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아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아그는 필리핀 일로코스노르테주의 주도로, 남중국해와 접해 있으며, 일로코스 지방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이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부터 금광으로 유명했으며, 일본과 중국 상인들이 교역하던 곳이었다. 1572년 스페인 정복자들이 이 지역을 '일로코스'로 명명하면서 식민 지배가 시작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반란이 일어났다. 1818년 일로코스노르테주가 분리되면서 라오아그는 주도가 되었으며, 1941년 일본군에 점령되기도 했다. 현재 라오아그는 관광, 특히 스페인 식민지 시대 건물과 바로크 양식의 교회가 주요 경제 동력이며, 라오아그 국제공항을 통해 교통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주도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주도 - 칼리보
칼리보는 필리핀 아클란 주의 주도로 아클란 강 하류 평야에 위치하며, 아티-아티한 축제와 보라카이행 관문인 칼리보 국제공항으로 유명한 관광 중심지이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라오아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라오아그 |
다른 이름 | |
어원 | ("빛") |
별칭 | 햇빛 도시 |
표어 | 없음 |
국가 | 필리핀 |
지방 | 일로코스 지방 |
주 | 일로코스노르테 주 |
하위 행정 구역 종류 | 바랑가이 |
바랑가이 수 | 80개 ( 바랑가이 목록 참고) |
시장 | 미카엘 마르코스 케온 |
부시장 | 레이 카를로스 V. 파리냐스 |
하원 의원 | 산드로 마르코스 |
유권자 수 | 명 () |
설립 | 1580년 |
시 승격 | 1965년 6월 19일 |
면적 | 116.08 km² |
해발 고도 | m |
최대 해발 고도 | 759 m |
최소 해발 고도 | 0 m |
인구 (2020년) | 111,651명 |
시간대 | 필리핀 표준시(PST) |
UTC 오프셋 | +8 |
경제 | |
빈곤율 | % () |
총수입 | () |
자산 | () |
지출 | () |
부채 | () |
서비스 제공자 | |
전기 | }} |
수도 | 알 수 없음 |
통신 | 알 수 없음 |
케이블 TV | 알 수 없음 |
기후 | |
기타 정보 |
2. 역사
라오아그 지역은 스페인 식민 통치 이전부터 금 생산과 아시아 상인들과의 교역으로 알려진 곳이었다. 16세기 후반 스페인 정복자 후안 데 살세도가 도착하여 이 지역을 '일로코스'라 명명하였고, 이후 기독교화와 식민 통치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스페인의 통치 방식에 대한 반발로 여러 차례의 봉기가 발생하기도 했다. 1818년, 행정상의 이유로 일로코스노르테주가 일로코스수르주에서 분리되면서 라오아그는 주의 수도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기도 하였다.
2. 1.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하기 훨씬 이전부터 현재의 일로코스노르테주, 일로코스수르주, 아브라주, 라유니온주를 아우르는 광대한 지역이 존재했으며, 이곳은 금광으로 유명했다. 일본과 중국의 상인들은 이 지역을 자주 방문하여 구슬, 도자기, 비단 등을 금과 교환했다. 이 지역에 살던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자신들의 땅을 '삼토이(samtoy)'라고 불렀는데, 이는 '사오 미 이토이(sao mi itoy)', 즉 "이것이 우리의 언어이다"라는 말에서 유래했다.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71년 스페인 정복자들이 마닐라를 장악한 후, 새로운 정복지를 물색하기 시작했다. 레가스피의 손자인 후안 데 살세도는 22세의 나이에 8척의 무장 보트와 45명의 병사를 이끌고 북쪽으로 탐험을 떠났다. 1572년 6월 13일, 살세도와 그의 부하들은 비간에 상륙한 후 라오아그, 쿠리마오, 바도크 방향으로 나아갔다. 해안을 따라 항해하며 그들은 현지인들이 평화롭게 살고 있는 수많은 보호된 만('looc')을 발견했고, 이를 바탕으로 이 지역을 "일로코스"라고 명명하고 주민들을 "일로카노스"라고 불렀다.
