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이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이더는 전자기파를 발사하여 물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분석하여 거리, 속도, 방향 등의 정보를 얻는 기술이다. 1930년대 독일과 영국에서 실용화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영국 본토 항공전과 태평양 전쟁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레이더는 송신기, 수신기, 안테나 등으로 구성되며, 펄스파, 연속파, 펄스-도플러 등 다양한 신호 방식을 사용한다. 기상, 항공, 해상,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이미징 레이더, 바이스태틱 레이더, 패시브 레이더 등 특수한 형태도 존재한다. 전파의 굴절, 감쇠, 클러터 등의 외부 환경 요인이 레이더 성능에 영향을 미치며, 관련 법규에 따라 무선국 면허 및 무선종사자 자격이 규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법 장치 - 나침반
    나침반은 지구 자기장을 이용하여 방향을 지시하는 도구로, 자기 나침반 외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항해, 탐험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고 현대에도 널리 활용된다.
  • 항법 장치 - 풍속계
    풍속계는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기구로, 다양한 과학자들의 연구를 거쳐 컵 풍속계, 날개 풍속계, 열선 풍속계, 초음파 풍속계, 레이저 도플러 풍속계, 압력 풍속계 등 여러 종류가 개발되어 기상 관측, 풍력 발전, 항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1940년대 신조어 - 비정부 기구
    비정부 기구(NGO)는 정부나 회원국이 아닌 민간 조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지만, 신자유주의적 패러다임, 외교 정책 수단으로 사용, 자금 조달 등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 1940년대 신조어 - 지진 활동
    지진 활동은 특정 지역의 지진 발생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며, 지진으로 방출된 에너지, 위도 및 경도 간격, 진원 깊이 간격,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단위당 에너지로 표현한다.
  • 레이더 - 레이더 반사 면적
    레이더 반사 면적(RCS)은 레이더 전파가 목표물에 부딪혀 산란되는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가상적인 면적으로, 물체의 재질, 형태, 방향 등에 따라 달라지며 스텔스 기술은 이를 최소화하여 레이더 탐지를 회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레이더 - 레이더 흡수 물질
    레이더 흡수 물질(RAM)은 레이더 신호 반사를 줄여 탐지를 어렵게 하는 물질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가 존재하며 나노 기술 발전으로 성능이 향상되었지만, 비용, 유지보수, 환경 요인 등의 문제점과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 극복 과제를 안고 스텔스 성능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레이더
레이더
장거리 레이더 안테나
장거리 레이더 안테나, ABM 시험과 함께 로널드 레이건 시험장에서 우주 물체를 탐지하고 추적하는 데 사용됨.
이스라엘 군용 레이더
항공 교통 관제에 사용되는 레이더의 일반적인 형태. 안테나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며, 좁은 수직 부채꼴 모양의 빔으로 지역 항공을 훑어 모든 고도에서 항공기를 탐지함.
정의
정의전파를 사용하여 물체의 거리, 방향, 속도 등을 탐지하는 시스템.
어원
어원Radio Detection and Ranging의 약자 (RADAR). 1940년 11월 미국 해군 중령 Samuel M. Tucker와 F.R. Furth가 공식적으로 명명함.
작동 원리
작동 원리레이더는 전파를 방출하고, 물체에 부딪혀 반사된 전파를 수신하여 물체를 탐지함.
전파가 돌아오는 시간과 방향을 분석하여 물체의 거리와 위치를 계산함.
역사
역사1943년 10월 2일 Nature지에 "Radio Detection and Ranging"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림.
활용
활용 분야항공 교통 관제
기상 관측
군사
자동차 (자율 주행)
해양 탐사
지구 관측
우주 탐사
기술적 특징
탐지 거리단거리부터 장거리까지 다양함.
사용 전파마이크로파 대역의 전파를 주로 사용함.
안테나다양한 형태의 안테나가 사용됨.
신호 처리복잡한 신호 처리 기술을 사용함.
참고 문헌
참고문헌




2. 역사

PPI 스코프 애니메이션


박쥐초음파를 발사해 그 반사음으로 어두운 곳에서도 장애물에 부딪치지 않고 비행하는 것에서 레이더 개발의 힌트를 얻었다.

1930년대에 독일과 영국 등에서 레이더가 실용화되었으며, 1940년 영국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독일 공군의 공습에 대한 요격 전투에 레이더를 사용하였다. 초기의 레이더는 비가 내리면 반사되어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고, 지향성도 불충분했다.

야기-우다 안테나우다 신타로야기 히데쓰구가 발명한 획기적인 기술로, 지향성을 갖추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 기술은 구미에서 크게 호평받아 각국에서 군사적 기술 개발이 급속히 진행되었다. 미국 해군은 시마오키 해전과 빌라·스탄모아 야전에서 레이더를 활용해 일본 해군을 상대로 승리했다. 그러나 당시 일본군은 야기-우다 안테나를 불필요한 것으로 배제하여 레이더 개발을 하지 않았고, 이후 미군이 이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을 알고 서둘러 개발했지만 이미 늦었다.

전자파 발생에는 마그네트론 또는 클라이스트론 진공관이 사용되었으며, 그 성능 향상에 따라 레이더의 성능도 향상되었다. 반도체 증폭기를 사용하는 위상 배열 방식도 사용된다.

현재는 전파 집적도를 높이기 위해 대형 파라볼라 안테나를 사용하며, Slotted waveguide antenna, Horn antenna, Phase shift array antenna 등도 레이더 전자파 송수신에 사용된다.

2. 1. 초기 실험

1930년대에 독일과 영국 등에서 레이더가 실용화되었으며, 1940년 영국은 독일 공군의 공습에 대한 요격 전투에 레이더를 사용하였다. 초기의 레이더는 비가 내리면 반사되어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고, 지향성도 불충분했다.[8]

야기-우다 안테나일본 과학자 우다 신타로와 야기 히데쓰구가 발명한 획기적인 기술로, 지향성을 갖추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 기술은 구미에서 크게 호평받아 각국에서 군사적 기술 개발이 급속히 진행되었고,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영국 공군이 레이더를 활용한 방공 시스템으로 독일 공군의 공습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미국 해군은 시마오키 해전과 빌라·스탄모아 야전에서 레이더를 활용해 일본 해군을 상대로 승리했다. 그러나 당시 일본군은 야기-우다 안테나를 불필요한 것으로 배제하여 레이더 개발을 하지 않았고, 이후 미군이 이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을 알고 서둘러 개발했지만 이미 늦었다.[8]

1930년대 후반 미 해군 연구소(미국, 아나코스티아)의 실험용 레이더 안테나(1945년 촬영)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영국, 프랑스 제3공화국,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네덜란드,[21] 소비에트 연방, 그리고 미국은 각각 매우 비밀리에 현대 레이더로 이어지는 기술을 개발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남아프리카는 전쟁 전 영국의 레이더 개발을 따랐고, 헝가리 왕국은 전쟁 중 자체 레이더 기술을 개발했다.

1886년 초, 독일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는 전파가 고체 물체에서 반사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895년, 알렉산더 스테파노비치 포포프는 원거리 낙뢰를 감지하기 위해 코히어러관을 사용하는 장치를 개발했고, 1897년에는 발트 해에서 두 척의 배 사이에 통신 실험 중 세 번째 선박의 통과로 인한 간섭 현상을 발견했다. 포포프는 이 현상을 물체 감지에 사용할 수 있다고 썼지만, 더 이상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8]

독일 발명가 크리스티안 휠스마이어는 1904년에 짙은 안개 속에서 배를 감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같은 해 4월에 탐지 장치에 대한 특허[10]를, 나중에는 배까지의 거리를 추정하기 위한 특허[11]를 받았다. 1904년 9월 23일에는 "텔레모빌로스코프"라고 부르는 완전한 레이더 시스템에 대한 영국 특허를 받았다.[12] 이 시스템은 50cm 파장에서 작동했으며, 쾰른로테르담 항구에서 실제 테스트를 통해 독일 군 관계자들에게 제시되었지만 거부되었다.[13]

1915년, 로버트 왓슨-왓는 전파 기술을 사용하여 조종사들에게 뇌우에 대한 사전 경고를 제공했다.[14][15] 1920년대 동안 영국 연구 기관을 이끌면서 단파 전송 연구를 통해 무선 방향 탐지 전문가가 되었다.

1922년, 미국 해군 연구원 A. 호이트 테일러와 레오 C. 영은 포토맥 강에서 선박이 빔 경로를 통과할 때 수신 신호가 페이딩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8년 후, 해군 연구소(NRL)의 로렌스 A. 하일랜드는 지나가는 항공기에서 유사한 효과를 관찰했고, 이는 이동 목표물의 무선 에코 신호에 대한 추가 연구 제안으로 이어졌다.[17]

영국에서는 L. S. Alder가 1928년 해군 레이더에 대한 비밀 임시 특허를 취득했다.[18] W. A. S. 부테먼트와 P. E. 폴라드는 50cm(600MHz)에서 작동하고 펄스 변조를 사용하는 브레드보드 테스트 장치를 개발하여 1931년 1월에 왕립 공병대의 "발명품 책"에 기록되었다. 이것은 체인 홈의 체인 홈 로우에 통합된 기술에 대한 영국 최초의 공식 기록이다.[19][20]

1934년 프랑스에서는 모리스 퐁테가 이끄는 연구 부서에서 장애물 탐지 무선 장치 개발을 시작했으며, 그 일부는 1935년 대형 여객선 노르망디호에 설치되었다.[22][23]

같은 시기에 소련의 파벨 K. 오셰프코프는 1934년 실험 장치인 RAPID를 제작했다.[24] 소련은 1939년 최초의 대량 생산 레이더인 RUS-1과 RUS-2 레두트(Redut)를 생산했지만, 오셰프코프의 체포와 굴락 수감으로 인해 추가 개발이 지연되었다.

로버트 왓슨-왓트와 그의 팀이 만든 최초의 작동 가능한 장치


1934년 12월, 미국 해군 연구소의 로버트 M. 페이지는 최초의 펄스 시스템 레이더를 시연했다.[26] 1935년, 미국 육군은 야간에 해안 포대 탐조등을 조준하기 위한 지대지 레이더를 시험했다.[27] 같은 해 독일의 루돌프 퀴홀트와 GEMA사가 펄스 시스템을 시연했고, 1935년 6월에는 영국 공군성 팀이 로버트 왓슨-왓의 지휘 아래 펄스 시스템을 시연했다.

