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마 공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 공국은 7세기 후반 동로마 제국의 지배력이 약화된 이탈리아에서 교황이 세력을 확장하며 형성된 지역이다. 321년 기독교 공인 이후 교회의 재산이 증가하고, 6세기 동로마 제국의 이탈리아 재정복 실패, 그리고 교황의 세속적 권한 강화 과정을 거쳐 로마 공국이 성립되었다. 8세기 초 롬바르드족의 침입으로 동로마 제국의 통제가 약화되었고, 교황은 프랑크 왕국에 도움을 요청했다. 751년 롬바르드족이 라벤나 총독부를 함락시키면서 동로마 제국의 지배가 끝나고, 교황은 프랑크 왕국의 피핀 3세의 지원을 받아 교황령을 건설했다. 로마 공국은 초기에는 총독이, 이후에는 교황이 임명한 공작이 다스렸으며, 778-81년경 공작 직위가 사라진 후 교황청 관리들이 그 역할을 대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치오주의 역사 - 밀비우스 다리 전투
    312년 10월 28일에 콘스탄티누스 1세가 막센티우스를 상대로 밀비우스 다리 인근에서 승리한 전투는 로마 제국 내전의 전환점이 되어 콘스탄티누스가 서로마 제국의 지배권을 확보하고 기독교 공인의 길을 열었다.
  • 라치오주의 역사 - 플라미니아 가도
    플라미니아 가도는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가 건설한 로마의 주요 도로로, 로마와 아드리아 해 연안을 연결하며 군사적 확장과 무역에 기여했고, 현재는 SS 3번 국도로 이용되고 있다.
  • 동로마 제국의 속주 - 폰토스
    폰토스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아나톨리아 북동부 지역을 부르던 지명으로, 폰토스 왕국이 세워진 후 로마 공화정과 세 차례의 전쟁 끝에 멸망하고 비티니아 폰토스 속주가 되었다.
  • 동로마 제국의 속주 - 아이깁투스
    아이깁투스는 기원전 30년부터 7세기까지 로마 제국의 속주로서 곡물 공급지 역할을 했으나, 제국의 혼란, 반란, 외세 침략, 종교 갈등을 겪으며 7세기 이슬람 제국에 합병되었다.
  • 교황령 - 파엔차
    파엔차는 이탈리아 라벤나현 남서부에 위치한 코무네로, 에밀리아 가도 상의 이몰라와 포를리 사이에 있으며, 마욜리카 도자기 생산, 역사적 건축물, 자연 명소, 국제적인 도자기 행사 및 전통 축제로 유명하고, 모터스포츠 팀의 본거지이다.
  • 교황령 -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은 콘스탄티누스 1세가 교황에게 로마와 서방 제국을 넘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위조된 문서로, 교황권 강화에 이용되다가 르네상스 시대에 위조임이 밝혀졌다.
로마 공국
기본 정보
717년 동로마 제국 내의 로마 공국
717년 동로마 제국 내의 로마 공국
일반 명칭로마 공국
토착어 명칭로마자 표기: Dvcatvs Romanvs
그리스어:
정치
정치 체제공국
국가동로마 제국
수도로마
지도자 칭호공작
역사
시작7세기 후반
사건 시작설치
종료756년
사건 종료교황령의 설립
현재 국가
이전
선행 국가라벤나 총독부
계승
후행 국가교황령

2. 역사

321년 콘스탄티누스 1세기독교 규제를 철폐한 후, 교회는 부유한 신자들의 기부로 재산이 급증했다. 5세기 이탈리아 반도는 오도아케르, 동고트 왕국을 거쳐 교회와 교황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교황은 영적, 세속적 주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6세기 동로마 제국은 이탈리아 재정복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7세기에는 로마와 나폴리 등 일부 지역만 지배했다. 동로마의 통제력이 약화되면서 로마 주교(이후 교황)의 영향력이 커졌고, 로마 공국은 사실상 독립국처럼 되었다.

교황들은 동로마 황제에 맞서기도 했으며, 교황 그레고리오 2세는 레오 3세를 파문하기도 했다. 그러나 롬바르드족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동로마와 협력하기도 했다. 728년 수트리 기증 협정은 교황령 창건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후 로마 공국의 성립과 롬바르드족의 침입, 교황권 강화, 라벤나 총독부의 멸망과 피핀의 기증, 교황령의 성립과 발전 과정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로마 공국의 성립 (7세기 후반)

