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회 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지털 기회 지수는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이 발표하는 정보 통신 기술 발전 지수(ICT Development Index, IDI)를 의미한다. IDI는 국가별 ICT 발전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보편적인 연결성과 의미 있는 연결성이라는 두 가지 기둥을 기반으로 한다. IDI 값은 ISO 3166-1 alpha-3에 따라 국가 코드로 알파벳순으로 정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T 인프라스트럭처 - 공개 키 기반 구조
공개 키 기반 구조(PKI)는 공개 키 암호화를 기반으로 안전한 통신과 개체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디지털 인증서를 통해 공개 키를 특정 개체에 연결하고 인증서를 관리하며, 인증 기관(CA), 등록 기관(RA) 등 다양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인증서 발급, 관리, 배포, 사용 및 폐기와 관련된 역할, 정책,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절차의 집합을 포함한다. - IT 인프라스트럭처 - 컨버지드 인프라스트럭처
컨버지드 인프라스트럭처는 가상화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킹을 통합하여 IT 리소스를 공유하는 아키텍처이며, 비용 절감과 IT 민첩성 증가를 가져오고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지원한다. - 지표 - 세계 언론 자유 지수
세계 언론 자유 지수는 국경 없는 기자회에서 발표하는 보고서로, 각국의 언론 자유 수준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며, 설문 조사와 데이터 결합을 통해 산출되고 정치, 법 등 5가지 범주를 기준으로 평가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언론 자유도가 높다. - 지표 - 경제고통지수
경제고통지수는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의 합으로 계산되어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을 수치화한 지표이며, 직관적인 이해를 돕지만 경제의 복잡성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고, 다양한 변형된 지표들이 존재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디지털 기회 지수 | |
---|---|
개요 | |
지표 유형 | 정보통신기술 발전 지수 |
관리 기관 | 국제 전기 통신 연합 (ITU) |
첫 발표 | 2009년 |
마지막 발표 | 2017년 |
발표 주기 | 연간 (2009-2017) |
측정 목적 | 각국의 정보통신기술 (ICT) 발전 수준 측정 및 비교 |
평가 방법 | ICT 접근성, ICT 활용도, ICT 기술의 3가지 하위 지표를 종합하여 산출 |
관련 보고서 | "Measuring the Information Society Report" (정보 사회 측정 보고서) |
하위 지표 | |
ICT 접근성 | ICT 인프라 및 접근 용이성 지표 |
ICT 활용도 | ICT 사용량 및 활용 수준 지표 |
ICT 기술 | ICT 기술 수준 및 숙련도 지표 |
특징 | |
주요 특징 | 국가 간 ICT 발전 격차를 파악하고, 발전 추세를 분석하는 데 활용됨 |
활용 분야 | 정책 수립, 투자 결정, 연구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
한계 | 데이터 가용성 및 측정 방법론의 한계 존재 |
참고 자료 | |
관련 링크 | "국제 전기 통신 연합 (ITU) 공식 웹사이트" "ICT 개발 지수 (IDI) 소개 페이지" "ICT 개발 지수 2017 보고서" |
2. ICT 발전 지수 (IDI) 개요
(이전 출력이 없어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침에 따라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에서 발표하는 정보 통신 기술 발전 지수(ICT Development Index, IDI)는 국가별 ICT 발전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이다.
