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숙황귀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돈숙황귀비는 옹정제의 측실로, 1711년경 옹친왕 윤진(훗날 옹정제)의 측실로 간택되었다. 옹정제 즉위 후 귀비로 책봉되었고, 1725년 황귀비로 진봉되었으나 같은 해 사망하여 돈숙황귀비라는 시호를 받았다. 슬하에 3남 1녀를 두었으나 모두 요절했다. 그녀는 호광 순무를 지낸 년하령의 딸이며, 오빠로는 연갱요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군 기인 - 효의인황후
효의인황후는 청나라 강희제의 황후이자 옹정제의 양모로, 귀비에서 황귀비를 거쳐 황후가 되었으나 자녀는 없었고 옹정제 교육에 힘썼으며, 옹정제 즉위 후 시호를 받고 태묘에 배향되었다. - 한군 기인 - 연갱요
연갱요는 청나라 초기 옹정제의 총애를 받으며 권세를 누렸으나 오만함으로 옹정제의 분노를 사 자결한 무관으로, 옹정제 즉위 기여, 사천 및 칭하이 반란 진압 등의 공을 세웠으나 권력 남용과 오만함으로 몰락하여 청나라 초기 권력 다툼과 옹정제 통치 스타일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1725년 사망 - 표트르 1세
표트르 1세는 로마노프 왕조의 차르이자 러시아 제국의 초대 황제로, 서구화 정책과 부국강병책을 통해 러시아를 근대화하고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대북방 전쟁 승리 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했으나, 급진적인 개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1725년 사망 - 아라이 하쿠세키
에도 시대 유학자이자 정치가인 아라이 하쿠세키는 도쿠가와 이에노부의 측근으로 쇼토쿠의 치 개혁을 주도하고 외교 및 경제 정책을 펼쳤으며, 실각 후에도 저술 활동으로 일본 역사, 정치,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세기 중국 사람 - 강희제
청나라 제4대 황제인 강희제는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을 거쳐 친정 후 삼번의 난을 평정하고 타이완을 복속시켰으며 러시아 제국과의 분쟁에서 승리하고 몽골과 티베트를 정벌하는 등 정복 군주로서 활약했고, 감세 정책과 학문 장려를 통해 청나라의 전성기인 강건성세를 이룩했으며 중국 역사상 가장 긴 재위 기간을 가졌다. - 18세기 중국 사람 - 옹정제
옹정제는 청나라의 제5대 황제로, 황위 계승 분쟁 속에서 즉위하여 황권 강화, 재정 개혁, 영토 확장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형제 숙청과 사상 탄압에 대한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돈숙황귀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돈숙황귀비 (敦肅皇貴妃) |
본관 | 연씨 (年氏) |
혼인 | 옹정제 (雍正帝)와 혼인 (1711년) |
사망일 | 1725년 12월 23일 (옹정 3년 11월 23일) |
사망 장소 | 자금성, 베이징 |
매장지 | 태릉, 서청 동릉 |
사후 시호 | 돈숙황귀비 (敦肅皇貴妃) |
가계 | |
아버지 | 연하령 (年遐齡) |
형제 | 이복 오빠 연희요 (年希堯), 이복 오빠 연갱요 (年羹堯) |
자녀 | |
자녀 | 이름 없는 딸 복의 (福宜) 복혜 (福惠) 복패 (福沛) |
2. 생애
1715년 당시 황자 신분이었던 옹친왕 윤진(훗날 옹정제)의 측실로 간택되었고 그와의 사이에서 3남 1녀를 두었으나, 모두 요절하였다.[1]
1722년 강희제가 붕어하고 옹정제가 즉위하자, 연씨는 귀비로 책봉되었다.[1] 1725년 11월 15일, 병이 깊었던 연씨는 황귀비로 봉해졌으나,[1] 같은 해 11월 23일 원명원에서 사망하였다. 옹정제는 그녀에게 돈숙황귀비(敦肃皇贵妃)라는 시호를 내렸다.[1]
