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아들의 비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 아들의 비유는 마태오 복음서 21장 28-32절에 나오는 예수의 비유이다. 이 비유는 아버지의 명령에 순종하지 않은 큰 아들과 처음에는 거부했지만 나중에 순종한 작은 아들을 통해, 겉으로만 의로운 척하는 위선을 비판하고 진정한 회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예수는 이 비유를 통해 세리와 창녀들이 율법학자, 바리새인과 같은 유대교 지도자들보다 먼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한다. 이 비유는 예수와 유대교 지도자들 사이의 종교적 갈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며, 회개와 마음의 변화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수 - 유다의 입맞춤
유다의 입맞춤은 유다 이스카리옷의 배신 행위로, 예수를 체포하게 만든 사건이며, 위선과 배신을 상징하여 예술 작품의 주제가 되기도 했다. - 예수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예수의 비유 - 탕자의 비유
탕자의 비유는 누가복음 15장 11-32절에 나오는 예수의 비유로, 하나님을 거역한 죄인을 받아들이는 하나님의 자비를 보여주며, 긍휼, 율법과 은혜의 대비, 회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구원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 예수의 비유 - 가라지의 비유
가라지의 비유는 예수가 천국을 밭에 비유하며, 원수가 뿌린 가라지를 추수 때까지 함께 자라게 한 후 가라지는 불태우고 곡식은 거두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마태오의 복음서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마태오의 복음서 - 예수의 세례
예수의 세례는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베푼 세례로, 복음서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공관복음서는 세례 직후 성령이 내려오고 음성이 들리는 것을 묘사하며 예수의 공생애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기점으로 여겨진다.
두 아들의 비유 | |
---|---|
구글 지도 | |
정보 | |
비유 | 두 아들의 비유 |
원어 | 고대 그리스어 |
성경 | 신약성경 마태복음 21:28-32 |
관련 인물 | 예수 |
내용 | |
비유 이야기 | 한 아버지에게 두 아들이 있었는데, 아버지가 첫째 아들에게 포도원에 가서 일하라고 하자 처음에는 싫다고 했지만 나중에 마음을 바꿔서 갔고, 둘째 아들에게도 포도원에 가서 일하라고 하자 가겠다고 했지만 가지 않았다. 아버지는 누가 자기 뜻대로 했는지 묻자 사람들은 첫째 아들이라고 답했다. |
비유의 의미 | 첫째 아들은 죄인이었지만 회개하고 하나님께 순종하여 구원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아들은 종교 지도자처럼 순종을 말했지만 실제로는 불순종했기 때문에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
메시지 | 말만 앞세우는 것보다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나님께 진심으로 회개하고 순종하는 것이 중요하다. 죄인이라도 회개하면 하나님의 용서를 받을 수 있다. |
해석 | |
회개의 중요성 | 이 비유는 회개와 순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첫째 아들처럼 죄를 지었더라도 진심으로 회개하고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면 구원받을 수 있다. |
행함의 중요성 | 둘째 아들처럼 말만 앞세우고 행동하지 않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하나님의 뜻을 따르기 위해서는 말과 행동이 일치해야 한다. |
하나님의 긍휼 | 이 비유는 하나님이 죄인을 받아주시는 긍휼을 보여준다. 첫째 아들처럼 과거에 죄를 지었더라도 회개하면 하나님의 용서를 받을 수 있다. |
추가 정보 | |
유사한 비유 | 탕자의 비유와 유사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
교훈 | 말과 행동이 일치해야 하며, 회개와 순종이 구원의 중요한 조건임을 가르친다. |
2. 마태복음 속 이야기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었다. 아버지는 큰아들에게 가서 “얘야, 오늘 포도원에 가서 일하여라.” 하고 명령하였다. 그러자 큰아들은 “아버지, 가겠습니다.” 하고 대답하였으나 가지 않았다. 또 아버지는 작은아들에게도 똑같이 “포도원에 가서 일하여라.” 하고 명령하였다. 그러자 작은아들은 “싫습니다.” 하고 대답하였으나 나중에 마음을 바꾸어 포도원에 갔다.
예수께서 예루살렘 성전의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에게 “이 둘 중 누가 아버지의 뜻대로 한 것이냐?” 하고 물으셨다. 그들이 “작은아들입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세리와 창녀들이 너희보다 먼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간다. 요한이 의의 길을 너희에게 보여 주었는데, 세리와 창녀들은 그를 믿었으나 너희는 그것을 보고도 마음을 바꾸지 않았다.”
