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돛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돛대는 배의 돛을 지지하는 구조물로, 항해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서양에서는 기원전 7세기 북부 지중해에서 돛대가 두 개 이상인 배가 등장했으며, 초기에는 추진력보다 조향에 도움을 주는 형태로 사용되었다.

이후 돛대의 종류와 형태는 다양하게 발전하여, 15세기에는 3개의 돛대를 갖춘 범선이 등장하며 대항해 시대를 열었다. 현대에는 알루미늄, 탄소 섬유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며, 군함에서는 관측, 통신, 레이더 등의 장비를 설치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범선 부품 - 용골
    용골은 선박의 중앙 하부 구조 부재로서 선체의 강도와 형태 유지에 중요하며,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어 선박의 성능 향상에 기여하는 핵심 부재이다.
  • 범선 부품 - 권양기
    권양기는 로프나 케이블을 감아 물건을 끌어당기거나 들어 올리는 기계 장치로, 다양한 동력원과 드럼 구조를 통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목제품 - 탄닌
    탄닌은 다수의 수산기를 가진 다가 페놀 화합물로, 과일의 색과 떫은 맛을 내고 거대 분자와 결합하며, 가죽 제조나 수렴 작용에 사용되고, 가수분해성 탄닌과 축합형 탄닌으로 나뉘며, 식물에 널리 분포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목제품 - 목탄 가스
    목탄 가스는 유기물을 불완전 연소시켜 얻는 가연성 가스로, 연료로 사용되며, 과거 석탄 가스의 대체재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일부 국가에서 자동차 및 산업용 발전기용으로 생산되어 에너지 자립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돛대

2. 역사

돛대의 역사는 고대 문명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돛대는 배의 속도와 조작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르네상스 시대의 로렌초 코스타가 그린 3마스트 선박


가장 오래된 돛대의 사용 증거는 기원전 6천년 후반 쿠웨이트의 H3 유적지에서 발견된 점토 디스크에 묘사된 두 개의 돛대가 있는 갈대 묶음 보트이다.[13]

2. 1. 고대

서양에서는 기원전 7세기경 지중해 북부 해역에서 돛대가 두 개 이상인 배가 등장했다. 최초의 앞돛대는 이탈리아 카에레의 에트루리아 피크시스에서 발견되었으며, 돛을 접은 메인 세일을 가진 전함이 앞돛대를 사용하였다.[42] 이후 고대 그리스로마 제국 시대에 돛대 기술이 발전했다.

로마의 2마스트 선박, 돛대에 전방 경사가 있는 모습


동양에서는 기원전 2세기경 칼링가와 같은 고대 인도의 왕국에서 돛대가 사용되었으며, 서기 400~500년에 제작된 아잔타 석굴 벽화에 3돛대 선박이 묘사되어 있다.[17][18]

로마 갤리선에서는 앞돛대가 조향 보조 역할로 사용되었으며, 45° 각도로 기울어져 보우 스프릿과 유사한 형태였다.[16][19] ''아르테몬''은 주돛과 탑돛과 함께 로마 제국 시대 항해 선박의 표준 장비로 발전했으며, 가장 큰 화물선에는 미즌돛이 추가되었다.[21]

돛을 단 주 돛대와 앞 돛대를 가진 로마 상선 (''코르비타'')

2. 2. 중세

중세 시대 지중해 항해에서는 큰 변화가 있었다. 초기 중세 시대가 시작될 무렵, 라틴 돛이 다시 등장했는데, 이는 오랫동안 소규모 그레코-로만 선박에서 발전해 온 것이다. 라틴 돛은 고대인들의 주요 돛 유형이었던 사각 돛을 대체했으며, 사각돛은 14세기까지 기록에서 거의 사라졌다. (반면 북유럽에서는 여전히 지배적이었다.)[25][26]

