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리엄 올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올드는 영국의 에스페란토 시인이자 작가, 번역가, 교사이다. 1924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전후 스코틀랜드로 이주하여 에스페란토 시를 창작하고 번역했다. 그는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부회장과 에스페란토 학술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2000년 알렌 문화상을 수상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장편시 《유년의 종(種)》이 있으며, 셰익스피어, 톨킨 등 다양한 작가의 작품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했다. 2006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에스페란티스토 - 제1대 세실오브첼우드 자작 로버트 세실
    제1대 세실오브첼우드 자작 로버트 세실은 영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 외교관으로 국제 연맹 창설에 기여하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국제 연합을 지지하며 활동했다.
  • 영국의 에스페란티스토 - 대니얼 태멋
    대니얼 태멋은 공감각과 뛰어난 언어 능력으로 유명한 영국의 작가, 번역가, 강연가이며, 숫자를 색깔, 형태, 감정과 연결하여 인지하는 공감각 능력, 원주율 암송 기록, 10개 이상의 언어 구사 능력, 인공 언어 '만티' 창조, 자서전 《푸른 날에 태어나서》 출간 등으로 과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 스코틀랜드의 SF 작가 - 아서 코난 도일
    아서 코난 도일은 셜록 홈즈 시리즈를 통해 추리 소설의 전형을 확립하고 다양한 작품 활동을 펼친 영국의 소설가이자 의사이다.
  • 스코틀랜드의 SF 작가 - 어빈 웰시
    어빈 웰시는 스코틀랜드 작가로, 에든버러를 배경으로 노동 계급과 스코틀랜드 정체성을 다룬 소설과 단편 소설을 주로 집필하며, 여러 작품이 영화로 제작되었다.
  • 스코틀랜드의 번역가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 스코틀랜드의 번역가 - 토머스 칼라일
    토머스 칼라일은 19세기 스코틀랜드 출신의 작가이자 사상가로, 《프랑스 혁명사》, 《영웅 숭배론》 등의 저서를 통해 빅토리아 시대 문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영웅 숭배론, 민주주의 비판 등의 사상을 펼쳤다.
윌리엄 올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82년 안트베르펜에서 찍은 작가들의 모습. 왼쪽부터 조르주 라그랑주, 티보르 세켈리, 알도 데 조르지, 윌리엄 올드, 출판인 브루초 카시니.
1982년 안트베르펜에서 찍은 작가들의 모습. 왼쪽부터 조르주 라그랑주, 티보르 세켈리, 알도 데 조르지, 윌리엄 올드, 출판인 브루초 카시니.
이름윌리엄 올드
원어 이름William Auld
로마자 표기উইলিয়াম ওল্ড
에스페란토 이름Ŭiljamo Aŭldo (윌랴모 아울도)
출생1924년 11월 6일
출생지잉글랜드, 켄트주, 어리스
사망2006년 9월 11일 (향년 81세)
사망지스코틀랜드, 클라크매넌셔, 달러
직업시인, 작가, 번역가, 에스페란티스토, 수필가, 음악가, 편집자
언어에스페란토, 영어
학력
모교해당 정보 없음
경력
활동 기간해당 정보 없음
작품
대표 작품La infana raso
수상
수상 내역해당 정보 없음
기타
서명해당 정보 없음
웹사이트해당 정보 없음

2. 생애

윌리엄 올드는 1924년 잉글랜드 켄트주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고, 전후에는 스코틀랜드로 이주하여 에스페란토 작가로 활동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장편시 《유년의 종》(La infana rasoeo)이 있다.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부회장(1977~1980년), 에스페란토 학술회 회장(1979~1983년)을 역임하였다. 2000년에는 알렌 문화상을 수상하였고[6], 2006년에 사망하였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1924년 잉글랜드 켄트주 에리쓰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스코틀랜드 글래스고로 이주하여 앨런 글렌 학교를 다녔다.[1] 1937년(13세)에 에스페란토를 배웠으나, 1947년까지는 적극적으로 활동하지 않았다.[4]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교사 자격을 취득했다.[1]

2.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42년부터 1946년까지 영국 공군(RAF) 조종사로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스핏파이어 전투기를 조종하였다.[6][1]

2. 3. 결혼과 가정

1952년, 올드는 어린 시절 친구이자 에스페란티스토였던 마가렛(메타) 바 스튜어트(Margaret (Meta) B. Stewart)와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다.[2]

2. 4. 교직 생활

1960년 스코틀랜드 알로아의 중등학교에 교사로 임명되었고, 남은 생애를 그곳에서 보냈다.[2]

