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마나타푸람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마나타푸람구는 인도 타밀나두주에 위치한 지역으로, 1910년 마두라이와 티루넬벨리 지역의 일부를 합쳐 형성되었다.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판디안 왕조, 비자야나가르 제국, 마라바르족, 그리고 영국의 통치를 받았으며, 1985년 카마라자르 현과 시바강가이 현으로 분리되었다. 지리적으로는 제4기 시대의 퇴적물과 시생대 결정질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강과 해양 퇴적물이 존재한다. 또한, 만나르만 해양 생물권 보전 지역의 일부를 포함하며, 고추 생산지로도 알려져 있다.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타밀어가 주된 사용 언어이며, 힌두교가 다수를 차지한다. 행정 구역은 7개의 군과 12개의 블록으로 나뉘며, 라마나타푸람 로크 사바 선거구에 속한다. 주요 명소로는 라마나타푸람, 라메스와람, 탕가치마담, 팜반 다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밀나두주의 구 - 티루치라팔리구
    티루치라팔리구는 타밀나두 주 중앙에 위치한 구로, 카베리 강이 관통하며 다양한 지형을 이루고, 바라트 중공업 등의 산업 시설과 농업, 특히 바나나 재배가 발달했으며, 스리랑감 사원과 티루바나이카발 사원 등의 문화 유적과 관광 명소가 있다.
  • 타밀나두주의 구 - 닐기리스구
    닐기리스구는 인도 타밀나두 주의 산악 지역으로, 관광 명소와 차 재배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사회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환경 문제와 소득 격차라는 과제도 안고 있다.
  • 인도의 행정 구역 - 시킴주
    시킴주는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존재했던 시킴 왕국이 있었던 곳으로, 티베트 불교 닝마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현재는 인도 북동부에 위치하며 험준한 지형과 다양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고, 힌두교, 불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다민족 사회이며, 네팔어가 공용어이다.
  • 인도의 행정 구역 - 타밀나두주
    타밀나두주는 인도 남동부 해안에 위치한 주로, 유구한 역사와 풍부한 문화유산, 발전된 경제, 높은 문해율을 자랑하며 인도 내 중요한 중심지이다.
라마나타푸람구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파마반 다리에서 본 라메스와람 섬의 항공 뷰, 타밀나두, 인도
라메스와람 섬의 항공 뷰 (파마반 다리), 타밀나두, 인도
별칭무가바이
기본 정보
국가인도
[[파일:TamilNadu Logo.svg|22px]] 타밀나두
자치 도시라마나타푸람, 파라마쿠디, 라메스와람, 킬라카라이
면적별 최대 도시라마나타푸람
인구별 최대 도시파라마쿠디
읍면라자싱가망갈람, 카무티, 무두쿨라투르, 아비라마람, 톤디, 사얄구디
관할 구역카달라디, 카무티, 킬라카라이, 무두쿨라투르, 파라마쿠디, R.S.망갈람, 라마나타푸람, 라메스와람, 티루바다나이
본부라마나타푸람
명칭 유래라마
인구 (2011년)1,353,445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거주민람나디안
언어타밀어
시간대IST
UTC 오프셋+5:30
우편 번호623xxx
지역 번호04567
차량 등록 번호TN-65
행정
행정 수반 (컬렉터)조니 톰 바르게세, IAS
경찰 총감G.찬디쉬 IPS
추가 정보
웹사이트라마나타푸람 구청 웹사이트

2. 역사

라메스와람 사원의 복도


라마나타푸람구는 15세기 초 판디안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1063년 라젠드라 촐라 1세가 잠시 이 지역을 점령하기도 했으나, 1520년 비자야나가르 제국이 이 지역을 장악했다. 이후 17세기에는 마라바르 족장인 세투파티가 이 지역을 통치했다.

