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마 제국의 멸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 제국의 멸망은 1964년에 개봉한 영화로, 오현제 시대의 마지막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통치 말기부터 그의 아들 콤모두스의 폭정으로 로마 제국이 쇠퇴하는 과정을 그린다. 영화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지만 극적인 재미를 위해 일부 내용을 각색했으며, 알렉 기네스, 크리스토퍼 플러머, 소피아 로렌 등이 출연했다. 앤서니 만이 감독을 맡았으며, 드미트리 티옴킨의 웅장한 음악은 호평을 받았다. 개봉 당시에는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재평가되었고, 영화 《글래디에이터》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세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센츄리온 (영화)
    센츄리온은 2010년 닐 마샬 감독이 제작하고 서기 117년 로마 제국과 픽트족 간의 전쟁을 배경으로 전멸 위기에 놓인 로마 제9군단의 백인대장 퀸투스 디아스가 생존을 위해 사투를 벌이는 액션 스릴러 영화로, 마이클 패스벤더, 올가 쿠릴렌코, 도미닉 웨스트 등이 출연했으며 스코틀랜드에서 촬영되었고 제9군단의 실종 설화를 바탕으로 액션과 스릴 넘치는 추격전을 특징으로 한다.
  • 2세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 - 글래디에이터 Ⅱ
    리들리 스콧 감독의 2024년 개봉 예정 영화 글래디에이터 Ⅱ는 2000년 영화 《글래디에이터》의 속편으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사후 부패한 황제 치하의 로마를 배경으로 검투사가 된 루시우스의 이야기를 다루며 폴 메스칼, 페드로 파스칼, 코니 닐센, 덴젤 워싱턴 등이 출연하고 파라마운트 픽처스가 배급을 맡는다.
  •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 - 글래디에이터: 로마 영웅 탄생의 비밀
    로마 제국 시대를 배경으로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고아가 된 티모가 도미티아누스 황제 통치 아래 키로네 장군에게 입양된 후 사랑을 위해 검투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 이탈리아 코미디 영화이다.
  •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카비리아
    《카비리아》는 조반니 파스트로네 감독, 가브리엘레 다눈치오 각본의 1914년 이탈리아 무성 영화로, 고대 로마와 카르타고를 배경으로 소녀 카비리아의 모험과 사랑을 그리며 트래킹 샷을 대중화한 작품이다.
  •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 마르쿠스 안니우스 리보 (161년 집정관)
    마르쿠스 안니우스 리보는 히스파니아 출신의 로마 가문으로 161년 집정관을 지냈으며, 시리아 속주 총독으로 파르티아 원정을 지원하다 루키우스 베루스와의 갈등으로 사망하여 독살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 도미티아 칼빌라
    도미티아 칼빌라는 로마 제정 시대의 부유한 귀족 여성으로, 훗날 황제가 되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어머니이며, 테베레 강 인근 벽돌 공장 운영과 자녀 양육,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후원 등 로마 사회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로마 제국의 멸망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리지널 극장 개봉 포스터, [[레나토 프라티니]] 그림
오리지널 극장 개봉 포스터, 레나토 프라티니 그림
원제The Fall of the Roman Empire
감독앤서니 만
제작사무엘 브론스톤
각본벤 바즈만, 바실리오 프란키나, 필립 요르단
출연소피아 로렌, 스티븐 보이드, 알렉 기네스, 제임스 메이슨, 크리스토퍼 플러머, 존 아일랜드, 멜 페러, 오마 샤리프, 앤서니 퀘일
음악디미트리 티옴킨
촬영로버트 크라스커
편집로버트 로렌스
제작사사무엘 브론스톤 프로덕션
배급사파라마운트 픽쳐스, 컬럼비아 픽쳐스
개봉일1964년 3월 24일 (영국), 1964년 3월 26일 (미국), 1964년 7월 18일 (일본)
상영 시간185분
제작 국가미국
언어영어
제작비1600만 달러
흥행 수익480만 달러 (미국)
기술 정보
면적92,000 제곱미터

2. 역사적 배경

영화 《로마 제국의 멸망》은 서기 180년, 로마 제국의 오현제 시대를 마감하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통치 말기를 배경으로 한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스토아 철학에 깊이 심취하여 『명상록』을 저술한 철학자 황제로 알려져 있으며, 영화 시작 시점에는 북방 도나우강 국경 지대에서 게르만족의 침입을 막기 위한 마르코만니 전쟁을 힘겹게 이끌고 있었다.[1][2]

