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경대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경대전은 동학의 창도 이유와 핵심 사상을 담은 경전으로, 서학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유교, 불교, 도교, 민간 신앙을 포괄하는 사상을 제시한다. 본문과 별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덕문, 논학문, 수덕문, 불연기연 등 동학의 핵심 교리를 담은 글과 축문, 주문, 입춘시 등 다양한 형식의 글들이 수록되어 있다. 1880년 경진판을 시작으로 여러 판본이 간행되었으며, 현대 한국어로 여러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학 - 최시형
    최시형은 1827년 경상북도 경주에서 태어나 동학의 제2대 교주를 지냈으며, 최제우의 제자로서 동학 경전을 편찬하고 교세를 확장하다가 갑오농민전쟁에 참여하여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사후 신원되어 손병희가 그의 뒤를 이어 천도교로 개명했다.
  • 동학 - 수운교
    수운교는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문서이다.
  • 천도교 - 손병희
    손병희는 조선 말 동학의 지도자이자 대한제국의 종교인, 독립운동가로서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고 3·1 운동을 주도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며 인내천 사상을 강조했다.
  • 천도교 - 전봉준
    전봉준은 조선 말기 동학 농민 혁명의 지도자로, 부패한 관리 처벌과 일본 세력 축출 등을 주장하며 농민 운동을 이끌었으나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혁명 정신은 민주주의 운동의 기반이 되었다.
  • 경전 - 위경
    위경은 실제 저자가 아닌 다른 인물의 이름으로 쓰인 문서나 저작물을 지칭하는 용어로, 성경 연구에서는 특정 권위자가 쓴 것으로 여겨지는 작품을, 현대에는 정경이나 외경에 포함되지 않는 문서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며 문학 작품에서 허구성을 강조하는 기법으로도 사용된다.
  • 경전 - 포폴 부
    《포폴 부》는 마야의 창조 신화, 역사, 우주론을 담은 중요한 문헌으로, 키체족의 역사와 영웅의 전설을 포함하며 창조, 인간의 기원, 지하 세계의 모험 등을 다룬다.
동경대전
동경대전
동경대전 표지
동경대전 표지
저자최제우
창작 시기1863년
언어한문, 한글
내용
주요 내용천도교의 주요 경전
동학 사상의 핵심 교리
최제우의 깨달음과 사상 체계
구성포덕문
논학문
수덕문
불연기연
탄도유심
팔절
검결
역사적 의미
중요성동학 창립의 근간
갑오농민전쟁의 사상적 배경
한국 근대사에 큰 영향
특징
사상적 특징유교, 불교, 도교 융합
인내천 사상
후천개벽 사상
문학적 특징가사 형식
평이한 문체
민중의 언어 사용
참고 문헌
참고 자료동경대전

2. 내용

은 본문과 별집으로 나뉘어 있으며, 포덕문(布德文), 논학문(論學文), 수덕문(修德文), 불연기연(不然其然)이 주를 이루고, 그 뒤에 운문체의 여러 글이 첨부되어 있다.[1]

동학은 서학의 장점을 인정하면서도 그 문제점을 극복하고, 가장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조선의 학문, 조선의 사상'을 지향했다.[1] 또한 유교, 불교, 도교의 삼교뿐 아니라 서학과 민간 신앙까지 널리 포함하여 뭇 생명을 살리기 위한 새로운 생명 사상으로 등장했으며, 서양식 종교가 아닌 조선 땅 도학(道學)의 새로운 전개로서의 시도라는 세 가지 성격을 가지고 있다.[1]

3. 구성

은 크게 본문과 별집으로 나뉜다. 본문은 포덕문(布德文), 논학문(論學文), 수덕문(修德文), 불연기연(不然其然)을 주로 다루며, 운문체의 여러 글이 첨부되어 있다. 별집에는 축문(祝文), 주문(呪文), 입춘시(立春詩) 외 다양한 글이 수록되어 있다.

3. 1. 본문

의 본문은 동학의 핵심 교리를 담고 있으며, 서학에 대치하여 동학을 창도하게 된 까닭과 경위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동학은 서학의 장점을 인정하면서도 그 문제점을 극복하여 가장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조선의 학문, 조선의 사상'을 지향했다. 또한 유교, 불교, 도교뿐만 아니라 서학과 민간신앙까지 널리 포함하여 뭇 생명을 살리기 위한 새로운 생명 사상으로 등장했으며, 서양식 종교가 아닌 조선 땅 도학의 새로운 전개로서의 시도라는 세 가지 성격을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한다.[1]

본문은 포덕문(布德文), 논학문(論學文), 수덕문(修德文), 불연기연(不然其然)을 주로 다루고, 운문체의 여러 글이 첨부되어 있다.

