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을 포함하여 올림픽에서 4번,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7번, 월드컵에서 1번,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19번 우승을 차지한 배구 강호이다. 1949년 소련 대표팀으로 시작하여 1992년 러시아 대표팀으로 재창단되었으며, 1990년대에는 쿠바와 함께 여자 배구의 양대 강호로 군림했다. 21세기 초반에는 중국에 밀려 은메달에 머물기도 했으나,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다시 정상에 올랐다. 2019년에는 세르지오 부사토 감독, 2022년에는 조란 테르지치 감독이 대표팀을 이끌었으며, 이리나 리스칼, 예카테리나 가모바 등 많은 선수들이 활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여자 국가대표팀 - 러시아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
러시아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은 1993년 결성되어 세계 선수권 대회 4회 우승과 올림픽 금메달 1개를 획득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이후 국제 대회 출전이 정지되었다. - 러시아의 여자 국가대표팀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3년 UEFA 여자 유로에서 국제 대회에 데뷔하여 FIFA 여자 월드컵 8강에 진출하기도 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국제 대회 참가가 정지되었다.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6년 FIVB에 가입하여 올림픽 동메달과 4강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최근 네이션스리그에서 부진을 보이는 대한민국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이다.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브라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브라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47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한 남미의 강호로, 남미 선수권 23회 우승 및 월드 그랑프리 12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올림픽 금메달 2회, 세계 선수권 준우승 4회를 차지했다.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국가 | 러시아 |
성별 | 여성 |
웹사이트 | 러시아 배구 연맹 웹사이트 |
연맹 | 러시아 배구 연맹 |
대륙 연맹 | CEV (자격 정지) |
감독 | 조란 테르지치 |
올림픽 | |
올림픽 출전 횟수 | 14회 |
올림픽 첫 출전 | 1964년 |
올림픽 최고 성적 | (1968 (소련)), (1972 (소련)), (1980 (소련)), (1988 (소련)) |
세계 선수권 대회 | |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 | 17회 |
세계 선수권 대회 첫 출전 | 1952년 |
세계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 | (1952 (소련), 1956 (소련), 1960 (소련), 1970 (소련), 1990 (소련), 2006 & 2010) |
월드컵 | |
월드컵 출전 횟수 | 8회 |
월드컵 첫 출전 | 1973년 |
월드컵 최고 성적 | (1973 (소련)) |
유럽 선수권 대회 | |
지역 컵 명칭 | 유럽 선수권 대회 |
지역 컵 출전 횟수 | 30회 |
지역 컵 첫 출전 | 1949 |
지역 컵 최고 성적 | (1949 (소련), 1950 (소련), 1951 (소련), 1958 (소련), 1963 (소련), 1967 (소련), 1971 (소련), 1975 (소련), 1977 (소련), 1979 (소련), 1985 (소련), 1989 (소련), 1991 (소련), 1993, 1997, 1999, 2001, 2013, 2015)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흰색 상의, 파란색 반바지 |
원정 유니폼 | 빨간색 상의, 빨간색 반바지 |
기타 정보 | |
FIFA 랭킹 | 5위 (2017년 8월 기준) |
2. 역사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역사는 소련 시절과 러시아 시절로 나눌 수 있다.
1949년에 창설된 소련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49년 9월 11일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폴란드를 3-0으로 꺾고 첫 국제 경기 승리를 거두었다. 소련 대표팀은 올림픽 4회, 세계 선수권 대회 5회, 월드컵 1회, 유럽 선수권 대회 17회 우승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일본과 함께 세계 배구를 양분했다.
소련 붕괴 후 1992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하며[6]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이 발족했다. 1990년대에는 쿠바와 양강 구도를 형성했으나,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우승을 제외하고는 주요 대회에서 쿠바에 밀렸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결승전에서는 2세트를 먼저 따내고도 역전패하며 은메달에 머물렀다.
21세기 초,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과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중국에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이후 니콜라이 카르폴리 감독이 사임하고 이탈리아 출신 감독이 부임하여 데이터 배구를 도입, 2006년 일본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7년 유럽 선수권 대회 3위로 2007년 월드컵 출전이 좌절되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5위에 그쳤지만,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2회 연속 우승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예선 1위에도 불구하고 8강에서 브라질에 패하며[7]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2013년에는 FIVB 월드 그랑프리 7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12년 만에 우승, 그랜드 챔피언스컵 4위를 기록했다.