2. 1. 한국어 성경 번역본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었는데, 큰아들에게 포도원에 가서 일하라고 말했더니 "아버지, 가겠습니다."라고 대답하고는 가지 않았다. 둘째 아들에게도 똑같이 말했더니 "싫습니다."라고 대답했지만 나중에 마음을 바꾸어 갔다. 이 둘 중 둘째 아들이 아버지의 뜻대로 한 것이다. 예수는 세리와 창녀들이 먼저 하나님 나라에 들어간다고 말하며, 요한이 의로운 길을 가르칠 때 세리와 창녀들은 그를 믿었지만, 다른 이들은 그렇지 않았다고 설명한다.3. 비유의 해석
코르넬리우스 아 라피데는 그의 ''대주석''에서 이 비유에 대해 거의 설명이 필요 없다고 언급했다.[1] 이 비유에서 첫째 아들은 처음에는 아버지의 말씀에 순종하지 않았지만 나중에 회개하여 포도원에서 일하러 감으로써 세리와 창녀들을 가리킨다. 그들은 처음에는 죄로 인해 하나님의 뜻과 법을 거부했지만, 후에 세례자 요한의 설교를 통해 회개하고 하나님의 법에 따라 살았다. 둘째 아들은 아버지에게 포도원에 가겠다고 말했지만 약속을 어기고 가지 않았는데, 이는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을 가리킨다. 그들은 하나님의 법을 입에 달고 있었지만 행위로는 이행하지 않았고, 오히려 탐욕 등으로 그 법에 반했다. 이러한 위선은 하나님을 몹시 분노하게 한다.[1]
예수가 예루살렘 성전 경내에서 사람들에게 가르치고 있자,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이 예수에게 권위에 대해 질문했다. 예수는 세례자 요한의 세례가 하늘로부터 온 것인지, 사람으로부터 온 것인지 물었다.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은 요한을 예언자로 믿는 무리를 두려워하여 대답을 회피했고, 예수 또한 자신의 권위에 대해 말하지 않았다.[2]
군중의 지지를 받는 예수와 대제사장들과 장로들 사이에는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받은 권위를 둘러싸고 긴장 관계가 있었다. 예수가 예루살렘에 들어오면서 그 긴장 관계는 더욱 고조되었다.[3] 그 속에서 예수는 이 비유를 말했다.
비유에서 형은 대제사장들과 장로들, 유대인 권력자들을 나타내고, 아우는 세리들과 창녀들, 죄인들을 나타낸다. 아버지의 “포도원에 가서 일하라”는 명령은 예언자인 요한이 권한 세례를 받아들여 회개하고, 하나님의 명령에 따르는 것을 나타낸다.[4]
예수는 하나님의 가르침 전파를 시작하기 전에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았다.[5] 요한은 예수의 등장에 앞서, 하나님의 백성의 회개를 설파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세례를 주었다. 이것은 하나님의 포도원을 정화하는 작업을 의미했다.[6]
세리들과 창녀들은 자신의 죄를 자각하고 요한의 회개의 세례를 받고 생각을 바꾸었다. 반면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은 마음을 완고하게 하고 요한의 세례를 받지 않고, 자신들이 하나님으로부터 권위를 받았다고 자만하며 생각을 바꾸려 하지 않았다. 예수는 이 비유를 통해 그것을 비판했다.[7][8]
이 비유의 중심 주제는 자신의 죄를 자각하고 삶을 바꾸는 것이다.[9] 그것에 필요한 것은 마음의 유연성과 겸손함일 것이다.[10]
개역한글 성경과 개역개정 성경은 생각을 바꾼 것은 아우라고 말하는 반면, 개역성경과 가톨릭 성경은 형이라고 말한다. 이는 원래의 고대 그리스어 본문이 두 가지가 있기 때문이지만,[11] 예수가 비유를 통해 주장하는 의미에는 변함이 없다.
