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윈 코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래윈 코넬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사회학자이다. 시드니 대학교 교육학 교수를 지낸 아버지와 고등학교 과학 교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멜버른 대학교와 시드니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매쿼리 대학교 사회학 창립 교수, 하버드 대학교 객원 교수,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 사회학 교수를 역임했다. 2004년 시드니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2014년 은퇴 후 명예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계급과 교육, 젠더와 권력, 남성성 연구, 남부 이론 등이며, 트랜스여성으로서 페미니즘에 대한 글을 쓰기도 했다. 2007년 오스트레일리아 사회학회 공로상, 2008년 스티븐 크룩 기념상, 2017년 미국 사회학회 제시 버나드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사회학자 - 주디 와이즈먼
주디 와이즈먼은 기술의 젠더적 본성과 기술 사회 구성주의 연구에 기여한 사회학자로, 젠더가 노동 시장과 조직 문화에 미치는 영향, 특히 성별 고정관념과 성차별적 관행을 분석했다. - 트랜스젠더학자 - 주디스 버틀러
주디스 버틀러는 젠더 수행성 이론으로 여성주의, 퀴어 이론, 정치철학에 큰 영향을 준 미국의 철학자이자 성별 연구의 선구자이며, 사회 정치적 이슈에 적극적으로 발언하는 정치 활동가이다. - 트랜스젠더학자 - 존 머니
존 머니는 성과학자로서 성 정체성 및 성 역할에 관한 이론을 연구하고 관련 용어를 만들었으나, 데이비드 라이머 사례 연구의 오류로 인해 논란을 낳고 트랜스젠더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성소수자 작가 - 패트릭 화이트
패트릭 화이트는 오스트레일리아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오스트레일리아 사회를 비판적으로 묘사하고 종교적, 신비주의적 주제를 탐구하며 1973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성소수자 작가 - 포셔 드 로시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배우 포셔 드 로시는 1994년 영화 《사이렌》으로 데뷔하여 《앨리 맥빌》, 《체포된 사람들》, 《닙/턱》, 《스캔들》 등 다양한 작품에서 활동했으며, 2018년 은퇴 후 커밍아웃한 레즈비언으로서 2008년 엘렌 드제너러스와 결혼했다.
래윈 코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래윈 코넬 |
원어명 | Raewyn Connell |
본명 | 로버트 윌리엄 "밥" 코넬 |
로마자 표기 | Raewin Konel |
출생일 | 1944년 1월 3일 |
출생지 | 시드니, NSW, 오스트레일리아 |
국적 | 오스트레일리아 |
웹사이트 | 래윈 코넬 웹사이트 |
![]() | |
학력 및 경력 | |
출신 대학 | 멜버른 대학교 (문학사) 시드니 대학교 (박사) |
직업 | 사회학자, 교수, 대학교 의장 (시드니 대학교) |
주요 연구 분야 | 헤게모니적 남성성 남성학 남방 이론 사회 계급 |
경력 | 시드니 대학교 교수 |
가족 관계 | |
아버지 | W. F. 코넬 |
친척 | 패트리샤 마거릿 셀커크 (자매) |
수상 | |
수상 | 제시 버나드 상 |
2. 생애와 경력
코넬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태어나 여러 대학교에서 학술 경력을 쌓았다. 매쿼리 대학교 사회학 창립 교수를 지냈고, 하버드 대학교 호주학 객원 교수 및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 사회학 교수를 역임했다.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 당원과 노동 조합원으로 활동했으며, 뉴 레프트 지식인으로 평가받는다. 2004년 시드니 대학교 대학교수로 임명되었고, 2014년 은퇴 후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여러 학술 저널의 편집 위원 및 자문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코넬은 트랜스여성으로, 늦은 나이에 성전환을 시작하여 초기에는 "R. W. 코넬"로, 이후에는 래윈 코넬이라는 이름으로 저술 활동을 했다. 또한 트랜스여성과 페미니즘에 대한 국제적인 관점의 글을 썼으며, 자신을 "강성 페미니스트"이자 "위험한 좌파"라고 칭한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인 윌리엄 프레이저(빌) 코넬(OBE)은 여러 해 동안 시드니 대학교 교육학 교수로 재직하며 교육 연구와 가르침에 집중했다. 그녀의 어머니 마가렛 로이드 코넬(옛 성은 펙)은 고등학교 과학 교사였다. 코넬은 두 명의 여동생, 패트리샤 마가렛 셀키크와 헬렌 코넬을 두고 있다.[1]맨리와 노스 시드니 고등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멜버른 대학교와 시드니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다.[1]
2. 2. 학문적 경력
