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카치다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카치다케는 홋카이도에 위치한 활화산으로, 도카치 강의 수원지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 신생대 제3기 말의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으며, 약 1만 년 전부터 활동을 재개하여 여러 차례 분화를 겪었다. 1857년 문헌 기록에 처음 등장한 분화 이후, 1926년에는 대규모 수증기 분화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고, 1962년에도 벌컨식 분화가 일어났다. 1980년대 후반에도 분화와 지진 활동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화산성 지진과 분기를 관측하고 있다. 주변에는 등산로와 온천이 있으며, 유황 채굴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토쿠정 - 신토쿠역
    신토쿠역은 1907년 개업한 홋카이도 신토쿠정에 위치한 JR 홋카이도의 철도역으로, 네무로 본선과 세키쇼선이 지나가며 특급 열차가 정차하고, 2면 3선의 승강장과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역 앞 광장에는 기념물이 설치되어 있다.
  • 신토쿠정 - 니시신토쿠 신호장
    니시신토쿠 신호장은 1966년 설치되었으나 2024년 폐지된 JR 홋카이도의 철도 신호장으로, 세키쇼 선과의 분기점에 위치한 2선 단선 교환형 구조였으며, 폐지 후 지역 교통 및 경제에 대한 영향과 대체 교통 수단 마련이 과제로 남아있다.
  • 비에이정의 지리 - 아오이이케
    아오이이케는 홋카이도 비에이정에 있는 푸른색 인공 연못으로, 화산 폭발 피해를 막기 위해 건설된 댐으로 형성되었으며, 물에 녹아든 광물질이 햇빛을 산란시켜 독특한 경관을 자랑하고, 애플 배경 화면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으로 알려진 관광 명소이다.
  • 비에이정의 지리 - 시로가네 온천
    시로가네 온천은 홋카이도 비에이정에 위치하며, 신경통에 효능이 있는 망초천을 사용하고, 주변에 관광 명소가 있으며 비에이역에서 버스로 접근 가능하다.
도카치다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도카치다케
기타 이름쥬카치가케 (十勝岳)
2006년 5월 도카치다케
2006년 5월 도카치다케
표고2,077m
지리
위치홋카이도, 일본
산맥이시카리 산지 (도카치다케 연봉)
산계도카치 화산군
좌표43°25′N 142°41′E
지도국가지리원 25000:1 도카치다케
지질학적 정보
산의 종류성층 화산, 활화산 (등급 A), 화산군
나이제4기
화산호쿠릴 호
마지막 분화2004년 2월 ~ 2004년 4월
등반 정보
최초 등반알려지지 않음
가장 쉬운 경로알려지지 않음
관련 목록
관련 목록일본의 산 목록 (높이별)
일본백명산
일본의 화산 목록

2. 산 이름의 유래

도카치 강의 수원지인 것이 산 이름의 유래로 여겨진다.[7]

3. 화산 활동

도카치다케는 여러 차례 분화 활동을 겪었다. 1857년(안세이 4년)에 일본인의 문헌 기록에 처음 등장한 이후, 1887년 (메이지 20년), 1923년~1926년 (1926년 도카치다케 분화), 1962년, 1988년~1989년 등 여러 차례 분화 및 분화 조짐이 있었다.[9]

시기사건
1857년일본인 문헌에 처음 등장, 유기 활동 언급.
1887년검은 연기 분출, 주변 화산재 강하.
1923년~1926년대규모 분화, 화산 이류 발생, 144명 사망 및 실종.
1962년대규모 벌컨식 분화, 화산탄 직격으로 5명 사망 및 실종, 12명 부상.
1988년~1989년소규모 분화, 화쇄류 발생, 주민 일시 대피.
1997년 이후소규모 수증기 폭발, 발광 현상 관찰, 일본 기상청 분화 경계 레벨 상향 조정.



겨울철 화산 활동이 활발해지면 융설로 인해 대규모 이류, 토석류 발생이 예상된다. 이류 발생 우려가 커서 시라카네 온천 고지대에는 대피소가 설치되어 있다. 지진계, 공진계, GPS 관측점 등 텔레메트리 관측, 치산, 사방 사업, 피해 범위 및 대피 경로 등을 정리한 위험 지도 정비가 진행되고 있다.

