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라 멀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라 멀비는 영화 이론가이자 영화 제작자이다. 그녀는 정신분석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영화가 관객의 무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영화에 반영되는 방식을 분석했다. 1975년 발표된 에세이 "시각적 쾌락과 내러티브 영화"에서 "남성적 시선" 개념을 도입하여 영화 비평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고전 할리우드 영화에서 여성은 욕망의 대상, 남성은 시선의 주체로 묘사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1970~80년대에는 남편 피터 윌렌과 함께 아방가르드 영화 제작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스트모던 여성주의자 - 주디스 버틀러
주디스 버틀러는 젠더 수행성 이론으로 여성주의, 퀴어 이론, 정치철학에 큰 영향을 준 미국의 철학자이자 성별 연구의 선구자이며, 사회 정치적 이슈에 적극적으로 발언하는 정치 활동가이다. - 포스트모던 여성주의자 - 벨 훅스
벨 훅스는 미국의 저술가, 페미니스트 이론가, 사회 비평가, 교수로서 인종, 계급, 성별의 교차성에 대한 혁신적인 분석을 통해 페미니즘, 교육,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끼쳤다. - 포스트구조주의자 - 미셸 푸코
미셸 푸코는 프랑스의 철학자, 역사가, 사회학자로서 권력, 지식, 담론 등을 탐구하며 서양 사상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포스트구조주의자 - 질 들뢰즈
질 들뢰즈는 20세기 후반 프랑스의 철학자로, 스피노자, 니체, 베르그송 등의 사상을 재해석하고 차이, 반복, 탈영토화 등의 개념을 통해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미쳤으며,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 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현대 사상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 영화 이론가 - 질 들뢰즈
질 들뢰즈는 20세기 후반 프랑스의 철학자로, 스피노자, 니체, 베르그송 등의 사상을 재해석하고 차이, 반복, 탈영토화 등의 개념을 통해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미쳤으며,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 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현대 사상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 영화 이론가 - 피터 보그다노비치
피터 보그다노비치는 미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 배우, 평론가, 영화 역사가로, 《마지막 영화관》, 《왓츠 업, 독?》, 《페이퍼 문》 등의 작품으로 1970년대 뉴 할리우드 시대를 대표하는 감독 중 한 명이며, 영화 평론가로 활동하며 영화 역사에 대한 저술 활동을 하고 말년에는 배우로도 활동했다.
로라 멀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로라 멀비 |
출생일 | 1941년 8월 15일 |
직업 | 영화 연구 및 미디어 연구 학자 |
근무지 | 버크벡 칼리지 |
모교 | 성 힐다 칼리지, 옥스퍼드 대학교 |
학문적 전통 | 스크린 이론 |
주요 관심사 | 영화 연구 및 미디어 연구 |
주요 아이디어 | 남성적 시선 |
2. 영화 이론
로라 멀비의 영화 이론은 정신분석학, 특히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자크 라캉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멀비는 이러한 이론을 통해 영화가 관객의 무의식에 작용하는 방식을 분석하고,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영화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비판한다.
멀비는 아방가르드 영화가 "전통적인 관행에 의식적으로 직면하고, 종종 정치적 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표현 방식"뿐만 아니라 "소비에 대한 기대"를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한다고 보았다.[17] 또한 페미니스트들이 모더니스트 아방가르드를 "예술에 대한 급진적인 접근 방식을 개발하기 위한 그들 자신의 투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고 말했다.[17]
2. 1. 시각적 쾌락과 내러티브 영화
멀비는 1973년에 집필되어 1975년 영국의 영향력 있는 영화 이론 저널 ''스크린''에 게재된 에세이 "시각적 쾌락과 내러티브 영화"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에세이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자크 라캉의 이론에 영향을 받아 영화 이론의 방향을 정신분석학적 틀로 전환하는 데 기여했다.[3] 멀비 이전에도 장 루이 보드리와 크리스티앙 메츠와 같은 영화 이론가들이 영화에 대한 이론적 설명에 정신분석학적 아이디어를 사용했지만, 멀비는 영화 이론, 정신분석학 및 페미니즘의 교차점을 열었다."시각적 쾌락과 내러티브 영화"는 "남성적 시선"이라는 용어를 영화 비평에 도입하여, 영화에서 카메라, 등장인물, 관객의 시선이 모두 남성의 시선으로 통합되는 현상을 설명했다. 멀비는 프로이트와 라캉의 개념을 "정치적 무기"로 사용하려 한다고 말하며, 고전 할리우드 영화의 영화적 장치가 필연적으로 관람자를 남성적 주체 위치에 놓으며, 스크린 속 여성의 모습은 욕망의 대상이자 "남성적 시선"의 대상이라고 주장한다.
