 학생에게는 허용하지 않는다.[9][10][11]
브라질에서는 Livre-docênciapt라는 직함이 하빌리타치온과 유사하게 박사 학위 소지자에게 수여되었으나, 연방 고등 교육 기관에서는 사실상 사라졌다. 상파울루 주의 일부 대학에서는 정교수(professor titularpt) 임용에 여전히 필요하다.[4]
프랑스에서는 1984년 이전까지 Docteur d'État프랑스어(국가 박사) 학위가 하빌리타치온과 비슷한 목적을 가졌으며, 이후 Habilitation à diriger des recherches프랑스어(또는 프랑스어 habilitation프랑스어)으로 대체되었다. 프랑스 자격인정(habilitation)은 박사 과정 학생 지도 및 정교수 자격을 얻기 위한 일반적인 요건이다. qualification프랑스어이라고 하는 공식 자격은 프랑스의 Conseil National des Universités|italic=no프랑스어(CNU)에서 부여한다. 프랑스 자격인정(habilitation)은 조교수(maître de conférences프랑스어)가 정교수(professeur des universités프랑스어)직에 지원할 자격을 주며, 이는 북미의 부교수 승진과 유사하다.[4]
다음은 하빌리타치온 자격이 존재하거나 존재했던 국가/지역 목록이다.
국가/지역 | 명칭 |
---|---|
알제리 | Habilitation à diriger des recherches|연구 지도 자격프랑스어 (HDR) |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 Habil. dr.|하빌. dr.lt (폐지) |
오스트리아 | Univ.-Doz.|대학교수de (이전), Priv.-Doz.|사강사de (현재) |
벨라루스 | Доктар навук|과학 박사be, |
벨기에 (프랑스어 사용 지역) | Agrégation de l'enseignement supérieur|고등 교육 집합체프랑스어 (2010년까지) |
브라질 | Livre-docência|자유 교수직pt |
불가리아 | Доцент|도슨트bg, |
체코 | doc.|도슨트cs, docent|도슨트cs |
덴마크 | dr. med./scient./phil.|의학/과학/철학 박사da |
이집트 | العالمية|rtl=yesar / |
핀란드 | Dosentti|도슨트fi/Docent|도슨트sv |
프랑스 | Habilitation à diriger des recherches|연구 지도 자격프랑스어 (HDR) |
독일 | Priv.-Doz.|사강사de 및/또는 Dr. habil.|하빌리타치온 박사de |
그리스 | υφηγεσία|위피게시아el, υφηγητής|위피기티스el (1983년 폐지) |
헝가리 | Dr. habil.|하빌리타치온 박사hu |
이탈리아 | Abilitazione scientifica nazionale|국가 과학 자격it (2012년부터) |
라트비아 | Dr. habil.|하빌리타치온 박사lv (1995년부터 폐지) |
리투아니아 | Dr. habil.|하빌리타치온 박사lt (2003년부터 폐지) |
룩셈부르크 | autorisation à diriger des recherches|연구 지도 허가프랑스어 (ADR) |
몰도바 | |
폴란드 | dr hab.|하빌리타치온 박사pl, doktor habilitowany|하빌리타치온 박사pl |
포르투갈 | Agregação|아그레가상pt |
루마니아 | abilitare|아빌리타레ro |
러시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 Доктор наук|과학 박사ru, |
세르비아 | , |
슬로바키아 | Docent|도슨트sk |
슬로베니아 | Docent|도슨트sl |
스페인 | Agregado|아그레가도es |
스웨덴 | Docent|도슨트sv |
스위스 | PD|사강사de 및/또는 Dr. habil.|하빌리타치온 박사de |
튀니지 | Habilitation à diriger des recherches|연구 지도 자격프랑스어 (HDR) |
3. 2. 구소련권 국가
러시아(Доктор наук|Doktor nauk|과학 박사ru), 키르기스스탄(Доктор наук|Doktor nauk|과학 박사ru), 카자흐스탄(Доктор наук|Doktor nauk|과학 박사ru), 우즈베키스탄(Доктор наук|Doktor nauk|과학 박사ru), 우크라이나(Доктор наук|Doktor nauk|과학 박사ru)[4] 등 구소련권 국가들에서는 과학 박사(Doktor nauk) 학위가 독일의 하빌리타치온과 동등한 것으로 간주된다. 1999년 러시아와 독일은 러시아 학위와 독일 학위의 상호 인정에 관한 성명서에 서명했는데, 여기에는 러시아 과학 박사 학위와 독일 하빌리타치온 학위의 동등성이 포함되어 있다.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에서는 Habil. dr.lt 학위가 존재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하지만 이전에 학위를 취득한 사람들은 평생 사용할 수 있다.