3. 1. 형성 과정

신생대 제3기 말에 일어난 대규모 화산 활동으로 화산암이 생겨났고, 제4기 전기(약 100만 년 전)에 분출한 유문암·데이사이트질 용결 응회암 등이 약 1,200m 표고에서 광대한 기반암을 형성했다.

약 50만 년 전부터 남서부에서 전 후라노다케·후라노다케 등 고철질 안산암질 성층 화산이 나타났다. 이어서 북동부의 비에이산·오푸타테시케 산·가미호로카멧토쿠 산 등 안산암성층 화산이 형성된 후, 현재 도카치다케의 주체를 이루는 안산암질 용암 원정구가 생겼다.

그 후 도카치 화산군은 휴식기에 들어갔지만, 약 1만 년 전에 활동을 재개했다. 이 시기에는 먼저 비에이 후지 등의 성층 화산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어서 도카치다케에 새로운 분화구가 생겼다. 활동 최성기인 약 3,000년 전에는 용암을 유출시켜 산정 북서쪽의 그라운드 분화구가 생겼는데, 약 2,200년 전에는 북서 산록의 시로가네 온천까지 도달하는 대규모 화쇄류와 용암류를 발생시켰다. 그 후 그라운드 분화구에 생긴 중앙 화구구와 스리바치 분화구·기타무키 분화구·야키야마 분화구 등의 새로운 분화구에서 용암류가 있었다. 이러한 활동의 분출물은 고철질 안산암이 주를 이루며, 도카치다케의 북~북서 사면을 덮는 형태가 되었다. 또한, 과거 2,000년 동안에는 250년마다 한 번씩 규모가 큰 이류를 발생시키고 있다.[8]

3. 2. 분화 역사

도카치다케는 여러 차례 분화 활동을 겪었다. 1857년 (안세이 4년)에 일본인의 문헌 기록에 처음 등장한 이후, 1887년(메이지 20년), 1923년~1926년(1926년 도카치다케 분화), 1962년, 1988년~1989년 등 여러 차례 분화 및 분화 조짐이 있었다.

시기사건
1857년일본인 문헌에 처음 등장, 유기 활동 언급.
1887년검은 연기 분출, 주변 화산재 강하.
1923년~1926년대규모 분화, 화산 이류 발생, 144명 사망 및 실종.
1962년대규모 벌컨식 분화, 화산탄 직격으로 5명 사망 및 실종, 12명 부상.
1988년~1989년소규모 분화, 화쇄류 발생, 주민 일시 대피.
1997년 이후소규모 수증기 폭발, 발광 현상 관찰, 일본 기상청 분화 경계 레벨 상향 조정.



각 분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3. 2. 1. 안세이 분화 (1857년)

도카치다케의 분화 활동이 일본인의 문헌 기록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1857년(안세이 4년)이다. 이 해, 마쓰다 시타로라는 인물이 이시카리강 수원 답사 후 도카치다케에 올랐다는 기록이 있으며, 여기서 유기 활동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마쓰우라 다케시로는 6월 2일 "산의 절반에서 불길이 타올라 검은 연기가 솟아오르는 것을 본다"라고 기록하고 있다.[9]

1887년(메이지 20년)에는 검은 연기를 분출하고 주변에 화산재가 내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3. 2. 2. 메이지 분화 (1887년)

1887년(메이지 20년)의 분화는 검은 연기를 분출하고 주변에 화산재가 내렸다고 기록되어 있다.[9]

3. 2. 3. 다이쇼 분화 (1923년 ~ 1926년)

1923년, 도카치다케는 용융 유황 늪을 만들며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 1925년 2월경부터 소규모 분화를 반복하다가 점차 활발해졌고, 1926년 5월부터는 소화구를 형성하는 등 대규모 분화가 일어났다.