멀비는 자크 라캉의 ''자아 형성''과 ''거울 단계'' 개념을 통해 관람자가 스크린 속 남성 캐릭터와의 동일시로부터 자기애적 쾌락을 얻는 방식을 설명한다.[8]
남성적 시선의 페티시적 모드는 거세의 위협을 해결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멀비에 따르면, '여성' 이미지의 역설은, 여성이 매력과 유혹을 상징하지만, 남근의 결핍을 의미하기도 하며, 그 결과 ''거세 불안''을 초래한다는 것이다.[18] 이러한 긴장은 여성 캐릭터의 죽음 (현기증, 1958) 또는 남성 주인공과의 결혼 (마니, 1964)을 통해 해결된다.
2. 1. 1. 남성적 시선
로라 멀비는 〈시각적 쾌락과 내러티브 영화〉라는 에세이에서 "남성적 시선"이라는 용어를 영화 비평에 도입하여, 영화에서 카메라, 등장인물, 관객의 시선이 모두 남성의 시선으로 통합되는 현상을 설명했다.[4] 이는 여성을 보여지는 대상으로, 남성을 보는 주체로 규정하며, 가부장적 사회의 권력 관계를 반영한다.멀비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학 이론을 바탕으로, 고전 할리우드 영화의 영화적 장치가 관람자를 남성적 주체 위치에 놓으며, 스크린 속 여성의 모습은 욕망의 대상이자 "남성적 시선"의 대상이라고 주장한다. 1950년대와 1960년대의 할리우드 여성 캐릭터는 "응시 대상"으로 코드화되었고, 카메라 위치와 남성 관람자는 "시선의 담지자"를 구성했다.[3]
멀비는 남성적 시선의 두 가지 뚜렷한 모드를 제시한다.
- "관음증적": 여성을 "응시 대상"으로 보는 것.
- "페티시적": 여성을 "결핍", 즉 잠재적인 거세에 대한 공포의 대체물로 보는 것.
멀비는 할리우드 영화의 매력을 설명하기 위해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성욕에 대한 세 개의 에세이''에서 처음 소개한 ''스코포필리아''(바라보는 데서 얻는 쾌락과 바라봐지는 데서 얻는 쾌락) 개념을 사용한다.[5][6] 고전 영화는 관음증과 자기애의 구조를 영화의 내러티브와 이미지에 통합하여 깊은 응시의 욕망을 장려한다. 남성 관객은 자신의 시선을 남성 주인공에게 투사하여 스크린 속 여성을 간접적으로 소유하게 된다.
멀비는 스코포필리아의 개념을 활동성과 수동성의 두 축과 관련하여 탐구한다. 남성 캐릭터는 활동적이고 강력하게 묘사되는 반면, 여성은 수동적이고 무력하게 제시되어 남성의 쾌락을 위해 존재하는 욕망의 대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무의식적인 가부장 사회''에서도 영속된다.[18]
멀비는 또한 자크 라캉의 ''자아 형성''과 ''거울 단계'' 개념을 탐구한다. 라캉에 따르면 아이들은 거울에 비친 완벽한 이미지와의 동일시를 통해 쾌락을 얻으며, 이는 아이들의 자아 이상을 형성한다.[8] 멀비에게 이 개념은 관람자가 스크린 속 남성 캐릭터와의 동일시로부터 자기애적 쾌락을 얻는 방식과 유사하다.
다양한 영화 기법은 관음증을 본질적으로 남성의 특권으로 만든다. 카메라 작업, 카메라 앵글, 카메라 움직임, 편집, 조명 등을 통하여, 카메라는 남성 캐릭터의 시각적, 리비도적 관점에서 촬영하여 관람자가 남성의 시선과 동일시하도록 돕는다. 영화적 동일시는 젠더화되어 있으며, 성적 차이에 따라 구조화된다.[9]
멀비는 가부장적 할리우드 시스템을 없애는 유일한 방법은 고전 할리우드의 영화적 전략을 급진적으로 도전하고 재구성하는 새로운 페미니스트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고전 할리우드 영화의 내러티브 쾌락을 파괴할 새로운 페미니스트 아방가르드 영화 제작을 요구한다.