2. 5. 에스페란토 활동과 문학적 업적

1937년 에스페란토를 배우기 시작했지만, 1947년부터 에스페란토 보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4] 이후 에스페란토로 시를 번역 및 창작하기 시작하였다. 그의 대표작인 ''La infana raso'' (''유아 인종'')는 "시간과 코스모스 속에서 인류의 역할"을 탐구하는 장시이며, 부분적으로 에즈라 파운드의 ''칸토스''를 기반으로 한다.[3]

그는 ''스코틀랜드의 에스페란토'' (1949–1955), ''에스페란토'' (1955–1958, 1961–1962), ''몬다 문화'' (1962–1963), ''노르다 프리즈모'' (1968–1972), ''라 브리타 에스페란티스토'' (1973–1999) 및 ''폰토'' (1980–1987) 등 다양한 잡지와 서평을 편집했다.[4]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부회장 (1977–1980), 에스페란토 아카데미 회장 (1979–1983), 에스페란토 PEN 센터 회장 (1999–2005)을 역임했다. 1999년, 2004년, 2006년에는 노벨 문학상 후보로 지명되었으며, 에스페란토 작품으로 후보에 오른 최초의 인물이 되었다.[2]

2000년에 알렌 문화상(Kulturpremio de la urbo Aaleneo)[6]을 수상하였다. 2001년에는 자신의 개인 소장품인 약 5000권의 에스페란토 문학을 스코틀랜드 국립 도서관에 기증했다.[5]

2. 6. 사망

윌리엄 올드(William Auldeo)는 2006년 스코틀랜드 돌라에서 사망했으며 돌라 교회 묘지에 안장되었다.[6] 묘는 주요 도로에서 교회로 이어지는 길에 있다.

3. 작품 세계

윌리엄 올드는 에스페란토로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창작하고 번역하여 에스페란토 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올드는 시, 서사시, 번역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했다. 대표작으로는 장편 서사시 《유년의 종》(La infana rasoeo)이 있으며, 이 작품은 에스페란토 문학의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조지 고든 바이런, 오마르 카얌, 오스카 와일드, J. R. R. 톨킨 등 여러 작가의 작품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했다.

3. 1. 창작

올드는 에스페란토로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창작했다. 그의 대표작 《유년의 종》(La infana rasoeo, 1956년)은 시간과 우주 속에서 인류의 역할을 탐구하는 장편 서사시로, 에즈라 파운드의 《칸토스》(The Cantos)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작품은 에스페란토 문학의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평가되며, 한국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1]

그는 《한 손가락으로 연주한 멜로디》(Unufingraj melodiojeo, 1960년), 《기분》(Humorojeo, 1969년), 《하나의 푸르른 삶으로부터》(El unu verda vivoeo, 1978년) 등 다수의 시집을 발표했으며,[1] 마조리 볼턴과 공동으로 《시로 쓴 편지》(Rimleterojeo, 1976년)를 출간했다.[1]

올드의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제목원제출판 연도비고
《4인조》Kvaropoeo1952년존 딘우디, 존 프랜시스, 레토 로세티 공저
《유년의 종》La infana rasoeo1956년
《한 손가락으로 연주한 멜로디》Unufingraj melodiojeo1960년
《기분》Humorojeo1969년
《시로 쓴 편지》Rimleterojeo1976년마조리 볼턴 공저
《하나의 푸르른 삶으로부터》El unu verda vivoeo1978년
《흘러가는 배 위에서》En barko senpilotaeo1987년
《우리 가운데 하나》Unu el nieo1992년


3. 2. 번역

윌리엄 올드는 영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의 문학 작품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하였다.

원제작가번역 제목 (에스페란토)번역 연도
십이야 (Twelfth Night)윌리엄 셰익스피어Epifanio1977
소네트집 (The Sonnets)윌리엄 셰익스피어La sonetoj1981
오류의 희극 (The Comedy of Errors)윌리엄 셰익스피어La komedio de eraroj1987
돈 후안, 칸토 1 (Don Juan, Canto 1)조지 고든 바이런Don Johano, Kanto 11979
로바이야트 (Rubaiyat of Omar Khayyam)오마르 카얌La robaioj de Omar Kajam1980
진실함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Being Earnest)오스카 와일드La graveco de la Fideliĝo1987
반지의 제왕: 반지원정대 (The Fellowship of the Ring)J. R. R. 톨킨La kunularo de l' ringo1995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The Two Towers)J. R. R. 톨킨La du turegoj1995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The Return of the King)J. R. R. 톨킨La reveno de la reĝo1997
호빗(The Hobbit)J. R. R. 톨킨La hobito2000[1]
산촌 마을춘찬 제Montara vilaĝo1984



크리스토퍼 글레드힐과 함께 J. R. R. 톨킨의 《호빗》 시와 노래를 에스페란토로 번역하여 에스페란토 문학의 지평을 넓혔다.[1]

3. 3. 기타

우스이 히로유키는 《윌리엄 올드 시집 - 에스페란토의 민중 시인》(ウィリアム・オールド詩集 - エスペラントの民衆詩人일본어)을 일본어로 번역하여 미드나이트 프레스에서 출간하였다(2007년).

