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토 로세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토 로세티는 1994년 9월 20일에 사망한 영국의 스위스 국적 미술 교사이자 에스페란토 작가이다. 그는 브리스틀 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및 과장을 역임했으며, 에스페란토 문학의 스코틀랜드 유파의 일원으로서 여러 시집과 단편 소설을 발표했다. 셰익스피어의 《오셀로》를 에스페란토로 번역했으며, 동생 체사레 로세티 또한 에스페란토 작가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는 《소매로부터》, 《뾰족한 연필》 등이 있으며, 《영국 선집》을 편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에서 영국으로 이민간 사람 - 알랭 드 보통
    알랭 드 보통은 스위스 출신 영국 작가이자 철학자로, 소설, 에세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상생활과 철학의 관련성을 탐구하고,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을 수여받았다.
  • 스위스에서 영국으로 이민간 사람 - 올리버 토비아스
    올리버 토비아스는 스위스 출신 배우로, 뮤지컬 《헤어》의 버거 역으로 데뷔하여 《브리튼의 아서왕》, 영화 《더 스터드》 등에 출연하며 이름을 알렸고, 울트라복스의 뮤직 비디오 출연 및 DJ 섀도우의 앨범 내레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스위스의 에스페란티스토 - 클로드 피롱
    클로드 피롱은 벨기에 출신의 에스페란토 작가이자 심리 치료사, 교수였으며, 국제 연합과 세계 보건 기구에서 근무하며 제네바 대학교 심리학부 교수를 역임했고, 에스페란토를 활용하여 다양한 작품을 저술했다.
  • 스위스의 에스페란티스토 - 르네 드 소쉬르
    르네 드 소쉬르는 스위스의 수학자이자 에스페란토 옹호론자, 인공어 연구가로,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동생이며, 에스페란토 형태론 연구, 국제 통화 스페스밀로 제안, 그리고 만년에는 에스페란토 개량안 연구 및 인테르링구아 표준화 작업에 참여했다.
  • 영국의 에스페란티스토 - 제1대 세실오브첼우드 자작 로버트 세실
    제1대 세실오브첼우드 자작 로버트 세실은 영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 외교관으로 국제 연맹 창설에 기여하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국제 연합을 지지하며 활동했다.
  • 영국의 에스페란티스토 - 대니얼 태멋
    대니얼 태멋은 공감각과 뛰어난 언어 능력으로 유명한 영국의 작가, 번역가, 강연가이며, 숫자를 색깔, 형태, 감정과 연결하여 인지하는 공감각 능력, 원주율 암송 기록, 10개 이상의 언어 구사 능력, 인공 언어 '만티' 창조, 자서전 《푸른 날에 태어나서》 출간 등으로 과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레토 로세티 - [인물]에 관한 문서

2. 생애

레토 로세티는 1994년 9월 20일에 태어났다. 평생을 영국에서 살았지만, 스위스 국적을 가졌다. 직업은 미술 교사로, 브리스틀 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및 과장이 되었다.

에스페란토 시예에서의 소위 스코틀랜드 유파(skota skoloeo)의 일원이었으며, 이 유파의 다른 회원은 윌리엄 올드 등이 있다. 에스페란토로 쓰인 여러 편의 시집 및 단편소설들을 발표하였다. 이 밖에도,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오셀로》를 에스페란토로 번역하였다.

동생 체사레 로세티(Cesare Rossettieo) 또한 유명한 에스페란토 작가이다.

1994년 9월 20일 햄프셔주 포츠머스 근처 고스포트(Gosport)에서 사망하였다.

3. 에스페란토 문학 활동

레토 로세티는 에스페란토 문학에서 소위 스코틀랜드 유파(skota skoloeo)의 일원이었다. 이 유파에는 윌리엄 올드 등이 속해 있었다. 로세티는 에스페란토로 쓰인 여러 편의 시집 및 단편소설을 발표하였으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오셀로》를 에스페란토로 번역하기도 했다.

그의 시는 ''콰르테토''(Quartet)에 실려 있으며, 에스페란토 신문에 종종 실리곤 했다. 동생 체사레 로세티(Cesare Rossettieo) 또한 유명한 에스페란토 작가이다. 형제와 함께 스코틀랜드 시인 윌리엄 맥고노갈의 작품을 풍자한 시 모음집인 'The Moc Gonnogal'을 쓰고 삽화를 그렸다.

다른 작품으로는 시 모음집 ''메스티조 데 르 몬도''(Mestizo of the World), ''엘 라 마니코''(Out of my Sleeve)와 단편 소설 모음집 ''핀타 크라요노''(Sharp Pencil)가 있다. 영어 시 번역에도 힘써 ''Angla Antologio''의 편집자이자 주요 협력자로 활동했다. 그의 작품 중 ''엘 라 마니코'', ''33 라콘토이'', ''핀타 크라요노''는 윌리엄 올드의 에스페란토 기본 독서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4. 작품 목록


  • 《4인조》(Kvaropoeo, 1952년, 윌리엄 올드, 존 딘우디(John Dinwoodie), 존 프랜시스(John Francis) 공저)
  • 《세상의 메스티소》(Mestizo de l' Mondoeo)
  • 《소매로부터》(El la manikoeo, 단편소설집, 1955)
  • 《뾰족한 연필》(Pinta krajonoeo, 시집, 1959)
  • 《인공과 자연》(Arto kaj Naturoeo, 수필집, 헝가리 에스페란토 협회 출판, 부다페스트, 1989년)

4. 1. 에스페란토 원작

레토 로세티는 1952년에 윌리엄 올드, 존 딘우디, 존 프랜시스와 함께 《4인조》(Kvaropo)를 출판하였다. 또한, 단편소설집 《소매로부터》(El la maniko)를 1955년에 출판하였고, 1959년에는 시집 《뾰족한 연필》(Pinta krajono)을 출판하였다. 1989년에는 헝가리 에스페란토 협회에서 수필집 《인공과 자연》(Arto kaj Naturo)을 출판하였다.

4. 2. 번역

wikitext

  • 《4인조》(Kvaropoeo, 1952년, 윌리엄 올드, 존 딘우디(John Dinwoodie), 존 프랜시스(John Francis) 공저)
  • 《세상의 메스티소》(Mestizo de l' Mondoeo)
  • 《소매로부터》(El la manikoeo, 단편소설집, 1955)
  • 《뾰족한 연필》(Pinta krajonoeo, 시집, 1959)
  • 《인공과 자연》(Arto kaj Naturoeo, 수필집, 헝가리 에스페란토 협회 출판, 부다페스트, 1989년)

4. 3. 편집

레토 로세티는 페렌츠 실라지와 함께 ''33개의 이야기, 에스페란토 단편집(33 Rakontoj, La Esperanta novelaro)''을, 윌리엄 올드와 함께 ''영국 선집(Angla Antologio)''을 편집하였다.

5. 참고 문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