비잔틴 해군의 드로몬은 라틴 돛과 노를 사용하는 2단 노선이었다. 드로몬은 거의 확실히 두 개의 돛대를 가지고 있었는데, 더 큰 앞 돛대와 중간 돛대였다. 그 길이는 각각 12m와 8m로 추정되며, 당시 시칠리아의 군함보다 약간 작았다.[27]

중세 후기에는 대형 선박의 사용이 점점 더 증가했고, 이러한 선박을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해 추가 돛대의 필요성이 커졌다. 고대와 달리 미즌 돛대는 중세의 2마스트 선박에서 앞 돛대보다 먼저 채택되었는데, 이는 14세기 중반부터 베네치아바르셀로나의 그림 증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돛 배치를 균형 있게 하기 위해 다음 단계는 주 돛대 앞에 돛대를 추가하는 것이었고, 이는 1409년의 카탈로니아 잉크 드로잉에서 처음 나타났다. 15세기 초에는 3마스트 선박이 사각 돛과 라틴 돛으로 추진되고, 걸쇠 방향타로 조종되면서, 대항해 시대에 필요한 모든 진보된 선박 설계 기술이 갖춰졌다.[28]

2. 3. 근대

대항해 시대에는 돛대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다양한 형태의 돛대가 등장하였다. 19세기 중반까지 돛대는 주로 침엽수 목재로 만들어졌으며, 이후 속이 빈 철제 돛대가 등장하기도 했다.

3. 돛대의 종류 및 명칭

범선의 돛대는 위치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사각 돛 선박에서는 각 돛대에 여러 개의 수평 마스트가 부착되어 개별 돛이 장비된다.[9]

4개 이상의 마스트를 가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명칭이 일반화되지는 않았지만 사용되었다.


  • '''보나벤처 미즌'''(''Bonaventure mizzen''): 16세기의 대형 갤리온의 4번째 마스트. 일반적으로 미즌 마스트보다 낮고, 라틴 세일이 펴진다.
  • '''지거 마스트'''(''Jigger-mast''): 가장 뒤쪽의 마스트. 3개 이하에서도 가장 뒤쪽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5개 이상의 마스트를 가진 범선은 많지 않지만, 만약 일반화된다면 특정 명칭이 붙지 않고, 몇 번째로 세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마스트의 수는 최고 7개의 것이 건조되었다.

2개의 마스트를 가진 범선은 일반적으로 메인 마스트와 미즌 마스트(앞쪽이 높다)이지만, 브리그나 스쿠너 등 비교적 큰 범선에서는 포어 마스트와 메인 마스트(뒤쪽이 높다)이다.

접는 돛대 선박은 ''태버내클'' 앵커 포인트를 사용한다. "돛대를 고정하는 갑판 위의 부분적으로 열린 소켓 또는 이중 기둥으로, 돛대를 낮출 수 있도록 상단 근처에 피벗이 있다"[10], "돛대의 바닥이 고정된 갑판에 단단히 부착된 큰 브래킷; 돛대가 들어올려지고 내려지는 피벗을 형성하는 두 개의 측면 또는 볼트가 있다", "갑판에 돛대를 장착하기 위한 실질적인 피팅으로, 트레일러에 싣거나 다리 아래로 항해하기 위해 쉽게 낮출 수 있다"[11], "보트를 트레일러에 싣거나 다리 아래를 통과하기 위해 돛대를 수직에서 90도 쉽게 접을 수 있도록 하는 힌지 장치"[12]등으로 정의된다.

3. 1. 전장 범선 (Full-rigged ship)

사각 돛을 사용하는 범선에서 돛대는 선수(배 앞부분)에서 선미(배 뒷부분) 순서로 표준 명칭을 갖는다.

