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타 블랑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타 블랑카는 1986년 결성된 아르헨티나의 헤비 메탈 밴드이다. 발터 지아르디노를 중심으로 결성되었으며, 사울 블란치, 아드리안 바릴라리 등 여러 보컬과 멤버 교체를 거치며 활동했다. 1988년 데뷔 앨범 《라타 블랑카》를 발매하며 골드 디스크를 획득하는 등 아르헨티나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98년 해체 후 2000년 재결합하여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여러 정규 앨범과 라이브 앨범을 발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음악 그룹 - 라 오레하 데 반 고흐
    라 오레하 데 반 고흐는 빈센트 반 고흐에게서 영감을 받은 이름의 스페인 록 밴드로, 보컬 아마이아 몬테로 합류 후 데뷔 앨범의 성공과 새 보컬 레이레 마르티네스 영입을 통해 스페인과 라틴 아메리카를 넘어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아르헨티나의 음악 그룹 - 로스 찰찰레로스
  • 파워 메탈 밴드 - 헬로윈
    헬로윈은 1978년 독일 함부르크에서 결성되어 멜로딕 스피드 메탈과 파워 메탈 사운드를 선보이며 보컬 교체와 멤버 재합류를 거쳐 2021년 7인조 라인업으로 동명의 앨범을 발매하고 2024년 새 앨범 발매를 앞둔 파워 메탈 밴드이다.
  • 파워 메탈 밴드 - 사바톤
    사바톤은 전쟁, 역사적 전투, 영웅적 행위를 주제로 서사적인 가사와 웅장한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는 스웨덴의 파워 메탈 밴드이다.
  • 1986년 결성된 음악 그룹 - THE BOOM
    THE BOOM은 오키나와 민요에서 영감을 받은 "섬 노래"로 큰 성공을 거둔 일본 록 밴드로, 해외 공연과 "섬 노래"의 리메이크를 통해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데뷔 25주년 기념 투어를 마지막으로 해산했다.
  • 1986년 결성된 음악 그룹 -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1986년 웨일스 카디프에서 결성된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는 사회적 메시지와 다양한 음악적 실험을 통해 상업적 성공과 멤버 실종의 위기를 극복하고 영국을 대표하는 록 밴드로 자리매김했다.
라타 블랑카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8년 콘서트에서 라타 블랑카의 프론트맨 아드리안 바릴라리와 기타리스트 왈테르 지아르디노
2008년 콘서트에서 라타 블랑카의 프론트맨 아드리안 바릴라리와 기타리스트 왈테르 지아르디노
국적아르헨티나
결성지부에노스 아이레스
장르헤비 메탈
하드 록
활동 기간1986년–1998년, 2000년–현재
레이블폴리그램
아리오라
소니 BMG
PopArt Music (Sony)
Icarus Music
관련 인물조 린 터너
두기 화이트
마고 데 오즈
구스타보 로웨크
글렌 휴즈
오르카스
에르메티카
웹사이트ratablanca.net
현재 구성원아드리안 바릴라리
Alan Fritzler
왈테르 지아르디노
Danilo Moschen
John Paul
이전 구성원Saúl Blanch
구스타보 로웨크
Sergio Berdichevsky
Hugo Bistolfi
Gabriel Marian
하비에르 레타모소
Mario Ian
Guillermo Sánchez

2. 역사

Rata Blanca|라타 블랑카es아르헨티나헤비 메탈 밴드로, 밴드 이름은 스페인어로 "하얀 쥐"를 뜻한다. 기타리스트이자 주 작곡가인 발테르 히알디노를 중심으로 1988년 데뷔했다. 1990년대 초반, "Magos, espadas y rosas"(1990), "Guerrero del arco iris"(1991) 등의 앨범이 연이어 큰 성공을 거두며 아르헨티나 록 음악계의 주요 밴드로 자리 잡았다. 특히 1991년 앨범은 예약 판매만으로 플래티넘 디스크를 달성했으며, 1994년까지 발표한 모든 앨범이 플래티넘을 기록하는 등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6] 밴드의 활동 역사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2. 1. 결성 초기 (1986-1989)

발터 지아르디노가 V8에서 잠시 활동할 당시 모습


기타리스트 발터 지아르디노는 오스발도 시빌레를 대신하여 잠시 V8에 합류했으나, 자신의 곡들이 밴드에 의해 거부되자 탈퇴했다. 그는 친구이자 카미카제의 베이시스트인 로베르토 코세두의 도움을 받아 데모 테이프를 녹음했다. 비슷한 시기에 V8을 떠난 드러머 구스타보 로웨크는 시빌레와의 다른 프로젝트 제안을 거절하고 지아르디노와 합류했다. 세션 뮤지션인 로돌포 카바(보컬)와 율리에 루스(베이스)가 데모 녹음을 위한 라인업을 완성했으며, 녹음된 곡은 "Chico callejero", "Rompe el hechizo", "Gente del sur", "La bruja blanca" 등이었다.

