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스크 파티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스크 파티션은 하나의 하드 디스크를 여러 개의 파일 시스템으로 분할하는 기술이다. 파티션은 하드웨어 관리 단위 정의, 장애 격리, 디스크 공간 관리, 운영 체제 설치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유닉스, 윈도우, 리눅스 등 운영 체제 환경에 따라 파티션 종류와 설정 방식이 다르며,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PC/AT 호환기에서는 기본 파티션과 확장 파티션, 논리 파티션으로 구분되며, 파티션 관련 유틸리티와 파일 시스템 생성 명령어를 사용하여 관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스 - 배치 파일
    배치 파일은 MS-DOS, 윈도우, OS/2 운영 체제에서 명령 인터프리터가 순차적으로 명령을 실행하도록 하는 스크립트 파일로, 시스템 초기화 및 환경 설정에 활용되었으며, 동적인 환경 변수, 조건 분기, 루프 등의 프로그래밍 기능을 지원한다.
  • 유틸리티 소프트웨어 종류 - 데이터 압축
    데이터 압축은 디지털 데이터의 크기를 줄여 저장 공간을 절약하고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로, 모르스 부호에서 시작하여 ZIP, JPEG, LZ77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 왔으며, 무손실 압축과 손실 압축으로 나뉘고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성을 높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유틸리티 소프트웨어 종류 - 바이러스 검사 소프트웨어
    바이러스 검사 소프트웨어는 악성 소프트웨어의 감염을 탐지, 제거 또는 차단하는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악성코드를 식별하고 시스템을 감시하며, V3, 노턴 안티바이러스, 알약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IBM PC 호환기종 - EISA
    EISA는 1988년 컴팩을 중심으로 한 PC 제조업체 컨소시엄이 IBM의 MCA에 대항하기 위해 개발한 32비트 PC 버스 표준으로, ISA 버스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고급 기능을 제공하고 특허 및 라이선스 정책에서 자유로워 업계의 지지를 얻으며 PC 버스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 IBM PC 호환기종 - CP/M-86
    디지털 리서치가 개발한 16비트 운영 체제 CP/M-86은 인텔 8086 프로세서용으로 설계된 CP/M-80의 후속작이었으나 MS-DOS에 밀려 널리 사용되지 못했고, 다양한 버전과 간지 CP/M-86도 존재했으며, 1990년대 후반에 오픈 소스화되었다.
디스크 파티션
디스크 파티션
기본 정보
종류저장 장치의 논리적 분할
목적여러 운영체제 설치 및 사용
데이터 관리 효율성 증대
시스템 복구 용이성 확보
역사
개발1970년대 초 IBM
주요 기능
분할 방식주 파티션 (Primary partition)
확장 파티션 (Extended partition)
논리 드라이브 (Logical drive)
파일 시스템FAT
NTFS
ext4
APFS
파티션 테이블MBR
GPT
관련 기술LVM
디스크 암호화
장점
운영체제멀티 부팅 환경 구축 가능
데이터 관리데이터 백업 및 복구 용이
보안시스템 파일과 사용자 데이터 분리 가능
단점
복잡성파티션 설정 및 관리의 어려움
공간 낭비파티션 분할로 인한 디스크 공간 낭비 발생 가능성
관련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내장 도구디스크 관리 (Windows)
디스크 유틸리티 (macOS)
파티션 관리 프로그램GParted
EaseUS Partition Master
Paragon Partition Manager
기타
주의사항파티션 작업 시 데이터 손실 위험 존재

2. 목적

파티션을 생성하는 주된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물리 디스크와 별개로, 하드웨어에 연결된 관리 단위를 정의하고 접근을 제어하여 특정 파티션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파티션 및 하드 디스크 전체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장애를 국소화한다.
  • 특정 파티션에서 디스크 여유 공간이 고갈되더라도 전체 데이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데이터를 국소화한다. 단, 시스템 파티션의 공간이 부족하면 시스템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 용도에 따라 파티션을 분할하여 관리 효율성을 높인다. 예를 들어, 거의 기록되지 않는 파티션은 읽기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후 PC 계열 유닉스 및 윈도우 계열 (MS-DOS 포함) 운영체제가 발전하면서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목적도 생겨났다.