2. 1. 소련
1949년에 소련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이 창설되었다. 첫 국제 경기는 1949년 9월 11일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폴란드를 상대로 3-0 승리를 거둔 것이다. 소련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올림픽에서 4번,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5번, 월드컵에서 1번,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17번 우승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일본과 함께 세계 배구계를 양분하며 '배구 강국'으로 불렸다.다음은 소련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이 주요 국제 대회에서 거둔 성적이다.
년도 | 대회 | 개최지 | 준우승팀 | 3위팀 |
---|---|---|---|---|
1952 | 제1회 세계 선수권 대회 | 소련 | ||
1956 | 제2회 세계 선수권 대회 | 프랑스 | ||
1960 | 제3회 세계 선수권 대회 | 브라질 | ||
1968# | 제19회 올림픽 | 멕시코 | ||
1970# | 제6회 세계 선수권 대회 | 불가리아 | ||
1972# | 제20회 올림픽 | 서독 | ||
1973# | 제1회 월드컵 | 우루과이 | ||
1980 | 제22회 올림픽 | 소련 | ||
1988 | 제24회 올림픽 | 대한민국 | ||
1990 | 제11회 세계 선수권 대회 | 중국 |
# – 1960년대 후반 - 1970년대 초반 4개의 주요 타이틀(여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 월드컵, 올림픽)
2. 2. 러시아
1992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하여[6]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이 발족했다. 1990년대는 쿠바와 양강 시대를 이루었다. 하지만 1997년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을 제외하면 세계 3대 대회는 모두 쿠바가 제패했고, 2000년 시드니 올림픽 결승에서는 2세트 연속 획득 후 역전패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21세기에 들어서 2001년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모두 중국에 패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니콜라이 카르폴리 감독이 물러나고, 이탈리아인 감독 아래에서 베이징 올림픽을 향한 강화를 추진했다. 데이터 배구를 도입하여 2006년 일본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다시 세계 정상에 올랐다.
2007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3위로 마감하며 월드컵 2007 출전을 놓쳤다. 게다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도 5위로 마감하며 올림픽에서 12년 만에 메달 획득에 실패했지만, 2010년 다시 일본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2연속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예선 A조를 1위로 통과했지만, 8강에서 브라질에 풀 세트 패배를 당하며[7], 2회 연속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2013년, FIVB 월드 그랑프리에서는 7위였지만, 같은 해 9월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12년 만에 우승을 차지했다. 그랜드 챔피언스컵에도 출전했지만, 주력 선수 부재로 4위에 머물렀다.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부터 현재까지 세계 여자 배구계를 이끌어 온 강팀 중 하나로, 주요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3. 주요 대회 성적
대회 СССР|소련ru (1923-1991) Unified Team|통합 선수단영어 (1992) Россия|러시아ru (1993-) 총계 올림픽 금메달 4회
(1968, 1972, 1980, 1988)은메달 1회
(1992)은메달 2회
(2000, 2004)금메달 4회, 은메달 3회 세계선수권 금메달 5회
(1952, 1956, 1960, 1970, 1990)금메달 2회
(2006, 2010)금메달 7회 월드컵 금메달 1회
(1973)은메달 1회
(1999)
동메달 1회
(2019)금메달 1회, 은메달 1회, 동메달 1회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금메달 1회
(1997)
은메달 1회
(2001)
동메달 1회
(1993)금메달 1회, 은메달 1회, 동메달 1회 월드 그랑프리 금메달 3회
(1997, 1999, 2002)
은메달 6회
(1998, 2000, 2003, 2006, 2009, 2015)
동메달 4회
(1993, 1996, 2001, 2014)금메달 3회, 은메달 6회, 동메달 4회 네이션스 리그 유럽 선수권 금메달 13회
(1949, 1950, 1951, 1958, 1963, 1967, 1971, 1975, 1977, 1979, 1985, 1989, 1991)금메달 6회
(1993, 1997, 1999, 2001, 2013, 2015)금메달 19회
3. 1. 올림픽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올림픽에서 소련 시절 금메달 4회 (1968, 1972, 1980, 1988), 은메달 2회 (1964, 1976)를 획득했다. 소련 붕괴 이후 1992년에는 통합 선수단 소속으로 은메달을 획득했고, 러시아 시절에는 은메달 2회 (2000, 2004)를 추가했다. 2008년, 2012년, 2016년 올림픽에서는 모두 5위를 기록했다.