이 지역의 기독교화가 진행되면서 풍경도 변화했다. 스페인 왕 필립의 1573년 인도법에 따른 선포인 bajo de las campanases('종 아래')라는 스페인 선교 정책에 따라, 넓은 토지가 교회와 종탑 건설에 사용되었다. 마을 광장에서는 교회 종 아래 주둔한 군인들을 흔히 볼 수 있었으며, 이는 식민지화 과정이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필리핀의 스페인 식민지화는 순탄치 않았다. 많은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 소속 수도사들의 학대 행위로 인해 일로카노스 주민들은 여러 차례 식민 통치에 맞서 봉기했다. 주요 저항 운동은 다음과 같다.
- 딩라스 봉기 (1589년): 딩라스 주민들이 일으킨 첫 번째 주요 봉기였다.
- 페드로 알마산 반란 (1660년): 산 니콜라스의 페드로 알마산이 주도한 반란이다.
- 디에고 실랑 반란 (1762년 ~ 1763년): 디에고 실랑은 일로카노스를 스페인의 지배에서 해방시키기 위해 투쟁을 이끌었다. 그는 암살당했지만, 그의 아내 가브리엘라 실랑이 저항을 이어갔지만 결국 체포되어 교수형에 처해졌다.
- 암바리스토 봉기 (1788년): 암바리스토가 주도한 봉기이다.
- 바시 봉기 (1807년 또는 1808년): 피디그의 사탕수수('바시') 양조업자들이 정부의 와인 산업 독점에 항의하며 일으킨 봉기로, 페드로 마테오가 주도했다.
- 사랏 봉기 (1815년): 사랏에서 일어난 봉기이다.

1898년에는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 신부가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의 혁명군과의 관계를 끊으라는 교회의 요구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파문당했다. 그는 이에 굴하지 않고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es(독립 필리핀 교회)를 설립했다. 아글리파이의 운동과 그가 내세운 민족주의 정신은 많은 필리핀인들의 자긍심을 되찾는 데 기여했다.
한편, 1715년부터 1818년까지 일로코스 지역의 인구가 18,980명에서 282,845명으로 급증하면서 지방 행정에 어려움이 커졌다. 과도한 독점과 강제 노동은 앞서 언급된 여러 봉기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지역 당국은 일로코스를 두 개의 주로 분리할 것을 권고했다. 마침내 1818년 2월 2일, 스페인 왕립 칙령에 따라 일로코스노르테주가 일로코스수르주에서 분리되었다. 당시 인구가 가장 많았던 라오아그는 새롭게 형성된 일로코스노르테주의 수도가 되었다.
2. 3. 필리핀 독립 이후
1898년, 가톨릭 교회는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를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의 혁명군과의 관계를 끊기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파문했다. 그러나 아글리파이는 이에 굴하지 않고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es(필리핀 독립 교회)를 설립하였다. 아글리파이의 이러한 운동과 그가 추구한 민족주의적 정서는 많은 필리핀인들의 자긍심을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12월 12일, 라오아그는 비간과 아파리 상륙 이틀 후에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후 라오아그 공항은 전쟁 기간 동안 일본군의 주요 기지로 사용되었다.
1965년 6월 19일, 라오아그는 국민투표를 거쳐 시(City)로 승격되었다. 이는 당시 상원 의장이었던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법으로 통과시킨 결과이다. 시 승격 이후에도 라오아그는 일로코스노르테주의 주도로 남았다. 시 승격 과정에는 당시 시장 율랄리오 F. 시아존, 기술자 트리니다드 루카스 아우렐리오, 그리고 국회에 법안을 제출하고 안토니오 V. 라키자와 공동 저술한 시메온 M. 발데스 등이 기여했다. 초대 시장은 율랄리오 포나시에르 시아존이었다.[2]
3. 지리
라오아그는 필리핀 일로코스노르테주 서부 중앙에 위치하며, 남중국해와 접해 있다. 동쪽으로는 사라트, 남동쪽으로는 산니콜라스, 남서쪽으로는 파오아이, 북동쪽으로는 빈타르, 북서쪽으로는 바카라와 경계를 이루고, 서쪽으로는 남중국해에 면한다. 이곳은 일로코스 지방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이다.[3]
남중국해에 면한 이 도시는 열대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11월부터 4월까지는 건기, 5월부터 10월까지는 우기이며, 종종 강력한 태풍의 영향을 받는다. 라디오의 기상 통보 지점인 라오아그는 이 도시를 가리킨다.