2. 1. 2. 비판과 논쟁
멀비의 이론은 여러 비판과 논쟁에 직면했다.- 여성 관객 간과: 멀비의 이론은 여성 관객의 존재를 간과하고, 모든 관객을 남성으로 일반화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2]
- 이분법적 젠더 구도: 젠더를 남성과 여성으로 지나치게 단순화하여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고, LGBTQ+ 이론가들이 제시하는 젠더의 유연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었다.[13]
- 본질주의적 여성관: 여성의 몸을 정체성과 기능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고 남성성과 본질적으로 다른 속성을 가진다고 보는 젠더 본질주의적 관점을 취한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11]
- 다양한 관객 경험: 흑인 여성 등 다양한 관객의 경험을 고려하지 않고, 백인 여성만을 '여성'으로 언급하며 인종적 차이를 인식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었다.[14]
이러한 비판에 대해 멀비는 자신의 기사가 모든 반론을 고려한 학술 기사라기보다는 도발이나 선언문에 가깝다고 해명하며, 이후 "'시각적 쾌락과 내러티브 영화'에 대한 사후 고찰"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명확히 했다.[15]
2. 2. 후기 이론
멀비는 자신의 초기 저작인 "시각적 쾌락과 내러티브 영화"에 대한 비판에 응답하고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해 "킹 비더의 ''태양의 결투'' (1946)에서 영감을 받은 '시각적 쾌락과 내러티브 영화'에 대한 사후 고찰"(1981)을 발표했다.[3] 이 글에서 멀비는 여성 관객이 영화를 감상할 때 남성적 시선과 여성적 시선을 오갈 수 있다는 '트랜스베스티즘'이라는 은유적인 개념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게이, 레즈비언, 양성애자 관람객이 영화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3]멀비는 2006년에 출간된 ''죽음, 초당 24번: 정지 화면과 움직이는 이미지''에서 영화 관람 방식의 변화를 분석했다. VHS 및 DVD와 같은 비디오 기술의 발달로 인해 관객들은 더 이상 영화를 선형적으로만 감상하지 않고, 원하는 장면을 반복해서 보거나 건너뛰는 등 영화에 대한 통제력을 가지게 되었다. 멀비는 이러한 변화를 통해 등장한 '소유적 관람자'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관객이 영화 속 스타의 신체와 관련된 순간들을 소유하려는 경향이 강화된다고 주장했다.[15]
3. 남근중심주의와 가부장제
멀비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남근중심주의 개념을 영화 이론에 도입하여, 영화 속 이미지, 캐릭터, 서사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반영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영화가 남성과 여성의 전형적인 사회적 역할을 강화하고, 여성을 성적 대상화하는 방식으로 남근중심주의를 유지한다고 비판한다.[18]
멀비는 영화를 보면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관람 방식을 논한다. 영화를 보는 것은 무의식적으로 또는 반의식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전형적인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른바 "세 가지 시선"은 영화가 남근중심주의와 관련하여 어떻게 보여지는지 설명한다. 첫 번째 "시선"은 영화의 실제 사건을 기록하는 카메라를, 두 번째 "시선"은 관객이 영화 자체를 시청하는 행위를, 마지막으로 세 번째 "시선"은 영화 속 캐릭터 간의 상호작용을 지칭한다.[18]
이러한 행동들을 하나로 묶는 주된 아이디어는 "보기"는 일반적으로 남성의 적극적인 역할로 간주되는 반면, 보여지는 수동적인 역할은 즉시 여성적 특징으로 채택된다는 것이다. 멀비는 가부장제의 구조 아래에서 영화 속 여성은 욕망에 묶여 있고, 여성 캐릭터는 "강력한 시각적 및 에로틱한 영향을 위해 암호화된 외모"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여성 배우는 플롯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스토리 라인을 유지하는 캐릭터가 아니라, 남성 역할을 지원하고 성적 대상화의 부담을 지는 방식으로 영화에 삽입된다.[18]
4. 영화 제작 활동
멀비는 이론가이자 아방가르드 영화 제작자로 활동했다. 피터 윌렌과 함께 《펜테실레아: 아마존 여왕》, 《스핑크스의 수수께끼》 등 다수의 실험적인 영화를 공동 제작했다. 이들 영화는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여성의 경험과 정체성을 탐구하고, 기존 영화의 관습적인 문법을 해체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펜테실레아: 아마존 여왕》은 아마존 신화에 대한 멀비의 페미니즘적 글과 앨런 존스의 그림을 연결하려 했으며,[19] 남성적 환상, 상징적 언어, 남성에 대한 여성의 관계, 가부장적 신화와 같은 주제들을 다루었다.[20]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는 "모더니즘 형식"을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이론을 탐구하는 내러티브와 연결시켰으며,[19] 영화를 "여성의 경험을 표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0]
