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 기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방 기독교는 보편교회의 5대 총대주교좌 중 콘스탄티노폴리스,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를 중심으로 동유럽, 북아프리카, 중동 지역에 분포한 기독교를 의미한다. 동방 정교회가 중심 교단이며, 오리엔트 정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등으로 분화되었다. 초기 기독교는 그리스도론과 국가적 분열로 인해 동방에서 분열되었고, 동방 정교회는 비잔틴 전례와 성전의 지속성을 강조한다. 가톨릭 교회와는 동서 교회 분열 이후 교류가 중단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2억 4천만 명의 신자를 보유하고 있다. 동방 기독교는 이슬람 문화에 기여했으며, 아랍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방 기독교 - 아시리아 동방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는 1세기경 메소포타미아 상부에서 시작되어 도마, 아다이, 바르톨로메오 사도에 의해 설립된 사도적 교회로, 네스토리우스 주장을 지지하는 세력의 유입, 중앙아시아와 중국 전파, 이슬람 세력 확장, 분열과 통합, 그리고 아시리아 대학살 등의 역사를 겪었다. - 동방 기독교 - 페시타
페시타는 시리아어로 기록된 성경의 표준 본문으로, 구약은 히브리어 원문에서, 신약은 디아테사론과 고 시리아어역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어 시리아 기독교 종파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아시아 지역에 큰 영향을 미쳐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고 현재까지도 시리아 전통 교회에서 표준 성경으로 사용된다. - 동방 정교회 - 교회 슬라브어
교회 슬라브어는 키릴과 메토디우스 형제가 구교회 슬라브어를 바탕으로 성경과 전례서를 번역하면서 시작되어 동슬라브 지역으로 전파, 다양한 판본으로 발전하여 정교회 지역의 예배 및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현대 슬라브어 등으로 대체되고 일부 지역에서만 예배 언어로 사용되며 현대 슬라브어, 특히 러시아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동방 정교회 - 수도복
수도복은 수도자나 성직자들이 입는 특별한 의복으로, 불교의 가사, 기독교의 수도복 등 종교 및 종파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다양하며 각 종교의 전통과 가치관을 반영한다. - 기독교에 관한 - 성공회대학교
성공회대학교는 1914년 대한성공회가 설립한 성 미카엘 신학교에서 시작되어 서울 구로구에 위치하며, 1994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면서 현재의 교명을 갖게 되었고, 민주주의, 사회 운동, 사회적 경제 분야 연구에 힘쓰는 대학교이다. - 기독교에 관한 - 기독교대한감리회
기독교대한감리회는 1884년 매클레이 선교사의 내한으로 시작된 한국 개신교 교단으로, 일제강점기 탄압을 거쳐 1949년 현재 명칭을 사용하며, 존 웨슬리의 신학을 바탕으로 공교회주의를 지향하고 교육, 의료, 사회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동방 기독교 |
---|
2. 보편교회의 중심지와 동방 기독교
보편교회의 5개 주요 대교구 중 4곳, 즉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의 이스탄불),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가 동방 기독교에 속한다.[8] 현재 이들 중 가장 큰 교세를 가진 교단은 동방 정교회이며, 동방 기독교 또는 동방 교회라고 하면 대부분 동방 정교회를 의미한다.
동방 기독교는 동유럽(그리스, 러시아 등), 북아프리카(이집트 등), 중동 지역에 분포한다. 특히 에티오피아는 유럽보다 먼저 기독교를 수용한 동방 기독교 국가이다.[8]
동방 기독교는 451년 칼케돈 공의회를 기점으로 크게 동방 정교회와 오리엔트 정교회로 나뉜다. 동방 정교회는 보편공의회의 결정을 따르는 주류 교단이며, 오리엔트 정교회는 칼케돈 공의회를 거부하는 소수 교단이다. 아시리아 동방교회는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의 결정을 거부하며, 네스토리우스파로도 불린다. 동방 가톨릭교회는 동방 기독교의 전례와 전통을 유지하면서 로마 가톨릭교회와 일치한 교회들이다.