18세기 초, 상속 문제로 인해 라마나타푸람이 분열되었고, 1730년에는 탄자부르 왕의 지원을 받은 족장이 세투파티를 몰아내고 시바강가의 라자가 되었다. 이 틈을 타 지역 족장들이 독립했고, 시바강가의 라자와 라마나타푸람의 세투파티가 대표적이었다. 1730년 카르나틱의 찬다 사히브가 라마나타푸람을 점령했고, 1741년에는 마라타족, 1744년에는 니잠의 지배를 받았다. 나바브의 통치에 불만을 품은 족장들은 1752년 나바브에 대항하여 판디야 만달람의 마지막 나약을 지도자로 선언했다. 당시 카르나틱 왕위를 두고 찬다 사히브와 모하메드 알리가 경쟁했고, 영국프랑스가 각각 이들을 지원하면서 남부 지역에서 갈등이 발생했다.

1795년, 영국은 무투라말링가 세투파티를 폐위시키고 라마나타푸람을 직접 통치하기 시작했다. 1801년 망갈레스와리 나치야르가 시바강가의 자민다르가 되었으나, 여왕 사후 마루두 형제가 영국 동인도 회사에 세금을 납부하며 통치했다. 1803년 마루두 형제는 판찰람쿠리치의 카타보만과 연합하여 영국에 대항했으나 진압되었고, 고우리 발라바 페리아 우다야 데바르가 시바강가의 자민다르가 되었다. 티푸 술탄 몰락 후 영국은 나바브를 투옥하고 이 지역을 완전히 장악했다. 1892년 자민다리 제도가 폐지되고 영국인 수집가가 임명되어 행정을 담당했다.

1910년 마두라이티루넬벨리 일부 지역을 합쳐 라마나타푸람이 형성되었고, J.F. 브라이언트가 초대 수집가로 임명되었다. 영국 통치 시기 "람나드"로 불렸던 이 지역은 독립 이후에도 그 이름이 유지되다가, 타밀어 이름인 라마나타푸람으로 변경되었다. 1985년에는 서부와 북부가 각각 카마라자르 현(현 비루두나가르 현)과 파순폰 무두라마린가 데바르 현(현 시바강가이 현)으로 분리되었다.[1]

2. 1. 고대 및 중세



15세기 초, 라마나타푸람구의 현재 영토는 판디안 왕조의 티루바다나이, 라자싱가망갈람, 파라마쿠디, 라마나타푸람 및 라메스와람, 카무티, 무두쿨라투르 탈루크로 구성되었다. 1063년 라젠드라 촐라 1세가 이 지역을 자신의 영토로 만들었을 때 짧은 기간 동안 왕들의 통치를 받았다. 1520년 비자야나가르의 나약은 약 2세기 동안 판디안 왕조로부터 이 지역을 장악했다. 마라바르 족장인 세투파티는 판디안 왕의 영주였으며 이 지역을 통치했다(17세기). 18세기 초, 상속을 둘러싼 가족 분쟁으로 인해 라마나타푸람이 분열되었다. 1730년 탄자부르 왕의 도움으로 족장 중 한 명이 세투파티를 폐위시키고 시바강가의 라자가 되었다. 나약 통치자들의 약점을 이용하여 지역 족장들(팔라야카르)이 독립했다. 시바강가의 라자와 라마나타푸람의 세투파티가 그중 두드러졌다. 1730년 카르나틱의 찬다 사히브가 라마나타푸람을 점령했다. 1741년 이 지역은 마라타족의 통치를 받았고, 1744년에는 니잠의 통치를 받았는데, 나바브의 통치는 족장들의 불만을 샀다. 그들은 1752년 나바브에 맞서 판디야 만달람의 마지막 나약을 통치자로 선언했다. 그 당시 카르나틱의 왕위는 찬다 사히브와 모하메드 알리라는 두 명의 경쟁자를 두고 있었고, 이 지역은 카르나틱의 일부였다. 영국과 프랑스는 각각 찬다 사히브와 모하메드 알리를 지원했다. 이는 대륙 남부에서 일련의 갈등을 초래했다.