2. 1. 초기 생애
1711년경, 옹친왕 윤진(훗날의 옹정제)에게 시집가 측복진(측실)이 되었다.[1] 1715년 옹친왕의 넷째 딸을 출산하였고, 이후 1720년에 일곱째 아들 복의, 1721년에 여덟째 아들 복혜, 1723년에 아홉째 아들 복패를 잇달아 출산하였으나 모두 요절하였다.[1]그녀의 출생 연도와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다.[1] 1715년 4월 15일, 첫째 딸을 낳았으나, 딸은 1717년 6월이나 7월에 두 살의 나이로 사망했다.[1] 1720년 6월 30일, 둘째 아들 복의(福宜)를 낳았으나, 1721년 2월 9일에 사망했다.[1] 1721년 11월 27일, 셋째 아들 복혜(福惠)를 낳았으나, 1728년 10월 11일에 사망했다.[1]
출생 순서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넷째 딸 | 미상 | 1715년 4월 15일 – 1717년 6월/7월 | |
일곱째 아들 | 복의(福宜) | 1720년 6월 30일 – 1721년 2월 9일 | |
여덟째 아들 | 복혜(福惠) | 1721년 11월 27일 – 1728년 10월 11일 | |
아홉째 아들 | 복패(福沛) | 1723년 6월 12일 – ? |
2. 2. 황자 시절
1711년경, 옹친왕 윤진(훗날의 옹정제)에게 시집가 측복진(측실)이 되었다.[1] 1715년에 옹친왕의 넷째 딸을 출산하였고,[1] 이후 1720년에 일곱째 아들 복의, 1721년에 여덟째 아들 복혜, 1723년에 아홉째 아들 복패를 잇달아 출산하였으나 모두 요절하였다.[1]그녀의 자녀들은 다음과 같다.[1]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이름 미상의 딸 | 1715년 4월 15일 | 1717년 6월/7월 | 옹정제의 넷째 딸 |
복의(福宜) | 1720년 6월 30일 | 1721년 2월 9일 | 옹정제의 일곱째 아들 |
복혜(福惠) | 1721년 11월 27일 | 1728년 10월 11일 | 옹정제의 여덟째 아들, 초등 懷親王 |
복패(福沛) | 1723년 6월 12일 | ? | 옹정제의 아홉째 아들 |
2. 3. 옹정제 즉위 후
1722년 강희제가 붕어하고 옹정제가 즉위하자, 연씨는 귀비로 책봉되었다.[1] 옹정제 3년(1725년) 11월 15일, 병이 깊었던 연씨는 황귀비로 봉해졌으나,[1] 같은 해 11월 23일 원명원에서 사망하였다. 옹정제는 그녀에게 돈숙황귀비(敦肃皇贵妃)라는 시호를 내렸다.[1]옹정제 즉위 후 연씨의 품계 변동은 다음과 같다.
그녀는 청서릉에 안장되었다.[1]
2. 4. 사후
1725년 11월 23일(옹정 3년), 황귀비 연씨는 원명원에서 사망하였고, 옹정제는 그녀에게 돈숙(敦肅)이라는 시호를 내려 돈숙황귀비(敦肃皇贵妃)가 되었다.[1][2] 관은 탐촌빈궁에 안치되었으며, 이후 건륭제 연간에 태릉의 비원침에 봉장되었다.[2]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연하령 (순무라는 무관 관직을 지냄) |
이복 오빠 | 연희요 |
이복 오빠 | 연갱요 |
남편 | 옹정제 |
딸 | 황사녀 (1715년 ~ 1717년) |
아들 | 복의 (1720년 ~ 1721년) |
아들 | 화석회친왕 복혜 (1721년 ~ 1728년) |
아들 | 복패 (1723년 ~ 1723년) |
4. 평가
『청궁사(清宮詞)』에 따르면, 황귀비가 된 연씨(年氏)는 조심스러웠고, 보내는 편지는 반드시 옹정제의 검열을 받았으며, 옹정제는 그것에 만족했다.[4]
5. 미디어에서
참조
[1]
문서
Nian Gengyao's birth year
[2]
문서
Yongzheng Emperor's reign - Year 1, Month 2, Day 22
[3]
문서
Yongzheng Emperor's reign - Year 3, Month 11, Day 15
[4]
문서
Qing Palace Ci quo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