3. 동방 기독교의 분화
동방 기독교는 로마 제국 안팎에서 그리스도론과 근본 신학에 대한 논쟁, 국가적 분열(로마, 페르시아 등)을 통해 분열되었다.[8] 동서 분열은 중세 시대 동안 유럽과 서남아시아에서 발생한 더 큰 문화적, 정치적 분열을 반영했으며, 서로마 제국 붕괴 이후 서유럽이 재부상하는 시기와 일치했다.
대부분의 동방 교회에서 교구 사제는 세례 후 유아에게 견신례 성사를 집행하며, 사제는 서품 전에 결혼할 수 있다. 동방 가톨릭교회는 로마 교황의 권위를 인정하지만, 정교회나 오리엔트 정교회의 전통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8]
동방 교회가 서방 기독교와 다른 점은 신학, 전례, 문화, 언어 및 정치와 관련이 있다.
3. 1.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는 서아시아(특히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와 터키, 동유럽, 발칸 반도, 코카서스(조지아, 압하지야, 오세티야 등)를 중심으로 신자들이 있으며, 서방 세계에서도 그 수가 증가하고 있는 기독교 종파이다.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들은 처음 일곱 차례의 에큐메니컬 공의회의 결정을 받아들인다.[9]
동방 정교회는 스스로를 그리스도와 사도들에 의해 세워진 최초의 기독교 교회(초기 기독교의 중심지 참조)로 여기며, 사도 계승과 변치 않는 신학 및 실천을 통해 초대 교회로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간다. 동방 정교회의 특징으로는 비잔틴 전례(일부 동방 가톨릭 교회와 공유)와 사도적인 성격을 지닌 성전의 지속성에 대한 강조가 있다.
동방 정교회는 지리적, 민족적, 언어적 경계에 따라 자치 관할구로 조직되어 있다. 따라서 동방 정교회는 14개 또는 16개의 자치 교회로 구성되어 있다. 더 작은 교회들은 자율적인 관계를 가지며, 각각 자치 교회인 모교회를 두고 있다.
모든 동방 정교회는 교리적 합의로 서로 연합되어 있지만, 비교리적인 이유로 현재 일부는 교류하지 않는다. 이는 가톨릭 교회와 그 다양한 교회와는 대조적이다. 후자의 구성원들은 모두 서로 교류하며, 상하 관계의 계층 구조를 이룬다. 동방 정교회는 가톨릭과는 대조적으로 필리오케 조항을 거부한다. 가톨릭 교회는 한때 동방 정교회와 교류했으나, 동서 교회 분열 이후 분열되었고 더 이상 교류하지 않는다.
전 세계 동방 정교회 신자는 약 2억 4천만 명으로 추산된다.[9] 오늘날 많은 신자들은 교회의 보편적 성격을 부인한다며 "동방"이라는 용어를 꺼린다. 그들은 동방 정교회를 단순히 ''정교회''라고 부른다.
그리스 정교회(Ελληνική Ορθόδοξη Εκκλησία|엘리니키 오르토독시 에클리시아el)는 동방 정교회라고도 불리며[46], 제7차까지의 전 세계 공의회를 승인하는 교회이다[45]。
교회 | 추산 신자 수 |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 3,500,000명 |
그루지야 정교회 | 3,500,000명 |
불가리아 정교회 | 8,000,000명 |
러시아 정교회 | 90,000,000명 |
세르비아 정교회 | 9,000,000명 이상 |
그리스 정교회(Εκκλησία της Ελλάδος|에클리시아 티스 엘라도스el) | 10,000,000명 |
루마니아 정교회 | 18,817,975명 |
일본 정교회 | 9,619명 |
러시아 정교회 해외 교류관 | - |
미국 정교회 | - |
3. 2. 오리엔트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는 니케아 공의회(325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381년), 에페소스 공의회(431년) 등 처음 세 번의 보편공의회는 인정하지만, 칼케돈 공의회(451년)의 교리는 거부한다.[45] 콥트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에티오피아 정교 테와히도 교회, 에리트레아 정교 테와히도 교회, 말란카라 정교회(인도) 등이 여기에 속한다.[45]이 교회들은 '고대 오리엔트 교회'라고도 불리며, 비잔틴 제국의 동쪽 경계와 이집트, 시리아, 메소포타미아에서 칼케돈 공의회에 대한 반발로 발전했다.
