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레도 (스페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레도는 스페인 칸타브리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어원은 불분명하며 "모래 땅" 또는 "바위 투성이의 땅"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968년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1200년에는 왕립 도시의 특권을 얻었다. 15세기에 마을로 승격되었고, 19세기 중반에는 통조림 제조와 염장 생선 제조 산업이 도입되었으며, 관광업이 발전했다. 어업, 서비스 부문, 관광에 기반한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칸타브리아 해안의 주요 휴양지 중 하나로 여겨진다. 빌바오, 산탄데르, 마드리드 등과 버스로 연결되어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칸타브리아주의 자치체 - 산탄데르 (스페인)
산탄데르는 비스케이 만에 위치한 스페인 칸타브리아 지방의 주도로, 19세기 도시 확장과 철도 건설, 1900년대 초 관광 도시 발전, 1941년 대화재, 1972년 칸타브리아 대학교 개교 등을 거쳐 현재 서비스, 관광, 금융 산업이 발달했으며 산탄데르 은행 본사가 위치하고, 산탄데르 대성당과 엘 사르디네로 해변 등의 관광 명소와 국제적인 축제, 해산물 요리로 유명하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라레도 (스페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라레도 |
별칭 | 라레도 페히노/아 |
위치 | 스페인 칸타브리아 주 |
면적 | 15.71 km² |
고도 | 5 m |
설립 | 757년 |
인구 | 11,800명 (2014년 기준)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시간대 | CET (+1) |
여름 시간대 | CEST (+2) |
우편 번호 | 39770 |
지역 번호 | 942 |
웹사이트 | 라레도 공식 웹사이트 |
ISO 3166-2 | ES-39 |
행정 구역 | |
국가 | 스페인 |
자치 공동체 | 칸타브리아 |
지방 | 칸타브리아 |
군 | 칸타브리아 동부 해안 |
사법 구역 | 라레도 |
정치 | |
시장 | 로사리오 로사 마르티네스 (2019년) |
소속 정당 | PSOE |
인물 | |
출신 인물 | 루이스 데 라 푸엔테 |
기타 | |
주민 | 라레다노/아, 페히노/아 |
2. 어원
라레도(Laredo)의 어원은 불분명하며, 여러 설이 존재한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모래 땅" 또는 "바위 투성이의 땅"을 의미하는 라틴어의 glaretumlat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라틴어로 갈매기를 의미하는 laridalat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제기되었다. 한편, 바스크어로 "좋은 초원"을 의미하는 larre oneus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고대에는 스트라본이 언급한 콜리스코인들이 아손강 유역에 정착하여 살았다. 라레도에 대한 기록은 968년에 처음 나타나며, 1200년에는 알폰소 8세로부터 왕립 도시 특권을 부여받았다. 이후 라레도는 중요한 항구 도시로 성장하여, 1248년 세비야 정복에 참여하고 1295년에는 칸타브리아 항구 연합인 마리스마스 형제단(Hermandad de las Marismases)에 가입하는 등 활발한 해상 활동을 펼쳤다.
3. 역사
15세기에는 마을(villa)로 승격되었으며, 가톨릭 군주 시대에는 카스티야의 주요 항구로서 번영을 누렸다. 후아나 여왕이나 카를 5세와 같은 왕족들이 플랑드르 등을 오갈 때 이용하기도 했다.
19세기 중반에는 통조림 및 염장 생선 제조업이 도입되었고, 관광업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해수욕을 즐기는 사람들이 찾는 휴양지로 변모했다. 1960년대에는 "코스타 에스메랄다(에메랄드 해안)"의 중심지로 불리며 관광 도시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3. 1. 고대 및 중세
고대 스트라본이 언급한 콜리스코인들이 현재의 라레도 지역에 거주했으며, 이들은 아손강 양쪽에 정착했다.
라레도 마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968년에 나타난다. 이보다 앞선 757년, 수도사 프란시스코 데 베르간사의 저작에서 어촌의 존재가 언급되기도 했다. 라레도에 위치한 산타 마리아 델 푸에르토 데 산토냐 수도원의 특허장 대장에 따르면, 라레도 지역은 산토냐 수도원의 여러 영지와 함께 라레도의 산 마르틴 협회에 귀속되었다.