1935년 왓슨-왓트는 독일의 무선 기반 죽음의 광선에 대한 보고서를 평가하라는 요청을 받고, 아놀드 프레데릭 윌킨스와 함께 연구하여 1935년 2월 26일 데번트리 실험을 통해 항공기 탐지 가능성을 확인했다. 휴 도딩은 이 시스템의 잠재력에 깊은 인상을 받아 추가 개발 자금이 제공되었다.[28] 왓슨-왓트의 팀은 GB593017 특허로 이 장치를 특허받았다.[29][30][31]

영국 에식스주 그레이트 배도의 체인 홈 타워


로버트 왓슨-왓트와 아놀드 윌킨스를 기념하는 기념비


1936년 9월 1일, 왓슨-왓트는 보드시 연구소의 소장이 되어 레이더 개발을 크게 확장했다. 그 결과 체인 홈이라고 불리는 항공기 탐지 및 추적 기지가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에 맞춰 영국의 동부 및 남부 해안에 설치되었고, 영국의 전투에서 영국 공군이 승리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1930년대독일과 영국 등에서 레이더가 실용화되어 1940년 영국은 독일 공군의 공습에 대한 요격 전투에 사용하였다. 초기의 레이더는 비가 내리면 반사되어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고, 지향성도 불충분했다.[8]

히데쓰구 야기와 신타로 우다가 발명한 야기 안테나는 지향성을 갖추는 획기적인 기술이었다. 이것은 구미에서 크게 호평을 받아 각국에서 군사면에서의 기술개발이 급속히 진행되었다. 그 성과는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꽃피웠다. 독일 공군의 공습에 대해서 영국 공군은 레이더를 사용한 방공 시스템으로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었다. 또한 시마오키 해전과 빌라·스탄모아 야전에서 미국 해군은 레이더를 활용해 일본 해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이렇게 해서 레이더는 전쟁을 좌우하는 중요한 정보기기가 되었다.[8]

당시 일본군은 야기-우다 안테나를 완전히 불필요한 것으로 배제해 레이더 개발은 하지 않았다. 그 후 미군이 야기-우다 안테나를 이용하고 있는 것을 알고 서둘러 개발했지만 이미 때는 늦었다.[8]

전자파 발생은 마그네트론 또는 클라이스트론 진공관을 사용했다. 그 성능 향상에 따라서 레이더의 성능도 올라갔다.[8]

핵심적인 발전은 영국에서 개발된 마그네트론이었는데, 이를 통해 미터 이하의 해상도를 가진 비교적 소형 시스템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영국은 1940년 티자드 미션 기간 동안 미국과 이 기술을 공유했다.[32][33]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30년대에 독일과 영국 등에서 레이더가 실용화되었고, 1940년 영국은 독일 공군의 공습에 대한 요격 전투에 레이더를 사용하였다. 초기의 레이더는 비가 오면 반사되어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고, 지향성도 좋지 않았다.[8]

야기-우다 안테나일본인 과학자 우다 신타로야기 히데쓰구가 발명한 지향성을 갖춘 획기적인 기술이었다. 이 안테나는 구미에서 크게 호평받아 각국에서 군사 기술 개발이 급속히 진행되었고,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영국 공군이 독일 공군의 공습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미국 해군은 시마오키 해전과 빌라·스탄모아 야전에서 레이더를 활용하여 일본 해군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일본군은 야기-우다 안테나를 불필요한 것으로 배제하여 레이더 개발을 하지 않았다. 이후 미군이 야기-우다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을 알고 서둘러 개발했지만, 이미 늦은 상황이었다.

전자파 발생에는 마그네트론 또는 클라이스트론 진공관이 사용되었으며, 그 성능 향상에 따라 레이더의 성능도 향상되었다. 반도체 증폭기를 사용하는 위상 배열 방식도 사용된다.

현재는 전파 집적도를 높이기 위해 대형 파라볼라 안테나를 사용하며, Slotted waveguide antenna, Horn antenna, Phase shift array antenna 등도 레이더 전자파 송수신에 사용된다.

영국 동부 해안의 체인 홈 레이더 운영자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21] 소련, 미국 등은 비밀리에 레이더 기술을 개발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영국의 레이더 개발을 따랐고, 헝가리스웨덴은 전쟁 중 자체 레이더 기술을 개발했다.

1934년 프랑스에서는 분할 양극 마그네트론 연구에 이어, 모리스 퐁테(Maurice Ponte)가 이끄는 CSF(Compagnie générale de la télégraphie sans fil) 연구 부서에서 장애물 탐지 무선 장치를 개발했으며, 일부는 1935년 ''노르망디''호에 설치되었다.[22][23]

같은 시기 소련의 군사 기술자 P.K. 오셰프코프는 레닌그라드 전기 기술 연구소와 협력하여 3km 이내의 항공기를 탐지할 수 있는 실험 장치 RAPID를 제작했다.[24] 소련은 1939년 최초의 대량 생산 레이더 RUS-1과 RUS-2 레두트(Redut)를 생산했지만, 오셰프코프의 체포와 굴락 수감으로 개발이 지연되었다. Gneiss-2는 최초의 러시아 항공 레이더로, 1943년 6월 Pe-2 급강하 폭격기에 처음 사용되었다.[25]

1934년 12월, 로버트 M. 페이지는 미국 해군 연구소에서 최초의 펄스 시스템 레이더를 시연했다.[26] 1935년, 미국 육군은 야간에 해안 포대 탐조등을 조준하기 위한 지대지 레이더를 시험했다.[27] 1935년 5월에는 독일의 루돌프 퀴홀트(Rudolf Kühnhold)와 GEMA사가, 1935년 6월에는 로버트 왓슨-왓이 이끄는 영국 공군성(Air Ministry) 팀이 펄스 시스템을 시연했다.

1935년 왓슨-왓트는 독일의 무선 기반 죽음의 광선 보고서를 평가하라는 요청을 받고, 윌킨스(Wilkins)에게 이를 넘겼다. 윌킨스는 시스템이 불가능하다는 계산 결과를 돌려주었고, 왓슨-왓트는 그러한 시스템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물었고, 윌킨스는 항공기가 무선 간섭을 일으킨다는 보고서를 떠올렸다. 1935년 2월 26일, 데번트리 실험(Daventry Experiment)에서 BBC 단파 송신기를 사용하고, 폭격기가 현장 주변을 비행하는 동안 GPO 수신기 설정을 사용하여 비행기를 명확하게 감지했다. 공군 보급 및 연구 담당관(Air Member for Supply and Research)인 휴 도딩(Hugh Dowding)은 이 시스템의 잠재력에 깊은 인상을 받아 추가 개발 자금이 제공되었다.[28] 왓슨-왓트의 팀은 GB593017 특허로 이 장치를 특허받았다.[29][30][31]

1936년 9월 1일, 왓슨-왓트는 보드시 연구소의 소장이 되면서 레이더 개발이 확장되었다. 그 결과 체인 홈이라고 불리는 항공기 탐지 및 추적 기지가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에 맞춰 영국의 동부 및 남부 해안에 설치되었다. 이 시스템은 영국 공군이 영국의 전투에서 승리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다.

필요한 자금과 개발 지원을 받은 팀은 1935년에 작동하는 레이더 시스템을 생산하고 배치를 시작했다. 1936년까지 최초의 5개 체인 홈(CH) 시스템이 가동되었고, 1940년까지 영국 전역으로 확장되었다. CH는 조준된 안테나에서 송신 및 수신하는 대신, 앞쪽 전체 영역을 조명하는 신호를 방송하고, 왓슨-왓트의 무선 방향 찾기 장치를 사용하여 반환된 에코의 방향을 결정했다.

핵심적인 발전은 영국에서 개발된 마그네트론이었는데, 이를 통해 미터 이하의 해상도를 가진 비교적 소형 시스템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영국은 1940년 티자드 미션 기간 동안 미국과 이 기술을 공유했다.[32][33]

1940년 4월, ''파퓰러 사이언스''는 방공에 관한 기사에서 왓슨-왓트 특허를 사용한 레이더 장치의 예를 보여주었다.[34] 1941년 말 ''파퓰러 메카닉스''는 미국 과학자가 영국 동부 해안의 조기 경보 시스템에 대해 추측한 기사를 실었다.[35] 알프레드 리 루미스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 비밀 MIT 방사선 연구소를 설립하여 1941년부터 1945년까지 마이크로파 레이더 기술을 개발했다. 1943년, 페이지는 모노펄스 기법을 통해 레이더를 개선했다.[37]

전쟁은 더 나은 해상도, 더 높은 휴대성, 그리고 더 많은 기능을 갖춘 레이더 개발 연구를 촉진했는데, 여기에는 야간 전투기( 항공기 요격 레이더)와 해상초계기( 공대함 레이더)에 장착할 수 있는 소형 경량 장비와 오보와 같은 보완적인 항법 시스템이 포함된다.

3. 원리

레이더는 강한 전자기파를 발사하고, 물체에 맞아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파를 분석하여 대상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때, 전파의 특성에 따라 탐지 거리와 해상도가 달라진다. 파장이 긴 저주파는 멀리까지 탐지 가능하지만 해상도가 낮고, 파장이 짧은 고주파는 수증기, , 등에 쉽게 흡수되거나 반사되어 탐지 거리는 짧지만 높은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레이더의 기본 원리


이러한 특성 때문에, 대공 레이더나 대지 레이더처럼 멀리 있는 목표물을 빨리 찾아야 할 때는 저주파 전파를 사용하고, 사격 관제 레이더처럼 목표물의 형태나 크기를 정밀하게 측정해야 할 때는 고주파 전파를 사용한다.

레이더는 전파를 방출하는 송신기와 반사된 신호를 받는 수신기로 구성된다. 송신된 전파가 물체에 부딪히면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거나 산란되며, 일부는 흡수되거나 물체를 통과한다. 금속, 바닷물, 습지와 같이 전기 전도도가 높은 물질은 레이더 신호를 특히 잘 반사한다.