  • 유닉스 멀티 유저 시스템에서 보안을 위해 /home이나 /tmp를 별도 파티션으로 분리한다.
  • 이전 버전의 FAT 파일 시스템의 용량 제한, 구형 BIOS의 부팅 제한 등 기술적 제한을 해결한다.
  • 리눅스 등에서 스왑 파일용 파티션을 사용하며, 여러 OS 설치 시 스왑 파티션을 공유하여 디스크 용량을 절약한다.
  • 서로 다른 디스크 포맷 형식을 사용하는 OS를 공존시키기 위해 파티션을 사용한다.
  • 클래식 Mac OS의 HFS 파일 시스템의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디스크 공간 낭비를 막기 위해 파티션을 작게 분할한다.

2. 1. 데이터 관리 및 안정성

파티션을 생성하면 하나의 하드 디스크에 여러 개의 파일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파티션을 생성하는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장애 국소화: 특정 파티션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파티션 및 하드 디스크 전체에 피해가 미치지 않도록 한다.
  • 데이터 국소화: 특정 파티션의 디스크 여유 공간이 부족해져도 전체 데이터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단, 시스템 파티션의 공간이 부족하면 시스템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 용도별 분할: 읽기/쓰기 빈도 등 용도에 따라 파티션을 분할하여 관리 효율성을 높인다. 예를 들어, 거의 기록되지 않는 파티션은 읽기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PC 계열 유닉스 및 윈도우 계열 (MS-DOS 포함) 운영체제의 발전으로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목적도 생겨났다.

  • 보안 강화: 유닉스 멀티 유저 시스템에서 하드 링크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home 이나 /tmp를 별도 파티션으로 분리한다.
  • 기술적 제한 해결:
  • 이전 버전의 FAT 파일 시스템에서 관리 가능한 용량 제한을 해결한다.
  • 구형 BIOS에서 1024번 이후 실린더에 위치한 운영 체제 (OS)를 부팅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한다.
  • 스왑 파일 활용: 리눅스 등에서 스왑 파일로 파티션을 사용하며, 여러 OS를 설치할 경우 스왑 파티션을 공유하여 디스크 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 OS 공존: 서로 다른 디스크 포맷 형식을 사용하는 OS를 동일한 디스크에 설치하기 위해 파티션을 사용한다.
  • 클래식 Mac OS의 HFS 문제 해결: HFS는 파티션 크기에 비례하는 단위로 파일을 기록하므로, 파티션 크기가 크면 디스크 공간 낭비가 심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작은 파티션으로 디스크를 분할한다.


유닉스 계열의 파티션 관리는 디스크 가격이 비싸고 용량이 제한적이었던 시대의 방식을 반영하여, 1개의 디스크에 7개의 파티션만 생성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파티션 설정은 다음과 같다.

  • 디스크 시작 영역에 VTOC 설정
  • 파티션 0번: / (root)
  • 파티션 1번: swap 영역
  • 파티션 2번: 디스크 전체를 나타내는 OverVIew 파티션
  • 파티션 3번 이후: /usr, /var, /opt, /home, /tmp


PC에서 리눅스 등 Unix 계열 OS를 사용할 때도 위와 유사한 설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

; 리눅스 파티션 설정 (일반적인 대응)

  • /boot
  • / (root)
  • swap
  • 기타 /home, /tmp, /usr, /var, /opt


이는 하나의 파일 시스템이 손상되어도 나머지 데이터 (다른 파일 시스템)가 영향을 받지 않아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파티션을 너무 세분화하면, 특정 파티션의 공간이 부족할 때 다른 파티션에 여유 공간이 있어도 처리를 계속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파티션에 필요한 크기를 미리 잘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어려운 경우도 있다. 데스크톱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 (root)로 스왑 파티션을 제외한 전체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home을 별도 파티션으로 설정하면 사용자 설정 파일 등이 남아있어 재설치 시 설정 재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2. 다중 운영 체제 설치

파티셔닝은 하나의 하드 디스크에 여러 개의 파일 시스템을 가질 수 있게 한다. PC 계열 유닉스 및 윈도우 계열 (MS-DOS 포함)의 발전과 PC에서의 부트로더 도구 등의 개발로 인해 다음과 같은 목적이 추가되었다.

