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즈기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즈기어는 약 80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로, 주로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 아제르바이잔 북동부 지역에 분포한다. 레즈기어는 레즈기어파에 속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음운론적으로 모음과 54개의 자음 체계를 가지며, 역사적으로 아랍 문자, 라틴 문자, 키릴 문자를 사용해 표기되었다. 문법적으로는 18개의 격이 존재하며, 명사 어미 변화가 특징이다. 어휘는 20진법을 기반으로 하는 독특한 수사 체계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르크메니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언어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키르기스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키르기스스탄의 언어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 우즈베키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우즈베키스탄의 언어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레즈기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레즈기어
고유 이름레зги чӏал (레즈기 찰)
발음lezɡi tʃʼal
사용 국가북캅카스
사용 지역다게스탄 공화국아제르바이잔
사용자630,000명 (2020년)
언어 계통북동캅카스어족 - 레즈기어파 - 사무르어군 - 동사무르어 - 레즈기-아굴-타바사란어
북캅카스 지역의 레즈기어 분포
북캅카스 지역의 레즈기어 분포 (L로 표시된 작은 영역)
레즈기어는 UNESCO에 의해 취약한 언어로 분류됨
레즈기어는 UNESCO 세계 멸종 위기 언어 아틀라스에 의해 취약한 언어로 분류됨
ISO 639-2lez
ISO 639-3lez
Glottologlezg1247
Glottolog 이름레즈긴어
문자키릴 문자, 라틴 문자 (역사적으로)
상태
공용어다게스탄 공화국

2. 분포

레즈기어 화자는 주로 러시아 연방 다게스탄 남부에 39만 7,000명이 거주한다. 레즈기어는 다게스탄 공화국에서 러시아어와 더불어 13개 민족간 공용어 중 하나이다. 아제르바이잔 북동부의 구사르 구, 구바 구, 게벨레 구, 오구스 구, 이스마이을르 구, 하치마스 구에 17만 1,400명의 화자가 거주한다. 레즈기어 화자 중 일부는 조지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터키, 투르크메니스탄,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에도 거주한다.

2002년 기준으로 레즈기어는 러시아, 주로 남 다게스탄에서 약 39만 7천 명이 사용했다. 1999년에는 아제르바이잔 북동부의 구사르 구, 꾸바 구, 까발라 구, 오구스 구, 이스마일리 구, 하치마스 구에서 주로 17만 8천 4백 명이 사용했다. 레즈기어는 또한 아제르바이잔과 다게스탄 출신 이민자들에 의해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튀르키예, 투르크메니스탄, 우크라이나, 독일, 우즈베키스탄에서도 사용된다.

튀르키예에서는 발리케시르, 얄로바, 이즈미르, 부르사 지역, 특히 이스탄불 남서쪽의 발리케시르 주 서해안에 접한 키르네(오르타차) 마을에서 일부 화자가 거주한다.

레즈기어 화자의 총 수는 약 80만 명으로 추산된다.[5]

3. 분류와 방언

레즈기어는 타바사란어, 루툴어, 아굴어, 차후르어, 부두흐어, 크리츠어, 우디어, 아르치어와 함께 레즈기어파라는 언어군을 이룬다. 이 언어들의 이름은 각각 사용 민족의 이름과 일치한다.

레즈기어의 하위 방언 중에는 표준어와 크게 다른 것들이 있는데, 특히 아제르바이잔 측에서 쓰이는 구바 방언과 아흐티 방언이 그러하다.[5]

4. 음운론

레즈기어의 음운 체계는 54개의 자음과 6개의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즈기어의 모음[10]
rowspan="2"|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비원순 모음원순 모음
고모음i (и)y (уь)u (у)
중모음e (е; э)
저모음æ (я)a (а)


  • /a/는 [ɑ]와 [ʌ] 두 가지 주요 동소가 있다. 전자는 폐음절(특히 구개수음과 /r/ 직전)에, 후자는 개음절에 주로 나타난다.[10]
  • /a/는 순음 뒤에서 원순화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순음이 순음성을 잃기도 한다.[10]
  • /e/는 강세가 있는 음절에서 더 넓은 [ɛ]로 발음된다.[10]
  • '모음 + /n/' 조합 뒤에 모음이 이어지지 않으면 /n/이 탈락하고 직전 모음이 비음화될 수 있다. (예: /zun/('나, 우리') → [zũ])[10]
  • 러시아어 차용어에는 o[o], ы[ɨ]도 나타날 수 있다.[10]