3. 1. 바랑가이
라오아그는 정치적으로 80개의 바랑가이로 세분화되어 있다. 각 바랑가이는 푸로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 바랑가이에는 시티오가 있다.정식 명칭 | 바랑가이 번호 | 이름 | 이전 이름/지역 |
---|---|---|---|
바랑가이 제1호 산 로렌조 (시가지) | 1 | 산 로렌조 | 시가지 |
바랑가이 제2호 산타 호아키나 (시가지) | 2 | 산타 호아키나 | 시가지 |
바랑가이 제3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로사리오 (시가지) | 3 |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로사리오 | 시가지 |
바랑가이 제4호 산 길예르모 (시가지) | 4 | 산 길예르모 | 시가지 |
바랑가이 제5호 산 페드로 (시가지) | 5 | 산 페드로 | 시가지 |
바랑가이 제6호 산 아구스틴 (시가지) | 6 | 산 아구스틴 | 시가지 |
바랑가이 제7-A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나비다드 (시가지) | 7-A |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나비다드 | 시가지 |
바랑가이 제7-B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나비다드 (시가지) | 7-B |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나비다드 | 시가지 |
바랑가이 제8호 산 비센테 (시가지) | 8 | 산 비센테 | 시가지 |
바랑가이 제9호 산타 안젤라 (시가지) | 9 | 산타 안젤라 | 시가지 |
바랑가이 제10호 산 호세 (시가지) | 10 | 산 호세 | 시가지 |
바랑가이 제11호 산타 발비나 (시가지) | 11 | 산타 발비나 | 시가지 |
바랑가이 제12호 산 이시드로 (시가지) | 12 | 산 이시드로 | 시가지 |
바랑가이 제13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비시타시온 (시가지) | 13 |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비시타시온 | 시가지 |
바랑가이 제14호 산토 토마스 (시가지) | 14 | 산토 토마스 | 시가지 |
바랑가이 제15호 산 길예르모 (시가지) | 15 | 산 길예르모 | 시가지 |
바랑가이 제16호 산 하신토 (시가지) | 16 | 산 하신토 | 시가지 |
바랑가이 제17호 산 프란시스코 (시가지) | 17 | 산 프란시스코 | 시가지 |
바랑가이 제18호 산 키리노 (시가지) | 18 | 산 키리노 | 시가지 |
바랑가이 제19호 산타 마르셀라 (시가지) | 19 | 산타 마르셀라 | 시가지 |
바랑가이 제20호 산 미겔 (시가지) | 20 | 산 미겔 | 시가지 |
바랑가이 제21호 산 페드로 (시가지) | 21 | 산 페드로 | 시가지 |
바랑가이 제22호 산 안드레스 (시가지) | 22 | 산 안드레스 | 시가지 |
바랑가이 제23호 산 마티아스 (시가지) | 23 | 산 마티아스 | 시가지 |
바랑가이 제24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콘솔라시온 (시가지) | 24 |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콘솔라시온 | 시가지 |
바랑가이 제25호 산타 카예타나 (시가지) | 25 | 산타 카예타나 | 시가지 |
바랑가이 제26호 산 마르셀리노 (시가지) | 26 | 산 마르셀리노 | 시가지 |
바랑가이 제27호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솔레다드 (시가지) | 27 |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솔레다드 | 시가지 |
바랑가이 제28호 산 베르나르도 (시가지) | 28 | 산 베르나르도 | 시가지 |
바랑가이 제29호 산토 토마스 (시가지) | 29 | 산토 토마스 | 시가지 |
바랑가이 제30-A호 수요 | 30-A | 수요 | – |
바랑가이 제30-B호 산타 마리아 | 30-B | 산타 마리아 | – |