로마 공국의 정확한 성립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7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 동로마 제국의 행정 구역 개편 과정에서 로마를 중심으로 한 공국이 형성되었다.[1] 초기에는 동로마 황제가 임명한 공작(Dux)이 라벤나 총독의 지휘를 받아 통치했다.[1] 총독령 내에서 주요 두 지역은 라벤나 주변 지역과 로마 공국이었다. 로마 공국은 테베레강 북쪽의 남부 에트루리아라티움 지역을 가릴리아노강까지 포괄했다(단, 카시눔과 아퀴눔 제외).[2]

2. 2. 롬바르드족의 침입과 교황권 강화 (8세기 초)

728년 롬바르드 왕 리우트프란트는 페루자로 가는 길목에 있는 수트리 성을 점령했지만, 교황 그레고리오 2세의 간청으로 "복된 사도 베드로와 바울에게 선물"로 돌려주었다.[3] 이를 교황령의 시작으로 보기도 하지만, 당시 교황은 여전히 동로마 제국을 인정하고 있었고, 동로마 관리들도 로마에 있었다.[3] 그러나 이때부터 교황령이 건설될 아이디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교황은 롬바르드족에게 사도들의 수호성인을 언급하며 수트리 반환을 요청했고, 리우트프란트는 이에 설득되어 수트리를 기증했다.[3]

738년 롬바르드 공작 스폴레토의 트라사문드 2세가 갈레세 성을 점령하자, 교황 그레고리오 3세는 큰 돈을 지불하고 성을 돌려받았다.[4] 이후 교황은 리우트프란트에 대항하기 위해 트라사문드와 동맹을 맺으려 했다. 그러나 리우트프란트는 스폴레토를 정복하고 로마를 포위했으며, 블레라, 오르테, 보마르초, 아멜리아 등 네 개의 국경 요새를 점령했다.[4]

이에 교황은 739년 처음으로 프랑크 왕국에 도움을 요청했다. 투르 전투의 영웅인 샤를 마르텔에게 사도들의 무덤을 보호해달라고 간청했으나, 샤를 마르텔은 롬바르드족과의 관계 때문에 지원을 거절했다.[5]

교황 자카리아는 롬바르드족에 대한 정책을 변경하여 리우트프란드와 동맹을 맺었다. 741년 테르니를 방문하여 네 개의 성을 돌려받았고, 롬바르드족이 점령했던 영토도 회복했다. 또한 20년 평화 조약을 맺었다.[6] 롬바르드족이 라벤나를 공격했을 때, 라벤나 총독은 교황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자카리아의 설득으로 롬바르드족은 정복지의 대부분을 포기했다.[7]

2. 3. 라벤나 총독부의 멸망과 피핀의 기증 (8세기 중반)

751년 롬바르드족의 왕 아이스툴프가 라벤나 총독령을 함락시켰다. 교황 스테파노 2세는 아이스툴프와 외교 협상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이에 프랑크 왕국의 왕 피핀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8] 교황 자카리아의 재촉을 받은 피핀은 메로빙거 왕조의 실데릭 3세를 폐위하고 751년 왕위에 올랐다. 스테파노 2세는 나중에 피핀에게 '로마 총독'이라는 칭호를 주었다. 피핀은 754년756년에 프랑크군을 이끌고 이탈리아에 들어왔다. 756년 롬바르드족을 격파하고, 로마 공국의 영토와 라벤나 총독령에 속했던 일부 롬바르드족 영토를 교황령에 기증했는데, 이를 피핀의 기증이라고 부르며, 이는 교황령의 실질적인 시작이 되었다.[9]

피핀의 기증

2. 4. 교황령의 성립과 발전 (8세기 후반)

751년 총독부가 결국 롬바르드족에 의해 함락되었을 때, 로마 공국은 이론적으로는 아직 동로마 제국의 일부였지만, 실질적으로는 동로마 제국과 완전히 단절되었다. 교황 스테파노 2세는 롬바르드족에게 위협받지 않으려고 중립을 선언하였지만 실제로는 프랑크 왕국의 국왕 단신왕 피핀에게 지켜달라고 호소하였다. 교황 자카리아의 재촉을 받은 피핀은 메로빙거 왕조의 실데릭 3세를 폐위하고 751년 성 보니파시오에 의해 왕위에 올랐다. 스테파노 2세는 나중에 피핀에게 ''로마 총독''이라는 칭호를 주었다. 피핀은 754년756년에 프랑크군을 이끌고 이탈리아에 들어왔으며, 이보다 앞서 공국의 영토를 교황에게 기증하여 교황령을 설립하였다.