  • 유닉스의 멀티 유저 시스템에서 하드 링크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home이나 /tmp를 별도 파티션으로 분리하는 경우가 있다.
  • 기술적인 제한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이전 버전의 FAT 파일 시스템에서는 관리 가능한 용량이 제한되어 있었다. 또한, 구형 BIOS에서는 1024번 이후의 실린더에 위치한 운영 체제 (OS)를 부팅할 수 없었다.
  • 리눅스와 같은 OS에서는 스왑 파일로 파티션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여러 OS를 탑재할 경우, OS 간에 스왑 파일용 파티션을 공유하여 디스크 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 두 개의 OS가 각각 고유한 디스크 포맷 형식을 가지고 있으면, 동일한 파티션에 공존할 수 없다. 이러한 OS를 공존시키기 위해서는 파티션으로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해야 한다.
  • 클래식 Mac OS의 HFS는 파티션 크기에 비례하는 단위로 파일을 디스크에 기록한다. 따라서, 파티션 크기가 크면 쓰기 단위가 커져 디스크 공간을 낭비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은 파티션으로 디스크를 분할해야 했다.

3. 종류

파티션은 운영체제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크게 유닉스 계열과 PC/AT 호환기(윈도우, 리눅스 등)로 구분할 수 있다.


  • 유닉스 계열: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는 논리 볼륨 관리자를 사용한 가상 파티션과 물리 디스크를 구분하는 일반적인 파티션을 사용한다.
  • PC/AT 호환기 (Windows, Linux 등): PC/AT 호환기에서는 기본 파티션, 확장 파티션, 논리 파티션으로 구분된다. GPT 형식에서는 파티션 개수와 용량 제한이 완화되었다.

3. 1. UNIX 계열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는 논리 볼륨 관리자를 사용한 가상 파티션과 물리 디스크를 구분하는 일반적인 파티션을 사용한다. 디스크의 일반 파티션 정보는 VTOC라는 디스크 시작 영역에 기록된다. SVR4 계열에서는 `prtvtoc` 명령어를 통해 제2 파티션을 나타내는 특수 파일 이름을 지정하거나, `fmthard` 명령어로 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1]

이 정보에는 파티션 번호, 시작/종료 실린더 번호, 읽기/쓰기 모드 등이 기록되며, 디스크 하드웨어 구성에 직접적으로 의존한다. 유닉스 계열의 파티션 관리는 디스크 가격이 비싸고 용량이 적었던 시대의 방식을 반영하여, 1개의 디스크에 7개의 파티션만 생성할 수 있었다.[2]

일반적인 파티션 설정은 다음과 같다.

  • 디스크 시작 영역에 VTOC 설정
  • 파티션 0번: / (root)
  • 파티션 1번: swap 영역
  • 파티션 2번: 디스크 전체를 나타내는 OverVIew 파티션
  • 파티션 3번 이후: /usr, /var, /opt, /home, /tmp


UNIX에서 IPL (초기 프로그램 로더)은 /root 하위 등에 위치한 vmunix (가상 메모리를 구현한 UNIX) 커널을 로드하여 메모리에 전개한다.

PC에서의 리눅스 등 Unix 계열 OS의 파티션 분할도 UNIX의 구현과 유사한 설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다음과 같은 배치에서 그 흔적이 강하게 남아있다.

; 리눅스 파티션 설정 (일반적인 대응)

  • /boot
  • / (root)
  • swap
  • 기타 /home, /tmp, /usr, /var, /opt


Unix 계열 OS 관점에서 보면, 하나의 파일 시스템이 손상되어도 나머지 데이터 (다른 파일 시스템)는 영향을 받지 않아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파티션을 세분화하는 단점으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home 파티션을 다 사용했을 때 다른 파티션에 여유가 있음에도 처리를 계속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각 파티션에 필요한 크기를 미리 잘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어려운 경우도 있다. 데스크톱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 (root)로 스왑 파티션을 제외한 전체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데스크톱 시스템에서도 /home을 별도 파티션으로 설정해두면 사용자 설정 파일 등이 남아있어 재설치 (또는 다른 리눅스 배포판으로 전환) 시 설정 재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논리 볼륨 관리자를 사용하면 하나의 볼륨 그룹(VG)에 물리 디스크(PV 또는 PE)를 등록하고 논리 볼륨(LV)이라는 가상 파티션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가상 파티션은 동적으로 확장/축소가 가능하며, 운영상 시스템을 중단하지 않고 대응할 수 있다.