당시 병세가 깊었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제국의 안정과 개혁을 이어갈 후계자를 신중히 모색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모든 신민에게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는 이상적인 통치를 꿈꿨으나, 친아들인 코모두스는 이러한 아버지의 기대와는 거리가 있었다. 영화에서는 아우렐리우스가 코모두스 대신 다른 인물을 후계자로 고려하다가 코모두스 측근에 의해 독살당하는 것으로 그려지지만, 이는 극적인 설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 참조)

아우렐리우스 사후, 그의 아들 코모두스가 황제 자리에 올랐다. 아버지와는 달리 사치와 향락을 즐기고 권위적인 통치를 선호했던 코모두스는 아우렐리우스가 추구했던 정책 방향을 뒤집었다. 그는 로마 속주에 과중한 세금을 부과하여 수도 로마를 부유하게 만드는 데 집중했으며, 이는 제국 전역의 불만을 가중시키고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켰다. 이러한 코모두스의 통치는 로마 제국이 점차 쇠퇴의 길로 접어드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영화는 이러한 역사적 전환기를 배경으로 권력 투쟁과 제국의 혼란상을 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당시 로마 제국은 게르만족과의 국경 분쟁뿐만 아니라, 아르메니아를 비롯한 동부 속주의 불안정 문제에도 직면해 있었다.

2. 1.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

영화는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지만, 극적인 재미를 위해 여러 부분을 각색하였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죽음: 영화에서는 황제가 코모두스의 측근들에게 독살당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역사적으로는 180년 마르코만니 전쟁 중 진중에서 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영화 속 암살 설정은 후계 구도를 둘러싼 갈등을 극대화하기 위한 장치로 보인다.
  • 코모두스 황제의 출생: 영화에서는 코모두스가 부황 아우렐리우스의 친아들이 아니라, 어머니 파우스티나가 과거 애인이었던 검투사와의 사이에서 낳은 사생아라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이는 역사적 사실과 다르며, 코모두스의 성격과 행동에 대한 극적인 설명을 부여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 루킬라의 설정:
  • 나이 및 관계: 역사적으로 루킬라는 코모두스보다 10살 이상 많은 누나였으며, 부황 아우렐리우스와 공동 황제였던 루키우스 베루스와 사별한 후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와 재혼한 기혼 여성이었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코모두스와 나이 차이가 크지 않은 미혼 여성으로 등장하며, 가상의 인물인 리비우스의 연인으로 그려진다.
  • 정략결혼: 영화에서 루킬라가 아르메니아 국왕 소하에무스와 정략결혼을 하는 에피소드는 허구이다.
  • 암살 시도: 역사적으로 루킬라는 자신의 두 번째 남편인 폼페이아누스를 황위에 앉히기 위해 동생 코모두스 암살 음모를 꾸몄다가 발각되었다. 영화에서는 이러한 정치적 야심보다는 압정에 대한 의분으로 루킬라가 직접 동생을 죽이려 하는 것으로 각색되었다.
  • 최후: 실제 루킬라는 암살 미수 사건 이후 카프리섬으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사망했지만, 영화에서는 코모두스가 죽은 후에도 살아남는 것으로 그려진다. 역사적으로 코모두스가 암살된 것은 루킬라가 죽고 약 10년 후인 192년이다.
  • 코모두스 황제의 최후: 역사적으로 코모두스는 12년간 황제로 재위하다가 192년 12월 31일, 근위대장 퀸투스 아이밀리우스 라이투스와 시종장 에클렉투스 등이 공모한 암살 계획에 의해 살해당했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재위 기간이 훨씬 짧게 묘사되며, 누나 루킬라의 암살 시도 직후 옛 친구 리비우스와의 검투 대결에서 패배하여 사망하는 것으로 극화되었다.


이러한 각색은 등장인물 간의 관계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로마 제국의 몰락이라는 주제를 극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의도로 볼 수 있다.

3. 주요 등장인물

배역배우설명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알렉 기네스로마 제국의 황제. 철학적인 통치자로 제국의 평화와 안정을 추구한다.
코모두스크리스토퍼 플러머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아들이자 후계자. 아버지와 달리 권력욕에 눈이 멀어 폭정을 일삼는다.
리비우스스티븐 보이드로마 군대의 장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신임을 받으며 코모두스와 대립하고 제국을 바로 세우려 노력한다.
루실라소피아 로렌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딸이자 코모두스의 누이. 리비우스와 연인 관계이며 제국의 운명을 함께 고민한다.
티모니데스제임스 메이슨그리스 출신의 철학자이자 전 노예.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측근으로 제국의 개혁을 꿈꾼다.
베룰루스앤서니 퀘일코모두스의 부하이자 전 검투사.
클레안데르멜 페러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눈먼 시종.
소하에무스오마 샤리프아르메니아의 왕. 루실라와의 정략 결혼을 받아들인다.
발로마르존 아일랜드야만족 족장.
율리아누스에릭 포터로마의 장군.
페스케니우스 니게르더글러스 윌머로마의 장군.
폴리비우스앤드루 키어로마의 관리.
빅토리누스조지 머셀리비우스의 부관.