코넬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여러 대학교에서 학술 직책을 맡았으며, 1976년부터 1991년까지 매쿼리 대학교의 사회학 창립 교수를 지냈다.[1]1991년부터 1992년까지 하버드 대학교의 호주학 객원 교수였으며,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의 사회학 교수였다.[1] 1980년대 초까지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의 일반 당원이었으며, 노동 조합원으로 현재 전국 고등 교육 연합에 소속되어 있다.[1] 오스트레일리아 뉴 레프트의 저명한 지식인으로 여겨져 왔다.[1]
2004년 시드니 대학교의 대학교수로 임명되었고, 2014년 7월 31일에 대학교수직에서 은퇴했다.[1] 은퇴 이후 시드니 대학교의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다.[1]
''Signs'', ''Sexualities'',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Theory and Society'', 그리고 ''국제 포용 교육 저널''을 포함한 수많은 학술 저널의 편집 위원 또는 자문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1]
2. 3. 정치 참여와 사회 운동
코넬은 1980년대 초까지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의 일반 당원이었으며, 노동 조합원으로 현재 전국 고등 교육 연합에 소속되어 있다.[4] 그녀는 오스트레일리아 뉴 레프트의 저명한 지식인으로 여겨져 왔다.[4] 코넬은 자신을 "강성 페미니스트"이자 "위험한 좌파"라고 칭한다.[6]2. 4. 트랜스젠더로서의 정체성
코넬은 트랜스여성으로, 늦은 나이에 공식적으로 성전환을 시작했다. 그녀의 거의 모든 초기 작품은 2005년 "남성성"의 두 번째 판까지 성 중립적인 이름 "R. W. 코넬"로 출판되었으나, 2006년 이후 그녀의 모든 작품은 래윈 코넬이라는 이름으로 출판되었다. 코넬은 국제적인 관점에서 트랜스여성과 페미니즘에 대해 글을 써왔다. 코넬은 자신을 "강성 페미니스트"이자 "위험한 좌파"라고 칭한다.[1]3. 주요 연구 분야
코넬의 사회학은 사회 현실의 역사적 본질과 사회적 실천의 변혁적 성격을 강조한다. 코넬의 저술은 경험적 세부 사항, 구조 분석, 비판, 그리고 실천과의 관련성을 결합하려 한다. 코넬의 경험적 연구는 교육, 가족 생활, 직장 등에서 전기적(생애사) 인터뷰를 주로 사용한다. 코넬은 21권 이상의 저서와 150편 이상의 연구 논문을 단독 또는 공동으로 저술했으며, 그녀의 작품은 18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코넬의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계급과 교육: 초기 연구는 대규모 계급 역학("지배 계급, 지배 문화", 1977 및 "호주 역사 속의 계급 구조", 1980)과 학교의 일상생활 속에서 계급 및 젠더 위계가 재구성되는 방식("차이를 만드는 법", 1982)에 대한 것이다.
- 젠더와 권력: 1980년대 후반, 젠더 관계에 대한 사회 이론("젠더와 권력", 1987)을 발전시켜 젠더가 개인의 정체성 문제일 뿐만 아니라 대규모 사회 구조의 문제임을 강조했다.
- 남성성 연구: 남성성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연구로, 이 분야의 창시자 중 한 명이다. "Masculinities"(1995, 2005)는 이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책 중 하나이며, 지배적 남성성 개념은 페미니즘 사회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남부 이론: 지식 생산의 세계적 역학 관계를 탐구하며, 주류 사회 과학의 "북부" 편향을 비판하고 세계 남부에서 파생된 이론적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3. 1. 계급과 교육
코넬은 대규모 계급 역학에 대한 연구("지배 계급, 지배 문화", 1977 및 "호주 역사 속의 계급 구조", 1980)와 학교의 일상생활 속에서 계급 및 젠더 위계가 재구성되는 방식("차이를 만드는 법", 1982)에 대한 연구로 처음 알려졌다.3. 2. 젠더와 권력
1980년대 후반, 래윈 코넬은 젠더 관계에 대한 사회 이론("젠더와 권력", 1987)을 발전시켰다. 이 이론은 젠더가 개인의 정체성 문제일 뿐만 아니라, 대규모 사회 구조의 문제임을 강조한다. 코넬은 "젠더"라는 단어를 권력, 생산/노동, 감정/성적 관계라는 세 가지 구조의 관점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녀는 이 이론을 빈곤과 교육, 성과 에이즈 예방, 노동 운동 전략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연구했다.[1]코넬은 제임스 메세르슈미트와 함께 "헤게모니적 남성성: 개념 재고찰"(2005)이라는 논문을 공동 집필하여, 자신의 이론이 고정된 유형론을 만든다는 비판에 대응했다. 이들은 이론의 범주화를 옹호하는 한편, 남성과 감정 사이의 관계를 강조했다. 코넬은 현대 사회에서 남성들이 자신의 감정 상태, 특히 우울증과 같은 감정을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감정적으로 단절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많은 남성들이 부모, 친구, 또래로부터 감정을 드러내는 것이 약점으로 비춰질 수 있기 때문에 감정을 표현하지 않도록 학습받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은 성인이 되어서도 감정적 반응, 특히 울거나 슬픈 표정과 같은 반응을 억제하는 능력으로 이어져, 결국 이러한 감정을 인식하고 연결하는 능력 자체를 잃게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1]