이후 781년 샤를마뉴는 교황이 속계의 주권자로서 다스릴 수 있는 영토의 범위를 성문화했다. 그리하여 로마 공국을 주축으로 라벤나, 베네벤토, 토스카나, 코르시카, 롬바르디아 그리고 이탈리아 도시들의 상당수가 편입되면서 교황의 영토가 크게 넓어졌다. 800년 교황과 카롤링거 왕가 사이의 우호관계가 최고조에 이르렀을 때, 교황 레오 3세는 샤를마뉴를 “로마인들의 황제”로 임명하는 대관식을 거행하였다.

3. 로마 공국의 공작

로마 공국의 공작(두스, dux)은 라벤나 총독에 복종하였으며, 초기에는 총독이 임명하였으나 7세기 중반부터는 교황이 임명하였다.[1] 778년에서 781년경 로마 공작 직위가 사라진 이후에도 교황청 관리들 중에서 공작으로 언급되는 인물들이 나타나는데, 이들은 로마 공작의 후계자일 수 있다.[17][18]

이름재임 기간비고
베드로–725[10]
마리누스725– [11]
스테파노743년경 활동[12]
토토767–68[13]
그라티오수스769–72[14]
요한772– [15]
테오도르772×95년경 활동[16]
레오니누스772×95년경 활동[17]교황청 관리
세르기우스815년[18]교황청 관리


3. 1. 초기 공작 (7세기 후반 ~ 8세기 초)

7세기 중반부터 교황이 총독을 통해 로마 공작을 임명했다.[10]

초기 로마 공작은 다음과 같다:

  • 베드로 (–725)[10]
  • 마리누스 (725– )[11]
  • 스테파노 (활동 743)[12]
  • 토토 (767–68)[13]
  • 그라티오수스 (769–72)[14]
  • 요한 (772– )[15]
  • 테오도르 (활동 772×95)[16]

3. 2. 교황 임명 공작 (8세기)

공작은 초기에 총독이 임명했지만, 7세기 중반부터는 교황이 임명했다.[10]

이름재임 기간
베드로–725[10]
마리누스725– [11]
스테파노743년경 활동[12]
토토767–68[13]
그라티오수스769–72[14]
요한772– [15]
테오도르772×95년경 활동[16]


3. 3. 교황청 관리 (8세기 후반 ~ 9세기 초)

로마 공작 직은 778년에서 781년 사이에 사라졌지만, 교황청 관리들 중 공작에 대한 언급이 간헐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들은 로마 공작의 후계자일 수 있다.[17][18]

  • 레오니누스 (772년경 ~ 795년경 활동)[17]
  • 세르기우스 (815년)[18]

4. 정치/사회

로마 공국은 7세기 후반에 수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로마의 ''두스''(dux)는 라벤나 총독에게 복종했다.[1] 로마 공국은 테베레강 북쪽의 남부 에트루리아라티움 지역을 가릴리아노강까지 포괄했다(단, 카시눔과 아퀴눔 제외).[2] 교황은 그곳에서 롬바르드족에 대한 반대를 이끌었다.[3]

로마 공국은 동로마 제국의 영토였으나, 교황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점차 독립적인 모습을 갖추었다. 교황과 총독은 롬바르드족을 제어하기 위해 협력하기도 했지만, 교황들은 외교를 통해 롬바르드족으로부터 로마를 지키는 역할을 했다.

롬바르드족의 침입은 로마 공국의 존립을 위협했지만, 동시에 교황의 권위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교황은 롬바르드 왕과 협상을 통해 영토를 돌려받기도 하고, 때로는 막대한 돈을 지불하여 성을 되찾기도 했다.

751년 롬바르드족이 라벤나 총독령을 함락시키자, 로마 공국은 동로마 제국에서 사실상 고립되었다. 교황은 프랑크 왕국에 도움을 요청했고, 단신왕 피핀은 군대를 이끌고 이탈리아로 와 롬바르드족을 격파하고 피핀의 기증을 통해 로마 공국 영토를 교황에게 기증하여 교황령을 성립시켰다.

4. 1. 동로마 제국과의 관계

로마 공국은 동로마 제국의 영토였으나, 교황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독립국과 같은 모습을 갖게 되었다. 6세기 동로마 제국은 이탈리아 재정복에 나섰으나 실패했고, 7세기에 이르러 동로마의 권위는 로마와 나폴리에 한정되었다. 이로 인해 로마 시에 대한 지배력이 약화되면서, 로마 주교(이후 교황으로 불림)는 이탈리아의 대지주로서 명성을 얻으며 점차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교황권에 대한 대중의 지지가 높아지면서 교황들은 동로마 황제의 뜻을 거스르기도 했다. 교황 그레고리오 2세는 동로마 황제 레오 3세를 파문하기도 했다. 그러나 교황과 총독은 롬바르드족을 제어하기 위해 협력하기도 했다. 교황들은 외교술을 통해 롬바르드족으로부터 로마를 지키는 역할을 했지만, 실제로는 롬바르드족을 달래는 데 더 집중했다.