4. 줄거리

180년 겨울, 로마 제국의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북방 게르만족과의 마르코만니 전쟁 중 병상에 눕는다. 그는 아들 코모두스 대신 유능하고 정직한 장군 가이우스 리비우스를 후계자로 삼아 제국을 개혁하고자 했으나, 계획을 밝히기 전 코모두스 측근에 의해 독살당한다. 리비우스는 평민 출신이라는 한계와 혼란을 우려해 코모두스에게 제위를 양보한다.

황제가 된 코모두스는 아버지의 평등주의 정책을 폐기하고 속주에 대한 수탈을 강화하며 폭정을 시작한다. 한편 리비우스는 게르만족을 격파한 뒤, 철학자 티모니데스와 황제의 딸 루킬라의 설득으로 포로가 된 게르만족에게 자비를 베풀어 로마 원로원의 허락 하에 이탈리아에 정착시킨다. 이에 불만을 품은 코모두스는 리비우스를 북부 국경으로 보내고, 루킬라를 로마 아르메니아로 보내 정략결혼시킨다.

코모두스의 가혹한 세금 정책은 동부 속주의 반란을 유발하고, 코모두스는 리비우스에게 진압을 명령한다. 리비우스는 반란군과 싸우던 중 파르티아 제국과 연합한 아르메니아 군대의 공격을 받지만, 오히려 반란군과 힘을 합쳐 이를 격퇴한다. 코모두스는 리비우스를 공동 황제로 삼으려 하지만, 반란 속주에 대한 가혹한 처벌을 조건으로 내걸자 리비우스는 이를 거부하고 코모두스를 몰아내기 위해 로마로 진군한다.

로마에서 코모두스는 군대를 매수하고 게르만 정착민과 티모니데스를 학살하는 등 폭정을 이어간다. 루킬라는 코모두스 암살을 시도하지만 실패하고, 리비우스마저 코모두스에게 사로잡힌다. 코모두스는 축제에서 리비우스에게 자신과의 일대일 결투를 제안하고, 격투 끝에 리비우스에게 죽임을 당한다.

황제의 자리가 비었지만, 리비우스는 부패한 로마 정치에 환멸을 느끼고 황제 자리를 거부한다. 그는 권력을 탐하는 원로원 의원들과 군인들을 뒤로하고 루킬라와 함께 로마를 떠난다. 이러한 내부 분열과 부패는 결국 서로마 제국의 멸망으로 이어졌음을 암시한다.