물체가 움직이면 도플러 효과에 의해 전파의 주파수가 변하는데, 이를 통해 물체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레이더 수신기는 보통 송신기와 같은 위치에 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수신된 신호는 매우 약하므로 전자 증폭기로 강화하고, 신호 처리를 통해 유용한 신호를 얻는다.

전파는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과 달리 안개, 구름, 비, 눈 등의 기상 현상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 그러나 수증기, 빗방울, 대기 가스(특히 산소)에 의해 흡수되거나 산란되는 특정 주파수는 피해야 한다.

모든 전자기파에서 전기장은 진행 방향에 수직이며, 이 방향이 파동의 편광이다. 레이더는 수평, 수직, 선형, 원형 편광 등 다양한 편광을 사용하여 반사 특성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원형 편광은 비로 인한 간섭을 줄이고, 선형 편광은 금속 표면을 나타낸다. 무작위 편광은 암석이나 토양 같은 프랙탈 표면을 나타내며 항해 레이더에 사용된다.

레이더는 자체 전파를 사용하며, 인공적인 전파를 물체에 쏘는 과정을 '조명(illumination)'이라고 한다. 전자기파가 한 물질을 통과하다가 다른 물질(다른 유전율 또는 반자성 상수)을 만나면 경계에서 반사되거나 산란된다. 금속, 탄소 섬유 등 전도성 물질은 레이더에 잘 탐지되며, 레이더 흡수재는 레이더 반사를 줄이기 위해 군용 차량에 사용된다.

레이더파는 파장과 표적 크기에 따라 다르게 산란된다. 파장이 짧으면 거울처럼 반사되고, 길면 표적이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초기 레이더는 긴 파장을 사용했지만, 현대에는 빵 한 덩어리만큼 작은 물체도 탐지할 수 있는 짧은 파장을 사용한다. 짧은 파장은 곡선과 모서리에서 잘 반사되며, 코너 반사기는 레이더 반사체로 사용된다. 스텔스기는 탐지를 피하기 위해 내부 모서리나 표면이 없는 독특한 모양을 가진다.

3. 1. 기본 원리

강한 전자기파를 발사하고 그것이 물체에 맞고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전자파를 분석하여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기상용 레이더의 경우, 빗방울(눈송이도 포함한다)로부터 반사되는 반사파의 전력 밀도를 측정하여 그 지점에서의 우량(강수 강도)을 검출한다.[45]

레이더에 파장이 긴 저주파를 사용하면 전파의 감쇄가 작고 먼 곳까지 탐지할 수가 있지만 정밀한 측정이 되지 않아 해상도는 나빠진다. 반대로 파장이 짧은 고주파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수증기, , 등에 흡수 또는 반사되기 쉽기 때문에 감쇄가 커서 먼 곳까지 탐지하지 못하지만 높은 해상도를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대공 레이더, 대지 레이더 등 원거리의 목표물을 빨리 발견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저주파의 전파를 사용하고 사격 관제 레이더 등 목표의 형태나 크기 등을 정밀하게 측정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고주파의 전파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13비트 바커 부호를 보여주는 3차원 도플러 레이더 스펙트럼


레이더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레이더 신호'로 알려진 전파를 방출하는 송신기를 가지고 있다. 이 신호들이 물체와 접촉하면 대부분의 신호는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거나 산란되지만, 일부는 흡수되거나 표적 내부로 투과된다. 레이더 신호는 대부분의 금속, 바닷물, 습지와 같이 상당한 전기 전도도를 가진 물질에 의해 특히 잘 반사된다. 이는 특정 경우 레이더 고도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레이더 수신기로 다시 반사되는 레이더 신호는 레이더 탐지가 작동하는 데 바람직한 신호이다. 물체가 송신기 쪽으로 또는 송신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면'', 도플러 효과로 인해 전파의 주파수에 약간의 변화가 있을 것이다.

레이더 수신기는 보통 송신기와 같은 위치에 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수신 안테나가 포착한 반사된 레이더 신호는 일반적으로 매우 약하다. 이 신호는 전자 증폭기를 통해 강화될 수 있다. 유용한 레이더 신호를 복구하기 위해 더 정교한 신호 처리 방법도 사용된다.

전파가 통과하는 매질에 의한 흡수가 약하다는 것은 레이더 장치가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 물체를 탐지할 수 있게 하는 요인이다. 이 거리는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과 같은 다른 전자기파 파장이 너무 강하게 감쇠되는 거리이다. 가시광선을 차단하는 안개, 구름, 비, 눈, 진눈깨비와 같은 기상 현상은 일반적으로 전파에 대해 투명하다. 수증기, 빗방울 또는 대기 가스(특히 산소)에 의해 흡수되거나 산란되는 특정 무선 주파수는 해당 탐지가 의도되지 않은 경우 레이더를 설계할 때 피한다.

레이더는 태양이나 달의 빛, 또는 표적 물체 자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열)과 같은 전자기파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전파를 사용한다. 인공적인 전파를 물체를 향해 쏘는 이 과정을 ''조명(illumination)''이라고 하지만, 전파는 사람의 눈이나 광학 카메라로는 볼 수 없다.

이 1960년 기상 레이더 영상( 허리케인 애비 )에서처럼 밝기는 반사율을 나타낼 수 있다. 레이더의 주파수, 펄스 형태, 편광, 신호 처리 및 안테나는 관찰할 수 있는 것을 결정한다.


한 물질을 통과하는 전자기파가 다른 물질을 만나면, 첫 번째 물질과 다른 유전율 또는 반자성 상수를 가지는 경우, 파는 물질 사이의 경계에서 반사되거나 산란된다. 이것은 공기 중의 고체 물체 또는 진공 상태의 고체 물체, 또는 물체와 주변 환경 사이의 원자 밀도의 상당한 변화가 일반적으로 표면에서 레이더(무선)파를 산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금속과 탄소 섬유와 같은 전기 전도성 물질에 특히 해당되므로 레이더는 항공기와 선박 탐지에 적합하다. 레이더 흡수재는 저항성 및 때로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며, 군용 차량에 사용되어 레이더 반사를 줄인다. 이것은 밤에 눈으로 볼 수 없도록 어두운 색으로 칠하는 것과 같은 무선 등가물이다.

레이더파는 무선파의 크기(파장)와 표적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산란된다. 파장이 표적 크기보다 훨씬 짧으면 파는 거울이 빛을 반사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반사된다. 파장이 표적 크기보다 훨씬 길면 반사가 불량하여 표적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저주파 레이더 기술은 표적의 탐지에는 의존하지만 식별에는 의존하지 않는 공진에 의존한다. 이것은 지구의 푸른 하늘과 붉은 노을을 만드는 효과인 레일리 산란에 의해 설명된다. 두 길이 눈금이 비슷하면 공진이 있을 수 있다. 초기 레이더는 표적보다 큰 매우 긴 파장을 사용하여 모호한 신호를 받았지만, 많은 최신 시스템은 빵 한 덩어리만큼 작은 물체를 이미징할 수 있는 더 짧은 파장(몇 센티미터 이하)을 사용한다.

짧은 무선파는 둥근 유리 조각의 반짝임과 유사한 방식으로 곡선과 모서리에서 반사된다. 짧은 파장에 대해 가장 반사율이 높은 표적은 반사 표면 사이에 90°의 각도를 갖는다. 코너 반사기는 정육면체의 안쪽 모서리처럼 만나는 세 개의 평평한 표면으로 구성된다. 구조는 개구부로 들어오는 파를 원래 소스로 직접 반사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레이더 반사체로 사용되어 감지하기 어려운 물체를 더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보트의 코너 반사기는 충돌을 피하거나 구조 작업 중에 더 잘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유사한 이유로, 탐지를 피하기 위한 물체는 내부 모서리나 표면과 가장 가능성이 높은 탐지 방향에 수직인 가장자리가 없어 "이상한" 모양의 스텔스기를 만든다. 이러한 예방 조치는 특히 더 긴 파장에서 회절 때문에 반사를 완전히 제거하지는 않는다. 채프와 같은 절반 파장 길이의 전도성 물질 와이어 또는 스트립은 매우 반사되지만 산란된 에너지를 소스로 다시 향하게 하지는 않는다. 물체가 무선파를 반사하거나 산란하는 정도를 레이더 반사 면적이라고 한다.

3. 2. 레이더 공식

수신 안테나로 돌아오는 전력(''Pr'')은 다음 공식으로 주어진다.[67]

:P_r =

여기서 각 기호는 다음을 의미한다.

  • ''P''t = 송신 전력
  • ''G''t = 송신 안테나의 이득
  • ''A''r = 수신 안테나의 유효 개구 면적
  • ''σ'' = 레이더 직경 또는 목표물의 산란 계수
  • ''F'' = 패턴 전파 인자
  • ''R''t = 송신기에서 목표물까지의 거리
  • ''R''r = 목표물에서 수신기까지 거리


송신기와 수신기가 같은 위치에 있으면 ''R''t = ''R''r 이 되고, ''R''t² ''R''r² 은 ''R''4 로 나타낼 수 있다. (''R''은 거리) 그러면 위 공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P_r = .

이 식은 전력이 거리의 네 제곱에 반비례하여 줄어든다는 것을 보여주며, 먼 거리에 있는 목표물에서 반사되는 전력은 매우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필터링과 위상 적분을 추가하면 펄스-도플러 레이더 성능에 대한 레이더 공식으로 쉽게 변환되는데, 이것은 탐지 거리를 늘리고 송신 전력을 줄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간섭이 없는 진공 상태에서는 ''F'' = 1 이다. 전파 인자는 다중 경로와 쉐도윙(shadowing)을 설명할 수 있고, 이것은 다양한 전파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실제 상황에서는 경로 손실 효과도 고려해야 한다.

레이더와 목표물의 관계는 레이더 방정식(en:radar range equation)으로 표현된다. 이것은 레이더의 수신 전력(수신기에 도달하는 신호 에너지)을 레이더의 송신 출력, 안테나 이득, 레이더 반사 단면적, 송신 파장(주파수), 그리고 목표물까지의 거리의 함수로 계산하는 것이다.