2. 2. 근세

15세기 초, 라마나타푸람구의 현재 영토는 판디안 왕조의 티루바다나이, 라자싱가망갈람, 파라마쿠디, 라마나타푸람라메스와람, 카무티, 무두쿨라투르 탈루크로 구성되었다. 1063년 라젠드라 촐라 1세가 이 지역을 자신의 영토로 만들었을 때 짧은 기간 동안 왕들의 통치를 받았다. 1520년 비자야나가르의 나약은 약 2세기 동안 판디안 왕조로부터 이 지역을 장악했다. 마라바르 족장인 세투파티는 판디안 왕의 영주였으며 17세기에 이 지역을 통치했다. 18세기 초, 상속을 둘러싼 가족 분쟁으로 인해 라마나타푸람이 분열되었다. 1730년 탄자부르 왕의 도움으로 족장 중 한 명이 세투파티를 폐위시키고 시바강가의 라자가 되었다. 나약 통치자들의 약점을 이용하여 지역 족장들(팔라야카르)이 독립했다. 시바강가의 라자와 라마나타푸람의 세투파티가 그중 두드러졌다. 1730년 카르나틱의 찬다 사히브가 라마나타푸람을 점령했다. 1741년 이 지역은 마라타족의 통치를 받았고, 1744년에는 니잠의 통치를 받았는데, 나바브의 통치는 족장들의 불만을 샀다. 그들은 1752년 나바브에 맞서 판디야 만달람의 마지막 나약을 통치자로 선언했다. 그 당시 카르나틱의 왕위는 찬다 사히브와 모하메드 알리라는 두 명의 경쟁자를 두고 있었고, 이 지역은 카르나틱의 일부였다. 영국과 프랑스는 각각 찬다 사히브와 모하메드 알리를 지원했다. 이는 대륙 남부에서 일련의 갈등을 초래했다.

1795년, 영국은 무투라말링가 세투파티를 폐위시키고 라마나타푸람 행정부를 장악했다. 1801년 망갈레스와리 나치야르가 시바강가의 자민다르가 되었다. 여왕이 사망한 후 마루두 형제는 동인도 회사에 정기적인 세금을 납부하여 책임을 맡았다. 1803년 시바강가의 마루두 형제는 판찰람쿠리치의 카타보만과 협력하여 영국에 반란을 일으켰다. 아그뉴 대령은 마루두 형제를 체포하여 교수형에 처하고 고우리 발라바 페리아 우다야 데바르를 시바강가의 자민다르로 만들었다. 티푸 술탄이 몰락한 후, 영국은 통제권을 잡고 나바브를 투옥했다. 1892년, 자민다리 제도가 폐지되고 영국 수집가가 행정을 위해 임명되었다.

2. 3. 영국 식민지 시대

1520년 비자야나가르의 나약은 약 2세기 동안 판디안 왕조로부터 이 지역을 장악했다. 마라바르 족장인 세투파티는 판디안 왕의 영주였으며 이 지역을 통치했다(17세기).[1] 18세기 초, 상속을 둘러싼 가족 분쟁으로 인해 라마나타푸람이 분열되었다.[1] 1730년 탄자부르 왕의 도움으로 족장 중 한 명이 세투파티를 폐위시키고 시바강가의 라자가 되었다.[1] 나약 통치자들의 약점을 이용하여 지역 족장들(팔라야카르)이 독립했는데, 시바강가의 라자와 라마나타푸람의 세투파티가 그중 두드러졌다.[1]

1730년 카르나틱의 찬다 사히브가 라마나타푸람을 점령했다.[1] 1741년 이 지역은 마라타족의 통치를 받았고, 1744년에는 니잠의 통치를 받았는데, 나바브의 통치는 족장들의 불만을 샀다.[1] 그들은 1752년 나바브에 맞서 판디야 만달람의 마지막 나약을 통치자로 선언했다.[1] 그 당시 카르나틱의 왕위는 찬다 사히브와 모하메드 알리라는 두 명의 경쟁자를 두고 있었고, 이 지역은 카르나틱의 일부였다.[1] 영국과 프랑스는 각각 찬다 사히브와 모하메드 알리를 지원하여 대륙 남부에서 일련의 갈등을 초래했다.[1]