벨라루스에서는 Доктар навук|Doktar navukbe 학위가 존재한다.
3. 3. 기타 국가
다음은 하빌리타치온 자격이 존재하거나 존재했던 국가 및 지역이다.
포르투갈 법 체계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자격 부여 학위가 있다. 첫 번째는 일반적으로 대학교수에게 수여되며 agregação|아그레가상pt이라고 불린다.[15] 두 번째는 habilitação|아빌리타상pt라고 불리며 대학 외부 연구소에서 일하는 박사 연구원이 사용한다.[16] 법적으로 이들은 동등하며 교수(agregação|아그레가상pt) 또는 연구원(habilitação|아빌리타상pt)이 각자의 경력(정교수 또는 책임 연구원) 정점에 도달하는 데 필요하다. 두 학위 모두 과정지도 활동을 포함한 과학 활동 측면에서 후보자가 상당한 성과를 달성했는지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두 학위를 취득하는 과정은 매우 유사하다. 박사 학위 소지자는 누구든지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자격 논문을 제출할 수 있다. agregação|아그레가상pt의 경우, 논문은 박사 학위 취득 후 달성한 업적에 대한 자세한 이력서, 대학에서 강의한 학술 과정에 대한 자세한 보고서(또는 강의할 제안된 과정), 그리고 강의 요약으로 구성된다. habilitação|아빌리타상pt의 경우, 학술 과정 보고서는 연구 제안 또는 고급 박사 과정 제안으로 대체된다.
후보자가 자격 논문을 제출한 후, 5명에서 9명으로 구성된 정교수 또는 책임 연구원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제출된 서류를 먼저 평가한다. 과반수가 후보자의 요청을 승인해야 한다. 승인되면 후보자는 이틀간의 공개 변론에서 논문을 변론해야 한다. 공개 변론은 매일 2시간 동안 진행된다. 첫째 날에는 후보자의 이력이 논의되며(두 학위 모두), agregação|아그레가상pt의 경우 후보자는 선택한 학술 과정도 발표해야 한다. 둘째 날에는 후보자가 강의(agregação|아그레가상pt) 또는 연구 프로젝트 제안(habilitação|아빌리타상pt)을 발표해야 한다.
프랑스어권의 자격인 집합체(Agrégation)는 대학교수 자격으로 번역된다. 단, 프랑스에는 ''Habilitation à diriger des recherches|연구 지도 자격프랑스어''라는 자격이 존재한다.
4. 절차
하빌리타치온은 박사 과정 졸업을 전제로 하며, 박사 과정보다 더 광범위한 분야에서의 높은 연구 업적과 연구 분야에 대한 포괄적 이해 능력을 입증해야 한다. 하빌리타치온 과정은 최종 시험으로 완결되지만,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진 일련의 과정이며, 그중 가장 핵심은 하빌리타치온 논문이다.[5][6]
하빌리타치온 논문은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하는 누적형 또는 미발표 논문을 기반으로 하는 단행본 형태일 수 있다. 자연과학 분야에서는 4년에서 10년 동안 다수(때로는 10편 이상)의 연구 논문 발표가 요구되며,[7] 인문학 분야에서는 주요 저서 출판이 필수 요건이 될 수 있다.
하빌리타치온 없이 교수직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임용 위원회가 후보자가 하빌리타치온과 동등한 자격을 갖추었다고 인정하고, 상위 기관(대학 이사회 및 국가 교육부)이 승인하는 경우이다.