:SE = \frac{PG^2T\lambda^2\sigma}{(4\pi)^3R^4}

:SE:레이더의 수신 신호 에너지 [Wsec]

:P:평균 송신 전력(피크 전력 × 듀티 사이클) [W]

:G:안테나 이득(비dB 형식)

:\lambda:송신 신호의 파장 [m]

:\sigma:레이더 반사 단면적 [m²]

::T:펄스가 목표물을 조사하는 시간

::R:목표물과 레이더의 거리

펄스 레이더처럼 안테나를 공유하는 경우의 레이더 방정식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이는 레이더 수신기 내의 수신 전력을 고려한 것이며, 레이더 수신 전력 방정식(en:radar received power equation)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P_r = \frac{P_tG^2\lambda^2\sigma}{(4\pi)^3R^4}

::P_r:레이더의 수신 전력

::P_t:레이더의 피크 전력

::G:안테나 이득

::\lambda:파장

::R:목표물과 레이더의 거리

수평선상의 탐지 가능 거리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탐지 가능 거리(Km) = 4.12 × (√자신의 고도(m) + √상대의 고도(m))

3. 3. 도플러 효과

레이더 시스템은 송신기에서 방출된 전파가 물체에 부딪혀 반사될 때, 도플러 효과로 인해 전파의 주파수에 약간의 변화가 생긴다. 이 현상은 물체가 송신기 쪽으로 또는 송신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 발생한다.[3]

속도는 시간에 따른 물체까지의 거리 변화량으로, 기존의 거리 측정 시스템과 이전 위치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통해 속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과거에는 유성 연필과 슬라이드 룰을 사용했지만, 현대 레이더 시스템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더 빠르고 정확하게 속도를 계산한다.

송신기 출력이 코히어런트(위상 동기화)인 경우,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거의 순간적인 속도 측정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현대 레이더 시스템은 이 원리를 도플러 레이더 및 펄스 도플러 레이더 시스템(기상 레이더, 군사 레이더)에 사용한다. 도플러 효과는 레이더에서 표적까지의 시선 방향을 따라 표적의 상대 속도만 결정할 수 있으며, 시선 방향에 수직인 표적 속도 성분은 표적의 방위각을 추적하여 결정한다.

연속파 레이더(CW 레이더)는 알려진 주파수의 매우 순수한 신호를 보내어 표적 속도의 방사 성분을 결정하는 데 이상적이다. CW 레이더는 주로 교통 단속에서 차량 속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펄스 레이더를 사용하는 경우, 연속적인 반환 신호의 위상 변화를 통해 펄스 사이에 표적이 이동한 거리를 파악하여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레이더 신호 처리의 다른 수학적 발전에는 시간-주파수 분석(Weyl Heisenberg 또는 웨이블릿)과 이동 표적의 주파수 변화를 이용하는 차이프릿 변환("차이프")이 포함된다.

펄스레이더 중에서 도플러 처리를 하는 것을 펄스 도플러 레이더라고 한다. 펄스 도플러 레이더는 처리 장치와 변조기 사이에 CW 발생기를 삽입하여 각 송신 펄스를 코히어런트하게 만든다. 각 송신 펄스가 동일한 신호의 연속이므로 위상에 일관성이 있어, 수신기는 에코 펄스를 코히어런트하게 검파할 수 있다. 코히어런트 검파는 감도에 큰 이점을 가지며, 도플러 편이 측정을 통해 목표의 상대 속도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클러터(잡음)에서 이동 목표를 추출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그러나 펄스 반복 주파수(PRF)에 상당하는 거리 이상의 목표 거리는 불확실하기 때문에, 연속파 레이더와 마찬가지로 주파수 변조를 이용하여 거리 측정을 하거나, 여러 개의 다른 PRF를 사용하여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3. 4. 주파수 변조 (FM)

연속파(CW)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더는, 순수하게 변조를 하지 않는 CW 레이더의 경우 송수신 신호 간의 도플러 편이를 측정하여 거리 변화율은 측정할 수 있지만, 반사 신호 전력 측정에 의한 불확실한 추정 외에는 목표물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없다.[68]

연속파 레이더라도 적절한 변조를 하면 장점을 거의 손상시키지 않고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변조 방식으로는 송신 전파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주파수 변조(FM)가 대표적이다(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더). 목표물에서의 반사파가 수신될 때는 송신파의 주파수가 변화하고 있으므로, 그 주파수 차(비트 주파수)를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한다.[68][69]

펄스 레이더에서는 거리 분해능이 펄스폭에 의해 결정되지만,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더에서는 주파수 변화에 의해 결정된다.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더는 송신파로 연속파를 사용하므로 펄스 레이더처럼 높은 송신 출력이 없어도 원하는 신호잡음비(SN비)를 얻을 수 있다.[70]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더는 주파수 편이폭(Δf)의 확대로 고분해능화가 가능하다고 여겨진다.[71]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더에서는 대역폭 1.5GHz에서도 20cm의 표적 거리차를 분리할 수 없고, 20cm가 현실적인 분리 능력의 한계라고 생각된다.[71]

3. 5. 펄스 압축



펄스 레이더는 탐지 거리를 늘리기 위해 펄스폭을 넓혀야 하지만, 거리 분해능을 높이려면 펄스폭을 좁혀야 하는 딜레마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펄스 압축이다.

펄스 압축 방식에는 다음이 있다.

  • '''차프 레이더''': 송신 펄스에 선형 주파수 변조(linear frequency modulation영어)를 가한 선형 FM 펄스(차프 펄스)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 '''부호화 펄스 레이더''': 부호 계열에 따라 이산적으로 위상 변조를 수행하고, 수신 시 부호 계열의 상관 처리를 통해 펄스 압축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4. 구성

레이더는 전파를 이용하여 물체의 거리, 방향, 고도 등을 파악하는 장치이다. 레이더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AS-3263/SPS-49(V) 안테나 (미 해군)


공항 감시 레이더의 반사판 안테나. 이차 감시 레이더(위)와 일차 감시 레이더(아래).

  • 안테나: 전파를 송수신한다.
  • 단일 안테나: 모든 방향으로 신호를 퍼뜨리고 수신하여 초기에는 표적 위치를 정확히 결정하기 어려웠다.
  • 초기 시스템 (체인 홈): 직각으로 배치된 두 개의 직선 안테나를 사용하여 표적 방향을 결정했다. 안테나를 회전시켜 최대/최소 반사를 감지하는 방식이었다.
  • 지향성 안테나의 필요성: 표적에 충분한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지향성 안테나가 필요하다.

  • 반사판 안테나: 1차 방사기에서 방사된 전파를 반사경(리플렉터)에 비춰 빔을 형성한다.
  • 장점: 마이크로파 영역에서 높은 이득과 좁은 빔폭을 얻을 수 있으며, 어레이 안테나에 비해 저렴하다.
  • 안테나 패턴: 펜슬빔, 팬빔, 코시컨트 제곱 빔 등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 (성형 빔 안테나)
  • 종류: 패러볼라 안테나, 카세그레인 안테나, 성형 빔 안테나
  • 1차 방사기: 혼 안테나가 주로 사용되며, S밴드 이하에서는 반사판이 있는 다이폴 안테나도 사용된다.

  • 어레이 안테나: 여러 개의 안테나 소자를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만든다.
  • 장점: 안테나 지향성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 종류: 리니어 어레이(직선형), 플래너 어레이(평면형), 서큘러 어레이(원형), 컨포멀 어레이(임의 형상)

4. 1. 송신기

전자기파에서 전기장은 진행 방향에 수직이며, 이 전기장의 방향이 파동의 편광이다. 송신된 레이더 신호는 편광을 제어하여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레이더는 수평, 수직, 선형 및 원형 편광을 사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반사를 탐지한다. 예를 들어, 원형 편광은 비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하는 데 사용된다. 선형 편광 반사는 일반적으로 금속 표면을 나타낸다. 무작위 편광 반사는 일반적으로 암석이나 토양과 같은 프랙탈 표면을 나타내며, 항해 레이더에서 사용된다.[55]

레이더 구성 요소


레이더의 송신기는 클라이스트론이나 마그네트론과 같은 발진기를 사용하여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변조기(modulator)를 통해 지속 시간을 제어한다. 송신기와 안테나는 도파관(waveguide)으로 연결된다. 안테나가 송수신 모두에 사용될 때, 듀플렉서(duplexer)는 신호에 대해 안테나와 송신기 또는 수신기 간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56]

변조기는 RF 펄스의 파형을 제공한다. 레이더 변조기 설계에는 다음 두 가지가 있다.

  • 비결합 키잉 전력 발진기용 고전압 스위치.[55]
  • 복잡하지만 결맞는 파형을 위한 파형 발생기와 여기기가 공급되는 하이브리드 믹서.[56]


1,000와트 이상의 마이크로파 출력으로 동작하는 일관된 마이크로파 증폭기(예: 진행파관 및 클라이스트론)에는 액체 냉각제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도플러 처리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고출력 지상 레이더 시스템에서는 탈이온수를 사용한다.[57]

쿨라놀(규산염 에스터)은 1970년대 여러 군용 레이더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흡습성이 있어 가수분해가 일어나고 고인화성 알코올이 생성된다. 1978년 미 해군 항공기 손실은 규산염 에스터 화재 때문이었다.[58] 쿨라놀은 또한 비싸고 독성이 있다. 미 해군은 폐기물, 대기 배출 및 유출 배출의 양과 독성을 제거하거나 줄이기 위한 오염 방지(P2)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이 때문에 오늘날 쿨라놀은 덜 사용된다.

송신기의 성능은 송신 주파수, 송신 출력, 송신 펄스 폭, 펄스 반복 주파수 등의 제원에 따라 결정된다.

기존의 펄스 레이더의 경우, 송신 주파수가 낮을수록 대기 전파 손실이 적고, 고출력화가 용이하며, 양호한 수신계 잡음 지수를 얻기 쉬워 최대 탐지 거리를 연장하는 데 유리하다. 반면, 주파수가 높을수록 분해능 면에서는 유리하다. 즉, 탐지 거리 연장과 분해능 향상은 원칙적으로 트레이드오프 관계에 있다.

송신기는 자력 발진형과 증폭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증폭형은 먼저 안정된 신호를 저전력으로 형성한 후 필요한 만큼 고출력으로 증폭하는 방식으로 신호 처리 유연성이 뛰어나다.