1795년, 영국은 무투라말링가 세투파티를 폐위시키고 라마나타푸람 행정부를 장악했다.[1] 1801년 망갈레스와리 나치야르가 시바강가의 자민다르가 되었다.[1] 여왕이 사망한 후 마루두 형제는 동인도 회사에 정기적인 세금을 납부하여 책임을 맡았다.[1] 1803년 시바강가의 마루두 형제는 판찰람쿠리치의 카타보만과 협력하여 영국에 반란을 일으켰다.[1] 아그뉴 대령은 마루두 형제를 체포하여 교수형에 처하고 고우리 발라바 페리아 우다야 데바르를 시바강가의 자민다르로 만들었다.[1] 티푸 술탄이 몰락한 후, 영국은 통제권을 잡고 나바브를 투옥했다.[1] 1892년, 자민다리 제도가 폐지되고 영국 수집가가 행정을 위해 임명되었다.[1]

1910년, 라마나타푸람은 마두라이티루넬벨리 지역의 일부를 합쳐 형성되었으며, J.F. 브라이언트 I.C.S.가 초대 수집가였다.[1] 이 지역은 라마나타푸람으로 명명되었는데, 영국 시대에는 "람나드"라고 불렸으며 이 이름은 독립 후에도 계속되었다.[1] 이후 이 지역은 타밀어 이름에 맞춰 라마나타푸람으로 개명되었다.[1]

2. 4. 독립 이후

1795년, 영국은 무투라말링가 세투파티를 폐위시키고 라마나타푸람 행정부를 장악했다.[1] 1801년 망갈레스와리 나치야르가 시바강가의 자민다르가 되었다.[1] 여왕이 사망한 후 마루두 형제는 동인도 회사에 정기적인 세금을 납부하며 책임을 맡았다.[1] 1803년 시바강가의 마루두 형제는 판찰람쿠리치의 카타보만과 협력하여 영국에 반란을 일으켰다.[1] 아그뉴 대령은 마루두 형제를 체포하여 교수형에 처하고 고우리 발라바 페리아 우다야 데바르를 시바강가의 자민다르로 만들었다.[1] 티푸 술탄이 몰락한 후, 영국은 통제권을 잡고 나바브를 투옥했다.[1] 1892년, 자민다리 제도가 폐지되고 영국 수집가가 행정을 위해 임명되었다.[1]

1910년, 라마나타푸람은 마두라이티루넬벨리 지역의 일부를 합쳐 형성되었다.[1] J.F. 브라이언트 I.C.S.가 초대 수집가였다.[1] 이 지역은 라마나타푸람으로 명명되었다.[1] 영국 시대에 이 지역은 "람나드"라고 불렸으며, 그 이름은 독립 후에도 계속되었다.[1] 이후 이 지역은 타밀어 이름에 맞춰 라마나타푸람으로 개명되었다.[1] 1985년, 서부와 북부가 각각 카마라자르 현(1996년에 비루두나가르 현으로 개칭)과 파순폰 무두라마린가 데바르 현(1996년에 시바강가이 현으로 개칭)으로 분리되었다.[1]

3. 지리

라메스와람이 위치한 팜반 섬


라마나타푸람구는 다양한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크게 보면 위치 및 지형, 지질, 만나르만 해양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3. 1. 위치 및 지형

북쪽은 푸두코타이 구, 북서쪽은 시바강가이 구, 서쪽은 비루두나가르 구, 남서쪽은 투티코린 구와 접하며, 동쪽과 남쪽은 포크 해협이다. 동쪽으로 뻗어 나온 곶과 그 너머로 이어지는 섬들인 아담스 브리지(ஆதம் பாலம்)의 뒤편에는 스리랑카가 있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면적은 4175km2이며, 인구 밀도는 284명/km2이다.

3. 2. 지질

이 지역은 대부분 제4기 시대의 굳지 않은 퇴적물로 덮여 있으며, 북서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시생대 결정질과 제3기 사암이 노출되어 있다. 시생대는 주로 가넷이 함유된 과립암으로 구성된 차노카이트암군과 석영암과 편마암으로 구성된 콘달라이트암군으로 나타난다.