안정적인 멤버를 찾던 중, 밴드는 하드 록 밴드 Plus 출신의 사울 블란치를 보컬로 영입했다. 또한 지아르디노의 친구이자 당시 WC의 멤버였던 세르지오 베르디체프스키의 도움으로 베이시스트 기예르모 산체스를 영입했다.[1]

라타 블랑카는 1987년 8월 15일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루스 이 푸에르사(Luz y Fuerza) 극장에서 첫 콘서트를 개최했다. 이후 사울 블란치가 밴드를 떠나고, "Días Duros"라는 곡을 작곡한 카를로스 페리고가 잠시 그 자리를 채웠으나 곧 탈퇴했다. 로돌포 카바가 잠시 복귀하기도 했으나, 이후 합류한 시토 몰리나는 건강 문제로 활동을 중단해야 했다. 밴드가 첫 앨범 녹음을 준비하면서 보컬이 급히 필요해지자, 사울 블란치가 다시 합류하여 녹음을 도왔다.

1988년, 9곡이 수록된 데뷔 앨범 ''라타 블랑카''가 발매되었다.[1] 같은 해 라타 블랑카는 알라크란(Alakran), JAF, 카미카제와 함께 "Halley en Obras" 콘서트에 참여했다. 이 데뷔 앨범은 1990년 골드 디스크를 획득하며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다.

2. 2. 전성기 (1989-1997)

폴리그램은 라타 블랑카에게 계약 갱신 조건으로 앨범 발매 첫 분기(또는 상반기)에 높은 판매량을 요구했고, 밴드는 요구된 판매량의 4배를 달성하며 계약을 이어갔다.[1] 1989년에는 키보드 연주자 우고 비스톨피(Hugo Bistolfi)가 밴드에 합류했으며, 기존 보컬 사울 블란치(Saul Blanch)를 대신하여 아드리안 바릴라리(Adrian Barilari)가 새로운 가수로 영입되었다.[1]

이후 밴드는 두 번째 정규 앨범인 마고스, 에스파다스 이 로사스(Magos, espadas y rosas)를 1990년에 발표했다. 이 앨범에는 밴드의 대표곡으로 꼽히는 "Mujer amante"(아만테의 여인)와 "La leyenda del hada y el mago"(요정과 마법사의 전설)가 수록되어 있다.[1] 앨범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 인기에 힘입어 밴드는 텔레비전 쇼 리트모 데 라 노체(Ritmo de la Noche)에 출연하기도 했다. 당시 일반적인 록 공연장으로는 늘어난 관객을 수용하기 어려워 쿰비아 음악 공연장에서 연주하기도 했다.[1]

1991년에는 세 번째 앨범 게레로 델 아르코 아이리스(Guerrero del Arco Iris)를 발매했다. 이 앨범은 예약 판매만으로 플래티넘 디스크를 달성하는 기록을 세웠으며,[6] 밴드는 호세 아말피타니 스타디움에서 대규모 콘서트를 개최하며 전성기를 구가했다.[1] 폴리그램과의 계약 마지막 작업으로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라이브 앨범을 오페라 극장에서 녹음했으나, 이 앨범은 수년 후에야 발매되었다.[2]

이후 BMG 레이블로 이적한 라타 블랑카는 1993년에 미니 앨범(EP) 엘 리브로 오쿨토(El Libro Oculto)를 발표했다. 이 앨범은 연주와 가사 양면에서 이전 작품들보다 훨씬 공격적이고 헤비한 사운드를 선보였는데, 이 변화는 일부 헤비 메탈 팬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1] 그럼에도 이 EP 역시 발매 직후 플래티넘을 달성했다.[6] 이 시기에 보컬 아드리안 바릴라리와 키보디스트 우고 비스톨피가 밴드를 떠났고, 새로운 보컬로 마리오 이안(Mario Ian)과 키보디스트 하비에르 레타모소(Javier Retamozo)가 합류했다.