  • 자력 발진관
  • 마그네트론
  • 다간격 클라이스트론(EIO)
  • 증폭관
  • 클라이스트론
  • 진행파관(TWT)
  • 교차 전력 증폭관(CFA)
  • 고전자이동도트랜지스터


레이더 변조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이 있다.[68]

  • 펄스파
  • 연속파(CW)
  • 무변조
  • 변조(modulated CW)


가장 기본적인 레이더는 펄스파를 송신한다. 이것은 매우 짧은 송신 신호로, 매우 깨끗한 상승 및 하강 특성을 가지며, 듀티 사이클(펄스 지속 시간 ÷ 펄스 반복 간격)은 비교적 낮다.

펄스 송신에는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시간만 필요하기 때문에 송신과 수신 모두에 동일한 안테나를 공용할 수 있다. 그러나 송신 펄스가 수신 펄스보다 훨씬 높은 전력을 가지므로, 펄스가 송신되는 동안의 반사 에너지로부터 수신기를 보호하기 위해 송수신 안테나 공용기(duplexer영어) 등에는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

펄스 반복 주기가 짧으면, 아주 먼 곳에 있는 목표로부터의 에코 펄스는 다음 펄스를 송신한 후에 수신되게 되어, 목표와의 거리를 실제보다 짧게 잘못 인식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들은 '''2차 에코'''라고 불리며, 종종 실제 목표의 에코와 혼동된다.

펄스레이더 중에서 도플러 처리를 하는 것을 펄스 도플러 레이더라고 한다.

4. 2. 수신기

레이더 장치에서 수신기의 성능은 기본적으로 잡음에 의해 결정되며, 신호대잡음비 향상이 목표이다.

수퍼헤테로다인 방식, 초재생 방식(Super regenerative), 직접 검파 방식(Crystal video)이 있지만, 수퍼헤테로다인 방식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수신기 및 지시기에서는 아래와 같은 클러터 등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기능을 가진 회로를 탑재하는 경우가 있다.

  • 해면 반사 억제: 근거리에서의 강한 반사파에 대해 감도를 낮추고, 원거리가 될수록 감도를 높여 근거리에 있는 표적을 탐지하기 쉽게 한다. 근거리에서의 강한 반사파가 있어 PPI 표시의 표시부 중심 부근이 너무 밝아질 때 사용한다.
  • 우적 반사 억제 (Fast time control, '''FTC'''): 검파 후의 출력을 미분하여 표적을 두드러지게 한다. 비나 눈 등의 반사파에 의해 표적의 식별이 어려울 때 사용한다.[66]

4. 3. 표시 장치

초기 레이더는 A-스코프 표시 방식을 이용했다. A-스코프는 세로축에 전파 강도를, 가로축에 시간을 표시하여 강도가 가장 큰 반사파가 돌아오는 시간으로부터 대상물까지의 거리를 읽어냈다. 그러나 레이더 송신기 방향은 별도로 표시되었기 때문에, 다른 방향에 여러 대상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67]

다음 세대 레이더 표시기는 PPI스코프(Plan Position Indicator scope)였다. PPI스코프는 원형 표시기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주사선(안테나가 탐사파를 발사해 반사파를 받는 방향)을 통해 대상물의 2차원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했다. B스코프는 가로축에 방위, 세로축에 거리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일부 항공기용 레이더에 적용되었다.[67]

현대 레이더 표시기는 일반적으로 레스터 스캔 디스플레이(Raster Scan Display) 위에 대상물 정보를 문자로 표시하거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지형 정보 등을 합성하여 표시한다.[67]

레이더 표시 방식은 크게 아날로그 신호 처리 방식, 디지털 신호 처리 방식, 그리고 양자의 합성 표시 방식 세 가지로 나뉜다. 디스플레이는 "표시기" 또는 "표시부"라고도 불리며, 아날로그 표시 시대에는 PPI 스코프 방식의 브라운관(CRT)이 주류였다. 현대에는 대부분 디지털 방식이며, 액정 디스플레이(LCD)가 사용되고,[67] 화면 크기 등 표기 방식(“○○인치” 등)도 다른 기기와 다르지 않다.[67]

아날로그 비디오 표시는 화면 표시 갱신이 안테나 움직임 및 전파 발사와 동기화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미지 반복 속도(재생률)가 낮아지고, CRT 잔광성에 대한 의존도가 커서, 밝은 곳에서 이미지를 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 A스코프

: 세로축에 수신 신호 강도, 가로축에 거리를 취하여 파형을 표시한다(심전도와 유사). 개발 초기부터 사용되었지만, 현재도 수신 신호 강도 측정이나 신호 식별을 위한 오실로스코프 표시로 사용된다.

: 안테나를 특정 거리 목표물에 향하게 할 때, 안테나 각도가 목표물에 가까워질수록 파형의 산이 커지고, 방향이 완전히 일치하면 파형이 최대값(피크)을 표시한다. A스코프에서는 레이더 송신기 안테나 방향이 별도로 표시되므로, 다른 방향에 많은 물체가 존재할 경우 측정 결과를 일람할 수 없다.

; PPI스코프

: PPI스코프(Plan Position Indicator scope, P스코프라고도 함)는 레이더 위치를 기점으로 안테나 빔 회전에 동기화하여 방사상으로 스캔, 수신한 신호를 표시한다. 즉, 레이더 위치를 중심으로 레이더가 포착한 목표가 조감도로 표시되므로, (A스코프, B스코프, E스코프와 비교하여)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다는 큰 장점이 있다.

: PPI스코프에서 레이더파 파장이 길면 근접한 여러 물체가 동일 광점으로 표시되므로, 많은 목표를 포착할 때 분해능을 높이려면 레이더 파장의 단파장화가 필수적이다.

; B스코프

: 가로축에 방위, 세로축에 거리를 나타내는 방식이다.

: 이 방식은 A스코프에서는 비교적 읽기 쉬운 파형 강도(피크) 정보가 PPI스코프와 유사한 광점 강약으로만 표시되므로, 정확한 판독에는 다소 경험이 필요하다.

; E스코프

: PPI스코프나 B스코프가 수평면 정보를 표시하는 데 비해, 수직면 표시로 사용되는 것이 E스코프이다. 가로축에 거리, 세로축에 고각 또는 높이를 표시하며, 후자는 RHI(Range Height Indicator영어)라고 불린다.

A스코프의 일례. 40마일 이내에 여러 목표가 존재하는 파형이지만, 안테나를 움직이고 그 각도 정보를 기반으로 추측하지 않으면 정확한 방향과 2차원적인 정보를 얻을 수 없다.


B스코프의 일례


A, B, E스코프의 일례.


PPI스코프(1980년)


5. 종류

레이더는 신호 방식, 설치 위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 신호 방식에 따른 분류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 설치 위치에 따른 분류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 용도에 따른 분류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일반적인 레이더 종류는 다음과 같다.

  • 기상 레이더
  • 보조감시 레이더
  • 합성개구레이더
  • 수동형 레이더
  • 레이저 레이더
  • 포구속도측정기


상업용 해상 레이더 안테나. 회전하는 안테나는 수직 부채꼴 모양의 빔을 방출한다.

5. 1. 신호 방식에 따른 분류

레이더는 다양한 신호 방식을 사용하여 정보를 얻으며, 크게 펄스 레이더, 연속파 레이더, 펄스 도플러 레이더, 그리고 이동표적지시(MTI) 레이더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펄스 레이더펄스파를 송신하는 가장 기본적인 레이더이다. 매우 짧은 송신 신호를 사용하며, 송신과 수신에 동일한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송신 펄스가 수신 펄스보다 훨씬 강력하기 때문에, 반사된 에너지로부터 수신기를 보호하기 위해 송수신 안테나 공용기(duplexer영어) 등의 장치가 필요하다.[37] 펄스 반복 주기가 짧으면, 멀리 있는 목표물로부터의 반사 신호(에코 펄스)가 다음 펄스를 송신한 후에 수신되어, 목표물과의 거리를 실제보다 짧게 잘못 인식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2차 에코'''라고 한다.[2]
연속파 레이더연속파(CW) 신호를 송신하며, 송수신 신호 간의 도플러 편이를 측정하여 거리 변화율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변조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목표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어렵다.[60] 주파수 변조(FM)를 통해 거리 측정이 가능하며, 이를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더라고 한다. 이 방식은 주파수 변화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며, 높은 송신 출력 없이도 원하는 신호 대 잡음비(SN비)를 얻을 수 있다.[70]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더는 주파수 편이폭(Δf)을 확대하여 고분해능화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71]
펄스 도플러 레이더펄스 레이더 중에서 도플러 처리를 하는 레이더이다.[84] 각 송신 펄스를 코히어런트(일관된)하게 만들어, 수신기가 반사된 펄스를 코히어런트하게 검파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클러터(잡음)에서 이동 목표물을 추출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펄스 반복 주파수(PRF)를 조절하거나, 주파수 변조를 이용하여 거리 측정을 수행한다.[84]
이동표적지시 레이더 (MTI)지상의 이동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레이더이다.[64] 저PRF 방식의 펄스 도플러 레이더의 일종으로, 도플러 처리를 이용하여 클러터에서 이동 표적을 추출한다. 속도 정밀도는 낮지만, 거리 정밀도가 우수하다.[84]

5. 2. 설치 위치에 따른 분류

레이더는 송신기, 수신기, 안테나, 파장, 스캔 전략 등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된다. 설치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이중정거 레이더
  • 연속파 레이더
  • 도플러 레이더
  • FM-CW 레이더
  • 모노펄스 레이더
  • 수동 레이더
  • 평면 배열 레이더
  • 펄스-도플러 레이더
  • 합성개구 레이더
  • 합성 희석 개구 레이더
  • 수평선 너머 레이더

5. 3. 용도에 따른 분류

레이더는 제품 유형, 플랫폼, 응용 분야, 최종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65]

분류 기준세부 분류
제품 유형펄스 레이더, 연속파 레이더 등
플랫폼선박, 항공, 지상, 우주 등
응용 분야항공교통관제, 원격탐사, 지상 교통 관제, 우주 항행 및 제어 등
최종 사용자자동차, 항공, 산업, 기상관측, 방위(군대), 기타 등



레이더는 스캐너로부터 물체의 방위와 거리를 측정하여 위치를 파악하며, 이는 군사적 목적뿐만 아니라 민간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된다.[38][39]


  • 항공: 항공기에 장착된 레이더는 항로 내 장애물 경고, 기상 정보 표시, 정확한 고도 판독값을 제공하며, 지상 유도 접근 방식 시스템을 통해 안개 속에서도 착륙을 지원한다. 군용 전투기에는 공대공 표적 레이더가 장착된다.
  • 해상: 해상 레이더는 선박 간 충돌 방지, 항해 및 위치 고정에 사용되며, 항만에서는 선박 교통 서비스 레이더 시스템으로 선박 이동을 통제한다.[41]
  • 기상: 기상학자들은 레이더를 통해 강수량과 바람을 관측하고, 일기 예보 및 악천후 감시에 활용한다.
  • 지질학: 지질학자들은 지중 레이더를 이용하여 지구 지각 구성을 파악한다.
  • 경찰: 경찰은 레이더 건으로 차량 속도를 측정한다.
  • 자동차: 자동차 레이더는 적응형 크루즈 컨트롤 및 비상 제동에 사용되어 충돌을 방지한다.[42]
  • 기타: 지능형 교통 시스템, 사람 움직임 감지, 수면 모니터링, 제스처 감지[44], 자동 문 열림, 조명 활성화, 침입자 감지 등에 활용된다.


