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구 을 (195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대문구 을은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동대문구 선거구가 분구되면서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1963년 양주군 구리면 일부 지역이 편입되었으며, 제6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해당 지역을 관할했다. 1973년 동대문구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민주당과 신민당 후보들이 주로 당선되었으며, 이영준, 장준하, 유옥우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광주시 갑 (전남 선거구)
광주시 갑은 1958년 신설되어 1973년 광주시 을과 통합될 때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정성태 의원이 초대부터 8대 국회까지 지역구 의원을 역임했다. - 195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대문구 갑 (1958년 선거구)
동대문구 갑은 1958년 신설되어 1973년 폐지된 선거구로, 민관식과 송원영이 국회의원을 지냈다. - 서울 동대문구의 정치 - 동대문구 을
동대문구 을은 1988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동대문구 전농1,2동, 답십리1,2동, 장안1,2동을 관할하며, 보수 및 진보 정당 후보들이 경쟁해 왔으나 최근에는 더불어민주당의 강세가 두드러진다. - 서울 동대문구의 정치 - 동대문구 갑
동대문구 갑은 1988년 동대문구 선거구 분구로 신설되어 동대문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역대 최훈, 노승우, 김희선, 장광근, 안규백 등이 국회의원을 지냈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노원구 병
노원구 병은 2004년 신설되어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노원구 을에서 분리된 상계동 일부로 구성되었으며, 임채정, 홍정욱, 노회찬, 안철수, 김성환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동대문구 을 (195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동대문구 을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서울특별시 |
연도 | 1958 |
폐지 | 1973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동대문구 양주군 을 (1963년 일부 지역 편입) |
이후 선거구 | 동대문구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동대문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이 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신민당 등 주로 야당 후보들이 당선되었다. 특히, 장준하 의원은 박정희 정권의 독재에 맞서 싸운 대표적인 민주화 운동가로, 동대문구 을 유권자들의 높은 지지를 받았다.
1963년 양주군 구리면의 일부 지역(상봉동, 중화동, 묵동, 신내동, 망우동)이 동대문구 을에 편입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해당 지역들을 관할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동대문구 갑, 을 선거구가 동대문구 선거구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이 선거구에서는 야당 후보들이 강세를 보였다. 제4대 국회의원 선거와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이영준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었으며,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정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다시 한번 당선되었다.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 장준하 후보가 59.6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 유옥우 후보가 당선되었다.
4. 1.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영준 | 민주당 | 18,765 | 50.27% |
정기원 | 자유당 | 7,144 | 19.14% |
한격만 | 무소속 | 3,663 | 9.81% |
장홍염 | 무소속 | 2,502 | 6.70% |
정준묵 | 무소속 | 1,388 | 3.71% |
이규갑 | 대한국민당 | 1,087 | 2.91% |
전중남 | 무소속 | 989 | 2.64% |
이원찬 | 무소속 | 900 | 2.41% |
이혁 | 무소속 | 886 | 2.37% |
합계 | 37,324 | 100% |
4. 2.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이영준 | 민주당 | 33,247 | 59.90% | 당선 |
강성국 | 무소속 | 8,776 | 15.81% | |
이혁 | 무소속 | 3,974 | 7.16% | |
박용희 | 무소속 | 3,764 | 6.78% | |
조헌식 | 사회대중당 | 3,421 | 6.16% | |
윤상우 | 무소속 | 2,316 | 4.17% | |
총합 | 55,498 | 100% |
4. 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이영준 후보가 38.8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이영준 | 민정당 | 24,219 | 38.82 |
고진영 | 민주공화당 | 16,624 | 26.64 |
최계명 | 민주당1963 | 13,936 | 22.33 |
이창업 | 자유당 | 2,239 | 3.58 |
신정욱 | 국민의당1963 | 1,327 | 2.12 |
이종선 | 정민회 | 1,099 | 1.76 |
김경운 | 자유민주당1963 | 1,067 | 1.71 |
조영래 | 신흥당 | 1,043 | 1.67 |
김운식 | 추풍회 | 833 | 1.33 |
합계 | 62,387 | 100 |
4. 4.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장준하 후보가 59.6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 강상욱 후보는 36.93%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장준하 | 신민당 | 57,119 | 59.62 |
강상욱 | 민주공화당 | 35,386 | 36.93 |
김윤식 | 대중당 | 876 | 0.91 |
김인화 | 민주당 | 544 | 0.56 |
이상주 | 정의당 | 543 | 0.56 |
신준수 | 한국독립당 | 541 | 0.56 |
이상호 | 자유당 | 533 | 0.55 |
오창욱 | 통한당 | 261 | 0.27 |
합계 | 95,803 | 100 |
4. 5.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유옥우 후보가 50.4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 강상욱 후보는 48.68%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유옥우 | 신민당 | 75,046 | 50.43% |
강상욱 | 민주공화당 | 72,437 | 48.68% |
김용대 | 민중당 | 505 | 0.33% |
최종선 | 통일사회당 | 488 | 0.32% |
송기철 | 대중당 | 323 | 0.21% |
합계 | 148,799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