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드림캐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림캐처는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에서 유래된 공예품으로, 특히 오지브웨족에서 시작되었다. 거미줄 모양의 그물로 악몽을 걸러내고 좋은 꿈을 꾸도록 돕는다는 의미를 지니며,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 사이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의 상징으로 널리 알려져 장식품, 액세서리, 예술 작품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드림캐처는 문학, 영화, 음악, 미술, 게임 등 다양한 예술 작품과 미디어에 영감을 주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꿈 - 나비의 꿈
    장자의 『장자』 제물론에 나오는 나비의 꿈(호접몽)은 꿈과 현실의 경계를 모호하게 묘사하여 자아와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이야기로, 장자의 핵심 사상을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비유이며, 삶의 허무함과 자아 정체성 탐구, 꿈과 현실의 조화로운 균형을 추구하는 삶의 태도를 제시하고, 동서양의 다양한 작품과 한국 사회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꿈 - 모르페우스
    모르페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꿈의 신으로, 특히 꿈속에서 인간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능력을 지녔으며, 그의 능력에서 유래해 진통제인 모르핀의 이름이 붙여졌고 현대 문화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된다.
  • 주구 - 부적
    부적은 재앙을 막고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여겨지는 주술적 물건으로,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발전했으며 종종 해독하기 어려운 문자로 구성된다.
  • 주구 - 앙크
    앙크는 고대 이집트어에서 유래한 '생명'을 의미하는 상징으로, 기원전 30세기경부터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기원 해석이 존재하고, 고대 이집트에서 생명의 순환을 상징하며 종교와 예술에 널리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장신구 등으로 활용된다.
드림캐처
개요
드림캐처
드림캐처
어원영어 dreamcatcher
언어별 명칭오지브웨어: asabikeshiinh (아사비케시힌)
유래
기원아메리카 원주민
문화권오지브와족
용도악몽을 막아주고 좋은 꿈을 꾸게 해준다는 믿음에서 사용되는 장식품
형태
기본 구조버드나무로 만든 테
그물
깃털
구슬
재료 의미테: 삶의 여정
그물: 꿈을 거르는 역할
깃털: 좋은 꿈이 내려오는 통로
구슬: 거미줄 가운데 박힌 것은 좋은 꿈, 그렇지 않은 것은 악몽
크기다양함
상징
좋은 꿈을 꾸도록 도움
보호악몽으로부터 보호
행운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믿어짐
현대적 사용
용도장식품
액세서리
대중문화영화, 소설,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 등장
주의사항
출처 필요2021년 2월 7일부터 출처 필요

2. 용어

드림캐처의 원래 이름은 '''아사비케시'''(asabikeshiinh|[aˈsabɪˌkeːˌʃĩː]oj)로, 오지브와어에서 “거미”를 뜻하는 말의 무생물 형태이다.[13] 생물 형태는 절지동물 거미를 의미하며 복수형은 asabikeshiinyagoj이고, 드림캐처를 의미하는 무생물 형태의 복수형은 asabikeshiinyanoj이다.

''"거미줄" 부적, 유아 요람에 걸려 있음'' ( "게임에 사용된 가면"과 "아이들을 놀라게 하는 귀신 다리"와 함께 표시됨), 미국 민족학국 게시판 (1929)


부족이나 지역에 따라 드림캐처를 부르는 명칭이 다르기도 하다.

부족별 명칭
부족명칭의미
미국 미네소타주의 화이트 어스 네이션asubakacinoj그물 같은 것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커브레이크 퍼스트 네이션bwaajige ngwaaganoj[14]꿈 올무