  • 앞 돛대(foremast): 선수에 가장 가까운 돛대 또는 주 돛대 앞쪽의 돛대.[3] 가장 앞에 위치하므로, 활대에 설치될 수 있다.
  • 세부 명칭: 앞 돛대 하부, 앞 탑마스트, 앞 탑갤런트 마스트
  • 주 돛대(main mast): 가장 높은 돛대. 일반적으로 선체의 중앙 근처에 위치한다.
  • 세부 명칭: 주 돛대 하부, 주 탑마스트, 주 탑갤런트 마스트, 로열 마스트 (장착된 경우)
  • 미즌 돛대(mizzen mast): 가장 뒤쪽의 돛대. 일반적으로 앞 돛대보다 짧다.[4]
  • 세부 명칭: 미즌 돛대 하부, 미즌 탑마스트, 미즌 탑갤런트 마스트


150px


16세기 대형 갤리온에는 보나벤처 미즌이라는 네 번째 돛대가 추가되기도 했다. 보나벤처 미즌은 전형적으로 라틴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주 미즌보다 짧다. 돛대가 3개 이상인 선박에서는 가장 짧은 돛대를 지거 돛대라고 부른다.

십형으로 대표되는 3개의 마스트를 가진 범선의 마스트는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다음과 같다.

  • '''포어마스트'''(''Fore-mast''): 가장 앞 열, 또는 메인 마스트 앞에 위치한다.
  • '''메인 마스트'''(''Main-mast''): 가장 높은 마스트. 일반적으로 선체 중앙에 위치한다.
  • '''미즌 마스트'''(''Mizzen-mast''): 가장 뒤, 또는 메인 마스트 뒤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포어 마스트보다 낮다.


각각의 마스트는 여러 개의 작은 마스트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각각의 마스트의 가장 하부의 마스트는 단순하게 위의 마스트 명칭에 "로어"(''lower'')를 붙여 호칭한다. 예를 들어 메인 마스트라면 "'''메인 마스트 로어'''(''Mainmast lower'')"가 된다. 그보다 위의 마스트는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다음과 같다.

  • '''톱마스트'''(''topmast'')
  • '''토건 마스트'''(''topgallant mast'')
  • '''로열 마스트'''(''royal mast'')


메인 마스트의 아래에서 2번째라면 "'''메인 톱마스트'''(''Main topmast'')"라고 부른다.

3. 2. 기타 범선

브리그는 앞돛대와 주돛대를 가진다. 스쿠너는 주돛대와 미즌돛대를 가지는데, 돛대가 두 개인 스쿠너에서는 돛대의 높이가 같더라도 뒤쪽 돛대에 더 큰 돛이 실리는 경우가 많으므로(더 긴 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뒤쪽 돛대가 주돛대이다.[7] 케치요트는 주돛대와 작은 미즌돛대를 가진다. (요트에서는 "지거"라는 용어가 뒤쪽 돛대에 가끔 사용된다.)[7]

일부 돛대 두 개짜리 러거는 앞돛대와 미즌돛대를 가지고 있으며, 주돛대는 없다. 이는 이러한 전통적인 유형이 원래 돛대가 세 개였지만, 주돛대를 없애고 나머지 돛대에 더 큰 돛을 싣는 것이 편리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특히 어선에서 작업 공간이 더 넓어졌다.[8]

4. 돛대의 구조

19세기 중반까지 돛대는 주로 침엽수 목재 하나로 만들어졌다. 배가 커지면서 여러 개의 목재를 연결하여 돛대를 만들기도 했다. 19세기에는 속이 빈 철제 돛대도 등장했다.[29] 1845년, 미국의 슬루프 마리아에는 최초의 할로우 마스트(hollow mast)가 장착되었는데, 28m 길이로 통처럼 쇠고리로 묶은 널빤지로 제작되었다. 다른 할로우 마스트는 가늘어지는 두 개의 목재를 속을 비게 하여 접착하여 만들었다.[29]

1930년대에는 대형 J급 요트에 알루미늄 합금 돛대가 도입되었다. 알루미늄 돛대는 나무 돛대보다 같은 강도에서 더 가볍고 슬림하며, 부패에 강하고, 한 번에 압출된 길이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1960년대에는 나무가 알루미늄으로 대체되었다. 일반적으로 6000계열의 알루미늄 합금이 흔히 사용된다.[30]