레즈긴어 자음[6]
colspan="2" rowspan="2" |양순음치경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무기음순모음화무기음순모음화무기음순모음화무기음순모음화
비음м|엠lezн|엔lez
파열음유성음б|베lezд|데lezг|게lezгв|게베lez
무성음п|페lezт|테lezтв|테베lezк|케lezкв|케베lezкъ|큐lezкъв|큐베lezъ|으lez
기음п|페lezт|테lezтв|테베lezк|케lezкв|케베lezхъ|흐lezхъв|흐베lez
격음пl|플lezтl|틀lezтӏв|트브lezкl|클lezкlв|클베lezкь|키lezкьв|키베lez
파찰음유성음дз|드즈lezдж|드쥐lez
무성음ц|체lezцв|체베lezч|체lez
기음ц|체lezцв|체베lezч|체lez
격음цl|츨lezцlв|츨베lezчl|츨lez
마찰음유성음в|뵈lezз|제lezзв|제베lezж|쥐lezгъ|게lezгъв|게베lez
무성음ф|에프lezс|에스lezсв|에스베lezш|샤lezхь|히lezхьв|히베lezх|하lezхв|하베lezгь|헤lez
유음л|엘lezй|이lezв|뵈lez
전동음р|에르lez


4. 1. 모음

레즈기어의 모음[10]
rowspan="2"|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
비원순모음원순모음
좁은모음i (и)y (уь)u (у)
중모음e (е; э)
넓은모음æ (я)a (а)


  • /a/에는 [ɑ]와 [ʌ] 두 가지 주요 동소가 있다. 전자는 폐음절(특히 구개수음과 /r/ 직전)에, 후자는 개음절에 주로 나타난다.[10]
  • /a/는 순음 뒤에서 원순화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순음이 순음성을 잃기도 한다.[10]
  • /e/는 강세가 있는 음절에서 더 넓은 [ɛ]로 발음된다.[10]
  • '모음 + /n/' 조합 뒤에 모음이 이어지지 않으면 /n/이 탈락하고 직전 모음이 비음화될 수 있다. (예: /zun/('나, 우리') → [zũ])[10]
  • 러시아어 차용어에는 o[o], ы[ɨ]도 나타날 수 있다.[10]

4. 2. 자음

레즈기어에는 54개의 자음이 있다.[6] 철자법에서는 유성 또는 무성의 구분이 표기되지 않지만, 음소적으로는 구분된다. 레즈기어의 자음은 아래 표와 같다.

레즈긴어 자음[6]
colspan="2" rowspan="2" |순음치음치경후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무기음순모음화무기음순모음화무기음순모음화무기음순모음화
비음м|엠lezн|엔lez
파열음유성음б|베lezд|데lezг|게lezгв|게베lez
무성음п|페lezт|테lezтв|테베lezк|케lezкв|케베lezкъ|큐lezкъв|큐베lezъ|으lez
기음п|페lezт|테lezтв|테베lezк|케lezкв|케베lezхъ|흐lezхъв|흐베lez
격음пl|플lezтl|틀lezтӏв|트브lezкl|클lezкlв|클베lezкь|키lezкьв|키베lez
파찰음유성음дз|드즈lezдж|드쥐lez
무성음ц|체lezцв|체베lezч|체lez
기음ц|체lezцв|체베lezч|체lez
격음цl|츨lezцlв|츨베lezчl|츨lez
마찰음유성음в|뵈lezз|제lezзв|제베lezж|쥐lezгъ|게lezгъв|게베lez
무성음ф|에프lezс|에스lezсв|에스베lezш|샤lezхь|히lezхьв|히베lezх|하lezхв|하베lezгь|헤lez
유음л|엘lezй|이lezв|뵈lez
전동음р|에르lez


5. 문자

레즈긴어는 역사적으로 여러 가지 다른 문자 체계로 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자 체계는 아랍 문자(1928년 이전), 라틴 문자(1928년~1938년), 키릴 문자(1938년~현재)의 세 가지 서체를 기반으로 한다.[7]

레즈긴어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게-후음게-성문음
이-단음카-후음카-성문음
카-파열음페-파열음에르
에스테-파열음우-원순에프하-후음
하-성문음체-파열음체-파열음경음 부호이-반모음
연음 부호



라틴 문자는 다음과 같다.