제3기 사암(쿠달로르 층)은 분홍색, 황색, 적색(다채로운 색상)의 중간 내지 조립질 사암과 점토암으로 구성된다. 이는 얇은 충적토로 덮여 있으며 바이개 강 북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구역 북서부에서는 분리된 노두의 래터라이트와 래터라이트 토양이 보인다.

구역의 주요 부분은 제4기 시대의 하성, 하해성, 풍성 및 해양 퇴적물로 덮여 있다. 다양한 정도의 혼합으로 모래, 미사 및 점토로 구성된 하성 퇴적물은 바이개, 군다르, 마니무타르 및 팜바르 강의 활성 채널을 따라 발생한다. 이들은 제방, 홍수 분지, 채널 바/ 포인트 바 및 고대 채널 퇴적물로 분류되었다. 고대 채널 퇴적물은 잘 보존된 사층리를 가진 갈색을 띤 미세 내지 중간 모래로 구성된다.

하해성 퇴적물은 바이개 삼각주에서 삼각주 평원, 고대 조수 평원 및 사구 평원으로 노출된다. 삼각주 평원과 사구 평원은 중간, 회갈색 모래로 구성된다. 고대 조수 평원 퇴적물은 검은색 미사 점토, 검은색 점토 및 진흙을 포함한다. 라메스와람 섬에서, 하해성 퇴적물은 경화된 모래와 사구 모래를 포함한다.

치트란구디 조류 보호구역 점박이 펠리칸


풍성 퇴적물은 고대 사구의 성격을 띠는 붉은 모래로 구성되며, 폭 3.2km, 길이 8km에 걸쳐 해안과 평행하게 놓여 있다. 이들은 검은 점토의 습지 퇴적물로 분리되어 있다. 모래는 석회질 경반으로 덮여 있다. 라메스와람 섬에서도 갈색 모래 퇴적물이 마을 서쪽 NH 49 양쪽의 삼바이다담 주변에 존재한다.

해양 지층은 다양한 비율의 모래와 점토로 된 해안 평원 퇴적물로 구성된다. 해양 석회질 경반은 낮은 테라스와 플랫폼으로 나타나며, 석영, 갈철석 및 가닛 농축물이 혼합되어 있다.

3. 3. 만나르만 해양 생물권 보전지역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국립공원 위원회와 세계 자연 기금(WWF)은 만나르만 해양 생물권 보전지역을 다양성과 특별한 다중 이용 관리 상태를 고려하여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지역으로 지정했다. 또한, 인도 최초의 해양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된 이곳은 오랫동안 국가적 우선순위가 되어왔다.

만나르만은 3,600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며, 인도 본토 전체에서 생물학적으로 가장 풍부한 해안 지역 중 하나이다. 해조류, 해초, 산호초, 진주 조개, 어류 및 조개류 자원, 맹그로브, 그리고 고유종 및 멸종 위기종이 풍부하게 서식한다. 이곳은 멸종 위기에 처한 해양 포유류인 듀공(일반적으로 바다 소라고 불림)의 중요한 서식지이기도 하다.

만나르만에서는 137종의 산호가 발견된다. 산호는 다양한 모양을 띠며, 손가락 모양의 가지를 가진 것도 있고, 능선과 고랑이 얽혀 있는 돔 모양의 군체를 이루는 것도 있다.

해면동물은 언뜻 보면 식물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동물이며, 단독으로 또는 여러 개체가 모여 군체를 이루며 산다. 색깔도 모양만큼이나 다양하여 녹색, 빨간색, 노란색, 심지어 검은색이나 흰색을 띤다. 틈새에서는 작은 게와 불가사리부터 이매패류 연체동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동물들과 함께 발견된다. 8개의 목에 속하는 275종이 만나르만에서 발견된다.