3. 3. 아시리아 동방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는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규정된 네스토리우스의 가르침을 따르는 교회이다. 네스토리우스는 예수의 인간성과 신성의 분리성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당시 기독교의 주류 신학과 달랐다.네스토리우스 분열 이후, 많은 그의 추종자들은 페르시아로 이주하여 현지 기독교 공동체와 연계되었다. 이들은 점차 네스토리우스 신학을 받아들여 '네스토리우스 교회'로 알려지게 되었다. 동방 교회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와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만을 믿음의 전통으로 정의하며, 다른 동방 기독교와는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
동방 교회는 페르시아를 통해 아시아로 널리 퍼져나갔고, 6세기에는 인도, 7세기에는 몽골과 중국에 전파되었다. 14세기까지 주기적인 확장을 경험했지만, 몽골 제국의 붕괴와 티무르의 정복으로 인해 교회가 거의 파괴되었다.
16세기에 왕조 분쟁으로 인해 교회는 분열되었고, 로마 가톨릭 교회와 친교를 맺은 칼데아 가톨릭 교회와 아시리아 동방 교회가 형성되었다. 이 두 교회의 신자들은 거의 전적으로 아시리아인이다.
인도의 성 토마스 기독교인은 1세기 사도 토마스의 복음 전파 활동에서 기원을 찾으며, 5세기까지 동방 교회 (네스토리우스 교회)의 일원이었다.[10] 17세기 중반 포르투갈령 인도의 도착까지 하나였던 신앙과 의례는 이후 분열되어 오늘날 여러 다른 의례를 따른다.
3. 4. 동방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와 완전한 일치를 이루면서도, 동방 기독교의 전례와 전통을 유지하는 교회들이다. 인도의 시로-말라바르 가톨릭교회, 마론파 등이 여기에 속한다.[8]23개의 동방 가톨릭 교회는 바티칸의 성좌와 일치를 이루며 동방 기독교의 신학적, 전례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 교회들 중 대부분은 원래 동방 정교회의 일부였으나, 이후 로마 가톨릭 교회와 화해했다.[8]
이 교회들은 대부분 원래 위에서 언급된 가족(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가톨릭 교회, 아시리아 동방 교회) 중 하나에 속해 있었으며, 그들과 정신과 전례 관행 면에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다른 동방 교회들과 마찬가지로 기혼 남성이 사제가 될 수 있으며, 본당 사제는 신비인 견진성사를 유아 세례 직후 성유 축성례를 통해 집전한다. 그 후 유아에게 성체를 영하게 한다.[8]
인도의 성 토마스 기독교인 공동체의 일부인 시로-말라바르 교회는 동 시리아 전통과 전례를 따른다. 원래 동일한 동 시리아 전통을 따르던 인도의 다른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대신 서 시리아 전통으로 넘어가 현재 오리엔트 정교회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1930년 인도 오리엔트 정교회에서 일부가 가톨릭 교회와 연합하여 시로-말란카라 가톨릭 교회가 되었다). 마론파는 로마와 분리된 적이 없다고 주장하며, 교황과 일치하지 않는 정교회 대응 교회가 없다. 따라서 이를 "유니아트" 교회라고 지칭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이탈로-알바니아 가톨릭 교회 역시 로마와 일치한 상태를 유지해 왔지만, 마론파와는 달리 비잔틴 전례를 동방 정교회와 유사하게 따른다.[8]

넓은 의미의 동방 기독교에는 전례(예배) 형식은 그리스 정교회나 동방의 여러 교회와 거의 동일하지만, 로마 교황의 수위권을 인정하고 그 산하에 들어가 교리를 로마 가톨릭 교회와 동일하게 하는 여러 교회가 포함된다.[45]
4. 동방 기독교 신학
동방 기독교 신학은 보편공의회가 열렸던 지역의 신학적 흐름을 따르며, 칼케돈 공의회의 신학적 결정을 따른다. 7차에 걸친 보편공의회 신학은 동방 정교회의 교리이자 신학이며, 보편교회 시기 5대 교회 대교구의 주류 신학과 큰 차이가 없다. 헬라어가 아닌 지역 언어를 사용하는 현재, 정교회별 지역적,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세부적인 사항들과 관습들의 차이는 존재한다.