코넬은 한 젠더는 다른 젠더와 분리하여 고찰될 수 없으며, 남성들 사이에도 불균형이 존재함을 강조한다. 또한, 남성성의 이질적인 본질을 강조하며, 남성 정치는 페미니즘과 달리 정치적 운동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페미니즘에서는 여성의 소외된 정체성이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지만, 남성성에 대한 저작들은 남성으로 사는 것의 이점에 대해 거의 항상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는 것이다.[1]
3. 3. 남성성 연구
래윈 코넬은 호주 밖에서 남성성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이 연구 분야의 창시자 중 한 명이다.[24] 그녀의 저서 "Masculinities"(1995, 2005)는 이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책이다. 코넬이 개발한 지배적 남성성 개념은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페미니즘 사회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27]코넬은 성 역할 이론을 비판하며, 사회 규범, 태도, 행동의 강조가 구조적 불평등과 권력 역학을 가리고 성별 형성 과정을 왜곡한다고 주장한다.[25] 그녀는 유네스코 및 유엔의 젠더 평등 및 평화 구축 이니셔티브에 자문 역할을 해왔다.
3. 3. 1. 헤게모니적 남성성 비판과 재고찰
래윈 코넬은 호주 밖에서는 남성성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녀는 이 연구 분야의 창시자 중 한 명이었으며,[24] 그녀의 저서 "Masculinities"(1995, 2005)는 이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책이다. 래윈 코넬이 개발한 이론인 지배적 남성성은 페미니즘 사회학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성 역할 이론에 대한 비판에서[25] 코넬과 그녀의 공동 저자들은 사회의 내면화된 규범, 태도 및 행동에 대한 강조는 구조적 불평등과 권력 역학을 모호하게 하고 성별 형성 과정을 잘못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소녀와 여성은 종종 예의 바르고, 협조적이며, 배려하는 행동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남성은 일반적으로 강력하고, 호전적이며, 두려움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성 역할 기대는 모든 국가, 민족 집단 및 문화에 존재하지만, 그들 사이에서 크게 다를 수 있다.[26] 지배적 남성성 개념은 특히 영향력이 있었고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27] 그녀는 남성, 소년 및 남성성을 젠더 평등 및 평화 구축과 관련된 유네스코 및 유엔의 이니셔티브에 대한 자문 역할을 해왔다.3. 4. 남부 이론
코넬은 지적 노동의 집단적 성격과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지식인 사회학을 발전시켰다. 2007년 저서 《남부 이론》에서 코넬은 이러한 관점을 지식 생산의 세계적 역학 관계로 확장하여, 주로 "대도시[28]" 대학에서 생산되는 주류 사회 과학의 "북부" 편향을 비판했다. 코넬은 이 과정에서 대도시 사회 이론이 남부의 경험에서 비롯된 사회 현상을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코넬은 파울린 훈톤지, 알리 샤리아티, 비나 다스, 아시스 난디, 라울 프레비시 등의 저작을 분석하며, 세계 남부에서 파생된 이론적 작업의 사례를 제시했다.
또한, 코넬은 젠더 이론[29][30], 신자유주의[31] 및 기타 글로벌 지식 프로젝트에 대한 남부 이론의 함의를 탐구했다. 그녀는 역사적 권력 차별이 사고의 제국주의적 특권을 통해 유지되며, 이러한 지식 구성을 탈식민화하는 것이 전 세계 사회에 혁명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계획 이론에 실린 에세이에서 코넬은 사회 과학이 전통적으로 무시되어 온 하위 계층의 관점을 받아들여 도시 계획, 지리학, 청소년 연구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현대적 자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촉구한다.[32]
3. 4. 1. 남부 이론에 대한 비판과 응답
코넬은 지적 노동의 집단적 성격과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지식인 사회학을 발전시켰다. 그녀의 2007년 저서 《남부 이론》은 이를 지식 생산의 세계적 역학으로 확장하여, 주로 "대도시[28]" 대학에서 생산되는 주류 사회 과학의 "북부" 편향을 비판했다. 그녀는 이 과정에서 대도시 사회 이론이 남부의 경험에서 사회 현상을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그녀는 파울린 훈톤지, 알리 샤리아티, 비나 다스, 아시스 난디, 라울 프레비시의 저작을 포함하여, 세계 남부에서 파생된 이론적 작업의 사례를 분석했다.
