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더퍼드 산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더퍼드 산란은 1909년 한스 가이거와 어니스트 마스덴이 알파 입자 산란 실험을 통해 처음 발견했다. 이 실험은 어니스트 러더퍼드의 지도하에 진행되었으며, 얇은 금속 박막에 알파 입자를 발사하여 입자의 산란 현상을 관찰했다. 실험 결과, 알파 입자의 대부분은 거의 편향되지 않고 통과했지만, 극히 일부는 매우 큰 각도로 산란되는 현상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러더퍼드는 원자 질량의 대부분이 양전하를 띤 작은 영역(핵)에 집중되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현재 러더퍼드 산란은 재료 과학 분야에서 러더퍼드 후방 산란이라는 분석 기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중심력에 의해 상호작용하는 입자의 운동 방정식을 통해 산란 단면적을 유도할 수 있다.
러더퍼드 산란은 1909년 한스 가이거와 어니스트 마스덴이 알파입자 산란실험을 통해 처음 발견되었다.[2][3][4][5] 이 실험은 1908년부터 1910년까지와 1913년의 4차례에 걸쳐 러더퍼드의 지도하에 진행되었다.[2][3][4][5] 실험에서 그들은 얇은 금속 박막에 알파 입자(헬륨 핵)를 발사했다. 실험 당시 원자는 조지프 존 톰슨이 제안한 건포도 빵 모형처럼 양전하를 띤 공간에 전자가 박혀 있는 구조로 생각되었다. 건포도 빵 모형에 따르면 알파 입자는 큰 각도로 산란되지 않아야 했다.
중심력에 의해 상호작용하는 입자의 운동 방정식으로부터 산란 단면적을 유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심력에 의해 상호작용하는 두 입자는 질량 중심의 운동과 입자 간의 상대 운동으로 분해할 수 있다. 가이거-마스덴 실험의 경우와 같이, 무거운 핵에 의해 산란되는 가벼운 알파 입자의 경우, 환산 질량은 기본적으로 알파 입자의 질량이 되고, 핵은 기본적으로 실험실 계에서 정지하게 된다.
알파 입자와 원자핵이 정면 충돌하는 경우, 알파 입자가 가진 운동 에너지의 전부가 포텐셜 에너지로 변화하여 입자가 정지하는 순간이 있다. 이 순간에 알파 입자의 중심에서 원자핵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원자핵의 최대 반경을 나타낸다.
저에너지 러더퍼드 산란을 상대론적 에너지 영역으로 확장하거나, 스핀을 가진 입자에 대한 산란은 모트 산란으로 기술된다.[9][10] 빔 또는 타겟 입자의 내부 에너지 변화가 없는 경우를 탄성 산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탄성 산란이라고 한다.
2. 발견
그러나 실험 결과는 약 8000개의 알파 입자 중 하나가 90° 이상의 매우 큰 각도로 산란되는 반면, 나머지는 거의 편향되지 않고 통과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러더퍼드는 원자 질량의 대부분이 전자로 둘러싸인 양전하를 띤 작은 영역(핵)에 집중되어 있다고 결론지었다. 양전하를 띤 알파 입자가 핵에 충분히 근접할 때, 높은 각도에서 반동할 만큼 충분히 강하게 튕겨 나갔다. 작은 크기의 핵은 이런 식으로 반발된 소수의 알파 입자를 설명했다. 안개 상자를 이용한 실험에서 알파 입자가 핵에 의해 편향되는 현상이 시각적으로 관찰되었다.
러더퍼드 산란은 현재 재료 과학 분야에서 러더퍼드 후방 산란이라는 분석 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3. 유도
비네 방정식에 대입하면, 다음 궤적 방정식이 얻어진다.
:
여기서, 이고, 는 무한대에서의 속도, 는 충돌 매개변수이다.
위의 미분 방정식의 일반 해는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
이것을 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극방정식으로 다시 쓰면,
:
가 되며, 이것은 이심률 의 원뿔 곡선을 나타내는 극방정식이다. 산란 문제에서는 입자는 두 개의 점근선을 가지므로, 산란 입자의 궤도는 쌍곡선이 된다.
입사 시의 점근선으로부터 초기 조건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에서 이고, 에서
이므로 는
:
라는 형태로 구해진다.
산란각 는 산란 후의 점근선에 대해 을 다음과 같이 풀면 얻어진다.
:
는 다음과 같이 풀린다.
:
이 결과로부터 산란 단면적을 얻기 위해서는 다음 정의를 고려한다.
:
여기서, 은 입체각 내에 산란되는 입자의 수, 는 입사 강도로 한다.
와 에 대해 산란각이 유일하게 결정되므로, 산란각 에서 로 산란되는 입자 수는 해당하는 충돌 매개변수 에서 를 만족하는 입자의 수와 같다. 이것은 다음 등식을 함의한다.
:
쿨롱 퍼텐셜과 같이 구대칭인 산란 퍼텐셜의 경우, 가 얻어지고, 산란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
마지막으로, 이 식에 충돌 매개변수의 함수형 를 대입하면 러더퍼드 산란 단면적이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
3. 1. 미분 단면적
4. 궤도의 해석해
궤도의 일반해는 다음과 같다.
:
경계 조건에서 다음 상수를 구할 수 있다.
:
:
이들을 대입하여 변형하면 궤도의 일반해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이다.
또한, 음함수 표시는 다음과 같다.
:
5. 최대 원자핵 크기 계산
역제곱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알파 입자의 질량은 6.64424 x 10-27 kg, 전하는 2 x 1.6 x 10-19 C, 금의 전하는 79 x 1.6 x 10-19 C, 초속도는 2 x 107 m/s이다. 이들을 대입하면, 금 원자핵의 최대 크기는 약 27fm 이라는 값을 얻지만, 실제 금 원자핵의 반지름은 약 7.3fm이다. 이는 알파선의 에너지가 원자핵 중심에 더 가까이 접근시킬 만큼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러더퍼드는 이를 인식하고, 산란 곡선이 큰 각도에서 쌍곡선에서 다른 곡선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러한 벗어남이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에, 금 원자핵과 알파 입자는 "접촉"하지 않았음이 나타났고, 금 원자핵 반경이 27fm보다 작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6. 상대론적 입자와 타겟 반동으로의 확장
7. 현대적 응용
8. 같이 보기
9. 참고 문헌
참조
[1]
문헌
[2]
문헌
[3]
문헌
[4]
문헌
[5]
문헌
[6]
문헌
[7]
문서
[8]
Kotobank
核半径
[9]
문서
[10]
웹사이트
Electron Scattering from Nuclei
http://hyperphysics.[...]
Hyperphysics
2016-11-10
[11]
저널
The Scattering of α and β rays by Matter and the Structure of the Atom
1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