3. 국가별 ICT 발전 지수
2024년에는 국제 전기 통신 연합이 발표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신 정보 통신 기술 발전 지수(IDI) 값을 확인할 수 있다.[3]국가/영토 집계 점수 (0-100) 보편적인 연결성 기둥 의미 있는 연결성 기둥 인터넷을 사용하는 개인(%) 가정 내 인터넷 접속이 있는 가구(%) 100명당 활성 모바일 광대역 가입자 수 최소 3G 모바일 네트워크로 커버되는 인구(%) 최소 4G/LTE 모바일 네트워크로 커버되는 인구(%) 가입자당 모바일 광대역 인터넷 트래픽 (GB) 가입자당 고정 광대역 인터넷 트래픽 (GB) 모바일 데이터 및 음성 고소비 바스켓 가격 (1인당 국민 소득의 %) 고정 광대역 인터넷 바스켓 가격 (1인당 국민 소득의 %) 휴대 전화를 소유한 개인(%) 아프가니스탄 33.1 27.5 38.6 해당 없음 해당 없음 55.5 58.0[3] 26.0[3] 9.8 해당 없음 21.1 15.0 해당 없음 앙골라 49.9 35.3 64.5 39.3[3] 44.6[3] 26.3 87.2 57.9 18.6 861.3 4.5 12.2 45.6[3] 알바니아 84.7 79.1 90.3 82.6 96.5 75.3 99.0 99.0 86.2 1734.8 1.5 1.3 88.2[3] 안도라 88.8 87.6 90.0 94.5[3] 98.9[3] 95.2 99.5 97.0 28.1 3172.8 0.5 0.8 96.6[3] 아랍에미리트 97.5 100.0 94.9 100.0 100.0 234.9 100.0 99.8 100.1 6614.6 1.1 0.7 100.0 아르헨티나 83.4 79.5 87.3 88.4 92.1 72.9[3] 98.5 97.7 47.5 해당 없음 0.6 5.7 89.3 아르메니아 86.4 81.2 91.6 77.0 89.7 102.1 100.0 100.0 91.6 5207.7 0.9 4.2 89.0[3] 앤티가 바부다 79.7 71.7 87.8 87.1 84.4 51.8[3] 99.0[3] 99.0[3] 해당 없음 해당 없음 3.1 5.0 94.3 호주 95.1 94.7 95.4 94.9[3] 97.0[3] 126.4 99.9 99.6 80.9 3338.3 0.6 1.5 96.9
2007년 ICT 발전 지수에서는 대한민국이 1위를 차지했으며, 일본, 덴마크, 아이슬란드 등이 뒤를 이었다.
3. 1. 2024년 국가별 ICT 발전 지수
국가/영토 | 집계 점수 (0-100) | 보편적인 연결성 기둥 | 의미 있는 연결성 기둥 |
---|---|---|---|
아프가니스탄 | 33.1 | 27.5 | 38.6 |
앙골라 | 49.9 | 35.3 | 64.5 |
알바니아 | 84.7 | 79.1 | 90.3 |
안도라 | 88.8 | 87.6 | 90.0 |
아랍에미리트 | 97.5 | 100.0 | 94.9 |
아르헨티나 | 83.4 | 79.5 | 87.3 |
아르메니아 | 86.4 | 81.2 | 91.6 |
앤티가 바부다 | 79.7 | 71.7 | 87.8 |
호주 | 95.1 | 94.7 | 95.4 |
3. 2. 2007년 국가별 ICT 발전 지수
2007년, ITU에서 발표한 ICT 발전 지수에서 대한민국이 0.80점(만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0.77점을 받은 일본이었으며, 덴마크(0.76점), 아이슬란드(0.74점), 싱가포르(0.72점) 등이 그 뒤를 이었다.순위 | 국가 | 점수 |
---|---|---|
1 | 대한민국 | 0.80 |
2 | 일본 | 0.77 |
3 | 덴마크 | 0.76 |
4 | 아이슬란드 | 0.74 |
5 | 싱가포르 | 0.72 |
6 | 네덜란드 | 0.71 |
7 | 타이완 | 0.71 |
8 | 홍콩 | 0.70 |
9 | 스웨덴 | 0.70 |
10 | 영국 | 0.69 |
11 | 핀란드 | 0.69 |
12 | 노르웨이 | 0.69 |
13 | 룩셈부르크 | 0.69 |
14 | 이스라엘 | 0.69 |
15 | 마카오 | 0.69 |
16 | 스위스 | 0.69 |
17 | 캐나다 | 0.67 |
18 | 오스트리아 | 0.67 |
19 | 독일 | 0.66 |
20 | 미국 | 0.66 |
21 | 스페인 | 0.65 |
22 | 호주 | 0.65 |
23 | 벨기에 | 0.65 |
24 | 에스토니아 | 0.65 |
25 | 뉴질랜드 | 0.65 |
4. 대한민국과 ICT 발전 지수
대한민국의 ICT 발전 지수는 현재까지의 자료가 없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Committed to connecting the world
https://www.itu.int/[...]
2024-09-26
[2]
웹사이트
The ICT Development Index
https://www.itu.int/[...]
2024-09-26
[3]
웹사이트
ICT Development Index 2024
https://www.itu.int/[...]
2024-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