3. 2. 세계선수권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소련 시절과 러시아 시절을 합쳐 총 7번 우승하였다. 소련 시절에는 1952년, 1956년, 1960년, 1970년, 1990년에 우승하여 5회 우승을 달성했고, 1962년과 1974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러시아 시절에는 2006년과 2010년에 우승하여 2회 우승을 기록했다.
2022년 대회에서는 국제배구연맹(FIVB)의 출전 금지 조치로 인해 참가하지 못했다.
연도 | 대회 | 결과 | 비고 |
---|---|---|---|
1952 | 제1회 세계 선수권 대회 | -- 금메달 | 소련 |
1956 | 제2회 세계 선수권 대회 | -- 금메달 | 소련 |
1960 | 제3회 세계 선수권 대회 | -- 금메달 | 소련 |
1962 | 제4회 세계 선수권 대회 | ]]|]] 은메달 || 소련 | |
1970 | 제6회 세계 선수권 대회 | -- 금메달 | 소련 |
1974 | 제7회 세계 선수권 대회 | -- 은메달 | 소련 |
1978 | 제8회 세계 선수권 대회 | 소련 | |
1982 | 제9회 세계 선수권 대회 | 6위 | 소련 |
1986 | 제10회 세계 선수권 대회 | 6위 | 소련 |
1990 | 제11회 세계 선수권 대회 | -- 금메달 | 소련 |
1994 | 제12회 세계 선수권 대회 | -- 동메달 | 러시아 |
1998 | 제13회 세계 선수권 대회 | -- 동메달 | 러시아 |
2002 | 제14회 세계 선수권 대회 | -- 동메달 | 러시아 |
2006 | 제15회 세계 선수권 대회 | -- 금메달 | 러시아 |
2010 | 제16회 세계 선수권 대회 | -- 금메달 | 러시아 |
2014 | 제17회 세계 선수권 대회 | 5위 | 러시아 |
2018 | 제18회 세계 선수권 대회 | 8위 | 러시아 |
2022 | 제19회 세계 선수권 대회 | FIVB 출전 금지 | 러시아 |
3. 3. 월드컵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 1973년 대회에서 -- '''금메달'''을 획득하며 우승을 차지했고, 1989년 대회에서는 -- 은메달을 획득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 대표팀으로 출전한 월드컵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 | 순위 | 비고 |
---|---|---|---|
1999 | -- 은메달 | 준우승 | |
2015 | 4위 | ||
2019 | -- 동메달 |
3. 4.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1993년 – -- 동메달1997년 – -- '''금메달'''
2001년 – -- 은메달
2013년 – 4위
2017년 – 4위
3. 5. 월드 그랑프리
러시아는 1993년부터 2017년까지 월드 그랑프리에 참가하여 금메달 3개, 은메달 6개, 동메달 4개를 획득하였다.연도 | 대회 | 결과 |
---|---|---|
1993 | 월드 그랑프리 | -- 동메달 |
1994 | 월드 그랑프리 | 7위 |
1995 | 월드 그랑프리 | 6위 |
1996 | 월드 그랑프리 | -- 동메달 |
1997 | 월드 그랑프리 | -- 금메달 |
1998 | 월드 그랑프리 | -- 은메달 |
1999 | 월드 그랑프리 | -- 금메달 |
2000 | 월드 그랑프리 | -- 은메달 |
2001 | 월드 그랑프리 | -- 동메달 |
2002 | 월드 그랑프리 | -- 금메달 |
2003 | 월드 그랑프리 | -- 은메달 |
2004 | 월드 그랑프리 | 7위 |
2006 | 월드 그랑프리 | -- 은메달 |
2007 | 월드 그랑프리 | 4위 |
2009 | 월드 그랑프리 | -- 은메달 |
2011 | 월드 그랑프리 | 4위 |
2013 | 월드 그랑프리 | 7위 |
2014 | 월드 그랑프리 | -- 동메달 |
2015 | 월드 그랑프리 | -- 은메달 |
2016 | 월드 그랑프리 | 4위 |
2017 | 월드 그랑프리 | 9위 |
3. 6. 네이션스 리그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네이션스 리그에서 2021년에 8위를 차지하여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2022년부터는 국제배구연맹(FIVB)에 의해 출전이 금지되어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고 있다.연도 | 순위 | 비고 |
---|---|---|
2018 | 7위 | |
2019 | 14위 | |
2021 | 8위 | |
2022 | 출전 금지 | FIVB에 의해 출전 금지 |
2023 | 출전 금지 | FIVB에 의해 출전 금지 |
2024 | 출전 금지 | FIVB에 의해 출전 금지 |
2025 | 출전 금지 | FIVB에 의해 출전 금지 |
3. 7. 유럽 선수권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소련 시절과 러시아 시절을 통틀어 매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소련 시절소련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총 13번 우승과 4번의 준우승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실력을 보여주었다.