레이더는 강한 전자기파를 발사하여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파를 분석, 대상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기상 레이더는 빗방울(눈송이 포함)에서 반사되는 전파의 전력 밀도로 우량(강수 강도)을 파악한다.

파장이 긴 저주파는 전파 감쇄가 적어 원거리 탐지에 유리하지만 해상도가 낮고, 파장이 짧은 고주파는 수증기, , 등에 쉽게 흡수/반사되어 감쇄가 크지만 높은 해상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대공/대지 레이더 등에는 저주파가, 사격 관제 레이더 등에는 고주파가 적합하다.

일반적인 레이더 종류는 다음과 같다.

  • 기상 레이더 (Weather radar)
  • 보조감시 레이더 (Secondary surveillance radar)
  • 합성개구레이더 (Synthetic aperture radar)
  • 수동형 레이더 (Passive radar)
  • 레이저 레이더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포구속도측정기 (Muzzle Velocity Radar System)


6. 특수 기술

이미징 레이더는 물체나 지역을 사진처럼 영상으로 보여주는 레이더를 말한다. 높은 위치 분해능이 필요하기 때문에, 범위 방향(레이더와 목표물을 잇는 방향)의 분해능은 펄스 압축으로, 횡방향(범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분해능은 목표물과 레이더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한 도플러 주파수 분석으로 향상시키는 경우가 많다. 횡방향 분석을 레이더 측이 운동하면서 수행하는 것을 합성개구레이더(SAR), 목표물 측의 운동을 이용하는 것을 역합성개구레이더(ISAR)라고 한다.

전파 스텔스는 적의 레이더에 대한 반사파를 최대한 줄이는 군사 기술이다. 전파를 다른 방향으로 반사하는 스텔스 무기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가 멀리 떨어져 있는 바이스태틱 레이더(또는 멀티스태틱 레이더)가 효과적이다.[72] 전파 흡수체는 흡수하는 주파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광대역 주파수의 레이더가 효과적이라고도 알려져 있다.[72]

패시브 레이더는 자체 송신기 없이, 다른 레이더나 휴대전화의 기지국, 방송국 등에서 나오는 전파를 이용하여 표적을 탐지한다. 스스로 전파를 발하지 않아 전력 소모가 적고, 주파수 대역을 절약할 수 있으며, 군사적으로 전자 방호 능력과 스텔스 성능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73]

위에서 언급된 이미징 레이더와 바이스태틱 레이더 기술은 패시브 레이더에도 응용된다.[74]

6. 1. 이미징 레이더

물체나 지역을 사진과 같은 영상으로 나타내는 레이더를 총칭하여 이미징 레이더라고 한다. 높은 위치 분해능이 요구되기 때문에, 범위 방향(레이더와 목표물을 잇는 방향)의 분해능 향상은 펄스 압축에 의해, 횡방향(범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분해능 향상은 목표물과 레이더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한 도플러 주파수 분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 중, 횡방향 분석에 대해 레이더 측이 운동함으로써 수행하는 것을 합성개구레이더(SAR), 목표물 측의 운동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역합성개구레이더(ISAR)라고 한다.

6. 2. 바이스태틱 레이더

전파 스텔스는 적의 레이더에 대한 반사파를 최대한 줄이는 군사 기술이다. 전파를 다른 방향으로 반사하는 스텔스 무기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가 멀리 떨어져 있는 바이스태틱 레이더 (또는 멀티스태틱 레이더)가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72] 전파 흡수체는 흡수하는 주파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광대역 주파수의 레이더가 효과적이라고도 알려져 있다.[72]

6. 3. 패시브 레이더

자체 송신기를 갖지 않고, 다른 레이더나 휴대전화의 기지국, 방송국 등과 같이 이미 존재하는 송신원에서 방출되는 전파를 이용하여 표적을 탐지하는 레이더이다. 스스로 전파를 발하지 않으므로 전력 소모가 적고, 주파수 대역의 절약에도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군사적 관점에서 전자 방호 능력과 스텔스 성능에도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73]

위에서 언급된 이미징 레이더와 바이스태틱 레이더의 기술 응용도 이루어지고 있다.[74]

7. 외부 환경의 영향

전파는 공기 밀도의 변화에 따라 굴절률이 변하는데, 표준대기에서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굴절률이 직선적으로 감소한다. 이 때문에 전파는 아래쪽으로 휘어지면서 전파된다. 또한 전파가 지표면 부근을 통과할 때 회절 현상에 의해서도 아래쪽으로 휘어진다. 이러한 현상들로 인해 수상 수색 레이더나 항해 레이더와 같이 2차원 레이더의 경우, 레이더 수평선(최대 탐지 거리)은 시정거리에 비해 약간 길어져 더 먼 곳의 물체를 탐지할 수 있다.

7. 1. 대기 굴절

표준 대기가 아닌, 대기의 밀도 구조가 역전 상태(고도에 따른 온도 저하가 급격하거나 상대 습도가 고도와 함께 증가하는 경우)가 되는 경우에는, '''부굴절'''이라고 하여 전파가 상방으로 굴절되므로 레이더 수평선까지의 거리는 단축된다.

또한 대기의 밀도 구조, 즉 고도에 따른 굴절률 감소율이 급격한 상태(온도 감소율이 표준 상태보다 적을 때, 또는 고도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는 온도 역전층이 있을 때, 또는 상대 습도가 고도에 따라 감소할 때)가 되면, '''초굴절'''이라고 하여 전파가 아래쪽으로 굴절되어 레이더 수평선까지의 거리가 연장된다.

초굴절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면 전파는 더 아래쪽으로 굴절되어 해면에 도달하고, 거기서 반사되어 다시 아래쪽으로 굴절되는 것을 반복하여 매우 먼 곳까지 도달하게 되어 레이더 수평선까지의 거리가 크게 늘어난다. 이 현상을 '''라디오 덕트'''라고 부른다.

7. 2. 전파 감쇠

레이더는 강한 전자기파를 발사하고 그것이 물체에 맞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전파를 분석하여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때, 전파는 대기 중의 여러 요인에 의해 감쇠(신호가 약해짐)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레이더에 사용되는 전파는 파장이 길수록(주파수가 낮을수록) 감쇠가 적어 먼 곳까지 탐지할 수 있지만,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 해상도가 낮아진다. 반대로 파장이 짧을수록(주파수가 높을수록) 공기 중의 수증기, , 등에 흡수되거나 반사되기 쉬워 감쇠가 커지지만, 높은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2]

따라서, 대공 레이더나 대지 레이더와 같이 원거리 목표물을 빠르게 발견해야 하는 경우에는 파장이 긴 저주파 전파를 사용하고, 사격 관제 레이더와 같이 목표물의 형태나 크기 등을 정밀하게 측정해야 하는 경우에는 파장이 짧은 고주파 전파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2]

전파의 감쇠는 크게 두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 흡수: 전파가 대기 중의 산소나 수증기 같은 기체에 흡수되어 에너지가 줄어든다. 파장이 짧을수록 기체에 흡수되기 쉽다.[2]
  • 산란: 전파가 안개, 구름, 비, 눈 등에 부딪혀 여러 방향으로 흩어져 에너지가 줄어든다.


10GHz 이하의 주파수에서는 기체에 의한 흡수는 거의 무시할 수 있다. 구름이나 안개의 경우, 가시거리가 100m 이상이면 탐지 거리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지만, 가시거리가 50m 정도의 짙은 안개에서는 영향을 받는다. 특히 측정 대상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감쇠가 커진다. 비나 눈의 경우, 강수량이 많아질수록 산란이 급증하여 감쇠가 발생한다. 파장이 길수록 산란에 의한 영향은 줄어든다.[2]

결론적으로, 레이더는 사용하는 전파의 파장에 따라 탐지 거리와 해상도 사이에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 파장이 긴 전파는 감쇠가 적어 멀리 탐지할 수 있지만 해상도가 낮고, 파장이 짧은 전파는 해상도가 높지만 감쇠가 커서 탐지 거리가 짧아진다.[2]

7. 3. 클러터

레이더 시스템은 관심 있는 표적에 집중하기 위해 원치 않는 신호들을 극복해야 한다. 이러한 원치 않는 신호들은 수동적이거나 능동적인 내부 및 외부 소스에서 발생할 수 있다. 레이더 시스템이 이러한 원치 않는 신호들을 극복하는 능력은 신호대잡음비(SNR)로 정의된다. SNR은 원하는 신호 내의 신호 전력과 잡음 전력의 비율로 정의되며, 원하는 표적 신호의 수준을 배경 잡음(대기 잡음 및 수신기 내에서 생성된 잡음)의 수준과 비교한다. 시스템의 SNR이 높을수록 실제 표적을 잡음 신호와 구별하는 데 더 효과적이다.