5월 24일 12시경, 그라운드 화구의 중앙 화구구 서쪽에서 수증기 분화가 발생하여 소규모 화산 이류가 발생, 현재의 망악대 부근까지 흘러갔다. 같은 날 16시 18분[9]에는 두 번째 대규모 수증기 분화가 일어나 중앙 화구구의 서쪽 절반이 붕괴되었다. 이로 인해 발생한 암설 사태는 약 3분 만에 화구에서 2.4km 떨어진 유황 광산 숙소를 덮쳤으며, 추정 속도는 40m/s였다.[9] 또한, 산 정상 부근의 눈을 녹여 더 큰 화산 이류를 발생시켰다. 이 화산 이류는 비에이강과 후라노강을 따라 흘러내려 20분 만에 약 25km 떨어진 가미후라노 시가지에 도달했다.[12] 이로 인해 144명의 사망자와 행방불명자가 발생했다. 미우라 아야코는 이 분화를 배경으로 소설 『니류 지대』[10]와 『속・니류 지대』[11]를 썼다.

미야모토(1989) 등의 계산[12]에 따르면, 화구벽 붕괴로 2.0 × 106 m3의 토사가 발생했고, 융설수와 섞여 흘러내린 토사는 3.1 × 106 m3에 달했다. 이 토사는 3:7(715:2385)의 비율로 비에이강과 후라노강에 유입되었다. 흘러내리면서 유역의 토사를 끌어들여 비에이강 시라가네 온천 부근에서는 4.76 × 106 m3, 후라노강 해발 700m 부근에서는 10.26 × 106 m3까지 증가하여 비에이 시가지와 가미후라노정(5.1 × 106 m3 퇴적[8])에 피해를 입혔다.[12]

3. 2. 4. 1962년 분화

1952년경부터 절구 화구 북서쪽에서 분기가 활발해졌고(52년 분기공군 또는 쇼와 화구군), 직전에는 지진도 빈발했다. 1962년 6월 29일 22시 40분경, 중앙 화구구 남쪽에 있던 유누마 화구 부근에서 수증기 폭발이 발생했다. 다음날 30일 2시 45분에는 대규모 벌컨식 분화가 발생, 분연은 고도 12,000m에도 달했다. 동쪽 넓은 범위에 강회가 내렸고, 지토세에서도 강회가 관측되었다. 다이쇼 화구 부근의 이소베 유황 광업소 시설에 화산탄이 직격하여, 작업원 사망자・행방불명자 5명, 기상대의 관측원 2명을 포함한 부상자 12명이 나왔다[13]

1962년 분화


이 분화는 같은 해 8월 말에는 종식되어, 유누마 화구를 통해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어 있는 선상에 4개의 화구(62-0, 62-1, 62-2, 62-3)를 남겼다. 가장 활발했던 62-2 화구는 중앙 화구구와 거의 같은 높이의 스코리아 언덕을 형성하고 있다. 1968년, 1969년 군발 지진 이후 일련의 활동은 점차 침정화되어 갔고, 1974년 5월경부터, 62-1 화구로부터의 분기를 재개하지만 이듬해 6월에는 침정화된다.

인적 피해와는 대조적으로, 1962년 분화에서는 다이쇼 분화를 훨씬 능가하는 에너지가 방출되었다.

3. 2. 5. 1988~89년 분화

1988년 군발 지진이 반복되었고, 12월 62-2 화구에서 소규모 분화가 있었다.[9]

1989년에는 소규모 분화와 군발 지진이 반복되었다. 화쇄류와 화쇄 서지(화쇄류 선단부에서 발생하는 고온 가스류, 열운)가 발생했고, 주변 140km에 걸쳐 화산재가 내렸다. 비에이정, 가미후라노정 주민 약 300명이 일시 피난했다. 3월 이후, 군발 지진은 계속되었지만 분화 활동은 잠잠해졌다.[9]

이 분화로 1990년(헤이세이 2년)까지 입산이 금지되었다.