《AMY!》는 에이미 존슨에게 헌정하는 영화로, "공적 영역에서 성취를 위해 노력하는" 여성들이 남성적 세계와 여성적 세계 사이를 전환해야 한다는 주제를 다루었다.[20]
《수정 구슬》은 이전 영화보다 더 즉흥적인 영화 제작 방식을 보여주었으나, "페미니스트적 기반"이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20]
1991년, 멀비는 마크 루이스와 공동 연출한 《불명예스러운 기념비》로 영화 제작에 복귀했으며, 이 영화는 "공산주의 붕괴 이후 소련의 혁명 기념비의 운명"을 탐구한다.[20]
4. 1. 주요 작품
연도 | 제목 | 공동 연출 | 비고 |
---|---|---|---|
1974 | 펜테실레아: 아마존 여왕 | 피터 윌렌 | 아마존 신화를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재해석[19][20] |
1977 | 스핑크스의 수수께끼 | 피터 윌렌 | 여성의 억압과 해방을 다룬 영화로, 정신분석학적 이론을 영화 형식에 접목[19][20] |
1980 | AMY! | 피터 윌렌 | 여성 비행사 에이미 존슨의 삶을 통해 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한계를 탐구[20] |
1982 | 수정 구슬 | 피터 윌렌 | 즉흥적인 영화 제작 방식을 보여주었으나, "페미니스트적 기반"이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음[20] |
1982 | 프리다 칼로와 티나 모도티 | 피터 윌렌 | |
1982 | 나쁜 자매 | 피터 윌렌 | |
1991 | 불명예스러운 기념비 | 마크 루이스 | 소련 혁명 기념비의 운명을 다룬 다큐멘터리[20] |
참조
[1]
서적
Directors in British and Irish Cinema: A Reference Compan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9-07-25
[2]
웹사이트
Staff for 2008–09: Laura Mulvey
http://www.wellesley[...]
Newhouse Center for the Humanities, [[Wellesley College]]
[3]
서적
A Companion to Digital Humanities
http://www.digitalhu[...]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5-07
[4]
서적
A Companion to Women in the Ancient World
Wiley
2012
[5]
서적
Three Essays on the Theory of Sexuality
Basic Books
1962
[6]
서적
Encyclopedia of Identity
SAGE Publications
2010
[7]
서적
Feminist Cinema and Film Theory
1998
[8]
간행물
Some reflections on the ego
1953
[9]
서적
What Meets the Eye: Feminist Film Studies in Buikema, Rosemarie (ed.), Women's Studies and Culture. A Feminist Introduction to the Humanities
1995
[10]
서적
Film Theory: An Introduction Through the Senses
New York: Routledge
2010
[11]
서적
The difficulty of difference: psychoanalysis, sexual difference, & film theory
New York: Routledge
1991
[12]
서적
Watching the Detectives
The Women’s Press Limited
1988
[13]
서적
Is Gender Fluid?: A Primer for the 21st Century
Thames & Hudson
2018
[14]
서적
Black Looks: Race and Representation
South End Press
1992
[15]
서적
Death 24 x a second: stillness and the moving image
Reaktion Books
[16]
서적
Death 24 x a second: stillness and the moving image
Reaktion Books
[17]
서적
Women Writing and Writing about Women
[18]
학술지
Visual pleasure and narrative cinema
1975-Autumn
[19]
서적
The British Avant-Garde Film, 1926–1995: An Anthology of Writing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Luton Press
[20]
웹사이트
BFI Screenonline: Mulvey, Laura (1941–) Biography
http://www.screenonl[...]
2016-03-04
[21]
웹인용
Staff for 2008–09: Laura Mulvey
http://www.wellesley[...]
Newhouse Center for the Humanities, [[Wellesley Colle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