코넬은 또한 젠더 이론[29][30], 신자유주의[31] 및 기타 글로벌 지식 프로젝트에 대한 남부 이론의 함의를 탐구했다. 그녀는 이러한 맥락에서 역사적 권력 차별이 사고의 제국주의적 특권을 통해 유지되며, 지식의 이러한 구성을 탈식민화하는 것이 전 세계 사회에 혁명을 일으킬 수 있다고 계속 주장한다. 예를 들어, 계획 이론에 실린 그녀의 에세이에서 코넬은 사회 과학이 전통적으로 무시되어 온 하위 계층의 관점을 받아들여 도시 계획, 지리학, 청소년 연구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현대적 자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촉구한다.[32]
"남부 하늘 아래서"라는 에세이에서 코넬은 무스타파 에미르바예르, 패트리샤 힐 콜린스, 라카 레이, 아이작 아리엘 리드 등 남부 이론에 대한 그녀의 저작을 비판적으로 쓴 네 명의 다른 사회학자들에게 응답했다. 코넬의 저작이 중요한 논의를 촉발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이 사회학자들의 주장은 다음과 같았다. 레이는 남부 이론이 세계 사회학보다는 탈식민 사회학의 전환점을 의미한다고 주장했고, 리드는 코넬의 이론적 개념이 미개발 상태라고 판단했으며, 에미르바예르는 코넬이 "북부 이론"을 지나치게 일반화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남부 이론"에 대해 근거 없는 주장을 한다고 보았고, 콜린스는 북부 중심주의와 남부 교육을 받은 엘리트의 이론만을 검토함으로써 세계 남부의 많은 부분을 침묵시키는 두 가지 문제를 지적했다. 코넬은 자신의 응답에서 각 주장의 특정 지점에 답변하여 자신의 저작을 옹호하고, 그녀의 저작의 배경이 되는 결정을 설명하고, 그녀의 저작이 더 나아가 논의를 위한 출발점임을 확인하면서 그들의 비판에 반박했다.[33]
4. 주요 저서
연도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1967 | 극우 정치: 워링가, 1966 | 시드니 대학교 출판사 | 플로렌스 굴드와 공동 저술 |
1971 | 정치의 아이의 구성 | 멜버른 대학교 출판부 | |
1977 | 지배 계급, 지배 문화: 호주 사회의 갈등, 권력, 헤게모니에 관한 연구 |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사 | |
1980 | 호주 역사 속의 계급 구조 | 롱맨 체셔 | 테리 어빙과 공동 저술[40] |
1982 | 차이를 만들어내기: 학교, 가족, 사회 분열 | 앨런 & 언윈 | 공동 저술 |
1983 | 어느 쪽이 위인가? 성, 계급, 문화에 관한 에세이 | 앨런 & 언윈 | |
1987 | 젠더와 권력: 사회, 개인 그리고 성 정치 | 앨런 & 언윈 | 모리 시게오 외 역, 산코샤, 1993년 |
1989 | 주장하기: 페미니즘, 관료주의 그리고 국가 | 앨런 & 언윈 | 수잔 프란츠웨이, 다이앤 코트와 공동 저술 |
1992 | 성 재고: 사회 이론과 성 연구 | 멜버른 대학교 출판부 | R. W. 코넬 및 G. W. 도셋 편집 |
1993 | 학교와 사회 정의 | 템플 대학교 출판부 | |
1995 | 남성성 | 앨런 & 언윈 | 이토 키미오 역, 신요샤, 2022년 |
2000 | 남성과 소년 | 앨런 & 언윈 | |
2000 | 남성의 역할, 남성성 그리고 폭력: 평화 문화적 관점 | 유네스코 출판 | 잉에보르그 브레이네스, 로버트 코넬 및 잉그리드 아이데 편집 |
2002 | 젠더 | 정치 | 타가 후토시 감수, 세카이 시소샤, 2008년 |
2005 | 남성과 남성성에 관한 연구 핸드북 | SAGE | 마이클 S. 키멜, 제프 헌, R. W. 코넬 편집 |
2007 | 남부 이론: 사회 과학에서 지식의 세계적 역학 | 폴리티 | |
2009 | 젠더: 세계적 관점에서 | 폴리티 | |
2011 | 평등에 직면하기: 젠더, 지식 및 세계 변화 | 정치 | |
2019 | 좋은 대학교: 대학교가 실제로 하는 일과 급진적인 변화가 필요한 이유 | 제드 북스 |
5. 수상 경력
참조
[1]
간행물
Reflecting on twenty years of Masculinities: an interview with Raewyn Connell
2017
[2]
웹사이트
Southern Theory
https://globalsocial[...]