최근에는 일부 요트(특히 자가 건조 요트)에서 강철 돛대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강철은 알루미늄보다 약간 더 무겁지만, 훨씬 저렴하며, 동일한 강도의 강철 돛대는 알루미늄 돛대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어 난류를 줄이고 돛에 더 나은 공기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31][32]

1990년대 중반부터 경주용 요트에서는 탄소 섬유 및 기타 복합 재료를 사용하여 훨씬 더 나은 강도 대 중량비를 가진 돛대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탄소 섬유 돛대는 더욱 정밀하게 설계된 공기 역학적 프로파일로 제작할 수도 있었다.

현대식 돛대는 돛의 에어포일의 선두 부분을 형성하며, 물방울 모양의 단면을 갖는 경향이 있다. 소형 경주용 요트와 쌍동선에서는 돛대가 돛의 에어포일에 가장 적합한 각도로 회전한다. 돛대의 단면이 길고 얇으며 에어포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경우, 이를 윙 돛대라고 부른다.

항해 시대가 끝난 후, 군함은 돛대를 유지하여 처음에는 관측소로 사용하고 탄착 관측을 관찰했으며, 나중에는 거리 측정기와 같은 사격 통제 장비를 장착하고, 이후에는 레이더통신 안테나를 장착하기 위한 지점으로 사용했다. 안테나는 범위를 늘리기 위해 높이 설치해야 한다. 단순한 폴, 격자 돛대, 삼각 돛대가 사용되었으며, 과거 일부 일본 군함에서는 복잡한 탑 돛대가 사용되었다.

전후 시대의 전형적인 튜브형 알루미늄 돛대


돛과 함께 현대식 돛대 및 윙 돛대의 단면도 일러스트레이션

4. 1. 전통적인 돛대

19세기 중반까지 돛대는 주로 침엽수 목재 하나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배가 커지면서 여러 개의 목재를 연결하여 돛대를 만들게 되었다. 19세기에는 속이 빈 철제 돛대도 등장했다.[29] 1845년, 최초의 할로우 마스트(hollow mast)는 미국의 슬루프 마리아에 장착되었으며, 28m 길이로 통처럼 쇠고리로 묶은 널빤지로 제작되었다. 다른 할로우 마스트는 가늘어지는 두 개의 목재를 속을 비게 하여 접착하여 만들었다.[29]

4. 2. 현대의 돛대

19세기증기선범선을 대체했지만, 레저용 범선과 요트는 계속해서 설계되고 제작되었다.

1930년대에는 대형 J급 요트에 알루미늄 합금 돛대가 도입되었다. 알루미늄 돛대는 나무 돛대보다 같은 강도에서 더 가볍고 슬림하며, 부패에 강하고, 한 번에 압출된 길이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1960년대에는 나무가 알루미늄에 의해 대체되었다. 일반적으로 6000계열의 알루미늄 합금이 흔히 사용된다.[30]

최근에는 일부 요트(특히 자가 건조 요트)에서 강철 돛대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알루미늄보다 약간 더 무겁지만, 강철 자체의 장점이 있다. 강철은 훨씬 저렴하며, 동일한 강도의 강철 돛대는 알루미늄 돛대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어 난류를 줄이고 돛에 더 나은 공기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31][32]

1990년대 중반부터 경주용 요트에서는 훨씬 더 나은 강도 대 중량비를 가진 돛대를 제작하기 위해 탄소 섬유 및 기타 복합 재료의 사용을 도입했다. 탄소 섬유 돛대는 더욱 정밀하게 설계된 공기 역학적 프로파일로 제작할 수도 있었다.

현대식 돛대는 돛의 에어포일의 선두 부분을 형성하며, 물방울 모양의 단면을 갖는 경향이 있다. 소형 경주용 요트와 쌍동선에서는 돛대가 돛의 에어포일에 가장 적합한 각도로 회전한다. 돛대의 단면이 길고 얇으며 에어포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경우, 이를 윙 돛대라고 부른다. 이러한 돛대를 사용하는 보트는 돛대 면적이 더 커지므로 돛 면적을 줄여 이를 보상한다.