바랑가이 제31호 탈리가안 | 31 | 탈리가안 | – |
바랑가이 제32-A호 라 파스 동쪽 | 32-A | 라 파스 동쪽 | – |
바랑가이 제32-B호 라 파스 서쪽 | 32-B | 라 파스 서쪽 | – |
바랑가이 제32-C호 라 파스 동쪽 | 32-C | 라 파스 동쪽 | – |
바랑가이 제33-A호 라 파스 | 33-A | 라 파스 | – |
바랑가이 제33-B호 라 파스 | 33-B | 라 파스 | – |
바랑가이 제34-A호 가부 노르테 서쪽 | 34-A | 가부 노르테 서쪽 | – |
바랑가이 제34-B호 가부 노르테 동쪽 | 34-B | 가부 노르테 동쪽 | – |
바랑가이 제35호 가부 수르 | 35 | 가부 수르 | – |
바랑가이 제36호 아라니우 | 36 | 아라니우 | – |
바랑가이 제37호 칼라야브 | 37 | 칼라야브 | – |
바랑가이 제38-A호 망가토 동쪽 | 38-A | 망가토 동쪽 | – |
바랑가이 제38-B호 망가토 서쪽 | 38-B | 망가토 서쪽 | – |
바랑가이 제39호 산타 로사 | 39 | 산타 로사 | – |
바랑가이 제40호 발라통 | 40 | 발라통 | – |
바랑가이 제41호 발라카드 | 41 | 발라카드 | – |
바랑가이 제42호 아파야 | 42 | 아파야 | – |
바랑가이 제43호 카비트 | 43 | 카비트 | – |
바랑가이 제44호 삼보앙가 | 44 | 삼보앙가 | – |
바랑가이 제45호 탕기드 | 45 | 탕기드 | – |
바랑가이 제46호 날보 | 46 | 날보 | – |
바랑가이 제47호 벵카그 | 47 | 벵카그 | – |
바랑가이 제48-A호 카붕안 북쪽 | 48-A | 카붕안 북쪽 | – |
바랑가이 제48-B호 카붕안 남쪽 | 48-B | 카붕안 남쪽 | – |
바랑가이 제49-A호 다라이다이 | 49-A | 다라이다이 | – |
바랑가이 제49-B호 라라부란 | 49-B | 라라부란 | – |
바랑가이 제50호 부통 | 50 | 부통 | – |
바랑가이 제51-A호 난갈리산 동쪽 | 51-A | 난갈리산 동쪽 | – |
바랑가이 제51-B호 난갈리산 서쪽 | 51-B | 난갈리산 서쪽 | – |
바랑가이 제52-A호 산 마테오 | 52-A | 산 마테오 | – |
바랑가이 제52-B호 라타아그 | 52-B | 라타아그 | – |
바랑가이 제53호 리오엥 | 53 | 리오엥 | – |
바랑가이 제54-A호 카망간 | 54-A | 카망간 | – |
바랑가이 제54-B호 라구이-세일 | 54-B | 라구이-세일 | – |
바랑가이 제55-A호 바리트-판단 | 55-A | 바리트-판단 | – |
바랑가이 제55-B호 살레트-불랑온 | 55-B | 살레트-불랑온 | – |
바랑가이 제55-C호 비라 | 55-C | 비라 | – |
바랑가이 제56-A호 박실 북쪽 | 56-A | 박실 북쪽 | – |
바랑가이 제56-B호 박실 남쪽 | 56-B | 박실 남쪽 | – |
바랑가이 제57호 필라 | 57 | 필라 | – |
바랑가이 제58호 카실리 | 58 | 카실리 | – |
바랑가이 제59-A호 디부아 남쪽 | 59-A | 디부아 남쪽 | – |
바랑가이 제59-B호 디부아 북쪽 | 59-B | 디부아 북쪽 | – |
바랑가이 제60-A호 카아오아칸 | 60-A | 카아오아칸 | – |
바랑가이 제60-B호 마딜라디그 | 60-B | 마딜라디그 | – |
바랑가이 제61호 카타반 | 61 | 카타반 | – |
바랑가이 제62-A호 나보타스 북쪽 | 62-A | 나보타스 북쪽 | – |
바랑가이 제62-B호 나보타스 남쪽 | 62-B | 나보타스 남쪽 | – |
3. 2. 기후
라오아그는 연중 따뜻하거나 더운 기온을 보이는 열대 사바나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Aw)를 가진다. 12월에서 2월 사이에는 기온이 다소 낮아진다.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이 특징이다. 건기는 보통 11월부터 4월까지이고, 5월부터 10월까지는 우기에 해당한다.이 도시는 지리적으로 코르디예라 산맥과 시에라 마드레 산맥에 의해 북동 계절풍과 무역풍으로부터 보호받지만, 남중국해에 면해 있어 남서 계절풍과 태풍과 같은 열대 저기압에는 노출되어 있다. 매년 평균 4~5개의 열대 저기압 영향을 받는다.