동방 기독교는 동방 정교회와 칼케돈 공의회를 거부하는 오리엔트 정교회 계열로 크게 나뉜다. 그 외에도 에페소스 공의회 결과를 거부하는 아시리아 동방교회와 동방 고대교회, 칼케돈 공의회 결과는 받아들이나 동방 정교회와는 분리된 동방 천주교회[50] 등이 있다.
동방 기독교는 그리스도론과 근본 신학에 대한 논쟁, 국가적 분열 등으로 인해 초기 몇 세기 동안 분열되었다. 수 세기 후, 서방 기독교는 이러한 전통과 완전히 분리되어 자체적인 교회를 이루었다.
4. 1. 성모 마리아에 대한 호칭 문제
네스토리우스는 성모 마리아를 "하느님의 어머니"(Θεοτόκος|테오토코스|하느님을 낳으신 분el)로 부르는 것에 반대하고, "그리스도의 어머니"(Χριστοτόκος|크리스토토코스|그리스도를 낳으신 분el)라는 호칭을 주장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분리되어 있으며, 성모 마리아는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만을 낳았다는 교리에 따른 것이었다. 에페소스 공의회는 네스토리우스의 주장을 이단으로 규정했다.[48]4. 2. 그리스도의 본성에 대한 이해
칼케돈 공의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한 위격 안에 결합되어 있다는 양성론을 정통 교리로 확립했다.[45] 단성설은 그리스도의 신성만이 유일한 본성이라고 주장하며 이단으로 배격되었고, 비칼케돈파 정교회는 자신들의 교리를 단성설이 아닌 합성론이라고 여기며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따르지 않는다.[45]5. 동방 기독교와 서방 기독교의 관계
동방 기독교는 초기 몇 세기 동안 그리스도론과 근본 신학에 대한 논쟁, 국가적 분열(로마, 페르시아 등)을 겪으며 분열되었다. 수세기 후 서방 기독교는 이러한 전통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자체적인 교회를 이루었다. 동서 교회 분열(1054년)은 이러한 분열을 심화시키는 주요 사건이었다.[8]
동방 교회가 서방 기독교와 다른 점은 신학, 전례, 문화, 언어 및 정치와 관련이 있다. 가톨릭이 아닌 동방 교회의 경우, 분열의 시작에 대한 명확한 날짜를 일반적으로 제시하기는 어렵다. (동서 분열 참조).[8] 역사학자 에드워드 기번 이후, 로마 교회와 정교회의 분열은 편의상 1054년으로 간주되지만, 실제는 더 복잡하다. 이 분열은 때때로 '대분열'이라고 불리지만, 현재는 보통 동서 분열이라고 불린다. 이 최종 분열은 중세 시대 동안 유럽과 서남아시아에서 발생한 더 큰 문화적, 정치적 분열을 반영했으며, 서로마 제국 붕괴 이후 서유럽이 재부상하는 시기와 일치했다.
동방 기독교의 주요 분파에는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가톨릭 교회, 아시리아 동방 교회가 있으며, 각 분파는 고유한 신학과 교리를 가지고 있다.[8]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의 주요 분열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내용 |
---|---|---|
395년 | 로마 제국 분할 |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할됨. |
431년 | 에페소스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가 이단으로 간주되어 동로마 제국 교회(후의 그리스 정교)에서 분리됨. |
451년 | 칼케돈 공의회 | 단성설이 이단으로 간주되어 합성론을 교리로 하는 집단이 비칼케돈파 정교회를 형성함. |
476년 | 서로마 제국 멸망 | 서로마 제국이 멸망함. |
692년 | 트룰로 공의회 | 서방 교회는 참석을 거부, 서방 교회의 다양한 관행이 비난받음. |
867년 |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 필리오퀘 문제에 관해 로마 교황 니콜라오 1세가 파문됨. |
1054년 | 동서 교회 분열 | 교황인 로마 교황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가 상호 파문, 동서 교회 분열이 결정적. |
1180년 | 마론파 가톨릭 교회 성립 | 십자군의 영향으로 동방 가톨릭 교회 중 하나인 마론파 가톨릭 교회(원래는 단의론파) 성립. |
1449년 | 피렌체 공의회 | 동서 교회의 연합이 심의되었으나 불성립. |
1552년 | 칼데아 가톨릭 교회 성립 | 아시리아 동방 교회(네스토리우스파)에서 분리되어 동방 가톨릭 교회의 하나인 칼데아 가톨릭 교회 성립. |