2018-02-18
[3]
웹사이트
Connell, Raewyn (1944 - )
http://www.womenaust[...]
Australian Women's Archives Project 2014
2018-11-23
[4]
웹사이트
Honorary awards - Emeritus Professor William Fraser Connell OBE
http://sydney.edu.au[...]
University of Sydney
2018-11-23
[5]
웹사이트
William Fraser Connell
http://cunningham.ac[...]
Cunningham Library -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2018-11-23
[6]
웹사이트
William Fraser Connell papers, 1891-2010
http://archival.sl.n[...]
State Library of New South Wales
2018-11-23
[7]
웹사이트
About Raewyn
http://www.raewyncon[...]
2012-11-30
[8]
문서
Radical Theories of Capitalism in Australia: Towards a Historiography of the Australian New Left
https://ses.library.[...]
2016
[9]
웹사이트
Her Bio in her official personal website
http://www.raewyncon[...]
[10]
웹사이트
Professor Emerita Raewyn Connell
https://www.sydney.e[...]
[11]
뉴스
Masthead
http://signsjournal.[...]
2017-08-31
[12]
웹사이트
Professor Raewyn Connell, Academic Staff Profile
http://sydney.edu.au[...]
2017-08-31
[13]
웹사이트
About Raewyn
http://www.raewyncon[...]
2012-11-30
[14]
웹사이트
Gender & Sexuality
http://www.raewyncon[...]
[15]
문서
Transsexual women and feminist thought: toward new understanding and new politics
2012
[16]
웹사이트
Book Review: The Good University: What Universities Actually Do and Why It's Time for Radical Change by Raewyn Connell
https://blogs.lse.ac[...]
London School of Economics
2024-11-09
[17]
웹사이트
Research publications (complete list).
http://www.raewyncon[...]
2012-11-30
[18]
웹사이트
Raewyn Connell
https://theconversat[...]
2013-01-22
[19]
웹사이트
Raewyn in translation
http://www.raewyncon[...]
2012-11-30
[20]
서적
Schools and social justice
http://worldcat.org/[...]
Temple University Press
1993
[21]
서적
Socialism and labor : an Australian strategy
http://worldcat.org/[...]
"[Praxis Publications]"
1978
[22]
간행물
Hegemonic Masculinity: Rethinking the Concept
http://journals.sage[...]
2005
[23]
서적
Framing intersectionality : debates on a multi-faceted concept in gender studies
http://worldcat.org/[...]
Routledge
2016
[24]
웹사이트
Faculty of Education and Social Work – Professor Raewyn Connell
http://fdp.edsw.usyd[...]
2012-03-02
[25]
간행물
Gender Relations in Secondary Schooling
https://www.jstor.or[...]
1985-01
[26]
서적
Masculinities
http://worldcat.org/[...]
Univ. of California Pr
2008
[27]
간행물
Hegemonic Masculinity
2005-12
[28]
간행물
Periphery and Metropole in the History of Sociology
[29]
간행물
Gender Theory as Southern Theory
Springer, Cham
2018
[30]
웹사이트
Roses from the South- Re-Thinking Gender Analysis from a World Perspective
http://gender.stanfo[...]
2012-11-30
[31]
문서
Research Project- Market Society on a World Scale
2012-11-30
[32]
간행물
Using southern theory: Decolonizing social thought i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2013-09-02
[33]
서적
Decentering social theory
https://www.worldcat[...]
2013
[34]
웹사이트
Distinguished Service to Australian Sociology Award
https://tasa.org.au/[...]
[35]
웹사이트
Stephen Crook Memorial Prize
https://tasa.org.au/[...]
[36]
웹사이트
Raewyn Connell Prize
https://tasa.org.au/[...]
[37]
웹사이트
Jessie Bernard Award
https://www.asanet.o[...]
[38]
웹사이트
ISA Award for Excellence in Research and Practice
https://www.isa-soci[...]
[39]
웹사이트
UPF honorary doctors
https://www.upf.edu/[...]
[40]
서적
Class structure in Australian history
Longman Cheshire
1980
[41]
서적
日本語版への序文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