연도 | 성적 |
---|---|
1949 | -- 금메달 |
1950 | -- 금메달 |
1951 | -- 금메달 |
1955 | -- 은메달 |
1958 | -- 금메달 |
1963 | -- 금메달 |
1967 | -- 금메달 |
1971 | -- 금메달 |
1975 | -- 금메달 |
1977 | -- 금메달 |
1979 | -- 금메달 |
1981 | -- 은메달 |
1983 | -- 은메달 |
1985 | -- 금메달 |
1987 | -- 은메달 |
1989 | -- 금메달 |
1991 | -- 금메달 |
러시아 시절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소련 해체 이후에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6번 우승과 3번의 동메달을 획득하며 강팀의 면모를 이어갔다.
연도 | 성적 |
---|---|
1993 | -- 금메달 |
1995 | -- 동메달 |
1997 | -- 금메달 |
1999 | -- 금메달 |
2001 | -- 금메달 |
2003 | 5위 |
2005 | -- 동메달 |
2007 | -- 동메달 |
2009 | 6위 |
2011 | 6위 |
2013 | -- 금메달 |
2015 | -- 금메달 |
2017 | 6위 |
2019 | 7위 |
2021 | 6위 |
4. 선수 명단
2019년 국제 배구 연맹(FIVB) 여자 배구 월드컵에 출전한 러시아 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4] 감독은 세르지오 부사토이다.
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신장 | 체중 | 스파이크 | 블로킹 | 2019년 소속 클럽 |
---|---|---|---|---|---|---|---|
1 | 안젤리나 라자렌코 | 1998년 4월 23일 | 1.93m | 80kg | 320cm | 305cm | 볼레로 르 칸네 |
3 | 예카테리나 예피모바 | 1993년 7월 3일 | 1.93m | 70kg | 305cm | 295cm | 디나모 모스크바 |
4 | 다리야 치크리조바 | 1990년 6월 9일 | 1.77m | 69kg | 185cm | 180cm | 디나모-메타르 첼랴빈스크 |
6 | 이리나 자랴슈코 | 1991년 10월 4일 | 1.96m | 78kg | 305cm | 290cm | 디나모 카잔 |
7 | 타티아나 로마노바 | 1994년 9월 9일 | 1.78m | 64kg | 292cm | 285cm | 우랄로치카-NTMK |
8 | 나탈리야 곤차로바 | 1989년 6월 1일 | 1.96m | 75kg | 315cm | 306cm | 디나모 모스크바 |
9 | 알라 갈키나 | 1992년 4월 15일 | 1.78m | 65kg | 295cm | 290cm | 로코모티프 칼리닌그라드 |
11 | 마르가리타 쿠릴로 | 1993년 6월 21일 | 1.85m | 73kg | 304cm | 290cm |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
13 | 예브게니야 스타르체바 (주장) | 1989년 2월 12일 | 1.86m | 68kg | 294cm | 290cm | 디나모 카잔 |
16 | 이리나 보론코바 | 1995년 10월 20일 | 1.94m | 84kg | 305cm | 290cm | 로코모티프 칼리닌그라드 |
18 | 크세니야 파루베츠 | 1994년 10월 31일 | 1.83m | 64kg | 300cm | 286cm | 우랄로치카-NTMK |
19 | 마리야 할레츠카야 | 1994년 7월 31일 | 1.95m | 80kg | 311cm | 302cm | 디나모 크라스노다르 |
25 | 율리야 브로브키나 | 2001년 5월 31일 | 1.96m | 70kg | 305cm | 297cm | 로코모티프 칼리닌그라드 |
26 | 안나 라자레바 | 1997년 1월 31일 | 1.9m | 67kg | 315cm | 300cm | 디나모 모스크바 |
2018년 FIVB 배구 네이션스 리그에 등록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8][9] 감독은 바딤 판코프였다.