1596년 | 우크라이나 동방 가톨릭 교회 성립 | 브레스트 연합에 의해 동방 가톨릭 교회의 하나인 우크라이나 동방 가톨릭 교회(원래는 그리스 정교 계열) 성립. |
5. 1. 가톨릭-정교회 에큐메니즘
1964년 교황 바오로 6세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아테나고라스 1세의 만남은 거의 1,000년 만에 가톨릭 교회와 정교회 간의 기독교 일치에 대한 희망을 불러일으켰다.[18] 이 만남에서 상호 파문이 해제된 이후, 교황 베네딕토 16세와 바르톨로메오스 1세는 공동 선언에 서명하며 '완전한 친교'를 향한 헌신을 재확인하는 등, 교황과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간의 중요한 회담이 이어졌다.[18]2013년, 바르톨로메오스 1세는 교황 프란치스코의 즉위식에 참석했는데, 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가 교황 즉위식에 참석한 최초의 사례였다.[19]
2019년, 우크라이나 정교회 수장 에피파니우스 1세는 우크라이나 정교회와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가 미래에 키이우 옥좌를 중심으로 통일된 교회로 통합될 수 있다는 이론적인 가능성을 언급했다.[20] 같은 해,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 수장 스비아토슬라프 솁чук은 키이우 교회의 원래 일치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강조하며, 가톨릭 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간의 성찬 친교 회복이 유토피아가 아니라고 언급했다.[21]
6. 동방 기독교와 아랍 문화
동방 기독교인, 특히 네스토리우스파는 우마이야 왕조와 아바스 왕조 시대에 그리스 철학자들의 작품을 시리아어로 번역하고 이후 아랍어로 번역하여 아랍 이슬람 문명에 기여했다.[25] 이들은 철학, 과학 (후나인 이븐 이스하크, 쿠스타 이븐 루카 등) 및 신학 (타티아누스, 네스토리우스 등)에 뛰어났으며, 아바스 왕조 칼리프의 개인 주치의는 종종 아시리아 기독교인인 부크티슈 가문이 맡았다.[31][32] 지혜의 집의 많은 학자들은 기독교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33]
군디샤푸르에는 병원과 의료 훈련 센터가 있었고, 이곳은 서기 271년 사산 왕조의 샤푸르 1세에 의해 설립된 페르시아 제국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다. 호스로 1세 통치 하에 에데사의 기독교 신학 및 의과대학 학자들을 포함한 그리스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철학자들이 이곳으로 피난 오면서, 의학 텍스트 번역 프로젝트를 시작했다.[34] 이들은 의과대학, 병원(비마리스탄), 약학 연구소, 번역소, 도서관 및 천문대를 설립했다.[36] 인도 의사들도 기여했으며, 특히 의료 연구자 만카가 유명하다. 이슬람 침략 이후 만카와 인도 의사 수스트라의 저술은 바그다드에서 아랍어로 번역되었다.[37] 다우드 알-안타키는 영향력 있는 아랍 기독교 작가 중 한 명이었다.
아랍 기독교인과 아랍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인, 특히 마론파는 나흐다(아랍 문화 부흥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38] 이들은 교육받은 상류층 및 부르주아 계급을 형성하여 정치, 비즈니스 및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에도 아랍 기독교인들은 아랍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비교적 부유하고 교육 수준이 높으며 정치적으로 온건하다.[39]
7. 동방 기독교의 현황
동방 기독교는 모두 같은 종교적 전통을 공유하지는 않지만, 많은 이들이 문화적 전통을 공유한다. 기독교는 초기 몇 세기 동안 로마 제국 안팎에서 그리스도론과 근본 신학에 대한 논쟁, 국가적 분열(로마, 페르시아 등)을 겪으며 동방에서 분열되었다. 수세기 후 서방 기독교는 이러한 전통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자체적인 교회를 이루었다.[8]
대부분의 동방 교회에서 교구 사제는 세례 후 유아에게 견신례 성사를 집행하며, 사제는 서품 전에 결혼할 수 있다. 동방 가톨릭 교회는 로마 교황의 권위를 인정하지만, 원래 동방 정교회나 오리엔트 정교회에 속했던 교회 중 일부는 결혼한 남성의 사제 허용 전통을 포함하여 정교회 또는 오리엔트 정교회의 전통을 따른다.