군용 레이더에서는 목표물 이외의 반사파는 불필요하며, 지면, 해면, 구름, 비 등은 "클러터"로서 유의미한 정보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지면이나 해면으로부터의 고정된 반사파를 클러터로서 억제하기 위해, 레이더 신호 처리에서는 펄스 도플러 처리나 이동 목표물 표시가 행해진다.

한편, 기상 레이더 등에서는 항공기 등에 의한 반사파는 불필요하며, 구름이나 비가 유의미한 정보이다.

8. 관련 법규

일본 법규에서 레이더는 무선국의 무선설비 중 하나로 취급된다.

정령전파법 시행령 제3조 제2항 제7호와 전파법 관계 수수료령 제1조 제1항 제2호에서는 레이더를 "특정 지점에서 반사되거나 재발사되는 무선 신호와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를 비교하여 위치를 결정하거나 위치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한 무선 설비"로 정의한다. 총무성령전파법 시행규칙 제2조 제1항 제32호에서는 "결정하려는 위치에서 반사되거나 재발사되는 무선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것을 기초로 하는 무선 측위 설비"로 정의한다.

관련 정의는 다음과 같다.


  • '''무선측위''': 제2조 제1항 제29호에 "전파의 전파 특성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거나 위치 정보를 얻는 것"
  • '''무선항행''': 제2조 제1항 제30호에 "항행을 위한 무선 측위(장애물 탐지 포함)"
  • '''무선표정''': 제2조 제1항 제31호에 "무선항행 업무 이외의 무선 측위"


레이더는 크게 선박·항공기의 항행을 위한 무선항행용과 기상 관측, 속도 측정, 물체 탐지 등을 위한 무선표정용으로 나뉜다.

; 무선국의 종별과 면허·무선종사자

레이더만을 무선설비로 하는 무선국은 용도 및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무선항행육상국, 무선항행이동국(무선항행국), 무선표정육상국, 무선표정이동국으로 면허를 받는다. 이들을 무선측위국이라고 통칭한다.

레이더만을 무선설비로 하는 무선측위국의 조작 또는 감독에 필요한 최소 무선종사자 자격은 다음과 같다.

레이더만을 무선설비로 하는 무선측위국의 조작 또는 감독에 필요한 최소 무선종사자
종별자격비고
무선항행육상국레이더급해상특수무선기사존재하지 않음[75]
무선항행이동국안테나전력 5kW 미만 선박용은 불필요[76][77] (제4종 레이더라고 통칭)
무선표정육상국제2급육상특수무선기사육상계 무선종사자가 필요한 이유는 전파법 시행령 제3조 제2항 제6호의 육상의 무선국이기 때문
경찰용 외 안테나 전력 0.1W 이하 적합표시무선설비(기적마크 부착)는 불필요[78]
무선표정이동국
colspan="3" |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 선박 탑재 시 무선종사자가 불필요한 제4종 레이더라도 육상 설치 후 밀렵 감시에 사용하면 무선표정용이 되어 무선종사자가 필요하다.[81]
  • 속도측정기 중 스포츠·레저용 스피드건은 무선종사자가 불필요하지만, 경찰의 속도 단속용은 필요하다.


무선항행용 레이더와 다른 해상/항공용 무선기기를 함께 사용하는 무선국은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해상용은 해안국(일부 무선항행육상국) 또는 선박국, 항공용은 항공국 또는 항공기국으로 면허를 받는다. 이들의 조작에는 종합무선통신사 또는 해상/항공계 무선종사자가 필요하다.

  • 단, 해상용 무선항행이동국에서 조난자동통보국 무선설비(조난자동통보설비(비상용위치지시무선표식장치(EPIRB), 수색구조용레이더트랜스폰더(SART)))를 추가해도 무선종사자는 불필요하며, 특정선박국에서 간이형 선박자동식별장치(간이형 AIS)를 추가해도 불필요하다.[82]


무선항행용 레이더 중 의무선박국용은 전파법 제37조 제2호에 따라 무선기기형식검정규칙 검정 합격품인 '검정기기'여야 한다.[83] 의무선박국용 외 선박용 및 무선표정용은 특정무선설비의 기술기준적합증명등에 관한 규칙 인증 시 적합표시무선설비가 된다. 적합표시무선설비는 간이한 면허수속 대상이 되어 예비면허, 낙성검사 없이 면허를 받고, '간이한 조작' 조건으로 무선종사자가 불필요하다.

자위대 함선, 항공기는 자위대법 제112조 제1항에 따라 전파법 적용이 제외된다.

용도가 다르면 무선국 종류가 다르므로, 무선국면허수속규칙 제2조 제3항에 따라 단일 무선국으로 면허 신청이 불가능하다.

  • 예시로 기상청 기상관측선은 무선항행용은 다른 무선설비와 함께 선박국, 기상관측용은 무선표정이동국으로 각각 면허가 필요하며, 제3급해상무선통신사 이상과 제2급육상특수무선기사 이상 무선종사자가 필요하다.


면허, 무선종사자 모두 불필요한 특정소전력무선국에도 레이더가 있다.

  • 밀리파레이더용: 자동차 장애물 탐지용
  • 이동체탐지센서용: 자동문 인체 탐지, 방범용 침입자 탐지 센서


두 경우 모두 무선표정용이다.

; 면허신청수수료·등록면허세·전파이용료

전파법 관계 수수료령 제1조 제2항에 따르면, 안테나 전력 50W 초과 레이더는 안테나 전력 50W 송신기로 간주된다.

등록면허세 비과세 범위는 등록면허세법시행령 제12조 제5호에 "기본 송신기 규모가 안테나 전력(레이더는 재무성령 계산) 500W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 등록면허세법시행규칙 및 무선설비규칙에 따라 첨두 전력에 충격 계수(펄스폭과 주기 비율)를 곱해 평균 전력으로 환산한다. 이는 레이더 첨두 전력 규정과 무선전화(음성 통신), 텔레비전 평균 전력 규정[84] 차이로 인한 과대 평가 완화 조치이다.

전파이용료는 이동 무선국과 무선표정육상국에 대해 설명하고, 나머지는 다른 무선설비 조건에 따르므로 생략한다.

  • 2022년 10월 1일[85] 기준
  • 무선항행이동국, 무선표정이동국, 선박국, 항공기국: 전파법 별표 제6 제1항 '이동하는 무선국' 적용, 400엔
  • 무선표정육상국: 동표 제9항 '그 외 무선국' 적용, 6GHz 이하 45,000엔, 6GHz 초과 18,700엔
  • 감면 조치 미고려


; 구 기술기준 기기 면허·사용

무선설비규칙 스퓨리어스 발사 강도 허용치 기술기준 개정[86]으로 구 기술기준 무선설비 면허는 "헤이세이 29년 11월 30일"까지[87], 사용은 특정소전력무선국 포함 "헤이세이 34년 11월 30일"까지[88]로 정해졌다.

대상은 다음과 같다.

  • "헤이세이 17년 11월 30일"[89]까지 제조된 기기, 검정 합격 기기, 인증 적합표시무선설비
  • 경과 조치로 구 기술기준에 따라 "헤이세이 19년 11월 30일"(선박용 무선항행 레이더는 "헤이세이 24년 11월 30일"[90])까지 제조된 기기[91], 검정 합격 기기[92], 인증 적합표시무선설비[93]


신규 면허는 "헤이세이 29년 12월 1일" 이후 불가능하지만, 사용기한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94] "당분간" 연기[95]되었다.

"레이와 3년 8월 3일"[95] 새 사용기한 설정 전까지 기설국 구 기술기준 무선설비 면허 취급은 다음과 같다.[96]

  • 재면허 가능
  • "헤이세이 29년 12월 1일" 이후 면허 조건 "면허 유효기한(신기술기준 혼재 시 구 기술기준 사용기한)은 레이와 4년 11월 30일까지"는 "레이와 4년 12월 1일 이후 다른 무선국 방해 없을 시 사용 가능" 조건으로 간주[97]
  • 검정기기는 설치 유지 시 검정 합격 효력 유지[98]되므로, 의무선박국은 해당 선박 설치 유지 시 수속 불필요. 그 외 무선국은 새 사용기한 설정되어도 설치 유지 시 사용, 재면허 가능


구 기술기준 특정소전력무선국도 경과 조치에 따라 "레이와 4년 11월 30일 이후 당분간" 사용 가능[99]하다.