4. 인구 통계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마나타푸람구의 인구는 1,353,445명이며, 성비는 남성 1,000명당 여성 983명으로 전국 평균 929명보다 높았다.[17] 6세 미만 인구는 140,644명(남성 71,705명, 여성 68,939명)이었다. 지정 카스트와 지정 부족은 각각 인구의 18.4%, 0.08%를 차지했다. 평균 식자율은 72.33%로 전국 평균 72.99%보다 낮았다.[17]

라마나타푸람구에는 총 323,905가구가 있었으며, 총 602,977명의 노동자가 있었다. 직업별 노동자 수는 다음과 같다.[18]

라마나타푸람구의 직업별 노동자 수
직업인원
경작자149,959명
주요 농업 노동자103,592명
가내 수공업 종사자18,546명
기타 노동자214,053명
한계 노동자116,827명
한계 경작자23,808명
한계 농업 노동자50,282명
가내 수공업의 한계 노동자6,682명
기타 한계 노동자36,055명



라마나타푸람구의 역사적 인구[4]
연도인구±%
1901442,067-
1911477,726+8.1%
1921479,202+0.3%
1931517,471+8.0%
1941577,826+11.7%
1951551,125-4.6%
1961702,168+27.4%
1971822,623+17.2%
1981998,295+21.4%
19911,119,153+12.1%
20011,187,604+6.1%
20111,353,445+14.0%


4. 1. 종교

종교비율 (%)
힌두교77.39
이슬람교15.37
기독교6.73
기타 또는 미상0.51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마나타푸람구의 종교별 비율은 위와 같다.[5]

4. 2. 언어

2011년 인구 조사 당시 라마나타푸람구 인구의 97.67%가 타밀어를, 1.53%가 사우라슈트라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7]

5. 경제

파라마쿠디는 타밀나두주에서 고추 생산량의 34%를 차지하는 최대 생산지이다.[10][19] 2018년, 인도 정부는 라마나타푸람구를 전국에서 가장 낙후된 112개 지역 중 하나로 분류하고, 야심 찬 지역 1단계에 포함시켰다.[11]

라마나타푸람 문두 고추는 이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건조된 붉은 고추의 한 종류이다.[12][13] 주로 라마나타푸람구의 티루바다나이, 무두쿨라투르, 카달라디, RS 망갈람 및 카무티 탈루크에서 재배된다.[14] 2022년 2월 22일, 인도 연방 정부 산하의 지리적 표시 등록소로부터 지리적 표시(GI) 지위를 획득했다(2030년 11월 15일까지 유효).[15]

무드쿨라투르의 라만나타푸람 문두 칠리 생산자 유한회사가 라마나타푸람 문두 칠리의 GI 등록을 제안했다. 2020년 11월에 신청서를 제출한 후, 2023년에 첸나이의 지리적 표시 등록소로부터 이 칠리는 GI 태그를 받게 되었고, "라마나타푸람 문두 칠리"라는 명칭은 이 지역에서 재배된 칠리에만 적용되게 되었다. 이로써 타밀나두에서 최초로 칠리 품종이 GI 태그를 획득했고, 타밀나두에서 45번째로 GI 태그를 받은 상품이 되었다.[16]

6. 행정 구역

라마나타푸람구는 7개의 군(Taluk)과 11개의 구(Block)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라마나타푸람구는 라메스와람군, 라마나타푸람군, 티르바다나이군, 파라마쿠디군, 무두쿨라투르군, 카무디군, 카달라디군으로 나뉜다.

6. 1. 군(Taluk)

라마나타푸람구는 다음 7개의 군(வட்டம்|바탐ta)으로 구분된다.

6. 2. 구(Block)

구(Block) 이름비고
만다팜구
라메스와람구
라마나타푸람구
티루풀라니구
티루바다나이구
라자싱하만갈람구
나이나르코일구
보갈루르구
무두쿨라투르구
파라마쿠디구
카무디구
카달라디구


7. 정치

라마나타푸람구는 라마나타푸람 로크 사바 선거구에 속해 있다.

선거구의원정당
라마나타푸람카디르 바차 S.DMK
무두쿨라투르R. S. 라자칸나판DMK
파라마쿠디 (SC)S. 무루게산DMK
티루바다나이RM. 카루마니캄INC


8. 주요 명소

팜반 다리는 팜반 섬과 본토를 연결한다.