3. 2. 6. 1997년 이후

1997년 이후에는 공진을 동반하는 화산성 지진이나 분기가 관측되었지만, 격렬한 분화 활동은 없었다. 2004년 2월과 4월에는 아주 소규모의 수증기 분화가 발생하여 유색 분연이나 진폭이 작은 화산성 미동이 관측되었다. 2012년 8월 및 2013년 6월에는 다이쇼 화구에서 발광 현상이 관찰되었다.[14]

2014년 12월, 일본 기상청은 분화 경계 레벨을 1(평상)에서 2(화구 주변 규제)로 상향 조정했다.[15]

3. 3. 방재

겨울철 화산 활동이 활발해지면 융설로 인해 대규모 이류, 토석류 발생이 예상된다. 발생이 우려되는 이류 규모는 매우 커서 흐름을 완전히 막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시라카네 온천 고지대에는 대피소가 설치되어 있다. 지진계, 공진계, GPS 관측점 등 텔레메트리 관측, 치산, 사방 사업, 피해 범위 및 대피 경로 등을 정리한 위험 지도 정비가 진행되고 있다.

4. 등산

도카치다케는 도카치다케 망악대, 후키가미온천, 도카치다케 온천 등 비교적 높은 곳까지 도로가 포장되어 있어 완만하기 때문에 여름에는 일반 등산객도 쉽게 등산할 수 있다. 다이세쓰 청소년 교류의 집에서 숙박 학습을 하는 고등학생 등이 단체로 등산하기도 한다.

1920년(다이쇼 9년) 3월 27일 홋카이도 대학 스키부가 적설기에 처음으로 등정에 성공했다.[16] 다나카 스미에는 꽃의 백명산에서 이 산과 등산로에 피는 이와부쿠로 등의 고산식물을 소개했다.[6]

4. 1. 등산로

도카치다케는 도카치다케 망악대, 후키가미온천, 도카치다케 온천 등 비교적 높은 곳까지 도로가 포장되어 있어 완만하기 때문에 여름에는 일반 등산객도 쉽게 등산할 수 있다. 다이세쓰 청소년 교류의 집에서 숙박 학습을 하는 고등학생 등이 단체로 등산하기도 한다.

도카치다케에는 세 개의 주요 등산로가 있다.[17][18]

화구 부근은 현재도 300도가 넘는 고온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출입 규제를 따르고 상황에 따라 철수하는 판단도 필요하다.

4. 1. 1. 망악대 코스

망악대 등산 입구에서 입산, 절구 화구를 지나, 전 도카치다케를 돌아 오르는 코스이다. 다이쇼 분화의 이류(泥流) 흔적을 오르게 되므로 가장 쉽다. 비에이악으로 가는 분기점 바로 뒤에 도카치다케 대피소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2006년 봄에 적설로 인해 파손되었다. 홋카이도는 예산상의 문제로 재건축을 포기하고, 2006년 9월에 해체되었지만, 그 후 비에이초가 2008년 10월에 구 대피소 위쪽, 표고 1330m 부근에 대피소를 재건하여 현재 이용 가능하다.[17][18]

망악대 등산 입구에서 바라본 도카치다케

4. 1. 2. 삼단산 코스

후키아게 온천 또는 십승악 온천에서 삼단산(1,748m)에 오른 후, 대포바위에서 "말의 등"이라고 불리는 부분을 통과하여 등정하는 코스이다. 현재는 위험하여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17][18]

4. 1. 3. 가미호로카멧토쿠 산 코스

도카치다케 온천에서 입산하여 안세이 화구를 거쳐 가미호로카멧토쿠 산으로 등정, "말의 등"이라 불리는 부분을 통과하여 도카치다케로 향하는 코스이다.[17][18]

4. 2. 주변 산장

도카치다케 망악대, 후키가미 온천, 도카치다케 온천 등 비교적 높은 곳까지 도로가 포장되어 있어 여름에는 일반 등산객도 쉽게 등산할 수 있다. 다이세쓰 청소년 교류의 집에서 숙박 학습을 하는 고등학생 등의 집단 등산에 자주 이용된다.

주변에는 다음과 같은 무인 대피소가 있다.