하빌리타치온은 논문 채택 후 공개 강연을 통해 수여되며, 이후 '''venia legendila'''(강의할 수 있는 권한)가 부여된다. 일부 분야에서는 veniala가 특정 하위 분야에만 부여되기도 한다.
박사 학위 취득 후 하빌리타치온 취득 기간은 학문 분야와 국가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미국의 종신 재직권보다 오래 걸린다. 예를 들어, 폴란드에서는 2018년까지 법정 기간이 8년이었다.
독일 대학 시스템에서 정교수(W3) 직위를 유지하려면 하빌리타치온(또는 "하빌리타치온에 상응하는 업적")을 취득해야 한다. 하빌리타치온 완료 후에는 ''Dr. habil.''이라는 칭호를 받으며, 이는 박사 학위보다 상위 수준의 자격이다.
하빌리타치온을 완료한 연구자는 대학에서 특정 학문 분야에 대한 Venia legendila를 공식적으로 받는다. Venia legendila를 가지고 있지만 교수직이 없는 사람은 ''사립강사''(Privatdozent)라는 직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정 부분의 무급 강의(Titellehrede)를 해야 한다.
프랑스어권의 집합체(Agrégation)는 대학교수 자격으로 번역되지만, 프랑스에는 ''Habilitation à diriger des recherches''라는 별도의 자격이 존재한다.
5. 논쟁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 독일어권 국가 및 몇몇 동유럽 국가에서 시행되는 하빌리타치온은 대학교수가 되기 위한 자격으로 여겨진다. 이는 박사 과정보다 더 광범위한 연구 업적과 분야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요구한다.
최근 시행 국가들에서는 박사 과정 이후 추가적인 시간을 들여 하빌리타치온 자격을 획득해야 하는 것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제기되면서 존폐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또한, 여러 대학에서 하빌리타치온이 요구되지 않는 주니어 교수 제도를 병행하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다.
5. 1. 독일 하빌리타치온 논쟁
독일의 하빌리타치온은 교수 자격(Lehrbefähigung), 즉 가르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하기 위한 시험으로 정의된다.[19] 2004년, 독일에서는 하빌리타치온(Habilitation)이 주요 정치적 논쟁의 중심에 있었다. 당시 연방 교육과학부 장관이었던 에델가르트 불만(Edelgard Bulmahn)은 하빌리타치온 제도를 폐지하고 준교수(junior professor)라는 대안 개념으로 대체하려 했다. 이 개념에 따르면 연구자는 먼저 최대 6년 동안 "준교수"(미국의 조교수(assistant professor)와 거의 동등한 비정년직)로 일하며 종신 교수직을 수행할 자격이 있는지 증명해야 한다.많은 사람, 특히 자연과학 분야 연구자들과 젊은 연구자들은 하빌리타치온이 학계 경력에 불필요하고 시간 낭비적인 장애물이라고 생각하며, 합리적인 나이에 교수직을 얻을 가능성이 해외에서 더 높다고 생각하는 유능한 젊은 연구자들의 해외 유출(brain drain)에 기여한다고 오랫동안 주장해왔다. 많은 이들이 자신의 지도 교수(연구팀을 이끄는 교수)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처럼 느끼는데, 상관이 하빌리타치온 완료 과정을 지연시킬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19] 하빌리타치온을 추진하고자 하는 사람들에 대한 자금 지원도 또 다른 문제이다.[19] 더 나이든 지원자들은, 예를 들어 독일 연구진흥협회(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DFG)의 에미 노터 프로그램(Emmy-Noether programme)에서 차별을 받는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19] 또한, 내부 "연구비"는 더 젊은 박사후 연구원의 급여를 위해서만 예산에 책정될 수도 있다. 단기 연구 계약을 추구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많은 자연과학 분야 연구자들은 다른 국가에서 더 투명한 경력 개발 기회를 모색한다.[19]
반면에, 특히 의학, 인문학, 사회과학 분야의 많은 고참 연구자들은 하빌리타치온을 종신직을 부여하기 전의 귀중한 품질 관리 도구로 간주해왔고, 지금도 그렇게 생각한다.[19]
바이에른 주, 작센 주, 투링겐 주와 같이 보수적인 정부를 가진 주들은 하빌리타치온을 준교수 제도로 대체하는 새로운 법에 대해 독일 연방헌법재판소(German Constitutional Court)에 소송을 제기했다.[19] 재판소는 교육 문제는 주의 고유 책임이라는 독일 헌법(German constitution)의 명시적 규정을 근거로 그들의 주장에 동의하여 2004년 6월 해당 법을 무효로 선언했다. 이에 따라 주에 더 많은 자율성을 부여하는 새로운 연방법이 통과되었다. 준교수 제도는 모든 주에서 법적으로 확립되었지만, 독일의 많은 과목에서 하빌리타치온을 추구하는 학문적 경력을 밟는 것도 여전히 가능하며 권장된다.