팜반 다리에서 바라본 어선들


인도 본토와 팜반 섬을 연결하는 팜반 철교

  • 라마나타푸람: (궁전 - 이 궁전은 세투파티 왕 중 가장 유명한 키자반 세투파티(1674–1710 CE)의 통치 기간에 지어졌다.)
  • 라메스와람은 힌두교도들에게 시바라마의 순례 중심지로 알려진 성지이다. (라마나타스와미 사원)
  • 탕가치마담 – 페이카룸부 근처 A. P. J. 압둘 칼람의 무덤
  • 다누쉬코디
  • 팜반 다리 (안나이 인디라 간디 다리)
  • 쿤두칼 - 비베카난다 기념관
  • R S 마다이 (해양 세계 수족관)
  • 파라마쿠디 (티야키 엠마누엘 세카라나르 기념관)
  • 카무티 (파숨폰 데버 기념관)
  • 칸지랑쿨람 조류 보호구역
  • 치트랑구디 조류 보호구역
  • 알라간쿨람 조류 보호구역
  • 멜셀바누르-킬셀바누르 조류 보호구역
  • 우티라코사망가이 (3000년 된 시바 사원,[8] 귀중한 녹색 에메랄드 석상 나다라자).
  • 티루베트리유르 (파감 프리알 코일)[9]
  • 이루메니 마을 - 단물 우물 (티르타), 은빛 해변, 카라이발라이 물고기
  • 페리아파티남 인도 최초의 바다에서 떨어진 항구
  • 파나이쿨람, 푸투발라이, 아트랑가라이, 발루르 (해변)

참조

[1] 뉴스 Two important towns left out of train stoppage schedule http://www.thehindu.[...] 2014-12-14
[2] 뉴스 New Collector assumes charge https://www.thehindu[...] 2016-01-23
[3] 웹사이트 http://www.tn.gov.in[...]
[4] 웹사이트 Decadal Variation In Population Since 1901 http://www.censusind[...]
[5] 웹사이트 Table C-01 Population by Religion: Tamil Nadu https://censusindia.[...] Registrar General and Census Commissioner of India 2011
[6] 웹사이트 District Census Handbook 2011 - Ramanathapuram https://censusindia.[...] Registrar General and Census Commissioner of India
[7] 웹사이트 Table C-16 Population by Mother Tongue: Tamil Nadu https://censusindia.[...] Registrar General and Census Commissioner of India
[8] 웹사이트 Mangalanathar-Mangaleswari Temple : Mangalanathar-Mangaleswari Temple Details | Mangalanathar-Mangaleswari- Utharakosamangai | Tamilnadu Temple | மங்களநாதர் https://temple.dinam[...]
[9] 웹사이트 Baagam Piriyal Temple : Baagam Piriyal Temple Details | Baagam Piriyal- Thiruvetriyur | Tamilnadu Temple | பாகம்பிரியாள் https://temple.dinam[...]
[10] 웹사이트 4. Agriculture http://www.tn.gov.in[...]
[11] 웹사이트 Aspirational Districts Programme {{!}} NITI Aayog https://www.niti.gov[...] 2023-09-28
[12] 뉴스 Ramanathapuram Mundu chilli to be conferred GI tag https://www.newindia[...] 2023-02-26
[13] 뉴스 ‘Ramanathapuram ‘mundu chilli’ farmers must tap warehouse facilities to get right price’ https://www.thehindu[...] 2024-03-02
[14] 뉴스 Tamil Nadu's Ramnad Mundu Chillies, Vellore Spiny Brinjal Awarded GI Label {{!}} What It Means https://www.news18.c[...] 2023-02-27
[15] 웹사이트 Geographical Indications Intellectual Property India https://search.ipind[...] 2024-10-23
[16] 뉴스 Ramnad ‘mundu’ chilli to spice up the global market https://www.newindia[...] 2024-03-29
[17] 웹인용 Census Info 2011 Final population totals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and Census Commissioner, Ministry of Home Affairs, Government of India 2014-01-26
[18] 웹인용 Census Info 2011 Final population totals - Ramanathapuram district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and Census Commissioner, Ministry of Home Affairs, Government of India 2014-01-26
[19] 문서 http://www.tn.gov.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