  • 도카치다케 대피소
  • 가미호로카멧토쿠 대피소
  • 비에이후지 대피소

4. 3. 도카치다케 정상의 비 『광안외외(光顔巍々)』

1942년 8월 26일, 도카치다케 정상에 석비가 건립되었다.[20] 석비에는 '기원 2600년 7월 건립'(1942년 7월)이라고 적혀 있지만, 인력으로 석비 본체를 산 정상까지 올리는 것이 불가능하여, 사각기둥 석비를 삼각기둥으로 절반 크기로 깎아 다음 달에 산 정상으로 올렸기 때문이다.[21]

비문 휘호자는 오타니 코쇼(정토진종니시혼간지 제23대 법주)이다. 1937년 2월부터 3월에 걸쳐 오타니가 홋카이도를 스키 여행 중 이곳에 들러 도카치다케를 산 스키로 등정한 것을 기념하는 글을 비문에 새겼다.[22]

정토진종의 『일대무량수경(대경)』 권상에 있는 찬불게의 첫 구절이 '광안외외' 네 글자이다. 훗날 오타니는 이 비문에 대해 "「외외」는 한화사전에 따르면 '부귀하고 존귀하게 드러나는 모습'이라고 하여, 풍만하고 고상한 얼굴이라고 해석해야 할까요."라고 해석하고 있다.[21]

5. 유황 채굴

중앙 화구 언덕 부근에서는 양질의 유황이 채굴되었다.

1926년 분화 직전에는 도쿄 히라야마 유황 광업 주식회사가 광산을 운영했다. 3개의 광구가 도급인 제도로 가동되었으며, 인부 대부분은 규슈 지방에서 왔다. 채굴 기간은 적설 때문에 대략 6월부터 10월까지로 제한되었다.

1962년 분화에서는 채굴 시설이 다시 파괴되었고, 다이쇼 화구의 분기공 대부분이 분석으로 매몰되면서 폐광되었다.

6. 자연재해 전승비

2019년 7월, 도카치다케 분화와 관련된 비에이정 2기와 가미후라노정 7기의 석비가 자연재해 전승비로 국토지리원의 웹 지도에 공개되었다.[24]

도카치다케 분화 관련 자연재해 전승비[24]
비석 이름
비에이도카치다케 폭발 기념(석비)
비에이다이쇼 대폭발 마루야 온천 조난자 위령비
가미후라노조난 기념비
가미후라노추선 기념비
가미후라노『니류 지타이』 미우라 아야코 문학비
가미후라노도카치다케 폭발 참사자비
가미후라노신서국 33소 관세음보살
가미후라노조난 기념비
가미후라노도카치다케 폭발 횡사자 혈연탑


7. 지리

十勝岳일본어홋카이도 중앙부, 다이세쓰 산 국립공원 남부에 위치한 활화산이다.

주변 산으로는 옵타테시케 산(2012m), 비에이 산(2052m), 가미호로카멧토쿠 산(1920m), 후라노다케(1912m) 등이 있다. 비에이강, 후라노강 (소라치강의 지류), 도카치강이 발원하여 각각 이시카리만과 태평양으로 흘러간다.[2]

시라카네 온천, 후키아게 온천, 도카치다케 온천 등 유명 온천이 서쪽 기슭에 산재해 있으며,[25] 망악대비에이 시가지에서 시라카네 온천을 거쳐 가는 도로의 종점에 있는 전망대로, 도카치다케 중턱, 해발 900m 지점에 있다.[25]

7. 1. 주변 산

산 이름높이
옵타테시케 산2012m
비에이 산2052m
가미호로카멧토쿠 산1920m
후라노다케1912m


7. 2. 발원 하천


  • 비에이강
  • 후라노강 (소라치강의 지류)
  • 도카치강


이상의 하천은 이시카리만과 태평양으로 흘러간다.[2]

7. 3. 주변 시설

시라카네 온천, 후키아게 온천, 도카치다케 온천 등 유명 온천이 도카치다케 서쪽 기슭에 산재해 있다.[25]