번호 | 선수명 | 신장 | 소속 | 포지션 | 비고 |
---|---|---|---|---|---|
1 | 안젤리나 라자렌코 | 1.93m | 볼레로 취리히 | MB | |
2 | 다리야 타리쉐바 | 1.82m | 디나모 모스크바 | L | |
3 | 예카테리나 에피모바 | 1.92m |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 MB | |
4 | 다리야 말리히나 | 2.02m | 디나모 카잔 | OP | |
5 | 율리야 쿠튜코바 | 1.83m | 레닌그라드카 상트페테르부르크 | WS | |
7 | 타티아나 로마노바 | 1.78m | 우랄로치카 예카테린부르크 | S | |
9 | 알라 갈키나 | 1.78m | Proton - Saratov Reg. | L | |
10 | 엘레나 노비크 | 1.8m | 사할린 | S | |
11 | 예카테리나 류부쉬키나 | 1.88m | 디나모 모스크바 | MB | |
12 | 다리야 르이세바 | 1.75m | 자레치예 오딘초보 | S | |
14 | 이리나 페티소바 | 1.9m | 디나모 모스크바 | MB | |
15 | 빅토리아 고르바체바 | 1.74m | 레닌그라드카 상트페테르부르크 | L | |
16 | 이리나 보론코바 | 1.9m | 디나모 카잔 | WS | |
17 | 나탈리아 말리흐 | 1.87m | 디나모 크라스노다르 | OP | |
18 | 크세니야 파루베츠 | 1.83m | 우랄로치카 예카테린부르크 | WS | -- |
19 | 올가 비류코바 | 1.93m | 베식타스 이스탄불 | WS | |
20 | 아나스타시야 슐랴호바야 | 1.92m | 디나모 카잔 | MB | |
21 | 안나 코치코바 | 1.85m | 디나모 카잔 | OP | |
22 | 타티아나 유린스카야 | 1.95m | 자레치예 오딘초보 | WS | |
24 | 크리스티나 쿠르노소바 | 1.76m | 디나모 모스크바 | L | |
25 | 율리야 브로프키나 | 1.9m | 디나모 모스크바 | MB |
4. 1. 역대 주요 선수
선수 | 비고 |
---|---|
인나 리스칼 | ★ |
니나 스몰레예바 | ★ |
류드밀라 부르다코바 | ★ |
로자 사리호바 | ★ |
이리나 키릴로바 | ★ |
알렉산드라 콜코베츠 | |
알렉산드라 추지나 | |
알렉산드라 파신코바 | |
아리나 페도로프체바 | |
안나 마티엔코 | |
이리나 스미르노바 | |
이리나 테베니히나 | |
예카테리나 가모바 | |
예카테리나 코시야넨코 | |
예카테리나 올로바 | |
예카테리나 예니나 | |
예브게니야 에스테스 | |
예브게니야 스타르체바 | |
엘리자베타 티셴코 | |
엘레나 고르디나 | |
엘레나 튜리나 | |
엘레나 바실레프스카야 | |
엘레나 프로트니코바 | |
올가 지토바 | |
올가 추카노바 | |
올가 니콜라예바 | |
올가 부크레예바 | |
올가 포타쇼바 | |
스베틀라나 크류치코바 | |
타티아나 그라체바 | |
타티아나 코셸레바 | |
타티아나 고르슈코바 | |
다리야 필리펜코 | |
나탈리아 알리모바 | |
나탈리아 곤차로바 | |
나탈리아 디안스카야 | |
나탈리야 크리코바 | |
나탈리야 모로조바 | |
나탈리야 사프로노바 | |
빅토리아 쿠자키나 | |
빅토리아 차프리나 | |
마리아 브룬체바 | |
마리아 페레페르키나 | |
마리아 보로다코바 | |
마리나 아클로바 | |
마리나 셰셰니나 | |
율리아 모로조바 | |
율리아 메르클로바 | |
류보프 샤치코바 | |
레지나 모로즈 | |
율리아 포도스칼나야 | |
야나 시체르반 | |
이리나 자리야주코 | |
이리나 필리시친스카야 | |
예카테리나 트레차코바 |
'''참고:''' ★ 표시는 배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선수
4. 2. 2019년 FIVB 월드컵 대표팀 명단
다음은 2019년 국제 배구 연맹 여자 배구 월드컵에 출전한 러시아 대표팀 명단이다.[4]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신장 | 체중 | 스파이크 | 블로킹 | 2019년 소속 클럽 |
---|---|---|---|---|---|---|---|
1 | 안젤리나 라자렌코 | 1998년 4월 23일 | 1.93m | 80kg | 320cm | 305cm | 볼레로 르 칸네 |
3 | 예카테리나 예피모바 | 1993년 7월 3일 | 1.93m | 70kg | 305cm | 295cm | 디나모 모스크바 |
4 | 다리야 치크리조바 | 1990년 6월 9일 | 1.77m | 69kg | 185cm | 180cm | 디나모-메타르 첼랴빈스크 |