4. 1. 권력의 암투와 제국의 위기

180년 겨울, 로마 제국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는 마르코만니 전쟁 중 병상에 누워 있었다. 그는 제국의 북쪽 국경인 도나우강을 침략한 게르만족을 막기 위해 싸우고 있었다. 황제의 측근으로는 전 노예 출신 그리스인 티모니데스와 강직한 장군 가이우스 리비우스가 있었다. 아우렐리우스는 개인적으로 모든 신민에게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는 평등주의적 이상을 품고 제국을 개혁할 후계자를 원했다. 그는 자신의 아들 코모두스가 무력 통치를 선호하여 후계자로서 부적합하다고 여겼다. 대신 황제는 코모두스의 가장 가까운 친구이자 자신의 딸 루킬라의 연인이기도 한 리비우스를 후계자로 지명하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아우렐리우스가 자신의 계획을 발표하기도 전에, 코모두스의 측근들이 황제를 독살했다. 이들은 코모두스를 황위에 올려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확보하려 했다. 리비우스는 자신이 평민 출신이기에 아우렐리우스의 명확한 지명 없이는 황제로 인정받기 어려울 것이라 판단하고, 옛 친구인 코모두스가 황제 자리에 오르도록 양보했다. 코모두스는 아버지의 암살 음모에 직접 가담하지는 않았지만, 자신을 후계자에서 배제하려 했던 아버지에 대한 증오심을 품고 있었다. 황제가 된 코모두스는 아우렐리우스가 추진하려던 모든 평등주의 정책을 폐지하고, 로마 속주로부터 막대한 세금을 거두어 로마 시를 부유하게 만드는 데 집중했다. 이는 제국의 분열과 위기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한편, 리비우스는 군대를 이끌고 국경에서 게르만족을 성공적으로 격퇴했다. 포로 중에는 추장 발로마르와 그의 측근들도 있었다. 티모니데스와 루킬라는 리비우스에게 정복된 이들에게 자비를 베풀어 아우렐리우스의 평화적 유산을 이어가도록 설득했다. 티모니데스는 신판 의식을 통과하여 게르만족의 신뢰를 얻었고, 게르만족은 로마 원로원의 결정에 따르기로 동의했다. 코모두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리비우스와 티모니데스는 원로원을 설득하여 게르만족 포로들이 이탈리아 땅에서 평화롭게 농사를 지으며 정착할 수 있도록 허락받았다. 이는 다른 게르만 부족들이 로마와 싸우는 대신 협력하도록 장려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에 불만을 품은 코모두스는 리비우스를 북부 국경으로 멀리 보내고, 자신의 누이인 루킬라를 로마 아르메니아로 보내 소하에무스 왕과 사랑 없는 정략결혼을 하도록 조치했다. 이후 코모두스의 가혹한 세금 정책으로 인해 기근이 심화된 로마의 동부 속주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코모두스는 리비우스가 개인적인 감정을 접어두고 제국의 통일을 위해 싸울 것이라 믿고, 그에게 북부 군대를 이끌고 반란을 진압하도록 명령했다. 이는 리비우스를 더욱 깊은 권력 투쟁의 소용돌이와 제국의 위기 속으로 몰아넣는 계기가 되었다.

4. 2. 야만족과의 전쟁과 로마의 분열

로마 제국은 오현제 시대에 이르러 영토 확장의 한계에 부딪혔다. 북방의 게르만족과 동쪽의 파르티아는 여전히 로마의 지배를 거부하고 있었다.

병상에 있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는 아들 코모두스의 자질 부족을 우려하여 유능한 장군 리비우스에게 제위를 물려주고자 했다. 속령 총독과 종속 왕들을 모아 제국 내외의 융화를 강조했으나, 후계자를 공식 지명하기 전 암살당했고, 관례에 따라 코모두스가 황제가 되었다. 리비우스는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코모두스 황제의 가혹한 통치와 수탈에 반발한 게르만 부족(영화 '로마 제국의 멸망'에서는 '바바리아'로 묘사됨)이 로마 침공을 시도했으나, 철학자 티모니데스의 설득으로 중단하고 포로가 되었다. 로마 원로원에서는 이들을 섬멸하자는 주장과 융화 정책을 펴자는 리비우스의 주장이 맞섰고, 결국 리비우스의 의견이 채택되어 융화책이 실행되었다.

한편, 동방 속주와 왕국들은 코모두스의 과도한 세금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리비우스는 군대를 이끌고 동쪽으로 가 파르티아와 연합한 반란군을 격파했다. 이 과정에서 아르메니아 왕(선황제의 딸 루실라의 남편)도 전사했다. 코모두스는 리비우스에게 제국 공동 통치를 제안했으나 거절당했고, 리비우스는 군대를 이끌고 수도 로마로 향했다.

수도 로마는 동방 식량 공급 중단과 역병으로 고통받았다. 이때 게르만 부족이 도움을 제안했으나, 코모두스는 오히려 이들을 습격하여 학살하고 티모니데스마저 살해하는 야만적인 행위를 저질렀다. 분노한 루실라는 코모두스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리비우스는 로마로 돌아와 코모두스를 설득하려 했으나, 이미 원로원과 군대는 코모두스에게 매수된 상태였다. 결국 리비우스와 루실라는 사로잡혔다. 코모두스는 축제에서 리비우스에게 자신과의 결투 기회를 주었으나, 리비우스가 승리하여 코모두스를 처단했다. 그러나 화형당하던 게르만 부족은 로마에 대한 복수를 맹세하며 죽어갔다. 원로원은 리비우스를 황제로 추대하려 했지만, 그는 부패한 권력 구조를 비판하며 이를 거절하고 루실라와 함께 떠났다. 이러한 내부 분열과 외부와의 계속된 갈등은 로마 제국의 쇠퇴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4. 3. 코모두스의 몰락과 제국의 운명

루킬라는 코모두스가 부과한 과도한 세금으로 기근이 심화된 로마 제국의 동부 속주에서 일어난 반란에 가담한다. 코모두스는 리비우스가 개인적인 감정보다 제국의 통일을 우선시할 것이라 믿고, 그에게 북부 군단을 이끌고 반란을 진압하도록 명령한다. 그러나 리비우스의 군대가 반란군과 대치하려는 순간, 아르메니아의 왕 소하에무스가 로마의 숙적인 파르티아 제국에서 빌린 병력과 함께 나타나 리비우스를 공격한다. 상황이 급변하자, 동부 속주의 반란군은 파르티아 군대에 맞서 싸우기로 결정하고 리비우스와 힘을 합쳐 소하에무스를 격파한다.