4. 작품 목록

윌리엄 올드는 시집, 노래·악보집, 교재, 에세이, 번역, 선집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많은 작품을 남겼다.

=== 시집 ===


  • 《4인조》(Kvaropoeo, 1952년, 존 딘우디, 존 프랜시스, 레토 로세티 공저)
  • 《유년의 종(種)》(La infana rasoeo, 1956년)
  • 《한 손가락으로 연주한 멜로디》(Unufingraj melodiojeo, 1960년)
  • 《기분》(Humorojeo, 1969년)
  • 《시로 쓴 편지》(Rimleterojeo, 마조리 볼턴과 공저, 1976년)
  • 《하나의 푸르른 삶으로부터》(El unu verda vivoeo, 1978년)
  • 《흘러가는 배 위에서》(En barko senpilotaeo, 1987년)
  • 《우리 가운데 하나》(Unu el nieo, 1992년)


=== 노래·악보집 ===

  • 《''Floroj sen kompar’''》 (마거릿 힐 공저, 1973년) - 영국 민요를 에스페란토로 번역
  • 《''Kantanta mia bird'''》 (마거릿 힐 공저, 1973년) - 영국 민요를 에스페란토로 번역
  • 《''Dum la noktoj''》 (마거릿 힐, 데이비드 힐 공저, 1976년) - 창작곡


=== 교재 ===

  • Esperanto: A New Approach|에스페란토: 새로운 접근법eo (1965년)
  • Paŝoj al plena posedo|완전한 습득을 향한 발걸음eo (1968년)
  • A first course in Esperanto|에스페란토 첫걸음eo (1972년)
  • Traduku!|번역하라!eo (1993년)


=== 에세이집 ===

제목출판 연도
Facetoj de Esperanto (에스페란토의 측면)1976년
Pri lingvo kaj aliaj artoj (언어와 다른 예술에 관하여)1978년
Enkonduko en la originalan literaturon de Esperanto (에스페란토 원어 문학 입문)1979년
Vereco, distro, stilo (진실, 오락, 스타일)1981년
Kulturo kaj internacia lingvo (문화와 국제어)1986년
https://web.archive.org/web/20060308210025/miresperanto.narod.ru/biblioteko/fenomeno.htm La fenomeno Esperanto (에스페란토 현상)1988년
La skota lingvo, hodiaŭ kaj hieraŭ (스코틀랜드어, 오늘과 어제)1988년
Pajleroj kaj stoploj : elektitaj prozaĵoj1997년