1929년 민족학자 프랜시스 덴스모어는 오지브웨족의 전설을 기록했는데, 이에 따르면 "거미줄" 모양의 보호 부적은 땅의 아이들과 사람들을 돌보는 거미 여인(아시비카아시)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오지브웨족이 북아메리카 전역으로 퍼져나가면서 거미 여인이 모든 아이들을 돌보기 어려워지자, 어머니와 할머니들이 버드나무 고리와 힘줄 또는 식물성 끈을 이용해 거미줄 모양의 부적을 만들어 아이들을 보호했다.[3] 이 부적은 원래 주술적 목적을 가졌으며, 처음부터 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덴스모어는 당시 기록에서 "어린아이들에게도 보호 부적이 제공되었다. 그 예로는 요람판 고리에 걸린 '거미줄'이 있다. 옛날에는 이 그물망이 쐐기풀 섬유로 만들어졌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거미줄이 고리에 걸려 있었으며, 거미줄이 그것과 접촉하는 모든 것을 잡고 있는 것처럼 '거미줄이 공기 중에 있을 수 있는 모든 해로움을 잡는다'고 했다"고 설명했다.[3]

3. 기원

1929년, 민족학자 프란세스 덴스모어는 오지브웨족의 전설을 기록했다. 이 전설에 따르면 "거미줄" 형태의 주구는 땅의 아이들과 사람들을 돌보는 거미 여신 Asibikaashi|아시비카시oj에서 유래했다.[15][3] 오지브웨족의 영토가 북아메리카 곳곳으로 넓어지면서 아시비카시가 모든 아이들을 찾아가 돌보기 어려워지자,[15][3] 어머니나 할머니들이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버드나무 가지와 동물의 힘줄 또는 식물성 끈을 이용해 거미줄 모양을 본떠 부적을 만들었다고 한다.[15][3]

이 부적은 원래 아이들의 액막이를 위한 것으로, 주술적인 목적을 가졌다. 덴스모어는 당시 기록에 "거미줄이 그것과 접촉하는 모든 것을 잡고 있는 것처럼, '거미줄이 공기 중에 있을 수 있는 모든 해로움을 잡는다'"고 전해진다고 적었다.[3] 따라서 처음에는 꿈(드림)과 명시적인 관련이 없었다.[15][3]

후대에 드림캐처가 꿈과 관련되어 해석되기 시작했다. 테리 J. 앤드류스(Terri J. Andrews)는 악몽은 그물에 걸려 새벽과 함께 사라지고, 좋은 꿈만 깃털을 타고 내려와 잠든 사람에게 들어간다고 설명했다.[12] 다른 설명으로는 좋은 꿈은 그물 중앙의 구멍을 통과하고 악몽은 그물에 걸려 새벽에 사라진다는 것도 있다.[12]

다른 한편에서는 미국캐나다 국경 부근 오대호 주변에서 어로 생활을 하던 오지브웨족이 낚시에 사용하던 도구에서 드림캐처가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원 또는 눈물 모양의 틀에 쐐기풀 섬유를 꼬아 그물처럼 만든 것이 아이들의 잠자리에 걸어 악령이나 악몽으로부터 지켜주는 부적으로 발전했다는 것이다.

4. 현대의 변형

오늘날 흔히 보이는 비전통적 드림캐처.


오지브와인들은 드림캐처(아사비케시)를 원래의 용도대로 계속 사용해왔으나, 1960년대 범인디언주의 운동이 일어나면서 다양한 원주민 문화를 아우르는 상징으로 채택되었다.[16][5] 이 과정에서 드림캐처는 미국 원주민 또는 캐나다 원주민 문화와의 일반적인 동일시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활용되기도 했다.[5]

"드림캐처"라는 이름 자체는 1970년대에 비원주민 주류 매체를 통해 처음 등장했으며, 원주민 언어를 번역한 것이 아니다. 1977년 여성 잡지 『레이디스 홈 저널』에 그 용례가 나타난다.[17][6] 1980년대에 이르러 드림캐처는 북미 원주민 공예품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18][7] 1990년대 초에는 "가장 인기 있고 시장성 있는" 품목 중 하나가 되었다.[19][8]