국립 도카치다케 스키장은 1970년 12월 리프트 2기를 설치하여 개장했으나,[26] 1988년 12월 도카치다케 분화로 인해 운영이 중단되었다. 1993년 5월 리프트를 재건설하고 같은 해 12월 영업을 재개했지만, 1996년 12월 다시 영업을 중단했다. 1999년 2월 자연공원법에 의거하여 폐지가 승인되었고, 같은 해 5월 리프트가 철거되었다.[26]

망악대는 비에이 시가지에서 시라카네 온천을 거쳐 가는 도로의 종점에 있는 전망대이다.[25] 도카치다케 중턱, 해발 900m 지점에 있다.[25] 현재는 국립 도카치다케 스키장의 스키 리프트가 철거되어 5월부터 10월까지 개장한다.[25]

참조

[1] 서적 Forest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3-08-31
[2] 웹사이트 地図閲覧サービス 2万5千分1地形図名:十勝岳(旭川) http://watchizu.gsi.[...] 국토지리원 2010-12-11
[3] 웹사이트 日本の主な山岳標高:北海道 https://www.gsi.go.j[...] 국토지리원 2010-12-30
[4] 웹사이트 大雪山国立公園の紹介 https://www.env.go.j[...] 환경성 2010-12-11
[5] 서적 日本百名山 아사히신문사
[6] 서적 花の百名山 문춘문고
[7] 서적 日本の山1000 산과계곡사
[8] 논문 十勝岳・富良野川における火山泥流発生履歴に関する研究 https://doi.org/10.1[...] 2007-2008
[9] 논문 十勝岳の土石流について https://doi.org/10.1[...] 1965-1966
[10] 서적 泥流地帯 신조문고
[11] 서적 続・泥流地帯 신조문고
[12] 논문 十勝岳大正15年 (1926年) 泥流の再現計算 https://doi.org/10.2[...] 1989
[13] 서적 日本災害史事典 1868-2009 日外アソシエーツ
[14] 뉴스 北海道・十勝岳山頂付近の火口、青白く発光 読売新聞 2024-06-10
[15] 간행물 噴火警報・予報: 十勝岳 https://www.jma.go.j[...] 札幌管区気象台 2014-12-16
[16] 서적 目で見る日本登山史・日本登山史年表 산과계곡사
[17] 서적 山と高原地図 大雪山 十勝岳・幌尻岳 昭文社
[18] 서적 アルペンガイド北海道の山 산과계곡사
[19] 웹사이트 「防弾チョッキ」まとった避難小屋が完成 御嶽山噴火の教訓ふまえて https://www.asahi.co[...] 朝日新聞DIGITAL 2022-11-07
[20] 웹사이트 上富良野歴史年表 昭和12(1937)〜21(1946)年 http://www.town.kami[...] 町の概要 上富良野町
[21] 웹사이트 石碑が語る上富の歴史(その11) 十勝岳頂上の碑『光顔巍々』に関わった人々 https://www.town.kam[...] かみふらのの郷土をさぐる会
[22] 웹사이트 石碑が語る上富の歴史(その10) 十勝岳頂上の碑『光顔巍々』と門上浄照師 https://www.town.kam[...] かみふらのの郷土をさぐる会
[23] 뉴스 安否が心配される平山硫黄鉱業社員ら 東京朝日新聞 1926-05-27
[24] 웹사이트 十勝岳噴火に関する「自然災害伝承碑」を地図で発信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北海道地方測量部 2020-01-02
[25] 웹사이트 スキー場斜面生態系に関する情報・リンク http://hosho.ees.hok[...] 露崎史朗 (TSUYUZAKI Shiro, 植物生態学・環境保全学) 北海道大学
[26] 웹사이트 美瑛町 http://web2.nazca.co[...] 日本観光史
[27] 서적 일본 백명산 아사히 신문사
[28] 서적 꽃의 백명산 분슈 문고
[29] 문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판이 섭입 당하는 판, 그 반대쪽이 섭입하는 판
[30] 문서 소멸된 판
[31] 문서 백악기에서 고제3기에 걸쳐 형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