아-움라우트체-연구개음체-파열음체-연구개 파열음
에프게-후음
카-후음오-움라우트
페-파열음카-성문음카-성문 파열음에르에스테-파열음
우-움라우트흐-성문음이-반모음제-연구개음



1871년 키릴 문자


1911년 키릴 문자


19세기부터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해왔다. 또한 오른쪽 그림에 나와 있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 표기법은 표트르 우슬라르에 의해 고안되었다.[11] 1928년에는 소비에트 연방 정부에 의해 라틴 문자를 사용한 표기법이 정해졌고,[12] 1938년에 키릴 문자를 사용한 현행 표기법으로 전환되었다.

6. 문법

레즈긴어는 북동 코카서스어 중에서 문법적 성이 없는 점이 특이하다. 표준 레즈긴어 문법에는 접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18개의 문법적격[8]이 있으며, 그중 12개는 구어에서 여전히 사용된다.

6. 1. 격

레즈기어에는 4가지 기본 문법적 격과 14가지 처소격이 있다.[6]

4가지 기본 격은 다음과 같다.

설명
절대격 (어미 없음, 기본 형태)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 문장의 직접목적어를 표시한다. 명사술어(무엇이 무엇으로 변하는지/되는지)를 표시하고, 호격으로도 사용된다.
능격 (다양한 어미; -ди, -a, -е 등)타동사의 주어와 일부 복합 자동사의 주어를 표시한다.
소유격 (어미 -н)소유를 나타내며, ~의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온다.
여격 (어미 -з)문장의 간접목적어, 즉 행위의 수혜자를 표시한다. 일부 동사(주로 감정에 관한 동사)의 주어를 표시하고, 시간과 방향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14가지 처소격은 다음과 같다.

어미설명
접촉격~에 의하여, ~에게, ~와 함께를 의미하는 일부 동사의 목적어를 표시한다.
이탈격-вай어딘가에서의 이동을 나타낸다. ~할 수 있다라는 동사와 함께 사용되며, 우연한 행위를 나타낼 때도 사용된다.
향방격-вди조작격으로 사용되지만, 때로는 ~ 방향으로, ~ 근처에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후치소유격-хъ~뒤에, ~에, ~쪽으로, ~와 교환하여, ~와 함께를 의미한다. 동사 ава(ava)와 함께 쓰이면 소유를 나타낸다.
후치이탈격-хъай~로부터 또는 두려움이나 수치심의 원인을 의미한다.
후치향방격-хъди~쪽으로를 의미한다. (드물게 사용)
하위격~아래에, ~에 참여하다를 의미한다.
하위이탈격-кай~아래로부터, ~로부터, ~에 대하여, ~와 함께, ~로부터(분주격)를 의미한다. X가 Y로부터 벗어나다라는 구문에서 Y를 표시하고, 문장의 화제(~에 관하여) 또는 감정의 원인을 나타낸다.
하위향방격-кди원인을 나타내며(절대 아래로의 움직임을 나타내지는 않음), ~때문에 또는 ~의(예: 그 남자는 병으로 죽었다)를 의미한다.
내재격-а, -е~에, ~안에, ~동안에를 의미한다.
내재이탈격-ай, -ей~로부터, ~에 대한 보상으로를 의미한다.
상위격~위에를 의미하며, 일부 감정의 원인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상위이탈격-лай~로부터, ~후에, ~보다(비교)를 의미한다.
상위향방격-лди~위로, ~까지, ~안에(형용사가 뒤따를 때), 조작격(예: 언어) 또는 추상 명사와 함께 지시격으로 사용된다.


6. 2. 명사 어미변화

두 가지 종류의 어미 변화가 있다.

단수복수
절대격бубаbubaбубаярbubajar
주격бубадиbubadiбубайриbubajri
소유격бубадинbubadinбубайринbubajrin
여격бубадизbubadizбубайризbubajriz
접속격бубадивbubadivбубайривbubajriv
이탈격бубадивайbubadivajбубайривайbubajrivaj
향방격бубадивдиbubadivdiбубайривдиbubajrivdi
후치소유격бубадихъbubadiqʰбубайрихъbubajriqʰ
후치이탈격бубадихъайbubadiqʰajбубайрихъайbubajriqʰaj
후치향방격бубадихъдиbubadiqʰdiбуабайрихъдиbuabajriqʰdi
내재격бубадикbubadikʰбубайрикbubajrikʰ
내재이탈격бубадикайbubadikʰajбубайрикайbubajrikʰaj
내재향방격бубадик디bubadikʰdiбубай릭디bubajrikʰdi
속격бубадаbubadaбубай라bubajra
속격미포함бубадайbubadajбубайрайbubajraj
상격бубадалbubadalбубайралbubajral
상격미포함бубадалайbubadalajбубай라лайbubajralaj
상향방격бубадал디bubadaldiбубай랄디bubajraldi


7. 어휘

레즈기어의 수사는 프랑스어와 유사하게 20진법을 기반으로 한다. 수를 나타내는 말 뒤에 오는 명사는 항상 단수형이며, 숫자는 명사 앞에 온다. "1"을 뜻하는 "сад"와 "2"를 뜻하는 "кьвед"는 명사 앞에서 어미 "-д"가 생략된다.