3. 1. 1. 포덕문(布德文)

동학을 펴는 글이다.[1]

3. 1. 2. 논학문(論學文)

동학의 교리를 논하는 글이다.

3. 1. 3. 수덕문(修德文)

동학의 수련 방법을 설명하는 글이다.

3. 1. 4. 불연기연(不然其然)

불연기연(不然其然)은 옳고 그름을 논하는 글이다.[1]

3. 2. 별집

별집에는 포덕문, 논학문, 수덕문, 불연기연 등이 수록되어 있다.

3. 2. 1. 축문(祝文)

축문은 제사 때 읽는 글이다.

3. 2. 2. 주문(呪文)

주문(呪文)은 외우는 글이다.

3. 2. 3. 입춘시(立春詩)

동경대전에 수록된 시문 중 하나로, 입춘에 지은 시이다.

3. 2. 4. 절구(絶句), 강시(降詩), 좌잠(座箴), 화결시(和訣詩), 탄도유심급(歎道儒心急), 결(訣), 우음(偶吟) 1, 팔절(八節), 제서(題書), 영소(詠宵), 필법(筆法), 유고음(流高吟), 우음(偶吟) 2, 통문(通文), 통유(通諭), 포덕식(布德式) 외

절구(絶句), 강시(降詩), 좌잠(座箴), 화결시(和訣詩), 탄도유심급(歎道儒心急), 결(訣), 우음(偶吟) 1, 팔절(八節), 제서(題書), 영소(詠宵), 필법(筆法), 유고음(流高吟), 우음(偶吟) 2, 통문(通文), 통유(通諭), 포덕식(布德式) 외에는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글들이 수록되어 있다.

3. 2. 5. 무자판 발문(戊子版 跋文)

1868년(무진년) 가을에 함경도에서 간행한 《동경대전》 판본에 대한 발문이다.

4. 판본

은 여러 판본이 존재한다.

판본간행 시기간행 장소특징
경진판(庚辰版)1880년 6월강원도 인제목판본[2]
목천판(木川版), 계미중춘판1883년 2월충청도 목천목활자본, 필사본[3]
경주판(慶州版), 계미중하판1883년 5월충청도 목천경주 교도 요청, 목활자본[3]
무자판(戊子版), 무자계춘판1888년 3월강원도 인제목판본[2]


4. 1. 경진판(庚辰版) (1880년)

1880년 6월, 강원도 인제에서 간행된 목판본으로, 최근 발견되었다.[2]

4. 2. 목천판(木川版), 계미중춘판 (1883년)

1883년 2월, 충청도 목천에서 목활자본으로 간행되었으며, 필사본이 발견되었다.[3]

4. 3. 경주판(慶州版), 계미중하판 (1883년)

1883년 5월, 충청도 목천에서 경주 교도들의 요청에 따라 간행된 목활자본이다.[3]

4. 4. 무자판(戊子版), 무자계춘판 (1888년)

1888년 3월, 강원도 인제에서 간행된 목판본이다.[2]

5. 번역본

東經大全중국어은 현대 한국어로 여러 차례 번역되었다. 다음은 주요 번역본 목록이다.

출판 연도번역자출판사ISBN
1991년동학연구회자농200-56-0000-002-1
1996년윤석산동학사978-89-7190-811-2
2000년이영노천법출판사211-11-5997-000-1
2002년이세권글나무(동대문구)200-57-9500-021-9, 200-57-9500-022-6
2003년최동희 외집문당978-89-3030-974-5
2007년라명재모시는사람들978-89-9069-947-3
2009년윤석산동학사978-89-7190-264-6
2009년박맹수지만지978-89-6406-354-5
2010년하종필보문각978-89-6220-057-7
2010년라명재모시는사람들978-89-9069-980-0
2010년최천식풀빛978-89-7474-557-8


참조

[1] 웹인용 동경대전 https://terms.naver.[...] 2021-03-28
[2] 웹인용 동학 최초 목판본 `동경대전` 발견 http://www.hankyung.[...]
[3] 웹인용 계미중춘판 필사본 발견 http://www.chondogy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