우기는 5월부터 9월까지이며, 이 기간 월평균 강수량은 100mm 이상이다. 특히 6월, 7월, 8월에 강수가 집중되어 연간 강수량의 68%를 차지하며, 이 시기 평균 강수량은 200mm에 달한다. 연평균 기온은 27.5°C이며, 가장 더운 달은 5월(평균 29.2°C), 가장 시원한 달은 1월(평균 25.1°C)이다. 역대 최고 기온은 41.8°C (5월), 역대 최저 기온은 11.1°C (1월)까지 기록되었다. 연평균 상대 습도는 79%이다.
항목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합계 |
---|---|---|---|---|---|---|---|---|---|---|---|---|---|
역대 최고 기온 (°C) | 36.0 | 36.8 | 39.5 | 39.6 | 41.8 | 38.3 | 37.8 | 36.7 | 37.1 | 37.1 | 37.2 | 37.1 | 41.8 |
평균 최고 기온 (°C) | 30.8 | 31.5 | 32.7 | 34.0 | 34.0 | 33.2 | 32.5 | 31.8 | 32.0 | 32.4 | 32.0 | 31.1 | 32.3 |
일평균 기온 (°C) | 25.1 | 25.8 | 27.2 | 28.8 | 29.2 | 28.9 | 28.4 | 28.0 | 27.9 | 27.9 | 27.3 | 25.8 | 27.5 |
평균 최저 기온 (°C) | 19.5 | 20.1 | 21.6 | 23.5 | 24.5 | 24.6 | 24.3 | 24.2 | 23.8 | 23.3 | 22.5 | 20.6 | 22.7 |
역대 최저 기온 (°C) | 11.1 | 11.9 | 13.0 | 17.0 | 20.4 | 18.9 | 19.5 | 20.9 | 20.0 | 16.1 | 13.3 | 12.0 | 11.1 |
평균 강수량 (mm) | 5.3 | 2.8 | 6.0 | 24.8 | 246.9 | 312.9 | 448.2 | 583.9 | 415.8 | 103.3 | 30.2 | 2.8 | 2182.8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 | 1 | 1 | 1 | 9 | 14 | 18 | 19 | 14 | 7 | 4 | 1 | 90 |
평균 상대 습도 (%) | 75 | 75 | 74 | 75 | 77 | 82 | 85 | 87 | 87 | 80 | 77 | 75 | 79 |
월평균 일조 시간 | 246.4 | 256.1 | 294.4 | 291.9 | 249.1 | 229.3 | 218.1 | 196.8 | 201.5 | 227.7 | 227.9 | 242.7 | 2881.9 |
출처 1: PAGASA[12][13] 출처 2: 독일 기상청 (일조시간, 1961년~1990년)[14][15] |
4. 인구
2020년 필리핀 통계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오아그의 인구는 111,651명이다. 인구 밀도는 960명/km²이다.
2000년 기준으로 라오아그의 인구는 94,466명이었다. 이는 1995년 인구 88,336명에서 6,130명이 증가한 수치이다. 1995년부터 2000년까지의 연평균 인구 성장률은 1.35%였다.
2000년 기준 가구 수는 19,751 가구이며, 가구당 평균 구성원은 5명이다. 남녀 성비는 1:1이며, 출생률은 26.44%, 사망률은 4.28%이다.
2000년 기준으로 인구가 가장 많은 바랑가이는 도시 지역의 산 로렌조(2,883명)이며, 농촌 지역의 부통(2,277명), 바랑가이 2 산타 호아키나(2,048명)가 뒤를 이었다. 반면 인구가 가장 적은 곳은 농촌 지역의 바랑가이 39 산타 로사(592명)와 바랑가이 52-A 산 마테오(594명)였다. 특히 바랑가이 23 산 마티아스는 주민 수가 740명 감소했다.