728년 교황 그레고리오 2세와 롬바르드의 리우트프란트 간의 '수트리 기증' 협정은 교황령 창건의 결정적인 순간이 되었다.

4. 2. 롬바르드족과의 관계

롬바르드족의 침입은 로마 공국의 존립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였다. 728년 롬바르드 왕 리우트프란트는 페루자로 가는 길목에 있는 수트리 성을 점령했다. 이는 라벤나와 로마 사이의 연결을 끊어 로마 공국을 고립시킬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였다.[3] 롬바르드족은 스폴레토 공국과 베네벤토 공국 등 이탈리아 내 다른 영토와의 연결을 강화하기 위해 로마 공국을 지속적으로 공격했다.[2]

그러나 이러한 위협은 동시에 교황의 권위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교황 그레고리오 2세는 리우트프란트에게 간청하여 수트리를 "복된 사도 베드로와 바울에게 선물"로 돌려받았다.[3] 이는 교황이 롬바르드족과의 관계에서 단순한 종교적 지도자가 아니라, 정치적 협상력을 가진 존재임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738년, 롬바르드 공작 스폴레토의 트라사문드 2세가 갈레세 성을 점령하자, 교황 그레고리오 3세는 그에게 막대한 돈을 지불하여 성을 돌려받았다.[4] 이후 교황은 리우트프란트에 대항하기 위해 트라사문드와 동맹을 맺으려 했으나, 리우트프란드는 스폴레토를 정복하고 로마를 포위하며 로마 공국의 주요 요새들을 점령했다.[4]

이러한 상황에서 교황은 프랑크 왕국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당시 프랑크 왕국의 실권자였던 샤를 마르텔은 롬바르드족과의 관계 때문에 지원을 거부했다.[5]

교황 자카리아는 롬바르드족과의 관계에서 새로운 정책을 펼쳤다. 그는 리우트프란드와 동맹을 맺고, 직접 롬바르드 왕을 방문하여 점령지 반환과 평화 조약을 이끌어냈다.[6] 이는 교황이 롬바르드족과의 관계에서 주도권을 쥐고, 로마 공국의 안정을 위해 노력했음을 보여준다.

4. 3. 프랑크 왕국과의 관계

751년 롬바르드족이 라벤나 총독령을 함락시키자, 로마 공국은 동로마 제국에서 사실상 고립되었다. 교황 스테파노 2세는 중립을 선언했지만, 실제로는 프랑크 왕국의 단신왕 피핀에게 보호를 요청했다. 교황 자카리아의 설득으로 피핀은 메로빙거 왕조의 실데릭 3세를 폐위하고 왕위에 올랐으며, 스테파노 2세는 그에게 '로마 총독' 칭호를 부여했다.[8] 피핀은 754년756년에 군대를 이끌고 이탈리아로 와 롬바르드족을 격파하고, 피핀의 기증을 통해 로마 공국 영토를 교황에게 기증하여 교황령을 성립시켰다.[9] 이는 중세 시대 교황과 프랑크 왕국(이후 신성 로마 제국)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었다.

781년 샤를마뉴는 교황의 통치 영역을 명문화하여 라벤나, 베네벤토, 토스카나, 코르시카, 롬바르디아 등 이탈리아 여러 도시를 교황령에 편입시켰다. 800년 교황 레오 3세는 샤를마뉴에게 “로마인들의 황제” 대관식을 거행하며 양측의 우호 관계는 최고조에 달했다.

참조

[1] 서적 Transformations of Romanness De Gruyter 2018-07-09
[2] 문서
[3] 웹사이트 States of the Church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2
[4] 서적 Italy and her Invaders Clarendon Press 1895
[5] 서적 The Lives of the Popes in the Early Middle Ages 1914
[6] 간행물 Zachary, Pope and Confessor http://www.bartleby.[...] James Duffy
[7] 서적 The Popes and the Papacy in the Early Middle Ages, 476–752 Routledge 1979
[8] 웹사이트 Chapter XLIX: Conquest Of Italy By The Franks.—Part III. https://ccel.org/cce[...]
[9] 웹사이트 Frankpeople https://www.britanni[...]
[10] 서적 The Republic of St. Peter: The Birth of the Papal State, 680–825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4
[11] 서적 Republic of St. Peter
[12] 서적 Republic of St. Peter
[13] 서적 Republic of St. Peter
[14] 서적 Republic of St. Peter
[15] 서적 Republic of St. Peter
[16] 서적 Republic of St. Peter
[17] 서적 Republic of St. Peter
[18] 서적 Republic of St. Pe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