5. 2.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한국 사회에서 '하빌리타치온'과 유사한 개념은 특정 직업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기 위해 필요한 자격증 또는 국가 시험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탈리아처럼 건축가, 변호사, 엔지니어, 의사 등 전문직은 국가 시험을 통과해야 해당 분야에서 일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1]이러한 제도는 전문 분야의 질을 높이고 해당 분야 종사자의 전문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대학을 졸업했거나 필요한 자격을 갖춘 사람이라도 국가 시험을 통과해야만 전문가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은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1]
프랑스어권에서는 집합체(Agrégation)가 대학교수 자격으로 번역되지만, 프랑스에는 'Habilitation à diriger des recherches'라는 별도의 자격이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Erhard Weigel Gesselschaft
http://erhard-weigel[...]
[2]
서적
Sociology in Austria
Palgrave Macmillan
2015
[3]
서적
History of the Arabic Written Tradition
BRILL
2016
[4]
웹사이트
НИЦ АПМ Минобрнауки РФ
http://www.russianen[...]
2021-03-02
[5]
웹사이트
Habilitationsordnung (Laws and regulations of the Ruhr-Universität Bochum, Germany)
https://web.archive.[...]
ruhr-uni-bochum.de
[6]
웹사이트
PhD and Postdoc
http://www.mi.fu-ber[...]
2006-08-30
[7]
웹사이트
A guide to documentation on habilitation and professorship procedures at the Faculty of Medicine of Masaryk University in Brno
https://web.archive.[...]
Masaryk University in Brno
2013-04-17
[8]
웹사이트
Bundesrecht konsolidiert: Gesamte Rechtsvorschrift für Universitätsgesetz 2002, Fassung vom 08.06.2019
https://www.ris.bka.[...]
[9]
웹사이트
Satzung der Universität Wien » Studienrecht
http://satzung.univi[...]
[1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4-06-04
[11]
웹사이트
Legal basis
https://web.archive.[...]
[12]
서적
Twentieth-Century French Philosophy: Key Themes And Thinkers
Blackwell Publishing
2006
[13]
웹사이트
Arrêté du 7 août 2006 relatif à la formation doctorale. – Legifrance
http://www.legifranc[...]
[14]
웹사이트
Décret n°84-431 du 6 juin 1984 fixant les dispositions statutaires communes applicables aux enseignants-chercheurs et portant statut particulier du corps des professeurs des universités et du corps des maîtres de conférences. – Legifrance
http://www.legifranc[...]
[15]
법률
Decree of Law 239/2007
https://dre.pt/appli[...]
[16]
웹사이트
https://dre.pt/appli[...]
2024-08
[17]
웹사이트
Anabin database
https://anabin.kmk.o[...]
2018-09-13
[18]
간행물
European Commission Directorate-General for Research on Seniority Grades of Academic Staff
https://ec.europa.eu[...]
2017-09-26
[19]
웹사이트
WDR – Informationen und Nachrichten vom Westdeutschen Rundfunk
http://www.wdr.de/th[...]
2016-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