새로운 라인업으로 1994년에는 앨범 Entre el Cielo y el Infierno를 발매했다. 이 앨범 발매 이후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열린 몬스터즈 오브 록 페스티벌(Monsters of Rock Festival)에 참여하는 등 국제적인 활동을 이어갔다. 1994년 시점에서 라타 블랑카가 발표한 모든 앨범은 아르헨티나에서 플래티넘 디스크를 획득하는 대기록을 세웠다.[6]

1996년에는 라이브 앨범 En vivo en Buenos Aires를 발매했으며, 보컬이 다시 가브리엘 마리안(Gabriel Marian)으로 교체되었다. 1997년에는 앨범 Rata Blanca VII를 발표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2. 3. 해체와 재결합 (1998-현재)

1998년 라타 블랑카는 공식 해체되었다. 이후 구스타보 로웩(Gustavo Rowek)과 세르지오 베르디체프스키(Sergio Berdichevsky)는 밴드 나티보(Nativo)를 결성하였고, 발터 지아르디노(Walter Giardino)는 솔로 프로젝트 월터 지아르디노 템플 활동을 이어갔다.

2000년, 발터 지아르디노 템플의 콘서트에 아드리안 바릴라리(Adrián Barilari)와 우고 비스톨피(Hugo Bistolfi)가 초청되었고, 이를 계기로 라타 블랑카의 재결합이 논의되었다. 하지만 로웩과 베르디체프스키는 재결합에 참여하지 않았다. 당시 라디오 방송국 라 메가(La Mega)에서 이전 히트곡 'Mujer amante'를 자주 틀어주면서 밴드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생겨났다.

2002년 발매된 재결합 앨범 《El camino del fuego》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2003년에는 그란 렉스 극장(Gran Rex)에서 딥 퍼플(Deep Purple)의 유명 멤버인 글렌 휴즈(Glenn Hughes)를 초청하여 합동 공연을 펼쳤다. 이 공연에서 라타 블랑카의 히트곡들과 딥 퍼플의 곡들을 함께 연주했다.

2005년 발매된 앨범 《La Llave de la Puerta Secreta》 역시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 공식 발매 전에 골드 레코드를 달성했다.[3] 2008년 앨범 《El Reino Olvidado》를 발매했고, 국제적인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2009년에는 전 레인보우(Rainbow) 보컬 두기 화이트(Doogie White)와 함께 영어 버전 앨범 《The Forgotten Kingdom》을 발매했다.[4]

2010년 초, 오랜 기간 함께 했던 키보디스트 우고 비스톨피가 밴드를 떠났고, 그의 자리는 바릴라리의 솔로 밴드 출신인 다닐로 모스첸(Danilo Moschen)이 대신했다.

2013년에는 원년 멤버인 구스타보 로웩, 세르지오 베르디체프스키, 사울 블란치(Saúl Blanch)가 몇 차례 공연을 위해 라타 블랑카와 재결합했다. 2015년 라타 블랑카는 10번째 정규 앨범 《토르멘타 엘렉트리카》(Tormenta Eléctrica)를 발매했다.

2017년 5월, 베이시스트 기예르모 산체스(Guillermo Sánchez)가 패혈증으로 사망했다.[5] 사망 며칠 전, 보컬 아드리안 바릴라리는 기예르모의 건강이 좋지 않다고 발표했었다.

3. 음악 스타일 및 특징

라타 블랑카 음악의 중심에는 기타리스트이자 대부분의 작곡을 담당하는 발테르 히알디노가 있다. 밴드는 활동 초기에 트윈 기타 체제와 키보디스트를 포함한 6인조 편성을 갖추기도 했는데, 이는 1990년 발표한 두 번째 앨범 "Magos,espadas y rosas"에서 확인할 수 있다.[6]

4. 구성원



기타리스트 발터 지아르디노는 V8을 탈퇴한 후, 드러머 구스타보 로웨크 등과 함께 라타 블랑카 결성을 주도했다. 초기 데모 녹음에는 세션 뮤지션들이 참여했으며, 이후 하드 록 밴드 Plus 출신의 사울 블란치(보컬), 기타리스트 세르지오 베르디체프스키, 베이시스트 기예르모 산체스 등이 합류하며 안정적인 라인업을 갖추기 시작했다.[1]