  • 물리 파티션
  • 논리 파티션(가상 파티션) - 논리 볼륨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3. 2. PC/AT 호환기 (Windows, Linux 등)

윈도우에서 일반적인 파티션 구성은 C 드라이브 하나에 OS, 프로그램,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파티션(또는 드라이브)을 여러 개로 나누어 OS용 파티션 외에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가능하다면, 페이징 파일을 위한 별도 파티션을 만들어 OS와 다른 디스크 드라이브에 두는 것이 좋다. OS를 C 드라이브가 아닌 다른 곳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트로이 목마가 고정된 경로명으로 파일을 접근하려는 경우에 유효할 수 있다.

윈도우 2000이나 윈도우 XP와 같은 윈도우 NT 계열 OS에서는 논리 디스크 매니저를 사용하여 NTFS 상의 임의의 폴더에 다른 파티션을 마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홈 디렉터리인 "내 문서" 폴더에 다른 파티션을 마운트할 수 있다.

  • 기본 파티션(Primary Partition) - 기본 구획이라고도 한다.
  • 확장 파티션(Extended Partition) - 확장 구획이라고도 한다.
  • 논리 파티션(Logical Partition) - 논리 구획이라고도 한다.

3. 3. UNIX 계열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는 논리 볼륨 관리자를 사용한 가상 파티션과 물리 디스크를 구분하는 일반적인 파티션을 사용한다. 디스크의 일반 파티션 관리 정보는 디스크 시작 영역에 VTOC 정보로 기록된다.

일반적인 파티션 설정은 다음과 같다.

  • 디스크 시작 영역에 VTOC 설정
  • 파티션 0번: / (root)
  • 파티션 1번: swap 영역
  • 파티션 2번: 디스크 전체를 나타내는 OverVIew 파티션
  • 파티션 3번 이후: /usr, /var, /opt, /home, /tmp


PC에서 리눅스 등 Unix 계열 운영체제의 일반적인 파티션 분할도 UNIX의 구현과 유사하게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다음 배치에서 그 흔적이 강하게 남아있다.

  • /boot
  • / (root)
  • swap
  • 기타 /home, /tmp, /usr, /var, /opt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는 하나의 파일 시스템이 손상되어도 나머지 데이터(다른 파일 시스템)가 영향을 받지 않아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파티션을 세분화하면 사용자가 /home 파티션을 다 사용했을 때 다른 파티션에 여유가 있어도 처리를 계속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각 파티션에 필요한 크기를 미리 잘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어려운 경우도 있다.

데스크톱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스왑 파티션을 제외한 전체를 "/" (root) 하나의 파티션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home을 별도 파티션으로 설정하면 사용자 설정 파일 등이 남아있어 재설치(또는 다른 리눅스 배포판으로 전환) 시 설정 재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논리 볼륨 관리자를 사용하면 하나의 볼륨 그룹(VG)에 물리 디스크(PV 또는 PE)를 등록하고 논리 볼륨(LV)이라는 가상 파티션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가상 파티션은 동적으로 확장/축소할 수 있으며, 운영 중 시스템을 중단하지 않고 대응할 수 있다.

3. 4. PC/AT 호환기 (Windows, Linux 등)

PC/AT 호환기에서 BIOS를 기준으로 하는 기본 IBM 기기의 제한으로 인해, 기본 파티션은 하나의 하드 디스크에 총 4개밖에 생성할 수 없다. 이는 하드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에 위치한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 내의 파티션 테이블이 4개의 영역만 있기 때문이다.[2]

드라이브 1개당 최대 용량은 2TiB이며, 정의 가능한 값의 상한으로 인해 1개의 파티션 최대값도 이 상한에 해당한다.[2]

확장 파티션은 하나의 하드 디스크에 하나만 생성할 수 있는 특수한 기본 파티션이다. 확장 파티션에는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되지 않으며, 직접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없다. 확장 파티션은 논리 파티션을 넣기 위한 용기와 같은 것이다.[2]

논리 파티션은 확장 파티션 내에서만 생성이 가능한 재귀적인 구조를 가진 파티션이며, 이론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총 수에는 제한이 없다.[2] 단, 중첩된 형태로 파티션이 정의되어 있고, 부팅 영역으로서의 사양은 기본적으로 불가능하다. 생성할 수 있는 수는 본체 측의 메모리 용량이나, 시스템 측에서 인식 가능한 파티션 수 등에 의존하기 때문에, OS에 따라 다르며, 기본 파티션을 포함하여 대략 16-60개 정도이다.[2]

UEFI와 함께 등장한 GPT 형식의 파티션 테이블에서는 이러한 파티션의 개수와 용량 제한이 완화되었다.[2]

3. 5. PC-9800 시리즈

PC-9800 시리즈는 설계상 32GB 드라이브까지 관리 가능하지만, BIOS 설계 문제로 인해 많은 기종에서 드라이브당 최대 인식 용량이 4GB인 경우가 많다.[2] 파티션 테이블은 16개이지만, MS-DOS의 설계상 제약을 이어받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것은 그중 4개이다.