2006년 칠레 엘 키스코의 공예 박람회에서 판매된 현대적 파생 상품


이후 오지브와족의 전통과는 거리가 먼 양식과 재료로 만들어진 드림캐처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형된 드림캐처는 주로 뉴에이지 문화에 관심을 가진 비원주민들에 의해 제작, 전시, 판매되었다.[16][5]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이러한 현상을 전통 문화의 과도한 상업화이자 불쾌한 문화 전유로 여기며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게 되었다.[16][5]

한편, 드림캐처가 긍정적인 상징으로 활용되는 사례도 있다. 미네소타주 레드레이크 인디언 보호구역 출신의 리틀 썬더버즈 드럼 앤 댄스 트루프(Little Thunderbirds Drum and Dance Troupe)는 희망과 치유를 나누는 상징으로 드림캐처를 사용한다. 이들은 레드레이크 총격 사건과 유사한 학교 총기 난사 사건을 겪은 다른 학교의 학생들을 방문하여 노래와 이야기를 나누고 드림캐처를 선물하며 아픔을 공유하고 위로를 전했다.[9][10][11]

현대에 들어 드림캐처는 뉴에이지 운동 등을 통해 일본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로 퍼져나가 장식용 액세서리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여전히 전통을 중시하는 원주민들과 그 지지자들 사이에서 문화 전유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5. 관련된 작품

드림캐처 (영화)는 드림캐처를 모티브로 한 SF 영화이다.

참조

[1] 웹사이트 Free English-Ojibwe dictionary and translator - FREELANG https://www.freelang[...]
[2] 서적 View from the Medicine Lodge 2002
[3] 서적 Chippewa Customs Minn. Hist. Soc. Press 1929, 1979
[4] 서적 Entangled Territorialities: Negotiating Indigenous Lands in australia and Canad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7
[5] 웹사이트 Native American Dream catchers http://www.native-la[...]
[6] 간행물 a hoop laced to resemble a cobweb is one of Andrea Petersen's prize possessions. It is a 'dream catcher'—hung over a Chippewa Indian infant's cradle to keep bad dreams from passing through. 'I hope I can help my students become dream catchers,' she says of the 16 children in her class. In a two-room log cabin elementary school on a Chippewa reservation in Grand Portage The Ladies' Home Journal 1977
[7] 간행물 Audrey Speich will be showing Indian Beading, Birch Bark Work, and Quill Work. She will also demonstrate the making of Dream Catchers and Medicine Bags. The Society Newsletter 1985
[8] 웹사이트 Where did the Ojibwe dream catcher come from? http://www.ammsa.com[...] The Aboriginal Multi-Media Society 2001
[9] 뉴스 Marysville School District receives dreamcatcher given to Columbine survivors http://www.tulalipne[...] Tulalip News 2014-11-07
[10] 웹사이트 Showing Newtown they're not alone - CNN Video https://www.cnn.com/[...]
[11] 뉴스 Dreamcatcher for school shooting survivors https://www.wsj.com/[...]
[12] 간행물 Living by the Dream World & I 1998-11
[13] 웹인용 Free English-Ojibwe dictionary and translator - FREELANG https://www.freelang[...]
[14] 서적 View from the Medicine Lodge 2002
[15] 서적 Chippewa Customs Minn. Hist. Soc. Press 1929, 1979
[16] 웹사이트 Native American Dream catchers http://www.native-la[...]
[17] 간행물 a hoop laced to resemble a cobweb is one of Andrea Petersen's prize possessions. It is a 'dream catcher'—hung over a Chippewa Indian infant's cradle to keep bad dreams from passing through. 'I hope I can help my students become dream catchers,' she says of the 16 children in her class. In a two-room log cabin elementary school on a Chippewa reservation in Grand Portage The Ladies' Home Journal 1977
[18] 간행물 Audrey Speich will be showing Indian Beading, Birch Bark Work, and Quill Work. She will also demonstrate the making of Dream Catchers and Medicine Bags. The Society Newsletter 1985
[19] 웹인용 Where did the Ojibwe dream catcher come from? http://www.ammsa.com[...] The Aboriginal Multi-Media Society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