밴드는 1987년 첫 콘서트를 열었으나, 초기에는 보컬 교체가 잦았다. 사울 블란치가 잠시 밴드를 떠났다가 첫 정규 앨범 ''라타 블랑카''(1988) 녹음을 위해 복귀하기도 했다.[1] 이후 아드리안 바릴라리(보컬)와 우고 비스톨피(키보드)가 합류하여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1993년 음악적 견해 차이로 밴드를 떠나 알리안사를 결성했다.[1] 이후 몇 차례 멤버 교체를 거치며 활동을 이어갔고,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열린 몬스터스 오브 록 페스티벌에 참여하기도 했으나, 1998년 결국 해체되었다. 해체 후 멤버들은 각자 다른 밴드(나티보 등)나 프로젝트(월터 지아르디노 템플) 활동을 이어갔다.

2000년, 발터 지아르디노를 중심으로 아드리안 바릴라리, 우고 비스톨피 등이 다시 모여 밴드를 재결합했다. 다만, 구스타보 로웨크와 세르지오 베르디체프스키는 재결합에 참여하지 않았다. 재결합 후 발표한 앨범들이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3] 딥 퍼플의 글렌 휴즈, 전 레인보우 보컬 두기 화이트 등 해외 뮤지션들과 협업하기도 했다.[4] 재결합 이후에도 키보디스트 우고 비스톨피가 다시 탈퇴하고 다니로 모스첸이 합류하는 등 멤버 변동이 있었다. 2013년에는 일부 오리지널 멤버들과 함께 기념 공연을 가졌으며, 2015년에는 10번째 정규 앨범 ''토르멘타 엘렉트리카''를 발매했다. 2017년 5월에는 창립 멤버이자 오랫동안 베이스를 맡았던 기예르모 산체스가 패혈증으로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다.[5]

4. 1. 현재 구성원


  • 발테르 히아르디노: 기타 (1986년 – 1997년, 2000년 – 현재)
    밴드의 리더인 발테르 히아르디노 (2005년)
  • 아드리안 바릴라리: 보컬 (1989년 – 1993년, 2000년 – 현재)
  • Fernando Scarcella: 드럼 (2000년 – 현재)
  • Danilo Moschen: 키보드 (2010년 – 현재)
  • Pablo Motyczak: 베이스 기타 (2017년 – 현재)

4. 2. 이전 구성원

밴드의 초기 보컬이었던 사울 블란치는 1987년 첫 콘서트 이후 밴드를 떠났고, 카를로스 페리고가 잠시 그 자리를 대신했으나 곧 떠났다. 이후 로돌포 카바가 잠시 복귀했고, 시토 몰리나도 보컬을 맡았으나 병으로 인해 활동을 중단했다. 결국 첫 앨범 녹음을 위해 사울 블란치가 다시 합류했다.[1]

1993년, 보컬 아드리안 바릴라리와 키보디스트 우고 비스톨피는 《El Libro Oculto》 앨범의 음악 스타일에 대한 이견 등으로 밴드를 떠나 알리안사를 결성했다.[1] 이들의 빈 자리는 보컬 마리오 이안과 키보디스트 하비에르 레타모소가 채웠다. 이 라인업으로 《Entre el Cielo y el Infierno》(천국과 지옥 사이) 앨범을 발표하고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열린 몬스터스 오브 록 페스티벌 등에 참여했으나, 이후 보컬은 다시 가브리엘 마리안으로 교체되었다.

1998년 밴드가 해체되면서 드러머 구스타보 로웨크와 기타리스트 세르지오 베르디체프스키는 밴드를 떠나 '나티보'를 결성했다. 2000년 밴드가 재결합할 때 이들은 참여하지 않았다.[1]

재결합 멤버였던 키보디스트 우고 비스톨피는 2010년에 다시 밴드를 떠났고, 다니로 모스첸이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2009년 영어 버전 앨범 《Forgotten Kingdom》 녹음에는 전 레인보우 보컬 두기 화이트가 참여하기도 했다.[4]

2017년 5월, 창립 멤버이자 오랫동안 베이스를 맡았던 기예르모 산체스가 패혈증으로 사망했다.[5]

다음은 라타 블랑카를 거쳐 간 주요 이전 구성원들이다.