4. 파일 시스템

파티션을 사용하려면 해당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해야 한다.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정의한다.

4. 1. 파일 시스템 생성

기본 파티션 및 논리 파티션은 파일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지 않으면 해당 파티션을 이용할 수 없다.

솔라리스를 제외한 유닉스 계열의 경우, 논리 볼륨 관리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설치 시 rootvg를 정의하고, 그 안에 논리 볼륨을 정의하여 마운트한다. 논리 볼륨 관리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Format 계열 명령어를 사용하여 Format 후에 파티션을 정의하고, 각 마운트 포인트를 설정한다.

윈도우 2000, 윈도우 XP에서는 파티션 생성과 동시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윈도우 9x리눅스에서는 파티션 생성 후에 별도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4. 2. 주요 파일 시스템

기본 파티션 및 논리 파티션은 파일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지 않으면 해당 파티션을 이용할 수 없다.

솔라리스를 제외한 유닉스 계열의 경우, 논리 볼륨 관리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설치 시 rootvg를 정의하고, 그 안에 논리 볼륨을 정의하여 마운트한다. 논리 볼륨 관리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Format 계열 명령어를 사용하여 Format 후에 파티션을 정의하고, 각 마운트 포인트를 설정한다.

윈도우 2000, 윈도우 XP에서는 파티션 생성과 동시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윈도우 9x리눅스에서는 파티션 생성 후에 별도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운영체제주요 파일 시스템
유닉스 계열UFS, BFS, 저널 파일 시스템 등
윈도우 9x 계열FAT16, FAT32
Windows NT 계열FAT16, FAT32, NTFS
리눅스ext2, ext3, FAT16, FAT32 (NTFS)


5. PC/AT 호환기에서의 파티션 분할 예시

PC/AT 호환기에서의 파티션 분할 예


PC/AT 호환기에서 하드 디스크 파티션 분할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 1)과 같이 하나의 하드 디스크에 4개의 기본 파티션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예 2)와 같이 기본 파티션 중 하나를 확장 파티션으로 설정하고, 그 안에 여러 개의 논리 파티션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 3)처럼 확장 파티션 내에 여러 개의 논리 파티션을 두는 것도 가능하다.

기본 파티션과 확장 파티션의 총 개수는 4개를 넘을 수 없으며, (예 3)에서는 2개이다.[1]

오른쪽 그림에서 색상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 빨강: 마스터 부트 레코드
  • 하늘색: 기본 파티션
  • 주황색: 확장 파티션
  • 녹색: 논리 파티션
  • 검정: 하드 디스크 전체


그림에서 파티션 내에 표시된 숫자는 리눅스에서의 장치 번호를 나타낸다.[1]

6. 관련 명령어

파티션 생성 및 관리, 파일 시스템 생성에 사용되는 주요 명령어들은 다음과 같다.

PC/AT 호환기 파티션 관련 유틸리티로는 cfdisk, DiskDrake, fdisk, FIPS, GNU Parted 등이 있다.[1]

운영체제명령어
유닉스 계열각 벤더가 제공하는 물리 Format 명령, 논리 볼륨 관리자를 사용하는 경우 rootvg 정의 후 lv 생성
윈도우 2000, 윈도우 XP논리 디스크 관리자
윈도우 9x 계열, MS-DOSfdisk
리눅스fdisk 또는 parted



주요 파일 시스템 생성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1]

6. 1. PC/AT 호환기 파티션 관련 유틸리티


  • cfdisk
  • DiskDrake
  • fdisk
  • FIPS
  • GNU Parted

6. 2. 주요 파티션 생성 명령어

운영체제명령어
유닉스 계열각 벤더가 제공하는 물리 Format 명령, 논리 볼륨 관리자를 사용하는 경우 rootvg 정의 후 lv 생성
윈도우 2000, 윈도우 XP논리 디스크 관리자
윈도우 9x 계열, MS-DOSfdisk
리눅스fdisk 또는 parted

[1]

6. 3. 주요 파일 시스템 생성 명령어

참조

[1] 문서 スティッキービット
[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