전투에서의 공을 인정하여 코모두스는 리비우스를 공동 황제로 삼겠다고 제안하지만, 반란에 가담했던 속주민들에게 가혹한 처벌을 내릴 것을 조건으로 내건다. 리비우스는 이 잔인한 요구를 거부하고, 루킬라와 함께 군대를 이끌고 코모두스를 몰아내기 위해 로마로 진군한다. 이에 코모두스는 막대한 돈으로 군대의 충성심을 사고, 철학자 티모니데스와 게르만족 정착민들을 학살하는 폭정을 자행한다.

궁지에 몰린 루킬라는 코모두스의 검투사 경호원 베루루스에게 접근하여 오빠를 암살해달라고 부탁한다. 그러나 베루루스는 자신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아내와 관계하여 낳은 코모두스의 친아버지임을 고백하며 거절한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코모두스는 격분하여 베루루스를 직접 살해한다.

한편, 로마 원로원은 코모두스를 신으로 선포하고, 리비우스와 루킬라를 산 채로 불태워 인신공양 제물로 바치기로 결정한다. 로마 시민들은 술에 취해 축제를 벌인다. 코모두스는 과거의 우정을 내세우며 리비우스에게 황제의 자리를 놓고 일대일 결투를 제안한다. 두 사람은 로마 포룸에서 필룸(투창)을 들고 격돌하고, 치열한 싸움 끝에 리비우스가 코모두스를 찔러 죽인다.

코모두스가 죽자 리비우스는 황제가 될 수 있었으나, 부패하고 타락한 로마를 개혁할 수 있다는 희망을 잃었다. 그는 코모두스의 옛 측근들이 서로 군대의 환심을 사기 위해 뇌물을 뿌리며 황제의 자리를 놓고 다투는 혼란스러운 모습을 뒤로하고 루킬라와 함께 로마를 떠난다. 영화의 에필로그는 로마 제국이 당장 멸망하지는 않았지만, 내부의 부패로 인해 결국 서로마 제국의 멸망이라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되었음을 암시하며 마무리된다.

5. 제작 과정

영화의 배역은 모드 스펙터가 담당했다.

개봉 전, 칼럼니스트 헤다 호퍼는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이 아름답고 정직하며 훌륭하게 만들어진 영화는 수백만 달러를 벌어들일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예측했다.[2] 영화는 1964년 3월 24일 런던 아스토리아에서 월드 프리미어 상영회를 가졌으며, 이곳에서 70주 동안 상영되는 기록을 세웠다. 이틀 뒤인 3월 26일에는 드밀 극장에서 뉴욕 시사회가 열렸다.[23] 같은 해 4월, 영화는 1964년 칸 영화제에 비경쟁 부문으로 초청되어 상영되었다. 당시 소피아 로렌은 특별 손님으로 초대되어 전차를 타고 시사회장에 등장하기도 했다.[24]

5. 1. 기획 및 각본

영화 《로마 제국의 멸망》에 대한 아이디어는 안소니 만 감독이 엘 시드 (1961) 연출을 마친 직후 시작되었다. 그는 런던의 해처즈 서점에서 에드워드 기번의 6권짜리 시리즈 《로마 제국 쇠망사》 축약본을 발견하고 읽은 뒤 영감을 얻었다. 만 감독은 마드리드로 가는 비행기에서 이 책을 읽고 다음 프로젝트로 이 영화를 구상하게 되었고, 현지에서 제작자 사무엘 브론스톤에게 이 아이디어를 제안하여 동의를 얻었다.[4][5]

1961년 7월, 브론스톤은 《뉴욕 타임스》를 통해 《로마 제국의 멸망》이 자신의 다음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로마에서의 현지 촬영 대신 마드리드에 자체적인 '로마' 세트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필립 요르단이 각본을 맡고, 찰턴 헤스턴에게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역을 제안했다고 언급했다.[6]