항해 시대가 끝난 후, 군함은 돛대를 유지하여 처음에는 관측소로 사용하고 탄착 관측을 관찰했으며, 나중에는 거리 측정기와 같은 사격 통제 장비를 장착하고, 이후에는 레이더통신 안테나를 장착하기 위한 지점으로 사용했다. 안테나는 범위를 늘리기 위해 높이 설치해야 한다. 단순한 폴, 격자 돛대, 삼각 돛대가 사용되었으며, 과거 일부 일본 군함에서는 복잡한 탑 돛대가 사용되었다.

5. 현대적 발전

19세기에 증기선이 범선을 대체했지만, 레저용 범선과 요트는 계속해서 설계되고 제작되고 있다.

1930년대에는 대형 J급 요트에 알루미늄 돛대가 도입되었다. 알루미늄 돛대는 나무 돛대보다 같은 강도에서 더 가볍고 슬림하며, 부패에 강하고, 한 번에 압출된 길이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60년대에는 나무가 알루미늄에 의해 대체되었다. 일반적으로 6000계열의 알루미늄 합금이 흔히 사용된다.[30]

최근에는 일부 요트(특히 자가 건조 요트)에서 강철 돛대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알루미늄보다 약간 더 무겁지만, 강철은 훨씬 저렴하며, 동일한 강도의 강철 돛대는 알루미늄 돛대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어 난류를 줄이고 돛에 더 나은 공기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31][32]

1990년대 중반부터 경주용 요트에서는 훨씬 더 나은 강도 대 중량비를 가진 돛대를 제작하기 위해 탄소 섬유 및 기타 복합 재료의 사용을 도입했다. 탄소 섬유 돛대는 더욱 정밀하게 설계된 공기역학적 프로파일로 제작할 수도 있었다.

현대식 돛대는 돛의 에어포일의 선두 부분을 형성하며, 물방울 모양의 단면을 갖는 경향이 있다. 소형 경주용 요트와 쌍동선에서는 돛대가 돛의 에어포일에 가장 적합한 각도로 회전한다. 돛대의 단면이 길고 얇으며 에어포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경우, 이를 윙 돛대라고 부른다. 이러한 돛대를 사용하는 보트는 돛대 면적이 더 커지므로 돛 면적을 줄여 이를 보상한다.

6. 비항해적 용도

항해 시대가 끝난 후에도 군함들은 돛대를 계속 사용했다. 초기에는 돛대를 관측소로 활용하거나 탄착 관측을 위한 장비를 설치했다. 이후에는 거리 측정기와 같은 사격 통제 장비를 장착했고, 더 나아가 레이더통신 안테나를 설치하는 데 사용되었다. 안테나는 더 넓은 범위를 확보하기 위해 높이 설치해야 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단순한 폴, 격자 돛대, 삼각 돛대가 사용되었고, 과거 일본 군함에서는 복잡한 탑 돛대가 사용되기도 했다.[30][31][32]


  • --
  • --
  • --
  • --
  • --


증기 기관의 발달로 돛을 사용하지 않는 배가 만들어졌지만, 높은 위치에 설치해야 하는 신호 깃발이나 항해등 때문에 마스트는 계속 설치되었고, 그 명칭은 유지되었다. 또한 레이다, 통신 안테나의 설치도 이루어지게 되었다. 높은 위치에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높은 위치에 있는 함교 위에 짧은 마스트가 설치된 배도 있다. 군함에서는 한때 높아진 함교가 그 대신이 되었고, 측거기와 레이더가 설치되었다. 또한, 굴뚝과 마스트를 일체화시킨 맥(mast와 stack을 합친 신조어)이라고 불리는 구조도 한때 널리 사용되었다.

