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크 해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크 해협은 인도와 스리랑카 사이에 위치한 얕은 해역으로, 얕은 수심과 라마 세투(아담스 브리지)라는 섬과 암초, 사주 등으로 인해 대형 선박의 통행이 어렵다. 1914년에는 철도와 페리를 이용한 교통로가 있었으나, 사이클론으로 인해 파괴되었고, 현재는 운행이 중단되었다. 1860년부터 운하 건설이 제안되었으나, 환경 문제, 어민 보상, 종교적 반대 등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최근에는 해저 터널 건설 계획도 제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지형 - 아담의 다리
아담의 다리는 인도 팜반 섬과 스리랑카 만나르 섬 사이의 사주로, 힌두교와 이슬람교에서 종교적 의미를 가지며, 역사적으로 해상 교통의 장애물이었고 현재는 해운 운하 프로젝트와 교량 건설 구상으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스리랑카-인도 국경 - 아담의 다리
아담의 다리는 인도 팜반 섬과 스리랑카 만나르 섬 사이의 사주로, 힌두교와 이슬람교에서 종교적 의미를 가지며, 역사적으로 해상 교통의 장애물이었고 현재는 해운 운하 프로젝트와 교량 건설 구상으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스리랑카-인도 국경 - 만나르만
만나르 만은 아시아 남동쪽 끝에 위치한 해역으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풍부한 해안 생태계를 자랑하며, 진주 조개 서식지로 유명하지만 인구 증가와 어업 활동으로 해양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어 국립공원 및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스리랑카의 지형 - 아담의 다리
아담의 다리는 인도 팜반 섬과 스리랑카 만나르 섬 사이의 사주로, 힌두교와 이슬람교에서 종교적 의미를 가지며, 역사적으로 해상 교통의 장애물이었고 현재는 해운 운하 프로젝트와 교량 건설 구상으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스리랑카의 지형 - 시기리야
시기리야는 5세기 카사파 1세가 건설한 스리랑카의 고대 암벽 요새이자 왕궁, 요새, 정원 등으로 구성된 복합 도시 유적으로, 암벽 정상의 궁궐, 프레스코화, 거울 벽 등으로 유명하며 불교 수도원으로 사용되다 19세기 재발견 후 스리랑카의 대표적인 역사 유적이 되었다.
포크 해협 | |
---|---|
지리 정보 | |
![]() | |
위치 | 라카디브해–벵골만 |
해역 | 인도양 |
접경 국가 | 인도, 스리랑카 |
길이 | 해당사항 없음 |
최대 너비 | 82 km |
최소 너비 | 53 km |
면적 | 2500 km² |
최대 수심 | 해당사항 없음 |
염도 | 해당사항 없음 |
해안선 | 해당사항 없음 |
최대 온도 | 35°C |
최소 온도 | 15°C |
섬 | 스리랑카 |
명칭 정보 | |
명칭 유래 | 로버트 팔크 경 |
타 언어 명칭 (타밀어) | (파쿠 니리나이) |
타 언어 명칭 (싱할라어) | (포크 사무드라 산디야) |
수문학적 정보 | |
유입 하천 | 해당사항 없음 |
유출 하천 | 해당사항 없음 |
하천 | 해당사항 없음 |
기타 | |
특징 | 얕은 수심, 파도가 아닌 너울의 지배적 영향 |
2. 지리 및 지질
카베리강과 바이가이강 등에서 유입된 토사와 얕은 수심으로 인해 대형 선박은 포크 해협을 통과하기 어렵다.[19] 이 때문에 대형 선박은 스리랑카를 우회해야 한다. 1860년 인도 식민지 정부에 처음으로 운하 건설 계획이 제출된 이후 여러 제안이 나왔으나, 환경 영향 및 어민 보상 문제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20] 2004년 타밀나두 주 정부는 운하 건설의 환경 평가 및 기술적 타당성 조사를 시행했다.[21]
인도와 스리랑카를 연결하는 포크 해협 해저 터널 건설 계획도 제기되고 있다.[22]
2. 1. 지형

팔크 해협은 남쪽 끝에 라마 세투 또는 아담스 브리지라고 불리는 낮고 작은 섬들과 암초, 얕은 여울들이 흩어져 있는 군도이다.[4] 이 섬들은 타밀나두 주의 팜반 섬(라메스와람 섬)의 다누쉬코디와 스리랑카의 만나르 섬 사이로 뻗어 있다. 라메스와람 섬은 팜반 다리를 통해 인도 본토와 연결되어 있다.