같은 해 9월, 브론스톤은 만 감독이 연출하고 헤스턴이 주연을 맡는 《로마 제국의 멸망》을 포함하여 스페인에서 역사 대작 3부작을 제작할 계획임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초기 촬영 시작일은 1962년 2월로 예정되었다.[7] 그러나 몇 달 뒤인 12월, 헤스턴은 필립 요르단이 쓴 각본에 만족하지 못했다. 마드리드에서 열린 《엘 시드》 시사회에서 헤스턴은 브론스톤의 동료 마이클 와진스키에게 《로마 제국의 멸망》 프로젝트에 참여할 의사가 없음을 전달했다. 이후 로스앤젤레스로 돌아가는 비행기에서 헤스턴은 니콜라스 레이 감독으로부터 《베이징 55일》 (1963) 출연 제안을 받았다. 결국 《로마 제국의 멸망》 프로젝트는 잠시 보류되었고, 《베이징 55일》이 먼저 제작에 들어가게 되었다.

영화의 최종 각본은 벤 바즈먼, 바실리오 프란키나, 필립 요르단 세 명이 공동으로 집필했다.

5. 2. 캐스팅

영화 《로마 제국의 멸망》의 아이디어는 안소니 만 감독이 엘 시드 (1961) 연출 직후 떠올렸다. 그는 런던 해처즈 서점에서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 제국 쇠망사》 축약본을 발견하고 다음 프로젝트로 구상했다. 사무엘 브론스톤 제작자에게 제안하여 동의를 얻었다.[4][5] 1961년 7월, 브론스톤은 《뉴욕 타임스》를 통해 《로마 제국의 멸망》 제작 계획을 밝혔고, 필립 요르단이 각본을 맡고 찰턴 헤스턴에게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역을 제안했다고 언급했다.[6]

그러나 1961년 12월, 헤스턴은 각본에 만족하지 못했고, 결국 《로마 제국의 멸망》 출연 제의를 거절했다. 대신 그는 니콜라스 레이 감독의 《베이징 55일》 (1963)에 출연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로마 제국의 멸망》 제작은 잠시 보류되었다.

최종적으로 확정된 주요 출연진은 다음과 같다.

배역배우
리비우스스티븐 보이드
루실라소피아 로렌
코모두스크리스토퍼 플러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알렉 기네스
티모니데스제임스 메이슨
클레안데르멜 페러
아르메니아 왕 소하에무스오마 샤리프
베룰루스앤서니 퀘일
발로마르존 아일랜드
율리아누스에릭 포터
원로원 의원핀레이 커리
폴리비우스앤드루 키어
페스케니우스 니게르더글러스 윌머
빅토리누스조지 머셀
버질리아누스노먼 울랜드


5. 3. 촬영 및 미술

영화 《로마 제국의 멸망》의 아이디어는 안소니 만 감독이 엘 시드 (1961) 연출을 마친 직후 시작되었다. 그는 런던의 해처즈 서점에서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 제국 쇠망사》 축약본을 발견하고 마드리드로 가는 비행기에서 읽은 후, 제작자 사무엘 브론스톤에게 이 아이디어를 제안하여 동의를 얻었다.[4][5]

1961년 7월, 브론스톤은 뉴욕 타임스를 통해 《로마 제국의 멸망》이 다음 프로젝트가 될 것이며, 로마에서의 현지 촬영 대신 마드리드 외곽에 거대한 '로마' 세트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영원한 도시가 제국 멸망 당시의 모습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6] 초기 각본은 필립 요르단이 맡았고, 찰턴 헤스턴에게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역이 제안되었다.[6]

1961년 9월, 브론스톤은 만 감독과 헤스턴 주연으로 하는 역사 대작 3부작의 일부로 《로마 제국의 멸망》 제작을 공식 발표했으며, 초기 촬영 예정일은 1962년 2월이었다.[7] 영화의 핵심인 로마 포룸 세트 재현을 포함한 미술 디자인은 베니에로 콜라산티와 존 무어가 감독했다. 미술 감독과 의상 디자인은 존 무어가 맡았고, 의상 디자인에는 베니에로 콜라산티도 참여했다. 그러나 헤스턴은 요르단의 영화 각본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마드리드에서 열린 《엘 시드》 (1961) 시사회에서 헤스턴은 브론스톤의 동료인 마이클 와진스키에게 《로마 제국의 멸망》에 관심이 없다고 전했고, 이후 《베이징 55일》 (1963) 제작이 우선되면서 《로마 제국의 멸망》을 위해 준비되던 정교한 세트는 철거되고 《베이징 55일》의 자금성 세트로 대체되었다.

액션 장면 연출을 포함한 세컨드 유닛 감독(조연출)은 야키마 카너트가 맡았다.