이름역할활동 기간 (추정)
사울 블란치보컬1987년, 1988년 ~ 1989년
구스타보 로웨크드럼1986년 ~ 1997년
세르지오 베르디체프스키리듬 기타1986년 ~ 1997년
기예르모 산체스베이스 기타1986년 ~ 1997년, 2000년 ~ 2017년 (사망)
우고 비스톨피키보드1989년 ~ 1993년, 2000년 ~ 2010년 (게스트: 1988년)
마리오 이안보컬1993년 ~ 1996년
하비에르 레타모소키보드1993년 ~ 1997년
가브리엘 마리안보컬1996년 ~ 1997년
두기 화이트보컬 (영어 버전)2009년 ~ 2010년
시토 몰리나보컬1988년 (2003년 사망)
카를로스 페리고보컬1988년
로돌포 카바보컬1986년
파블로 핑거키보드1988년


5. 음반 목록

라타 블랑카는 다수의 정규 앨범, 라이브 앨범, 컴필레이션 앨범, EP 외에도 여러 싱글과 비디오 앨범을 발표했다.

'''싱글'''


  • ''엘 수에뇨 데 라 히타나'' (El Sueño de la Gitana, 1988)
  • ''요정과 마법사의 전설'' (La Leyenda del Hada y el Mago, 1990)
  • ''힘든 날들'' (Días Duros, 1990)
  • ''사랑스러운 여인'' (Mujer Amante, 1990) - 검열 버전과 원본 두 가지 버전이 존재한다.
  • ''아브라잔도 엘 록 앤 롤'' (Abrazando al Rock and Roll, 1991)
  • ''무지개 전사'' (Guerrero del Arco Iris, 1991)
  • ''나다 에스 파실 신 투 아모르'' (Nada es Fácil sin tu Amor, 1991)
  • ''집에서 멀리'' (Lejos de Casa, 1992)
  • ''아고르, 마녀'' (Agord, la Bruja, 1992)
  • ''통제하에'' (Bajo Control, 1994)
  • ''바수라'' (Basura, 1994)
  • ''무헤르 아만테'' - 어쿠스틱 버전 (2000)
  • ''테아트로 그란 렉스 XIV - XII - MMI'' (Teatro Gran Rex XIV - XII - MMI, 2001)
  • ''집으로 돌아오다'' (Volviendo a Casa, 2002)
  • ''길의 지배자'' (El Amo del Camino, 2003)
  • ''무지개 전사 (라이브)'' (Guerrero del Arco Iris (En Vivo), 2003)
  • ''그저 당신을 사랑하기 위해 (라이브)'' (Sólo para Amarte (En Vivo), 2003)
  • ''동전의 다른 면'' (La Otra Cara de la Moneda, 2005)
  • ''아직 내 꿈 속에 있어'' (Aún Estás en mis Sueños, 2005)
  • ''잊혀진 왕국'' (El Reino Olvidado, 2008) - 확장 버전
  • ''부적'' (Talismán, 2008)
  • ''불의 고리'' (El Círculo de Fuego, 2008)
  • ''빛의 수호자'' (El Guardián de la Luz, 2009)
  • ''잊혀진 왕국 (라이브)'' (El Reino Olvidado (En Vivo), 2009)
  • ''빛의 수호자'' (Guardian of the Light, 2009) - 영어 버전
  • ''라 레옌다 델 아다 이 엘 마고 / 무헤르 아만테'' (La Leyenda del Hada y el Mago / Mujer Amante, 라이브, 2011)


'''비디오 앨범'''

  • ''라타 블랑카: 라 레옌다'' (Rata Blanca: La Leyenda, 1992)
  • ''부에노스아이레스 라이브'' (En vivo en Buenos Aires, 1996)
  • ''2003년 7월 26일, 오브라스 스타디움 라이브'' (En Vivo Estadio Obras 26 de Julio de 2003, 2004)
  • ''테아트로 그란 렉스 XIV-XII-MMIII (특별 게스트: 글렌 휴즈)'' (Teatro Gran Rex XIV-XII-MMIII (Invitado especial: Glenn Hughes), 2005)
  • ''라타 블랑카: 유럽 투어'' (Rata Blanca: Gira Por Europa, 2009)

5. 1. 정규 앨범

폴리그램은 라타 블랑카에게 계약 갱신 조건으로 상반기에 높은 판매고를 올릴 앨범 제작을 요구했고, 라타 블랑카는 요구된 판매량의 4배를 달성하며 이를 충족시켰다. 1989년에는 키보드 연주자 우고 비스톨피가 밴드에 합류했으며, 기존 보컬 사울 블란치를 대신하여 아드리안 바릴라리가 새로운 가수로 영입되었다.