참조

[1] 서적 Radio Regulations https://www.itu.int/[...]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ITU) 2024-03-24
[2] 웹사이트 Radar definition https://web.archive.[...] Public Works and Government Services Canada 2013-11-08
[3] 서적 McGraw-Hill dictionary of scientific and technical terms McGraw-Hill 1976
[4] 학술지 Radio Detection and Ranging 1943-10-02
[5] 웹사이트 Remote Sensing Core Curriculum: Radio Detection and Ranging (RADAR) https://web.archive.[...] 2021-05-31
[6] 웹사이트 History of Radar Meteorology https://meteor.geol.[...] 2023-03-02
[7] 학술지 Performance Assessment of an Integrated Radar Architecture for Multi-Types Frontal Object Detection for Autonomous Vehicle https://www.research[...] 2019-01-09
[8] 학술지 Radar Prehistory, Soviet Side 2003
[9] 웹사이트 Christian Huelsmeyer, the inventor http://www.radarworl[...] 2007-02-18
[10] 특허 Patent DE165546; Verfahren, um metallische Gegenstände mittels elektrischer Wellen einem Beobachter zu melden. //upload.wikimedia.o[...]
[11] 간행물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Entfernung von metallischen Gegenständen (Schiffen o. dgl.), deren Gegenwart durch das Verfahren nach Patent 16556 festgestellt wird. //upload.wikimedia.o[...]
[12] 특허 Telemobiloscope null # Dead link이므로 날짜 정보 없음.
[13] 이미지 gdr_zeichnungpatent.jpg http://100-jahre-rad[...] 2015-02-24
[14] 뉴스 Making waves: Robert Watson-Watt, the pioneer of radar https://www.bbc.co.u[...] BBC 2017-02-16
[15] 웹사이트 Robert Wattson-Watt https://lemelson.mit[...] 2023-12-01
[16] 특허 System for detecting objects by radio 1934-11-27
[17] 서적 History of Communications-Electronics in the United States Navy Washington 1963
[18] 서적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Radar in the Royal Navy, 1935–45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Decimetric Gunnery Equipments Springer 1995
[19] 간행물 Coastal Defence Apparatus Royal Engineers Board 1931-01
[20] 서적 tech. History of the Beginnings of Radar Peter Peregrinus, Ltd 1986
[21] 웹사이트 The “Electric listening device” (1936 – 1941) https://www.museumwa[...] 2024-11-10
[22] 잡지 Radio Waves Warn Liner of Obstacles in Path https://books.google[...] Hearst Magazines 1935-12-01
[23] 서적 Electronic Genie: The Tangled History of Silicon 1998
[24] 논문 Radio-Location and the Air Defence Problem: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Soviet Radar 1972-07-01
[2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radar, from aircraft radio detectors to airborne radar http://kret.com/en/n[...] 2015-02-17
[26] 서적 The Origin of Radar Doubleday Anchor 1962
[27] 잡지 Mystery Ray Locates 'Enemy' https://books.google[...] Bonnier Corporation 1935-10-01
[28] 웹사이트 The story of RADAR Development http://www.doramusic[...] 2002
[29] 웹사이트 Nouveau système de repérage d'obstacles et ses applications http://www.radar-fra[...] 1934-07-20
[30] 보도자료 British man first to patent radar http://www.patent.go[...] The Patent Office 2001-09-10
[31] 특허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reless systems
[32] 뉴스 Briefcase 'that changed the world'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2-05
[33] 뉴스 How the search for a 'death ray' led to radar https://www.bbc.co.u[...] BBC World Service 2017-10-09
[34] 잡지 Night Watchmen of the Skies https://books.google[...] Bonnier Corporation 1941-12
[35] 잡지 Odd-shaped Boats Rescue British Engineers https://archive.org/[...] Hearst Magazines 1941-09
[36] 뉴스 Scotland's little-known WWII hero who helped beat the Luftwaffe with invention of radar set to be immortalised in film http://www.dailyreco[...] 2017-02-16
[37] 웹사이트 The Wizard War: WW2 & The Origins of Radar http://www.vectorsit[...] 2007-01-01
[38] 웹사이트 AIS vs Radar: Vessel Tracking Options https://www.portvisi[...]
[39] 웹사이트 These High-Tech Sensors May Be the Key to Autonomous Cars https://www.nytimes.[...] 2019-09-26
[40] 웹사이트 AWACS: Nato's eyes in the sky http://www.nato.int/[...] 2007
[41] 웹사이트 Terma https://www.terma.co[...] 2019-04-08
[42] 웹사이트 Stopped Vehicle Detection (SVD) Comparison with Automotive Radar https://ogierelectro[...]
[43] 웹사이트 The Technology Behind S+ https://web.archive.[...] 2017-10-29
[44] 웹사이트 Project Soli https://atap.google.[...] 2017-10-29
[45] 서적 Introduction to Airborne Radar https://archive.org/[...] SciTech Publishing Inc. 1998
[46] 뉴스 Exploration: The Doppler Effect Pisgah Astronomical Research Institute
[47] 기술보고서 A Canadian Perspective on High-Frequency Over-the-Horizon Radar https://cradpdf.drdc[...] Def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Canada 2023-12-02
[48] 기술보고서 A model for high frequency radar auroral clutter https://apps.dtic.mi[...] Rome Air Development Center 2023-12-02
[49] 논문 Investigation of Terrain Bounce Electronic Countermeasure https://apps.dtic.mi[...] Air Force Institute of Technology 2023-12-02
[50] 웹사이트 Ground Surveillance Radars and Military Intelligence https://web.archive.[...] Syracuse Research Corporatio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51] 웹사이트 AN/PPS-5 Ground Surveillance Radar https://www.youtube.[...] 2009-12-29
[52] 웹사이트 Fundamentals of Radar Tracking https://web.archive.[...] Applied Technology Institute
[53] 웹사이트 Side-Lobe Suppression https://web.archive.[...] MIT 2012-09-11
[54] 웹사이트 Multi-function Phased Array Radar (MPAR) Project http://www.nssl.noaa[...] NOAA 2017-02-08
[55] 웹사이트 Radar Modulator http://www.radartuto[...] 2015-11-29
[56] 웹사이트 Fully Coherent Radar http://www.radartuto[...] 2015-11-29
[57] 웹사이트 Physics of Outgassing http://www.cientific[...] Instituto de Física Aplicada, CETEF "L. Torres Quevedo", CSIC 2012-08-12
[58] 웹사이트 Polyalphaolefins: A New Improved Cost Effective Aircraft Radar Coolant https://web.archive.[...] Aeronautical Research Laboratory,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Organisation, Department of Defense 2010-03-18
[59] 간행물 ITU Radio Regulations, Section IV. Radio Stations and Systems – Article 1.100, definition: ''radar / RADAR''
[60] 웹사이트 국토교통성 https://www.mlit.go.[...]
[61] 웹사이트 FURUNO https://www.furuno.c[...]
[62] 웹사이트 JRC https://www.jrc.co.j[...]
[63] 웹사이트 電波探知機・電波探信儀用鉱石検波器の研究 http://www.yokohamar[...] 2013-07-20
[64] 웹사이트 Grand View Research, Radar Market Size, Share & Trends Analysis Report By Component (Antenna, Transmitter, Receiver), By Service, By Platform, By Frequency Band, By Range, By End Use, By Region, And Segment Forecasts, 2020 - 2025 https://www.grandvie[...] Grand View Research 2023-03-09
[65] 뉴스 レーダー市場は2028年に443億5000万ドルに達すると予測される https://prtimes.jp/m[...] PR TIMES 2021-07-15
[66] 간행물 第一級陸上特殊無線技士無線工学試験 JZ12B
[67] 웹사이트 ヤマハ、レーダーの基礎知識 https://www.yamaha-m[...] 2023-03-09
[68] 웹사이트 第8章 レーダーシステム http://www.rish.kyot[...] 2015-07-29
[69] 웹사이트 FMCWレーダによる計測 http://www.zuken.co.[...]
[70] 웹사이트 レーダーシステム http://www2.rish.kyo[...]
[71] 웹사이트 ミリ波レーダの高度化 https://www.soumu.go[...]
[72] 서적 兵器と防衛技術シリーズ② 防衛用ITのすべて 防衛技術協会
[73] 웹사이트 パッシブレーダ要素技術の研究 https://www.mod.go.j[...] 2008-09-00
[74] 간행물 地上デジタルテレビ放送波を用いたパッシブレーダの実証検討 (特集 新しい光・電波技術) http://www.mitsubish[...]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e-ソリューション&サービス事業部
[75] 웹사이트 平成14年総務省告示第203号 無線局運用規則第107条及び第108条の規定に基づく海上無線航行業務に使用する電波の型式及び周波数等 https://www.tele.sou[...]
[76] 웹사이트 電波法施行規則第33条および平成2年郵政省告示第240号 電波法施行規則第33条の規定に基づく無線従事者の資格を要しない簡易な操作第6項(3) https://www.tele.sou[...]
[77] 웹사이트 昭和55年郵政省告示第329号 無線設備規則第48条第3項の規定による船舶に設置する無線航行のためのレーダーであつて同条第1項又は第2項の規定を適用することが困難又は不合理であるもの及びその技術的条件第1項第1号 https://www.tele.sou[...]
[78] 웹사이트 電波法施行規則第33条および平成2年郵政省告示第240号 電波法施行規則第33条の規定に基づく無線従事者の資格を要しない簡易な操作第1項第4号および第5号 https://www.tele.sou[...]
[79] 법률 電波法施行令附則第3条第1項及び第2項
[80] 웹사이트 地域周波数利用計画策定基準一覧表 第5号無線航行局 2無線航行陸上局および無線標識局 https://www.tele.sou[...]
[81] 웹사이트 船舶用レーダーの沿岸監視等への利用(四国総合通信局) www.soumu.go.jp/sout[...] 2009-07-22
[82] 법규 電波法施行規則第33条および平成2年郵政省告示第240号 電波法施行規則第33条の規定に基づく無線従事者の資格を要しない簡易な操作第3項第1号 https://www.tele.sou[...]
[83] 법규 無線局免許手続規則第15条の4
[84] 법규 電波法施行規則第4条の4
[85] 법규 令和4年法律第63号による電波法改正
[86] 법규 平成17年総務省令第119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
[87] 법규 平成17年総務省令第119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附則第3条第2項および平成19年総務省令第99号による同附則同条同項改正
[88] 법규 平成17年総務省令第119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附則第3条第1項
[89] 법규 平成17年総務省令第119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の施行日の前日
[90] 법규 平成19年総務省告示第513号 無線設備規則の一部を改正する省令附則第3条第2項の規定に基づく平成29年11月30日までに限り、無線局の免許等若しくは予備免許又は無線設備の工事設計の変更の許可をすることができる条件 https://www.tele.sou[...]
[91] 법령 平成17年総務省令第119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附則第3条第2項
[92] 법령 平成17年総務省令第119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附則第4条第2項
[93] 법령 平成17年総務省令第119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附則第5条第4項
[94] 웹사이트 無線設備規則の一部を改正する省令の一部改正等に係る意見募集 -新スプリアス規格への移行期限の延長-(総務省報道資料 令和3年3月26日) www.soumu.go.jp/menu[...] 2021-04-01
[95] 법령 令和3年総務省令第75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
[96] 웹사이트 無線機器のスプリアス規格の変更に伴い規格にあった無線機器の運用が必要です(総務省電波利用ホームページ - 無線設備のスプリアス発射の強度の許容値) www.tele.soumu.go.jp[...] 2021-09-01
[97] 법령 令和3年総務省令第75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附則第3項
[98] 법령 平成17年総務省令第119号による無線設備規則改正附則第4条第1項ただし書き
[99] 이미지 回転する船舶用レーダーの送受信アンテナ。表示器は船橋にあり、無線航行移動局に分類される。 Two rotating marine [...]
[100] 백과사전 電探 2023-03-07
[101] 웹사이트 2014년 표준어 추가 사정안 http://www.korean.go[...] null
[102] 웹사이트 한국물리학회 물리학용어집 https://www.kps.or.k[...]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