=== 번역 ===


  • La balenodento|라 발레노덴토eo (잭 런던, 1952년)
  • Epifanio|에피파니오eo (윌리엄 셰익스피어, 1977년)
  • La urbo de terura nokto|라 우르보 데 테루라 녹토eo (제임스 톰슨, 1977년)
  • Kantoj, poemoj kaj satiroj|칸토, 시, 풍자eo (로버트 번스, 레토 로세티와 함께, 1977년)
  • Don Johano, Kanto 1|돈 호아노, 칸토 1eo (조지 고든 바이런, 1979년)
  • La robaioj de Omar Kajam|라 로바이오이 데 오마르 카얌eo (오마르 카얌의 로바이야트, 에드워드 피츠제럴드, 1980년)
  • La sonetoj|라 소네토이eo (소네트집, 윌리엄 셰익스피어, Edistudio, 1981년)
  • Fenikso tro ofta|페닉소 트로 오프타eo (너무 흔한 불사조, 크리스토퍼 프라이, 1984년)
  • Montara vilaĝo|몬타라 빌라조eo (산촌 마을, 춘찬 제, 1984년)
  • La graveco de la Fideliĝo|라 그라베코 데 라 피델리조eo (진실함의 중요성, 오스카 와일드, 1987년)
  • La komedio de eraroj|라 코메디오 데 에라로이eo (오류의 희극, 윌리엄 셰익스피어, 아센 M. 시메오노프와 함께, 1987년)
  • Omaĝoj. Poemtradukoj|오마조이. 포엠트라두코이eo (오마주. 시 번역, 1987년)
  • Gazaloj|가잘로이eo (가잘, 하페즈 시라지, 1988년)
  • Spartako|스파르타코eo (스파르타쿠스, 레슬리 미첼, 1993년)
  • La stratoj de Aŝkelono|라 스트라토이 데 아슈켈로노eo (아스켈론의 거리, 해리 해리슨, 1994년)
  • Teri-strato|테리 스트라토eo (테리 스트리트, 더글러스 던, 1995년)
  • La kunularo de l' ringo|라 쿠눌라로 데 링고eo (반지의 제왕: 반지원정대, J. R. R. 톨킨, 1995년)
  • La du turegoj|라 두 투레고이eo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J. R. R. 톨킨, 1995년)
  • La reveno de la reĝo|라 레베노 데 라 레조eo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J. R. R. 톨킨, 1997년)
  • La hobito|라 호비토eo (호빗, J. R. R. 톨킨, 시와 노래; 크리스토퍼 글레드힐과 함께, 2000년)
  • Jurgen|유르겐eo (유르겐, 제임스 브랜치 캐벨, 2001년)
  • La Hobito, aŭ Tien kaj Reen|라 호비토, 아우 티엔 카이 레엔eo (호빗, 또는 거기서 다시 가다, J. R. R. 톨킨, 시와 노래; 크리스토퍼 글레드힐과 함께, Evertype, 2015년)
  • Aniara|아니아라sv (아니아라, 해리 마르틴손, 스웨덴어 원문, 베르틸 닐손 번역, 1979년)
  • 판다타리아의 줄리아|판다타리아의 줄리아eo
  • 『윌리엄 올드 시집 - 에스페란토의 민중 시인』|윌리엄 올드 시집 - 에스페란토의 민중 시인일본어 (우스이 히로유키 역, 미드나이트 프레스 발행, 2007년)


=== 선집 ===

  • 《영국 시 선집 1000-1800》 (시 편집, 1957)
  • 《에스페란토 선집》 (1958/1984)
  • 《25년》 (시 편집, 1977)
  • 《스코틀랜드 선집》 (부편집자, 1978)
  • 《사회적 뮤즈의 징표 아래》 (1987)
  • 《새로운 에스페란토 선집》 (1991)
  • 《완전 시집: 미할스키》 (편집, 1994)
  • 《시간은 흐른다》 (1996)

4. 1. 시집


  • 《4인조》(Kvaropoeo, 1952년, 존 딘우디, 존 프랜시스, 레토 로세티 공저)
  • 《유년의 종(種)》(La infana rasoeo, 1956년)
  • 《한 손가락으로 연주한 멜로디》(Unufingraj melodiojeo, 1960년)
  • 《기분》(Humorojeo, 1969년)
  • 《시로 쓴 편지》(Rimleterojeo, 마조리 볼턴과 공저, 1976년)
  • 《하나의 푸르른 삶으로부터》(El unu verda vivoeo, 1978년)
  • 《흘러가는 배 위에서》(En barko senpilotaeo, 1987년)
  • 《우리 가운데 하나》(Unu el nieo, 1992년)

4. 2. 노래·악보집


  • 《''Floroj sen kompar’''》 (마거릿 힐 공저, 1973년) - 영국 민요를 에스페란토로 번역
  • 《''Kantanta mia bird'''》 (마거릿 힐 공저, 1973년) - 영국 민요를 에스페란토로 번역
  • 《''Dum la noktoj''》 (마거릿 힐, 데이비드 힐 공저, 1976년) - 창작곡

4. 3. 교재


  • Esperanto: A New Approacheo|에스페란토: 새로운 접근법}} (1965년)
  • Paŝoj al plena posedoeo|완전한 습득을 향한 발걸음}} (1968년)
  • A first course in Esperantoeo|에스페란토 첫걸음}} (1972년)
  • Traduku!eo|번역하라!}} (1993년)

4. 4. 에세이집

제목출판 연도
Facetoj de Esperanto (에스페란토의 측면)1976년
Pri lingvo kaj aliaj artoj (언어와 다른 예술에 관하여)1978년
Enkonduko en la originalan literaturon de Esperanto (에스페란토 원어 문학 입문)1979년
Vereco, distro, stilo (진실, 오락, 스타일)1981년
Kulturo kaj internacia lingvo (문화와 국제어)1986년
https://web.archive.org/web/20060308210025/miresperanto.narod.ru/biblioteko/fenomeno.htm La fenomeno Esperanto (에스페란토 현상)1988년
La skota lingvo, hodiaŭ kaj hieraŭ (스코틀랜드어, 오늘과 어제)1988년
Pajleroj kaj stoploj : elektitaj prozaĵoj1997년