영화는 2.76:1 화면비의 울트라 파나비전 70 방식으로 촬영되었으나,[25] 실제 상영 시에는 이 형식이 사용되지 않았다. 70mm 로드쇼 상영에서는 2.20:1 화면비로, 이후 35mm 일반 개봉 시에는 2.35:1 화면비로 상영되었다. 영화의 원래 상영 시간은 서곡, 인터미션, 퇴장 음악을 포함하여 185분이었지만, 일반 개봉을 위해 약 30분이 편집되었다.

6. 음악

드미트리 티옴킨이 작곡한 영화 음악은 150분이 넘는 길이로, 이 영화의 주목할 만한 특징 중 하나이다. 음악은 총 130명으로 구성된 대규모 오케스트라와 성당 오르간의 중요한 파트를 포함하여 작곡되었다. 일부 음악은 그 자체로 확장된 구성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모든 로마 속주 총독을 소환하는 장면에 사용된 "팍스 로마나(Pax Romana)"는 크리스토퍼 파머가 그의 저서 ''할리우드의 작곡가''에서 행진곡이라고 언급했지만, 실제로는 볼레로 스타일이다.

다른 주목할 만한 곡으로는 새로 황제가 된 코모두스의 개선 행진을 위한 "로마 포럼", 발로마르 군대의 공격 장면을 위한 타악기 중심의 스케르초("발로마르의 야만족 공격"), 그리고 리비우스와 코모두스의 검투 시합 전날 밤 로마 군중이 춤추는 장면의 타란텔라(티옴킨의 스승인 페루초 부소니의 피아노 협주곡 타란텔라 악장을 모델로 삼았을 가능성이 있다) 등이 있다.

음악 녹음은 로열 앨버트 홀에서 진행되었으며, 음악 편집은 에리히 볼프강 코른골트의 아들인 조지 코른골드가 맡았다. 영화 개봉에 맞춰 컬럼비아 레코드에서 사운드트랙 앨범이 발매되었다.

이 영화의 음악은 웅장하고 서사적인 분위기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제22회 골든 글로브상 작곡상을 수상했다.

'''사운드트랙'''

번호제목길이
1팡파르와 장식 (Fanfares and Flourishes)0:53
2서곡 (Overture)2:45
3사랑의 몰락 (The Fall of Love)2:37
4루킬라의 슬픔 (Lucilla's Sorrow)1:49
5발로마르의 야만족 공격 (Ballomar's Barbarian Attack)1:42
6아침 (Morning)1:08
7심오 (Profundo)2:38
8야상곡 (Notturno)2:03
9팍스 로마나 (볼레로) (Pax Romana (Bolero))5:20
10예언 (The Prophecy)1:10
11페르시아 전투 (Persian Battle)2:06
12사랑의 새벽 (Dawn of Love)2:23
13로마 포럼 (The Roman Forum)4:51
14주피터 신의 이름으로 ("승리와 파트 1의 끝") (By Jove ("Triumph and End of Part 1"))0:41
15간주곡: 리비우스와 루킬라 ("사랑의 몰락 막간") (Intermezzo: Livius and Lucilla ("The Fall of Love Intermission"))2:21
16안녕 (Addio)1:58
17타란텔라 (Tarantella)2:20
18부활 (Resurrection)2:56
19로마의 멸망 (The Fall of Rome)2:14
20북부 변경의 새벽 ("아우렐리우스는 새벽을 기다린다") (Dawn on the Northern Frontier ("Aurelius Awaits Dawn"))2:18
21리비우스의 도착 (Arrival of Livius)1:03
22오랜 지인 "루킬라와 리비우스" (Old Acquaintances "Lucilla and Livius")4:33
23미끼 순찰 ("행진 신호") (Decoy Patrol ("The Signal to March"))1:00
24숲속의 전투/ 증원군 ("야만족 매복 1 & 2") (Battle in the Forest/Reinforcements ("Barbarian Ambush 1 & 2"))3:51
25동굴에서의 갈등 ("발로마르의 야만족 공격 파트 2") (Conflict in the Caverns ("Ballomar's Barbarian Attack Part 2"))1:47
26불을 넘겨주기 (Passing the Torch)2:30
27군대가 로마에 진입하다/ 새로운 신/ 도전 ("코모두스 신격화") (The Army Enters Rome/ The New God/The Challenge ("Commodus Deified"))4:04

[22]