6 | 이리나 자랴슈코 | 1991년 10월 4일 | 1.96m | 78kg | 305cm | 290cm | 디나모 카잔 |
7 | 타티아나 로마노바 | 1994년 9월 9일 | 1.78m | 64kg | 292cm | 285cm | 우랄로치카-NTMK |
8 | 나탈리야 곤차로바 | 1989년 6월 1일 | 1.96m | 75kg | 315cm | 306cm | 디나모 모스크바 |
9 | 알라 갈키나 | 1992년 4월 15일 | 1.78m | 65kg | 295cm | 290cm | 로코모티프 칼리닌그라드 |
11 | 마르가리타 쿠릴로 | 1993년 6월 21일 | 1.85m | 73kg | 304cm | 290cm |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
13 | 예브게니야 스타르체바 (주장) | 1989년 2월 12일 | 1.86m | 68kg | 294cm | 290cm | 디나모 카잔 |
16 | 이리나 보론코바 | 1995년 10월 20일 | 1.94m | 84kg | 305cm | 290cm | 로코모티프 칼리닌그라드 |
18 | 크세니야 파루베츠 | 1994년 10월 31일 | 1.83m | 64kg | 300cm | 286cm | 우랄로치카-NTMK |
19 | 마리야 할레츠카야 | 1994년 7월 31일 | 1.95m | 80kg | 311cm | 302cm | 디나모 크라스노다르 |
25 | 율리야 브로브키나 | 2001년 5월 31일 | 1.96m | 70kg | 305cm | 297cm | 로코모티프 칼리닌그라드 |
26 | 안나 라자레바 | 1997년 1월 31일 | 1.9m | 67kg | 315cm | 300cm | 디나모 모스크바 |
감독: 세르지오 부사토 |
5. 감독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역대 감독은 다음과 같다.
- 알렉산드르 아니킨 (1949년 ~ 1950년)
- 발렌티나 오스콜코바 (1951년 ~ 1952년)
- 알렉세이 야쿠셰프 (1955년 ~ 1962년)
- 올레크 체호프 (1963년 ~ 1964년)
- 기비 아흐블레디아니 (1966년 ~ 1976년)
- 빅토르 튜린 (1977년 ~ 1978년)
- 니콜라이 카르폴리 (1979년 ~ 1982년, 1988년 ~ 2004년)
- 블라디미르 파트킨 (1983년 ~ 1987년)
- 조반니 카프라라 (2005년 ~ 2008년)
- 바딤 판코프 (2008년, 2018년 ~ 2019년)
- 블라디미르 쿠즈유트킨 (2009년 ~ 2011년, 2012년, 2017년)
- 세르게이 오브친니코프 (2011년 ~ 2012년)
- 유리 말리체프 (2013년[10] ~ 2017년)
- 콘스탄틴 우샤코프 (2017년)
- 세르지오 부사토 (2019년 ~ 2022년)
- 조란 테르지치 (2022년 ~ )
5. 1. 역대 감독
참조
[1]
웹사이트
These are the sports that Russia has been suspended from
https://www.cnn.com/[...]
[2]
웹사이트
A glance at reaction of sports to Russian invasion
https://apnews.com/a[...]
2022-03-03
[3]
웹사이트
European Volleyball Federation bans Russian, Belarusian teams, officials from European competition
https://www.aa.com.t[...]
[4]
웹사이트
Team Roster – Russia
http://worldcup.2019[...]
FIVB
2019-09-29
[5]
웹사이트
FIVB Senior World Ranking - Women
https://www.fivb.org[...]
2017-08-22
[6]
웹사이트
Confédération Européenne de Volleyball (CEV)
http://www.fivb.org/[...]
FIVB
2010-08-05
[7]
웹사이트
Women's Volleyball - Quarterfinal 1
http://www.london201[...]
2012-08-16
[8]
문서
TEAM ROSTER
http://www.volleybal[...]
[9]
간행물
FIVBバレーボールネーションズリーグ2018 女子豊田大会 オフィシャルプログラム
[10]
뉴스
Yuriy Marichev appointed coach of Russian women's team
http://www.volleycou[...]
VolleyCountry
2013-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