1200년, 라레도는 대관구 설치와 함께 왕립 도시로서의 특권을 부여받았다. 같은 해 알폰소 8세가 서명한 헌장에 따르면, 라레도의 영역은 아손강 하구부터 아구에라강 서쪽 해안까지 확장되었다. 이 헌장은 라레도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녔으며, 라레도의 선원들은 1248년 세비야 정복 작전에 참여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는 라레도의 문장에도 상징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1295년에는 칸타브리아 주요 항구들이 결성한 선단인 마리스마스 형제단(Hermandad de las Marismas)의 일원이 되었다. 라레도 선단은 1339년 타리파 원정에 참여했으며, 1375년에는 라 로셸 원정에서의 승리에 기여하여 카스티야가 브뤼헤와의 무역을 재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5세기에 들어 라레도는 마을(villa)로 승격되었고, 상업, 군사, 어업 분야에서 선박과 선원을 제공하며 발전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속에서 라레도의 유대인 공동체는 점차 소멸하는 결과를 맞았다. 가톨릭 군주 통치 시기 라레도는 인구 2000명이 거주하는 번영기를 누렸다. 가톨릭 군주와 그 후계자들은 카스티야와 가까운 항구인 라레도를 자주 이용했는데, 후아나 여왕이 미남왕 필리페에게 시집갈 때와 카를 5세가 플랑드르에서 스페인으로 상륙할 때 이곳을 거쳐갔다.
3. 2. 근세
15세기에 마을(villa)로 승격되었고, 상업, 군사, 어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선박과 선원을 제공했다. 이 과정에서 라레도의 유대인 공동체는 점차 소멸되었다.
가톨릭 군주 시대에 라레도는 인구 2,000명이 거주하는 번영기를 누렸다. 가톨릭 군주와 그 후계자들은 카스티야와 가까운 라레도 항구를 자주 이용했다. 후아나 여왕이 미남왕 필리페에게 시집갈 때와 카를 5세가 플랑드르에서 스페인으로 올 때 라레도 항구를 이용한 기록이 있다.
19세기 중반에는 통조림 및 염장 생선 제조업이 도입되어 지역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이 시기부터 관광업도 발달하기 시작하여 해수욕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라레도를 찾기 시작했다. 1960년대에는 "Costa Esmeralda|코스타 에스메랄다spa(에메랄드 해안)"의 중심지로 불리며 관광 도시로서의 명성을 얻었다.
3. 3. 근현대
19세기 중반, 통조림 제조와 염장 생선 제조 산업이 도입되었다. 또한 관광업이 번성하여 해수욕객들이 방문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에는 "코스타 에스메랄다의 중심"으로 소개되기도 하였다.
4. 경제
라레도의 경제는 주로 어업, 서비스 부문, 그리고 관광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도시는 칸타브리아 해안의 주요 휴양지 중 하나로 여겨진다.[2] 지역 산업은 멸치와 같은 어류 가공업과 가족 단위 기업들이 중심을 이룬다.
라레도의 평균 소득 수준은 칸타브리아 지방 내에서 상위 15위 안에 들며, 경제 활동 인구의 절반 이상(51.2%)이 서비스 부문에 종사하고 있다. 이는 지역 경제에서 서비스업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라레도 지역 병원은 인근 지역 주민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5. 교통
라레도는 ALSA 버스를 통해 스페인의 주요 교통 중심지인 빌바오와 산탄데르로 연결된다. 빌바오는 라레도에서 동쪽으로 약 1시간, 산탄데르는 서쪽으로 약 40분 거리에 있다. 마드리드까지는 버스로 약 5시간이 소요된다.
6. 자매 도시
7. 출신 인물
- 베르나르디노 데 에스칼란테 (1537년–1605년경), 16세기 작가.
- 호세 에밀리오 아마비스카 (1971년–), 은퇴한 축구 선수.
- 이그나시오 로드리게스 오르티스 (1982년–), 축구 선수.
8. 갤러리
참조
[1]
뉴스
"El Diario; Último adiós a la sardina en Laredo"
http://www.eldiariom[...]
El Diario Montañés
2007-02-24
[2]
웹사이트
www.spain.info
http://www.spain.inf[...]
[3]
뉴스
Veinte años después, la villa volvió a hermanarse con la ciudad gala de Cenon
http://www.eldiariom[...]
El Diario Montañés
2013-03-03
[4]
뉴스
Laredo y el Campamento Dajla firman convenio de un hermanamiento de solidaridad
http://www.spsrasd.i[...]
Sahara Press Service
2013-03-03
[5]
뉴스
LA CASA DE CULTURA ACOGERÁ MAÑANA LA PRESENTACIÓN DEL DOCUMENTAL HIJAS DE LA ESPERANZA, DE JAVIER IBARRA
http://www.laredo.es[...]
Laredo.es
2013-03-03
[6]
뉴스
Estudiantes tejanos de visita en Laredo
http://www.eldiariom[...]
El Diario Montañés
2013-03-03
[7]
웹사이트
Laredo, Spain
http://www.laredotex[...]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