4. 5. 번역


  • La balenodento|라 발레노덴토eo (잭 런던, 1952년)
  • Epifanio|에피파니오eo (윌리엄 셰익스피어, 1977년)
  • La urbo de terura nokto|라 우르보 데 테루라 녹토eo (제임스 톰슨, 1977년)
  • Kantoj, poemoj kaj satiroj|칸토, 시, 풍자eo (로버트 번스, 레토 로세티와 함께, 1977년)
  • Don Johano, Kanto 1|돈 호아노, 칸토 1eo (조지 고든 바이런, 1979년)
  • La robaioj de Omar Kajam|라 로바이오이 데 오마르 카얌eo (오마르 카얌의 로바이야트, 에드워드 피츠제럴드, 1980년)
  • La sonetoj|라 소네토이eo (소네트집, 윌리엄 셰익스피어, Edistudio, 1981년)
  • Fenikso tro ofta|페닉소 트로 오프타eo (너무 흔한 불사조, 크리스토퍼 프라이, 1984년)
  • Montara vilaĝo|몬타라 빌라조eo (산촌 마을, 춘찬 제, 1984년)
  • La graveco de la Fideliĝo|라 그라베코 데 라 피델리조eo (진실함의 중요성, 오스카 와일드, 1987년)
  • La komedio de eraroj|라 코메디오 데 에라로이eo (오류의 희극, 윌리엄 셰익스피어, 아센 M. 시메오노프와 함께, 1987년)
  • Omaĝoj. Poemtradukoj|오마조이. 포엠트라두코이eo (오마주. 시 번역, 1987년)
  • Gazaloj|가잘로이eo (가잘, 하페즈 시라지, 1988년)
  • Spartako|스파르타코eo (스파르타쿠스, 레슬리 미첼, 1993년)
  • La stratoj de Aŝkelono|라 스트라토이 데 아슈켈로노eo (아스켈론의 거리, 해리 해리슨, 1994년)
  • Teri-strato|테리 스트라토eo (테리 스트리트, 더글러스 던, 1995년)
  • La kunularo de l' ringo|라 쿠눌라로 데 링고eo (반지의 제왕: 반지원정대, J. R. R. 톨킨, 1995년)
  • La du turegoj|라 두 투레고이eo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J. R. R. 톨킨, 1995년)
  • La reveno de la reĝo|라 레베노 데 라 레조eo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J. R. R. 톨킨, 1997년)
  • La hobito|라 호비토eo (호빗, J. R. R. 톨킨, 시와 노래; 크리스토퍼 글레드힐과 함께, 2000년)
  • Jurgen|유르겐eo (유르겐, 제임스 브랜치 캐벨, 2001년)
  • La Hobito, aŭ Tien kaj Reen|라 호비토, 아우 티엔 카이 레엔eo (호빗, 또는 거기서 다시 가다, J. R. R. 톨킨, 시와 노래; 크리스토퍼 글레드힐과 함께, Evertype, 2015년)
  • Aniara|아니아라sv (아니아라, 해리 마르틴손, 스웨덴어 원문, 베르틸 닐손 번역, 1979년)
  • 판다타리아의 줄리아|판다타리아의 줄리아eo
  • 『윌리엄 올드 시집 - 에스페란토의 민중 시인』|윌리엄 올드 시집 - 에스페란토의 민중 시인일본어 (우스이 히로유키 역, 미드나이트 프레스 발행, 2007년)

4. 6. 선집


  • 《영국 시 선집 1000-1800》 (시 편집, 1957)
  • 《에스페란토 선집》 (1958/1984)
  • 《25년》 (시 편집, 1977)
  • 《스코틀랜드 선집》 (부편집자, 1978)
  • 《사회적 뮤즈의 징표 아래》 (1987)
  • 《새로운 에스페란토 선집》 (1991)
  • 《완전 시집: 미할스키》 (편집, 1994)
  • 《시간은 흐른다》 (1996)

참조

[1] 웹사이트 Obituary http://thescotsman.s[...] 2016-12-04
[2] 웹사이트 William Auld https://www.telegrap[...] Telegraph Media Group Limited 2010-04-22
[3] 웹사이트 William Auld https://www.theguard[...] 2006-09-19
[4] 웹사이트 William Auld https://blogs.transp[...] 2009-04-30
[5] 웹사이트 Esperanto https://www.nls.uk/c[...] 2021-07-10
[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4-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