롤바흐 금속 항공기가 설계한 일부 비행정에는 탈착 가능한 돛대가 있어, 착수 후에 돛을 펼쳐 저속으로 항해할 수 있었다.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nautical words and terms Brown, Son & Ferguson 1973
[2] 서적 Seamanship in the Age of Sail Naval Institute Press 1992
[3] 서적 The Price of Admiralty https://archive.org/[...] Viking 1989
[4] 서적 Seamanship in the Age of Sail Naval Institute Press 1992
[5] 서적 Seamanship in the Age of Sail Naval Institute Press 1992
[6] 서적 Square Rigger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ransportation Trails 1994
[7] 서적 Sailing Rigs, an Illustrated Guide Chatham Publishing 2005
[8] 서적 Sailing Drifters: The story of the herring lugger of England, Scotland and the Isle of Man David and Charles (Publishers) Limited 1952
[9] 서적 Seamanship in the Age of Sail Naval Institute Press 1992
[10] 사전 New Oxford American Dictionary Apple Dictionary
[11] 웹사이트 Tabernacle http://www.seatalk.i[...] Sea Talk Nautical Dictionary 2023-09-26
[12] 웹사이트 Tabernacle http://www.yourdicti[...] Your Dictionary
[13] 간행물 Boat remains and maritime trade in the Persian Gulf during the sixth and fifth millennia BC https://www.cambridg[...] 2006-03-01
[14] 간행물 "The Earliest Foresail, on Another Etruscan Vase" 1999
[15] 간행물 "The Earliest Two-masted Ship" 1963
[16] 간행물 "Two-masted Greek ships" 1980
[17] 웹사이트 Ancient Indian Ship https://www.worldhis[...] 2022-12-05
[18] 웹사이트 Ajanta: Boat from right wall of Cave II. https://www.bl.uk/on[...] 2022-12-05
[19] 간행물 "The Earliest Two-masted Ship" 1963
[20] 간행물 "Archaeological Evidence of the Foremast on Ancient Sailing Ships" 1996
[21] 서적 "Ships and Seamanship in the Ancient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5
[22] 서적 "Ships and Seamanship in the Ancient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5
[23] 서적 "Ships and Seamanship in the Ancient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5
[24] 서적 "Ships and Seamanship in the Ancient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5
[25] 서적 "Ships and Seamanship in the Ancient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5
[26] 서적 "The Age of the ΔΡΟΜΩΝ. The Byzantine Navy ca. 500–1204" Brill Academic Publishers 2006
[27] 서적 "The Age of the ΔΡΟΜΩΝ. The Byzantine Navy ca. 500–1204" Brill Academic Publishers 2006
[28] 간행물 "A Three-masted Ship Depiction from 1409" 1994
[29] 서적 Rigs and Rigging of Yachts W&J Mackay & Co. Ltd.
[30] 논문 "SAILING YACHT DESIGN." 2009
[31] 웹사이트 Build your own steel masts http://www.yachtmoll[...] Yacht Mollymawk 2013-07-09
[32] 웹사이트 Dudley Dix Yacht Design FAQ - Steel Boats http://www.dixdesign[...]
[33] 문서 1845年]]にアメリカで造られた[[スループ]]が最初で、92フィートの高さを持っていた。
[34] 간행물 "Two-masted Greek ships" 1980
[35] 간행물 "The Earliest Two-masted Ship" 1963
[36] 서적 Ships and Seamanship in the Ancient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5
[37] 서적 Ships and Seamanship in the Ancient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5
[38] 서적 Ships and Seamanship in the Ancient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5
[39] 서적 The Age of the ΔΡΟΜΩΝ. The Byzantine Navy ca. 500–1204 Brill Academic Publishers 2006
[40] 논문 A Three-masted Ship Depiction from 1409 1994
[41] 서적 Dictionary of nautical words and terms Brown, Son & Ferguson 1973
[42] 간행물 The Earliest Foresail, on Another Etruscan Vase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