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의 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드의 꿈은 픽사의 두 번째 단편 영화로, 1987년 SIGGRAPH 컨벤션에서 공개되었다. 에드 캣멀의 지시 하에 픽사 이미지 컴퓨터와 렌더링 소프트웨어 Chapreyes를 활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존 라세터, 윌리엄 리브스, 에번 오스트비의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개발되었다. 이 영화는 자전거 가게를 배경으로, 외발자전거가 서커스 광대와 함께 공연하는 꿈을 꾸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기술적인 도전과 픽사 직원들의 노력을 통해 완성되었다. 월트 디즈니의 애니메이터 프랭크 토마스는 이 영화를 보고 라세터에게 찬사를 보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7년 애니메이션 영화 - 터치 (만화)
아다치 미츠루의 야구 만화 《터치》는 고교 야구와 청춘의 연애를 중심으로 형제의 야구 꿈과 삼각관계를 그리며,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되어 큰 인기를 얻고 사회적 현상으로까지 이어진 작품이다. - 1987년 애니메이션 영화 - 왕립우주군: 오네아미스의 날개
왕립우주군: 오네아미스의 날개는 가이낙스에서 제작한 1987년 애니메이션 영화로, 지구와 유사한 행성을 배경으로 왕립우주군에 입대한 시로츠구 라닷트가 유인 우주 비행 계획에 참여하며 벌어지는 정치적 암투와 내면적 성장을 그린다. - 픽사 단편 영화 - 파티 센트럴
2013년 픽사에서 제작된 단편 영화 파티 센트럴은 《몬스터 대학교》 사건 직후 마이크 와조스키와 설리가 우즈마 카파의 첫 파티를 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2014년 영화 《머펫 모스트 원티드》와 함께 상영되었고 켈시 만이 감독을, 빌리 크리스탈과 존 굿맨 등이 성우를 맡았다. - 픽사 단편 영화 - 라일리의 첫번째 데이트?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단편 영화 《라일리의 첫 번째 데이트?》는 《인사이드 아웃》의 후속작으로, 12살 라일리의 스케이트 데이트와 라일리 부모의 반응, 남자친구 조던의 미숙한 감정, 그리고 AC/DC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는 라일리 아빠의 이야기가 코믹하게 그려진다. - 꿈을 소재로 한 영화 - 타이밍 (영화)
타이밍은 시간을 조종하는 초능력자들이 등장하여 복잡하게 얽힌 시간 속 사건들을 다루는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로, 2015년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에서 장편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 꿈을 소재로 한 영화 - 리스트커터스 - 러브 스토리
리스트커터스 - 러브 스토리는 자살한 지아가 전 여자친구를 찾아 여행하며 기적, 컬트 등을 경험하는 내용을 담은 영화이다.