이 해협은 비교적 얕다. 라마 세투/아담스 브리지 주변 지역은 일반적으로 깊이가 1~3미터이며, 해협의 중앙 부분은 일반적으로 깊이가 20미터이고, 최대 깊이는 35미터에 이른다.[6] 최후 빙기 (115,000~11,700년 현재 이전) 동안 해수면이 현재보다 최대 120미터 낮아지면서, 비교적 얕은 해협 전체가 건조한 땅으로 드러났다. 약 7,000년 전 홀로세 동안 현재의 해수면으로 상승한 후, 해협은 침수되었다.[6]
포크 해협 북부에서는 인도의 Point Calimere|칼리메르 곶영어과 스리랑카의 페드로 곶이 마주보고 있다. 포크 만의 남쪽 끝에는 아담스 브리지라고 불리는 저지 섬과 암초, 사주가 펼쳐져 있으며,[12] 아담스 브리지는 타밀나두의 Pamban Island|판반 섬영어(라메스와람 섬)의 Dhanushkodi|다누슈코디영어와 스리랑카의 만나르 섬 사이에 펼쳐져 있다. 판반 섬은 판반 다리에 의해 인도 본토와 연결되어 있다.
칼리메르 곶 서쪽의 맹그로브, 라군과 사주가 많은 포크 해협 해안의 일부는 알락꼬리마도요, 점박이황새 등의 조류 및 어류, 새우, 게의 서식지이며, 2002년에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 다만, 장작과 과일의 불법 채집, 외래종인 Mesquite|메스키트영어 (*Prosopis chilensis*)의 침입 및 염전의 확대와 담수 유입의 감소 등으로 인한 염분 농도의 증가는 환경 보호상의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16]
2. 2. 수심 및 해수면 변동
포크 해협은 비교적 얕다. 라마 세투(아담스 브리지) 주변 지역은 일반적으로 깊이가 1m~3m이며, 해협의 중앙 부분은 평균 깊이가 20m, 최대 깊이는 35m에 이른다.[6]
최후 빙기 (115,000~11,700년 현재 이전) 동안 해수면이 현재보다 최대 120m 낮아지면서, 비교적 얕은 해협 전체가 육지였다. 약 7,000년 전 홀로세 동안 해수면이 현재와 같이 상승한 후, 해협은 물에 잠겼다.[6]
2. 3. 생태 환경
칼리메르 곶 서쪽의 맹그로브, 라군과 사주가 많은 포크 해협 해안의 일부는 알락꼬리마도요, 점박이황새 등 여러 조류와 어류, 새우, 게 등의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곳으로, 2002년에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16] 그러나 장작과 과일의 불법 채집, 외래종인 Mesquite|메스키트영어 (*Prosopis chilensis*)의 침입, 염전 확대, 담수 유입 감소 등으로 염분 농도가 증가하면서 환경 보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16]3. 역사
1914년 마드라스(첸나이)에서 다누슈코디까지 정기 기차가 운행되었고, 만나르섬의 탈라임만나르까지 페리로 연결되어 콜롬보까지 기차로 이동할 수 있었다.(Boat Mail Express|보트 메일 익스프레스영어) 1964년 사이클론으로 다누슈코디와 철도가 파괴되어 포크 해협과 포크 만 연안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이후 주변 지역 인구 증가로 포크 해협의 수질 오염이 진행되고 있다.[13]
3. 1. 교통 연결 중단
1914년 마드라스/첸나이에서 다누슈코디까지 정기 기차가 운행되었고, 만나르섬의 탈라임만나르까지 페리가 운행되었으며, 그 후 콜롬보까지 기차가 운행되었다. 1964년 사이클론이 다누슈코디와 철도를 파괴했고, 포크 해협과 포크 만 연안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7] 다누슈코디는 재건되지 않았고, 스리랑카 내전으로 인해 스리랑카 탈라임만나르에서 마하윌라치야까지의 철도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나중에 완전히 재건되었다. 과거 라메스와람과 탈라임만나르 사이를 오가는 페리가 있었으나 현재는 운항이 중단되었다.[8]3. 2. 스리랑카 정세 불안
스리랑카 북부의 정세가 불안정했던 시기에는 스리랑카와 타밀나두 간 선박 항행에 어려움이 있었다.[14]4. 운하 건설 제안
포크 해협은 얕은 수심과 사주로 인해 대형 선박이 통과하기 어렵지만, 어선과 연안 무역을 하는 소형 선박은 수세기 동안 해협을 항해해 왔다. 대형 선박은 스리랑카를 우회해야 한다.[9] 이러한 이유로 해협을 관통하는 해운 운하 건설이 제안되었고, 세투사무드람 해운 운하 프로젝트라고 불리는 이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9] 그러나 이 계획은 종교 단체의 반대와 환경 문제, 어민 보상 문제 등으로 인해 실행에 옮겨지지 못했다.[10][19][20] 한편, 인도와 스리랑카를 연결하는 포크 해협 아래를 통과하는 해저 터널 건설 계획도 나오고 있다.[22]
4. 1. 초기 제안 및 연구
1860년 영국령 인도 정부에 처음으로 운하 건설이 제안된 이후, 여러 위원회에서 이 제안을 연구해 왔다.[9] 1955년 네루 정부는 AL Mudaliar 위원회를 임명하여 이 제안을 검토했지만, 이 위원회는 이 제안에 반대하며 육교를 건설할 것을 권고했다. 그 후로도 여러 위원회가 구성되어 이 문제를 검토했다. 2004년 타밀나두 주 정부는 세투사무드람 해운 운하 프로젝트의 환경 영향 평가와 기술 타당성 조사를 의뢰했다.[9][21]4. 2. 반대와 어려움