3. 1. 등장인물
3. 2. 주요 해석
예수가 예루살렘 성전 경내에서 가르칠 때,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은 예수의 권위를 문제 삼았다. 이에 예수는 세례자 요한의 세례가 어디에서 왔는지 질문하며, 그들이 요한을 믿지 않았음을 지적했다.[2] 이 과정에서 예수는 두 아들의 비유를 들어, 스스로 의롭다고 여기는 사람들을 책망했다.[1]비유에서 두 아들은 아버지로부터 포도원에 가서 일하라는 요청을 받는다. 큰 아들은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나중에 뉘우치고 갔고, 작은 아들은 가겠다고 했지만 가지 않았다.[1] 코르넬리우스 아 라피데는 그의 ''대주석''에서, 첫째 아들은 세리와 창녀들을, 둘째 아들은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을 가리킨다고 설명한다.[1] 세리와 창녀들은 처음에는 죄로 인해 하나님의 뜻을 거부했지만, 요한의 설교를 통해 회개하고 하나님의 법에 따라 살게 되었다.[1] 반면,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은 하나님의 법을 입으로만 말하고 실제로는 탐욕과 위선으로 법을 어겼다.[1]
이 비유에서 형은 대제사장들과 장로들, 유대인 권력자들을, 아우는 세리들과 창녀들, 죄인들을 나타낸다.[4] 아버지의 명령은 예언자인 요한의 세례를 받아 회개하고 하나님의 명령에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4] 세리들과 창녀들은 죄를 자각하고 요한의 세례를 통해 생각을 바꾸었지만,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은 마음을 완고하게 하고 요한의 세례를 받지 않으며 자신들의 권위를 자만했다.[7][8] 예수는 이를 비판하며, 자신의 죄를 자각하고 삶을 바꾸는 것, 즉 생각의 전환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9] 이를 위해서는 마음의 유연성과 겸손함이 필요하다.[10]
이 비유는 바리새인과 세리의 비유와 비슷한 주제를 다룬다.[1] 군중의 지지를 받는 예수와 대제사장, 장로들 사이에는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받은 권위를 둘러싼 긴장 관계가 있었고, 예수가 예루살렘에 들어오면서 그 긴장 관계는 더욱 고조되었다.[3] 예수는 하나님의 가르침을 전파하기 전에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았으며,[5] 요한은 예수의 등장에 앞서 하나님의 백성의 회개를 설파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세례를 주었다.[6]
개역개정판 성경과 새번역 성경에서는 형과 아우의 발언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두 가지 고대 그리스어 본문이 있기 때문이다.[11] 그러나 비유를 통해 예수가 주장하는 의미는 변함이 없다.
4. 비유의 배경
마태오 복음 21장 28-32절에 기록되어 있다. 이 비유는 예수의 공생애 기간 동안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예수의 연대기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당시 유대교 지도자들과 예수 사이의 종교적 갈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기도 하다.
마태오 복음에 따르면,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었는데, 맏아들은 아버지의 명령에 순종하는 척했지만 실제로는 따르지 않았고, 둘째 아들은 처음에는 거부했지만 나중에 뉘우치고 아버지의 뜻대로 포도원에서 일했다. 예수는 이 비유를 통해 세리와 창녀들이 유대교 지도자들보다 먼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하며, 겉으로만 의로운 척하는 위선을 비판했다.
4. 1. 역사적, 종교적 배경
두 아들의 비유는 신약의 예수의 비유 중 하나로, 마태오 복음 21장 28-32절에 기록되어 있다. 이 비유는 예수의 공생애 기간 동안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예수의 연대기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당시 유대교 지도자들과 예수 사이의 종교적 갈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기도 하다.마태오 복음에 따르면,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었는데, 맏아들은 아버지의 명령에 순종하는 척했지만 실제로는 따르지 않았고, 둘째 아들은 처음에는 거부했지만 나중에 뉘우치고 아버지의 뜻대로 포도원에서 일했다. 예수는 이 비유를 통해 세리와 창녀들이 유대교 지도자들보다 먼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하며, 겉으로만 의로운 척하는 위선을 비판했다.
5. 현대적 의미와 적용
5. 1. 사회적 의미
5. 2. 개인적 의미
참조
[1]
서적
The great commentary of Cornelius à Lapide
http://www.catholica[...]
London: John Hodges
[2]
서적
(제목 없음)
[3]
서적
(제목 없음)
[4]
서적
(제목 없음)
[5]
성경
마태복음 3:13-17
[6]
서적
(제목 없음)
[7]
서적
(제목 없음)
[8]
서적
(제목 없음)
[9]
서적
(제목 없음)
[10]
성경
마태복음 11:29, 18:2-4
[11]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