레드의 꿈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레드의 꿈 |
원제 | Red's Dream |
감독 | 존 라세터 |
제작사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배급사 | 다이렉트 시네마 리미티드 |
음악 | 데이비드 슬러서 |
촬영 | 돈 콘웨이 |
편집 | 크레이그 굿 |
개봉일 | 1987년 7월 10일 (SIGGRAPH) 2004년 4월 2일 (영화 Home on the Range와 함께) |
상영 시간 | 4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이전 작품 | 룩소 Jr. |
다음 작품 | 틴 토이 |
2. 제작
《레드의 꿈》은 픽사가 제작한 두 번째 단편 영화로, 《룩소 주니어》의 성공 이후 제작되었다. 1987년 SIGGRAPH에서 발표될 예정이었던 이 영화는 에드 캣멀의 주도로 픽사 이미지 컴퓨터와 렌더링 소프트웨어 Chapreyes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기획되었다.[1]
존 라세터는 서커스 광대와 외발자전거 이야기를 구상했고, 윌리엄 리브스와 에번 오스트비는 각자의 아이디어를 더했다. 자전거 애호가였던 오스트비는 자전거 가게 배경을, 리브스는 비 오는 도시 설정을 구상하여 이들의 아이디어가 결합, 어둡고 우울한 분위기를 띄게 되었다.[1][2] 라세터는 영화에 더 많은 연민을 담고자 했으며, 이러한 정서적 동기 때문에 개발 과정을 픽사의 "청색 시대"라고 농담 삼아 언급했다.[1][3]
제작 당시 픽사는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라세터를 중심으로 한 애니메이션 그룹과 여러 기술 감독들은 복도에서 작업해야 했다. 라세터는 제작 막바지에 며칠 동안 복도에서 먹고 자며 작업, 12.5초 분량의 시퀀스를 애니메이션화하는 데 5일을 보내기도 했다.[4][5]
완성된 영화는 월트 디즈니의 애니메이터 프랭크 토마스와 올리 존스턴에게 공개되었고, 영화를 본 토마스는 라세터에게 "존, 해냈어."라며 극찬했다.[5]
2. 1. 기술적 도전
픽사는 《레드의 꿈》을 통해 픽사 이미지 컴퓨터(Pixar Image Computer)와 렌더링 소프트웨어 Chapreyes를 활용한 기술적 실험을 진행했다. 시작과 끝의 자전거 가게 장면은 매우 복잡한 이미지를 렌더링하는 기술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바퀴살이 있는 자전거와 가게 설비의 복잡성 때문에, 장면의 일반적인 애니메이션 프레임은 1만 개 이상의 기하학적 기본 요소를 포함했고, 이는 다시 3천만 개 이상의 다각형으로 구성되었다.[4] 반면 꿈 시퀀스는 픽사 이미지 컴퓨터의 렌더링 능력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엔지니어 앤서니 아포다카(Anthony Apodaca)는 픽사의 렌더링 소프트웨어를 PIC에서 실행하도록 변환했지만, 기계 설계상 프로세서에 Chapreyes만큼 복잡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메모리가 없었다. 따라서 아포다카는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기능의 일부만 변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제약 때문에 꿈 시퀀스는 영화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조잡해 보였고, 《레드의 꿈》은 PIC를 사용하여 제작된 유일한 픽사 영화였다.[4]영화 제작자들이 '럼피'라는 별명을 붙인 광대는 픽사의 첫 인간 캐릭터 중 하나였다. 럼피에게 "유기적인" 얼굴 구조를 부여하기 위해 캐릭터는 먼저 모델로 조각한 다음 디지털 변환기를 사용하여 컴퓨터로 스캔했다. 저글링 장면은 외발자전거의 경로를 애니메이션화한 다음 공을 설정에 넣고, 2차 계획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공의 이동 경로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만들었다. PIC는 어떠한 모션 블러도 수행할 수 없었기 때문에, 존 라세터는 대신 QP에 의해 계산된 스쿼시 앤 스트레치를 사용하여 공이 튀는 것을 설득력 있게 애니메이션화했다.[1]
2. 2. 제작 비화