20 이상의 수는 "20"을 뜻하는 "къад"에 접미사 "-ни"를 추가하고 ( "къанни") 나머지 수를 뒤에 붙여 만든다. 예를 들어 24는 къанни кьуд("20과 4"), 37은 къанни цӏерид("20과 17")과 같이 표현한다. 40, 60, 80 이상의 수도 비슷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100 이상의 수는 백의 자릿수를 먼저 말하고, 필요한 경우 접미사가 붙은 단어를 말한 다음 나머지 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659는 ругуд вишни яхцӏурни цӏекӏуьд가 된다. 1,000 이상의 수도 같은 방식으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1989는 агьзурни кӏуьд вишни кьудкъанни кӏуьд이다.

7. 1. 수사

레즈기어의 수사는 다음과 같다.

레즈기어발음한국어
удud0 (영)
садsad1 (일)
кьведqʷ’ed2 (이)
пудpud3 (삼)
кьудq’ud4 (사)
вадvad5 (오)
ругудrugud6 (육)
иридirid7 (칠)
муьжуьдmuʒud8 (팔)
кlуьдk’yd9 (구)
цlудts’ud10 (십)
цlусадts’usad11 (십일)
цlикьведts’iqʷ’ed12 (십이)
цlипудts’ipud13 (십삼)
цlикьудts’iq’ud14 (십사)
цlувадts’uvad15 (십오)
цlуругудts’urugud16 (십육)
цlеридts’erid17 (십칠)
цlемуьжуьдts’emyʒud18 (십팔)
цlекlуьдts’ek’yd19 (십구)
къадqad20 (이십)
къадцудqadtsud30 (삼십)
яхцlурjaxts’ur40 (사십)
яхцlурцудjaxtsurtsud50 (오십)
пудкъадpudqad60 (육십)
пудкъадцlудpudqadtsud70 (칠십)
кьудкъадq’udqal80 (팔십)
къудкъадницlудqudqadnitsud90 (구십)
вишviʃ100 (백)
агъзурaɣzur1,000 (천)



수를 나타내는 말 뒤에 오는 명사는 항상 단수형이며, 숫자는 명사 앞에 온다. "Сад"와 "кьвед"는 명사 앞에서는 어미 "-д"가 생략된다.

레즈기어의 숫자 표현은 프랑스어와 유사하게 20진법을 기반으로 한다. 레즈기어로 "20"은 "къад"이며, 그 이상의 수는 접미사 "-ни"를 추가하여 ( "къанни"가 되며, пудкъад와 кьудкъад에서도 같은 변화가 발생한다) 나머지 수를 뒤에 붙여 만든다. 예를 들어, 24는 къанни кьуд("20과 4"), 37은 къанни цӏерид("20과 17")이다. 40이 넘는 수는 유사하게 만들어진다 (яхцӏур은 яхцӏур니가 된다). 60과 80도 마찬가지이다. 100이 넘는 수는 백의 자릿수를 먼저 말하고, 필요한 경우 접미사가 붙은 단어를 말한 다음 나머지 수를 말한다. 따라서 659는 ругуд вишни яхцӏурни цӏекӏуьд가 된다. 1,000도 같은 절차를 따른다. 레즈기어로 1989는 агьзурни кӏуьд вишни кьудкъанни кӏуьд이다.

참조

[1] 웹사이트 Lezgi Language, Alphabet and Pronunciation https://omniglot.com[...] 2021-01-08
[2]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University Press
[3] 서적 Political Organization in Central Asia and Azerbaijan: Sources and Documen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11-23
[4] 웹사이트 UNESCO Interactive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10-02-17
[5] 웹사이트 Enthnologue report for Lezgi http://www.ethnologu[...] Ethnologue.com 2013-12-15
[6] 논문
[7] 서적 Лезгинско-русский словарь
[8] 논문
[9] 웹사이트 Enthnologue report for Lezgi http://www.ethnologu[...]
[10] 논문
[11] 문서 Культура и письменность востока. Книга 2-ая. - Баку., 1928 https://dlib.rsl.ru/[...] 2019-09-20
[12] 웹사이트 http://www.eki.ee/kn[...] 2019-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