주요 민족은 일로카노족이며, 로마 가톨릭교회와 아글리파얀 교회가 주요 종교이다. 그 외 이글레시아 니 그리스도와 다른 개신교 교파들도 상당수 신자를 확보하고 있다.
5. 경제
라오아그는 북서 루손 성장 쿼드랭글의 북쪽 끝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다. 직항로가 개설된다면 홍콩, 중국 본토, 일본, 대한민국, 타이완과 같은 동아시아 경제 강국까지 비행시간이 2시간 이내이다. 라오아그 국제공항과 쿠리마오 항구는 상품 및 서비스의 관문 역할을 하며, 다른 도시와 연결되는 광범위한 도로 및 고속도로 시스템으로 보완된다. 또한 시내에는 25개의 다양한 현지, 국내 및 외국 은행이 금융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라오아그 시는 총 토지 면적이 12747.35ha에 달해 경제 확장을 위한 충분한 기회를 제공한다. 역사적인 명소, 국제적 수준의 숙박 시설과 편의 시설, 그리고 정부 기관의 지원 덕분에 라오아그는 필리핀 관광부에 의해 생태 관광 중심지로 지정되었다. '노스 쿼드(North Quad)'라고도 불리는 북서 루손 성장 쿼드랭글은 지속 가능하고 공정한 성장을 목표로 농촌 지역 개발, 농업 및 어업 생산성 향상, 국내외 시장(특히 타이완, 일본, 대한민국, 홍콩)에서의 산업 경쟁력 강화를 추구한다. 일로카노족의 풍부한 문화 유산과 지역 산업을 선보일 생태 관광 마을 건설 계획도 진행 중이다.
라오아그와 주변 자치구는 또한 노동력이 풍부하다. 현재 라오아그의 산업 대부분은 소규모이며, 주로 소규모 식품 가공 공장, 제분소, 보석 제조, 중공 블록 공장, 금속 공예 등으로 구성된다. SM 프라임 홀딩스(SM 세이브모어, 세이브모어 마켓, SM 하이퍼마켓 등 3개 매장 운영)와 퓨어골드 같은 대형 소매 기업들이 중심 상업 지구에 자리 잡고 있다. 시티몰은 파드산 강 남쪽에 건설될 예정이며, SM 슈퍼몰은 2025년 2월 바랑가이 난갈리산 웨스트에 개장할 예정이다. 유니탑, 마트 원, 노보, 뉴 인디아, ME, JTC, 미니소, ØNE Ø 5IVE 등도 인기 있는 쇼핑 센터이다. 로빈슨스 일로코스는 라오아그 시청에서 차로 5분 거리에 위치한다.
메가월드는 바랑가이 칼라야브 해안에 150억필리핀 페소 규모의 프로젝트를 확보하여 34번째 타운십인 "일로칸디아 코스토운(The Ilocandia Costoún영어)"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 복합 용도 해변 개발 프로젝트는 포트 일로칸디아 리조트 호텔에 인접한 84ha의 부지에 1.4km의 해변선을 포함한다.[9] 한편, 아우로라 공원 동쪽에 위치한 플라자 산 길레르모는 1단계 건설 중이며, 이곳에는 현대적인 쇼핑 센터, 병원, 고층 호텔이 들어설 예정이다.