에드 캣멀은 픽사 직원들이 픽사 이미지 컴퓨터와 렌더링 소프트웨어인 Chapreyes를 활용한 영화를 만들기를 원했다. 존 라세터는 서커스 광대가 자신의 외발자전거에게 무시당하는 이야기를 개발하기 시작했고, 윌리엄 리브스와 에번 오스트비는 동시에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작업했다. 오스트비는 자전거를 애니메이션화하고 싶어했고, 리브스는 비가 오는 도시 설정을 만들고 있었다. 결국 세 사람은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레드의 꿈''을 개발하게 되었다.[1] 자전거 가게를 배경으로 하는 아이디어는 자전거 애호가이자 픽사의 그래픽 프로그래머인 오스트비로부터 영감을 받았다.[4] 라세터, 리브스, 오스트비는 비가 오는 도시 설정을 통해 영화에 "어둡고 우울한" 분위기를 부여하고 싶어했다.[2] 라세터는 더 많은 "연민"을 담고 싶다고 말했고, 단편 영화의 정서적 동기 때문에 이 영화의 개발을 픽사의 "청색 시대"라고 농담으로 언급했다.[1][3]영화 제작에는 두 가지 기술적 목표가 있었다. 첫째, 자전거 가게 장면은 매우 복잡한 이미지를 렌더링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둘째, 꿈 시퀀스는 픽사 이미지 컴퓨터의 렌더링 능력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4] 앤서니 아포다카는 픽사의 렌더링 소프트웨어를 PIC에서 실행하도록 변환했지만, 기계 설계상 프로세서에 충분한 메모리가 없어서 아포다카는 기능의 일부만 변환해야 했다. 이러한 제약으로 인해 꿈 시퀀스는 영화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조잡해 보였고, ''레드의 꿈''은 PIC를 사용하여 제작된 유일한 픽사 영화였다.[4]
광대 "럼피"는 픽사의 첫 인간 캐릭터 중 하나였다. "유기적인" 얼굴 구조를 주기 위해 캐릭터는 먼저 모델로 조각한 다음 디지털 변환기를 사용하여 컴퓨터로 스캔했다. 저글링 장면은 외발자전거의 경로를 애니메이션화한 다음 공을 설정에 넣고, 2차 계획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공의 이동 경로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만들었다. PIC는 모션 블러를 수행할 수 없었기 때문에, 라세터는 대신 QP에 의해 계산된 스쿼시 앤 스트레치를 사용하여 공이 튀는 것을 설득력 있게 애니메이션화했다.[1]
''레드의 꿈'' 개발 당시 픽사의 마린 카운티 방갈로는 공간이 좁았다. 제작 중에는 모델과 셰이더 등을 제작하는 여러 "기술 감독"과 함께 라세터가 이끄는 애니메이션 그룹이 복도에서 작업했다. 제작이 끝날 무렵, 라세터는 며칠 동안 복도에서 일하고 잤다.[4]
''레드의 꿈''이 완성된 직후, 월트 디즈니의 전설적인 애니메이터 프랭크 토마스와 올리 존스턴이 픽사를 방문하여 시사회를 관람했다. 영화를 본 후 토마스는 라세터의 손을 잡고 "존, 해냈어."라고 말했다.[5]
3. 줄거리
이름 없는 도시의 비 오는 밤, '에벤스 바이크' 자전거 가게의 할인 코너에 놓인 빨간 외발자전거 레드는 서커스 공연의 주인공이 되는 꿈을 꾼다. 꿈속에서 레드는 서커스 광대 럼피와 함께 공연한다. 럼피는 무대에서 별다른 호응을 얻지 못하고 세 개의 공으로 저글링을 하지만, 계속해서 실수한다. 오히려 레드가 굴러 나와 공을 잡으며 관객의 호응을 얻는다. 럼피가 실수로 공 하나를 링 밖으로 날려 버리자, 레드는 그 공을 가지러 간다. 럼피는 외발자전거가 없어진 것을 깨닫고 넘어지며 꿈에서 사라진다. 레드는 나머지 두 개의 공으로 저글링을 하며 박수갈채를 받는다.[1]
꿈은 끝나고, 레드는 자신이 여전히 자전거 가게에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우울해진 레드는 구석으로 돌아가 다시 움직이지 않게 되고, 자신의 운명을 기다린다.[1]
4. 등장인물
5. 기타
참조
[1]
AV미디어
Red's Dream [audio commentary]
Walt Disney Home Entertainment
2007-11-06
[2]
AV미디어
The Pixar Shorts: A Short History
Walt Disney Home Entertainment
2007-11-06
[3]
잡지
John Lasseter on Pixar's early days -- and how 'Toy Story' couldn't have happened without Tim Burton
https://ew.com/artic[...]
[4]
서적
Price, p. 102
[5]
서적
Price, p. 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