밴드는 두 번째 정규 앨범인 ''마고스, 에스파다스 이 로사스'' (Magos, Espadas y Rosas, 1990)를 발표했다. 이 앨범에는 밴드의 대표곡으로 꼽히는 "Mujer amante"와 "La leyenda del hada y el mago"가 수록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앨범의 성공에 힘입어 라타 블랑카는 TV 프로그램 ''Ritmo de la Noche''에 출연했으며, 많은 관객을 수용하기 위해 일반적인 록 공연장이 아닌 쿰비아 콘서트 홀에서 공연하기도 했다.[1]

이후 밴드는 ''게레로 델 아르코 아이리스'' (Guerrero del Arco Iris, 1991) 앨범을 발매하고 호세 아말피타니 스타디움에서 콘서트를 개최했다. 폴리그램과의 계약 만료를 앞두고 오페라 극장에서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라이브 앨범을 녹음했으나, 이 앨범(''부에노스 아이레스 라이브'')은 몇 년 후인 1996년에야 발매되었다.[2] BMG로 레이블을 옮긴 후에는 EP 앨범 ''엘 리브로 오쿨토'' (El Libro Oculto, 1993)을 발표했다. 이 EP는 이전 작품들에 비해 연주와 가사 양면에서 더욱 공격적인 스타일을 선보였으며, 이로 인해 일부 헤비메탈 팬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발매 연도앨범 제목 (원어)비고
1988Rata Blanca
1990마고스, 에스파다스 이 로사스 (Magos, Espadas y Rosas)
1991게레로 델 아르코 아이리스 (Guerrero del Arco Iris)
1993엘 리브로 오쿨토 (El Libro Oculto)EP
1994엔트레 엘 시엘로 이 엘 인피에르노 (Entre el Cielo y el Infierno)
1996엔 비보 엔 부에노스 아이레스 (En Vivo en Buenos Aires)라이브 앨범
1997라타 블랑카 VII (Rata Blanca VII)
2000그란데스 칸시오네스 (Grandes Canciones)컴필레이션 앨범
2002엘 카미노 델 푸에고 (El Camino del Fuego)
2003포데르 비보 (Poder Vivo)라이브 앨범
2005라 야베 데 라 푸에르타 세크레타 (La Llave de la Puerta Secreta)
2008엘 레이노 올비다도 (El Reino Olvidado)
2009더 포가튼 킹덤 (The Forgotten Kingdom)영어 버전 앨범
2011XX 아노르사리오 마고스, 에스파다스 이 로사스 (XX Aniversario Magos, Espadas y Rosas)라이브 앨범
2015토르멘타 일렉트리카 (Tormenta Eléctrica)


5. 2. EP


  • ''엘 리브로 오쿨토'' (EP, 1993)
  • ''라타 블랑카'' (EP, 2001)
  • ''하이웨이 온 파이어'' (EP, 2002)

5. 3. 라이브 앨범


  • ''En vivo en Buenos Aires'' (1996)
  • ''Poder Vivo'' (2003)
  • ''En Vivo'' (2003)
  • ''Rata Blanca & Glenn Hughes: A Vivo en Teatro Gran Rex'' (2003)
  • ''Magos Espadas y Rosas: XX Aniversario en Vivo'' (2011)

5. 4. 컴필레이션 앨범


  • ''Grandes Canciones'' (2000)
  • ''라 레옌다 콘티누아'' (2001)

6. 커버 버전

스페인의 마고 데 오즈는 "Mujer amante"의 커버 버전을 녹음했다.

참조

[1] 웹사이트 Rata Blanca: los discos de la buena memoria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4-09-03
[2] 인터뷰 La hora de las Brujas 1993-12
[3] 웹사이트 La llave de la puerta secreta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4-09-10
[4] 웹사이트 Doogie White to record in Buenos Aires with Rata Blanca http://www.doogiewhi[...] 2020-10-14
[5] 웹사이트 El cuartel del metal – Música https://elcuarteldel[...] 2020-10-14
[6] 문서 CD「魔術師と薔薇の伝説」解説
[7] 웹인용 Rata Blanca: los discos de la buena memoria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4-09-03
[8] 웹인용 La llave de la puerta secreta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4-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