SM 시티 라오아그 개장 이후 여러 외국계 식품 및 편의점 브랜드가 진출했으며, 일부는 여러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6. 정치
라오아그는 일로코스 노르테주의 제1선거구에 속하며, 지방 자치법에 따라 지방 정부가 운영된다. 정부 조직은 시민이 직접 선출하는 시장이 최고 행정 책임자를 맡고, 시의회가 입법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이다. 시장, 부시장, 시의원은 3년 임기로, 매 3년마다 열리는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다음은 2022년 6월 30일부터 2025년 6월 30일까지 임기를 수행하는 라오아그 시의 선출직 공무원 명단이다.[10]
시장 | 마이클 마르코스 케온 |
---|---|
부시장 | 레이 카를로스 M. 파리냐스 |
시의원 | |
ABC 회장 | 메리 미셸 루이즈 "마이키" V. 파리냐스 |
SK 연합 회장 | 안젤리카 페이 T. 라오 |
7. 관광
관광은 라오아그 시의 주요 경제 동력으로 자리 잡았으며, 새로운 상업 투자와 기반 시설 개발을 이끌고 있다. 북부 지역 최초이자 유일한 5성급 호텔인 포트 일로칸디아 리조트는 외국인 및 국내 관광객을 꾸준히 유치하고 있다. 이 외에도 스페인 식민지 시대 건물, 바로크 양식의 교회, 라 파스 모래 언덕, 파구푸드의 백사장 해변 리조트, 마르코스 시대 저택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라오아그 대성당은 1612년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사들이 기존의 나무 예배당을 대체하기 위해 건설한 중요한 건축물이다. 이곳은 라오아그 로마 가톨릭 교구의 중심 교회(주교좌) 역할을 한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아치형 입구 양쪽에 두 쌍의 기둥이 받치고 있는 독특한 2층 정면을 가지고 있다. 정면 상단에는 움푹 들어간 틈새에 도시의 수호 성인인 말레발의 윌리엄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관광객, 특히 중국인 관광객의 증가는 라오아그 시에 중국 영사관이 설치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시에 거주하거나 방문하는 중국 시민의 안전을 감독하기 위한 조치이다. 또한, 중국 관광객의 입국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공항에서 도착 비자를 발급하는 새로운 이민 정책이 시행되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라오아그 시는 제1지역 및 필리핀 전국에서 최고의 관광지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8. 교통
라오아그 국제공항은 라오아그의 주요 관문 역할을 한다. PAL 익스프레스, 세부 퍼시픽, 스카이 파사다 등의 항공사가 마닐라, 세부, 칼라얀 섬, 바스코(바타네스)를 오가는 국내선 항공편을 운항한다. 필리핀 항공은 호놀룰루와 라오아그를 잇는 직항 노선 운항을 곧 재개할 예정이다. 외국 항공사들은 도시 외곽의 관광지를 둘러보는 선택적 여행 상품의 일환으로 라오아그로 직항 전세기를 운항하기도 한다. 공항 터미널 건물에는 여러 항공사의 발권 사무소를 포함한 여행사들이 입점해 있어 여행객의 편의를 돕는다.
육상 교통으로는 여러 대형 버스 회사가 라오아그와 필리핀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한다. GV 플로리다 교통, 바이런 트랜짓(Byron Transit), 마리아 데 레온 버스 라인(Maria De Leon Bus Lines), 파르타스, 파리나스 트랜짓 컴퍼니(Fariñas Transit Company) 등이 주요 운행사이다. 라오아그는 마닐라에서 남쪽 도로 접근로를 통해 약 487km, 메트로 마닐라에서 북쪽 도로 접근로를 통해서는 약 750km 떨어져 있다.
시내에서는 택시, 지프니, 세발자전거(트라이시클), 칼레사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미니버스는 파구푸드, 바탁, 비간 등 인근 지역을 오가는 노선을 매일 운행한다.