동방 정교회는 서아시아(특히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와 터키, 동유럽, 발칸 반도, 코카서스 (조지아, 압하지야, 오세티야 등)를 중심으로 신자들이 있으며, 서방 세계에서도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들은 처음 일곱 차례의 에큐메니컬 공의회의 결정을 받아들인다.
동방 정교회는 스스로를 그리스도와 사도들에 의해 세워진 최초의 기독교 교회(초기 기독교의 중심지 참조)로 여기며, 사도 계승과 변치 않는 신학 및 실천을 통해 초대 교회로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간다. 동방 정교회의 특징으로는 비잔틴 전례 (일부 동방 가톨릭 교회와 공유)와 사도적인 성격을 지닌 성전의 지속성에 대한 강조가 있다.
동방 정교회는 지리적, 민족적, 언어적 경계에 따라 자치 관할구로 조직되어 있다. 따라서 동방 정교회는 14개 또는 16개의 자치 교회로 구성되어 있다. 더 작은 교회들은 자율적인 관계를 가지며, 각각 자치 교회인 모교회를 두고 있다.
모든 동방 정교회는 교리적 합의로 서로 연합되어 있지만, 비교리적인 이유로 현재 일부는 교류하지 않는다. 이는 가톨릭 교회와 그 다양한 교회와는 대조적이다. 후자의 구성원들은 모두 서로 교류하며, 상하 관계의 계층 구조를 이룬다. 동방 정교회는 가톨릭과는 대조적으로 필리오케 조항을 거부한다. 가톨릭 교회는 한때 동방 정교회와 교류했으나, 동서 교회 분열 이후 분열되었고 더 이상 교류하지 않는다.
전 세계 동방 정교회 신자는 약 2억 4천만 명으로 추산된다.[9] 광의의 동방 기독교에는 여러 교회가 포함된다.[45] 2013년 현재, 세계에 약 23억 명의 기독교 신자가 있으며, 그중 정교회(그리스 정교) 신자는 약 3억 명이다.
참조
[1]
문서
Specific areas include [[Western Asia]], [[Asia Minor]], [[Eastern Europe]], [[Southeast Europe|Southeastern Europe]], the [[Caucasus]], [[Northeast Africa]], the [[Fertile Crescent]] and the [[Malabar coast]] of [[South Asia]], and ephemerally parts of [[Greater Iran|Persia]], [[Central Asia]] and the [[Far East]]. Historically, [[Christianity in the Persian Empire]] and in [[Nestorianism|Central Asia]] also had great importance, especially by proselytising in East and South Asia.
[2]
웹사이트
Eastern Orthodox Denomination
https://www.thoughtc[...]
2018-10-19
[3]
간행물
Orthodox Christianity in the 21st Century
https://www.pewforum[...]
2017-11-08
[4]
웹사이트
The beautiful witness of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https://catholichera[...]
2019-09-29
[5]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 Civilization
Wiley-Blackwell
[6]
서적
Bulletin for the Study of Religion, Volumes 9–12
Council on the Study of Religion
[7]
서적
Meet the American Catholic
Broadman Press
[8]
서적
The Popular Encyclopedia of Church History
Harvest House Publishers
[9]
서적
The Orthodox Church
Penguin Books
[10]
문서
A. E. Medlycott, ''India and The Apostle Thomas'', pp. 1-71, 213–297; M. R. James, ''Apocryphal New Testament'', pp. 364–436; Eusebius, ''History'', chapter 4:30; [[J. N. Farquhar]], ''The Apostle Thomas in North India'', chapter 4:30; V. A. Smith, ''Early History of India'', p. 235; L. W. Brown, ''The Indian Christians of St. Thomas'', pp. 49–59
[11]
웹사이트
Believers Eastern Church
https://www.bec.org/[...]
[12]
웹사이트
Church History
http://steci.org/chu[...]