포크 해협은 얕은 수심과 암초 때문에 대형 선박이 통과하기 어렵지만, 어선과 연안 무역을 하는 소형 선박은 수세기 동안 해협을 항해해 왔다. 대형 선박은 스리랑카를 우회해야 한다. 1860년 영국령 인도 정부에 해협을 관통하는 해운 운하 건설이 처음 제안되었으며, 현재까지 여러 위원회가 이 제안을 연구해 왔다. 가장 최근의 연구는 2004년 타밀나두 주 정부가 의뢰한 세투사무드람 해운 운하 프로젝트의 환경 영향 평가와 기술 타당성 조사였다.[9]그러나 이 계획은 다양한 종교 단체로부터 반대에 직면했다. 수천 년 전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 중요한 힌두교 경전인 인도 서사시 ''라마야나''는 라마가 바나라 군대의 도움을 받아 아수라 왕 라바나로부터 아내 시타를 구출하기 위해 바다를 가로질러 랑카까지 돌다리를 건설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NASA 위성이 촬영한 라마의 세투 사진에 힘입어 람 카르마부미 운동이 결성되어 해운 운하 건설을 막았다.[10]
카베리강과 바이가이강 등에서 유입된 토사에 의해 형성된 사주와 수심 10m 미만의 얕은 해역이 대형 선박의 포크 해협 통행을 방해하고 있다.[19] 해협을 통과할 수 없는 대형 선박은 스리랑카를 우회해야 한다. 1860년에 처음으로 운하 건설 계획이 인도의 식민지 정부에 제출되었으며, 이후 많은 제안이 나왔다. 그러나 운하 건설로 인한 환경 영향, 어민에 대한 보상 문제가 있어 건설은 실행되지 못했다.[20] 2004년에는 타밀나두 주 정부에 의해 운하 건설이 가져올 환경 평가와 기술적인 가능성에 대한 조사가 시행되었다.[21]
5. 고정 연결 (Fixed Link) 제안
인도와 스리랑카를 연결하는 해저 철도 터널 건설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포크 해협 아래를 통과할 것이다.[11]
참조
[1]
웹사이트
Palk Strait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
논문
Observation on dominance of swells over wind-seas in the coastal waters of Gulf of Mannar, India
2017-08-09
[3]
논문
Wind-wave measurements and modelling in the shallow semi-enclosed Palk Bay
2019-10
[4]
EB1911
[5]
encyclopedia
Ram Setu
http://www.britannic[...]
2007-09-14
[6]
논문
Evolution of Ramasetu region as a link between India and Sri Lanka during the late Pleistocene and Holocene
https://www.cambridg[...]
2023-01
[7]
웹사이트
Land's end
https://web.archive.[...]
[8]
뉴스
Sri Lanka, India to relaunch ferry service after three decades
https://www.pakistan[...]
2020-07-20
[9]
웹사이트
Harnessing the Troubled Waters: Sethusamudram Canal Project
http://www.ipcs.org/[...]
[10]
뉴스
Hanuman bridge is myth: Experts
https://timesofindia[...]
2011-04-25
[11]
뉴스
THE TUNNEL FROM INDIA TO SRI LANKA
http://www.blog.indi[...]
2016-01-06
[12]
EB1911
[13]
서적
ポーク海峡
朝倉書店
2017
[14]
웹사이트
Palk Strait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9-04
[15]
웹사이트
Map of Sri Lanka with Palk Strait and Palk Bay
https://www.un.org/D[...]
[16]
웹사이트
Point Calimere Wildlife and Bird Sanctuary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2-08-19
[17]
웹사이트
Land's end
http://www.hindu.com[...]
[18]
웹사이트
Sri Lanka, India to relaunch ferry service after three decades
http://www.pakistant[...]
[19]
서적
ポーク海峡
平凡社
2012
[20]
웹사이트
海を考える旅行記
https://www.spf.org/[...]
2019-04
[21]
웹사이트
Harnessing the Troubled Waters: Sethusamudram Canal Project
http://www.ipcs.org/[...]
[22]
뉴스
THE TUNNEL FROM INDIA TO SRI LANKA
http://www.blog.indi[...]
2016-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