도로 인프라 개선 노력도 진행 중이다. 서쪽으로 파오아이를 연결하는 라오아그 우회 도로는 도심을 통과하지 않고 대형 트럭이 이용할 수 있는 우회 도로 역할을 한다. 도시 동쪽에는 바카라와 산 니콜라스 타운을 연결하는 또 다른 우회 도로가 건설 중이며, 완공 시 교통 체증 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9. 교육
라오아그는 일로코스 노르테 주의 교육 중심지로서, 지역 정부와 민간 부문 모두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문적 인프라 개발에 상당한 투자를 해왔다.[1]
초등 교육의 경우, 대부분 정부 소유이며 총 33개의 공립 초등학교가 3개 구역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또한 중국 학교를 포함한 10개의 사립 초등학교가 있다. 중등 교육 기관으로는 8개의 사립 고등학교와 6개의 공립 고등학교가 있으며, 최근에는 통합 학교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1]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정부는 마리아노 마르코스 주립 대학교의 교원 교육 대학(CTE)과 산업 기술 대학(CIT)을 도시 내에 설립했다.[1]
이 외에도 라오아그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1]
- 노스웨스턴 대학교
- 노던 크리스찬 칼리지
- 라오아그 디바인 워드 칼리지
- 필리핀 데이터 센터 칼리지
- 일로코스 노르테 예술 및 기술 칼리지
- AMA 칼리지
- STI 칼리지
또한, 해외 기술 연구소, 라조 패션 스쿨, 벨 아르테 미술 학교와 같은 직업 학교도 운영되고 있다.[1]
일로코스 지방에서 과학 기술부가 설립한 두 번째 학교인 로돌포 CG 파리냐스 주니어 국립 과학 고등학교가 바랑가이 비라(Barangay Vira)에 위치하며, 2024-2025학년도부터 7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을 시작했다.[1]
10. 자매 도시
wikitext
국가 | 도시 | 지역 |
---|---|---|
-- 필리핀 | 비간 | 일로코스 수르 |
-- 필리핀 | 오자미즈 | 미사미스옥시덴탈 |
-- 필리핀 | 칼로오칸 | 메트로 마닐라 |
-- 필리핀 | 다구판 | 팡가시난 |
-- 중국 | 샤먼 | 푸젠성 |
-- 중국 | 창사 | 후난성 |
-- 중국 | 라이빈 | 광시 좡족 자치구 |
-- 중국 | 황산 | 안후이성 |
-- 미국 | 호놀룰루 | 하와이 |
-- 미국 | 카우아이 | 하와이 |
11. 유명 인물
- 이사벨 오르테가 - 배우
- 봉봉 마르코스 - 필리핀의 제17대 대통령. 그의 아버지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독재 정권 시기와 관련된 여러 논란이 있다.
- 로케 아블란, 시니어 - 일로코스노르테주 주지사
참조
[1]
문서
DILG detail
[2]
웹사이트
History
http://laoagcity.gov[...]
City Government of Laoag
2016-08-31
[3]
웹사이트
Geographical Location
http://laoagcity.gov[...]
City Government of Laoag
2016-08-31
[4]
웹사이트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as of May 1, 2010
http://web0.psa.gov.[...]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4-10-18
[5]
웹사이트
Laoag, Ilocos Norte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pubfiles.pag[...]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3
[6]
웹사이트
Laoag, Ilocos Norte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pubfiles.pag[...]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3
[7]
웹사이트
Station 98223 Laoag
ftp://ftp-cdc.dwd.de[...]
Deutscher Wetterdienst
2018-10-13
[8]
웹사이트
Station ID for Laoag is 98223. Use this station ID to locate the sunshine duration
ftp://ftp-cdc.dwd.de[...]
2018-10-13
[9]
뉴스
Megaworld heads up north with 84-hectare Laoag township
https://www.rappler.[...]
2024-10-14
[10]
웹사이트
Laoag City Partial, unofficial results aggregated from Comelec data
https://halalanresul[...]
ABS-CBN News
2022-05-13
[11]
웹사이트
Climatic Normals of the Philippines (1951-1985) (PAGASA 1987)
http://www.nrlmry.na[...]
PAGASSA
[12]
웹인용
Laoag, Ilocos Norte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3
[13]
웹인용
Laoag, Ilocos Norte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3
[14]
웹인용
Station 98223 Laoag
ftp://ftp-cdc.dwd.de[...]
Deutscher Wetterdienst
2018-10-13
[15]
웹인용
Station ID for Laoag is 98223. Use this station ID to locate the sunshine duration
ftp://ftp-cdc.dwd.de[...]
2018-10-13
[16]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17]
문서
safesubst:#invoke:wd|reference|raw|P8843|P585=2000
[18]
문서
safesubst:#invoke:wd|reference|raw|P8843|P585=2003
[19]
문서
safesubst:#invoke:wd|reference|raw|P8843|P585=2006
[20]
문서
safesubst:#invoke:wd|reference|raw|P8843|P585=2012
[21]
문서
safesubst:#invoke:wd|reference|raw|P8843|P585=2015
[22]
문서
safesubst:#invoke:wd|reference|raw|P8843|P585=2018
[23]
문서
safesubst:#invoke:wd|reference|raw|P8843|P585=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