2019-07-23
[13]
웹사이트
Heritage – Malankara Mar Thoma Syrian Church
http://marthoma.in/t[...]
[14]
서적
Orthodox Identities in Western Europe: Migration, Settlement and Innovation
Routledge
2016-05-23
[15]
웹사이트
The Divine Liturgy of Saint John Chrysostom, used by the Ukrainian Lutheran Church, and its missing elements
http://www.omhksea.o[...]
Eastern Orthodox Metropolitanate of Hong Kong and Southeast Asia
2018-09-18
[16]
웹사이트
Why is the Lutheran Church a Liturgical Church?
https://www.blc.edu/[...]
Bethany Lutheran College
2018-09-18
[17]
서적
The Ukrainian Heritage in America
Ukrainian Congress Committee of America
[18]
웹사이트
Ecumenical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http://www.ecupatria[...]
Ecupatriarchate.org
2014-03-07
[19]
웹사이트
auto
http://orthodoxyandh[...]
2013-04-08
[20]
웹사이트
Предстоятель ПЦУ Епіфаній: Найперше мусимо зберегти свою незалежність
https://espreso.tv/a[...]
[21]
웹사이트
Blazhennishyy Svyatoslav: "Vidnovlennya yevkharystiynoho spilkuvannya mizh Rymom i Konstantynopolem ne ye utopiyeyu"
https://synod.ugcc.u[...]
[22]
웹인용
Seventh Plenaey Session (Vatican Website)
https://www.vatican.[...]
2003-12-23
[23]
뉴스
Faith, Education and Income
https://economix.blo[...]
2011-05-13
[24]
Citation
US Religious Landscape Survey: Diverse and Dynamic
http://religions.pew[...]
The Pew Forum
2012-09-17
[25]
문서
Hill, Donald. ''Islamic Science and Engineering''. 1993. Edinburgh Univ. Press.
[26]
서적
The Legend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서적
Christian Communities in the Arab Middle East: The Challenge of the Future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016-10-21
[28]
서적
Jews, Antisemitism, and the Middle East
Routledge
[29]
서적
Secular Nationalism and Citizenship in Muslim Countries: Arab Christians in the Levant
Springer
[30]
웹사이트
Islamic Science and the Making of Renaissance Europe
https://www.loc.gov/[...]
2008-03-01
[31]
문서
Rémi Brague, [http://www.christiansofiraq.com/assyriancontributionstotheislamiccivilization.htm Assyrians contributions to the Islamic civilization]
[32]
문서
Britannica, [https://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409819/Nestorian Nestorian]
[33]
문서
Hyman and Walsh ''Philosophy in the Middle Ages'' Indianapolis, 1973, p. 204' Meri, Josef W. and Jere L. Bacharach, Editors, ''Medieval Islamic Civilization'' Vol. 1, A–K, Index, 2006, p. 304.
[34]
문서
''The American Journal of Islamic Social Sciences 22:2'' Mehmet Mahfuz Söylemez, ''The Jundishapur School: Its History, Structure, and Functions'', p. 3.
[35]
문서
Gail Marlow Taylor, ''The Physicians of Gundeshapur'',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p. 7.
[36]
서적
A Medical History of Persia and the Eastern Caliph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1
[37]
서적
A Medical History of Persia and the Eastern Caliph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1
[38]
웹사이트
The historical march of the Arabs: the third moment.
https://web.archive.[...]
[39]
웹사이트
Pope to Arab Christians: Keep the Faith
http://www.huffingto[...]
2016-04-20
[40]
문서
The ROC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2018, and later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primates of the Church of Greece,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the Church of Cyprus in 2020.
[41]
문서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42]
문서
Semi-autonomous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hose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43]
문서
UOC-MP was moved to formally cut ties with the ROC as of May 27th 2022.
[44]
문서
岩波キリスト教辞典P803
[45]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Wiley-Blackwell
2001-12-05
[46]
웹사이트
東方正教会とアトス
https://web.archive.[...]
[47]
웹사이트
世界正教会
https://web.archive.[...]
[48]
웹사이트
Assyrian Church of the East
http://www.atour.com[...]
[49]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Wiley-Blackwell
2001-12-05
[50]
문서
Eastern Catholic churches, 동방 예배의식을 유지한 채 천주교회에 속하는 교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