7. 평가 및 영향

개봉 당시 영화는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뉴욕 타임스의 보즐리 크라우더는 영화가 너무 거대하고 이야기가 산만하며, 감정적 호소력이 부족하다고 혹평했다.[29] 타임 지는 제작 디자인이 화려하지만 인공적이라고 비판했으며,[30] 새러데이 리뷰의 호리스 알퍼트는 주연 배우 스티븐 보이드소피아 로렌의 연기가 부족하고 각본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31]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필립 K. 슈어는 영화가 기술적으로는 인상적이지만 감동은 부족하며, 다른 훌륭한 영화들의 요약본 같다고 평가했다.[32] 반면, 버라이어티는 "주제와 컨셉이 크고, 표현이 다채로운 ''로마 제국의 멸망''은 샘 브론스톤의 최고의 영화적 승리"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33]

영화는 흥행에 실패하여 미국캐나다에서 박스 오피스 480만달러의 수익을 올리는 데 그쳤으며,[3] 이 중 배급사 수익은 약 190만달러였다.[38]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영화는 재평가되었다. 올무비의 마이크 커밍스는 연기와 음악을 칭찬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했고,[34] 레너드 말틴은 별 4개 만점에 3개 반을 주며 "지적인 각본, 훌륭한 연출, 훌륭한 연기"가 영화를 단순한 볼거리 이상으로 만든다고 평했다.[35] 스티븐 H. 슈어 역시 초기에는 비판적이었으나 나중에 평가를 바꾸어 별 4개 만점에 3개를 부여했다.[36]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14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93%의 신선도 평가와 평균 7.20/10점의 평점을 기록했다.[37]

특히 드미트리 템킨이 작곡하고 130명 규모의 오케스트라가 연주한 웅장한 음악은 높은 평가를 받아 골든 글로브상 음악상을 수상했다.

이 영화는 제작자 새뮤얼 브론스턴과 감독 앤서니 만이 엘 시드(1961)에 이어 다시 협력한 작품으로, 이후 리들리 스콧 감독의 영화 《글래디에이터》(2000)에 영향을 준 선구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www.bbfc.co.[...] 2024-04-03
[2] 뉴스 'Roman Empire' Has $16 Million Look: Pageantry and Performances in Bronston Film Praised https://www.newspape[...] 1964-03-20
[3] 웹사이트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1964) http://www.the-numbe[...]
[4] 간행물 Empire Demolition 1964-03
[5] 뉴스 Book Display Leads to Epic https://www.newspape[...] 2020-05-21
[6] 뉴스 View from a Local Vantage Point https://www.nytimes.[...] 2020-05-21
[7] 뉴스 Bronston Plans 3 Film Spectacles: Boxer Rebellion, Rome's Fall, French Revolt on Agenda https://www.nytimes.[...] 1961-09-12
[8] 간행물 Interviews with Anthony Mann https://archive.org/[...] 1969-07
[9] 뉴스 Bronston 'Empire' Really Not Gibbon's: Mann Tells of Roman Epic; Mirisches Bag Directors https://www.newspape[...] 1963-04-30
[10] 뉴스 Showmen Poll Led Again by Doris Day https://www.newspape[...] 1963-01-03
[11] 뉴스 Kirk Douglas: Hollywood's Maverick-Agent-Star https://www.newspape[...] 1971-02-14
[12] 뉴스 Boyd Will Co-star in 'Roman Empire' Cast Opposite Lollobrigida; Hope Plans Film in Africa https://www.newspape[...] 1962-05-14
[13] 뉴스 Looking at Hollywood: Sophia Gets Million, Gina's Leading Man https://www.newspape[...] 1962-09-27
[14] 뉴스 Hollywood Morals Have 'Bright Look' https://www.newspape[...] 1962-08-15
[15] 뉴스 'No Strings' Sold to Film Company: Seven Arts to Do Rodgers' Musical for '64 Release https://www.nytimes.[...] 1962-08-29
[16] 뉴스 Wallis Won't Wait Long for MacLaine https://www.newspape[...] 1963-01-11
[17] 뉴스 Some Portuguese See Their First Snow https://news.google.[...] 2022-02-15
[18] 뉴스 Bronston's Bonanza In a Spanish Setting https://www.nytimes.[...] 1963-07-28
[19] 서적 Movie Roadshows: A History and Filmography of Reserved-Seat Limited Showings, 1911–1973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20] 뉴스 Movie Expatriates Think Big; Film Expatriates Think Big https://www.newspape[...] 1963-06-16
[21] 뉴스 Some Funny Things Happen on the Set of 'Funny Thing' https://www.newspape[...] 1965-09-29
[22] 웹사이트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Limited Edition'' https://web.archive.[...] La-La Land Records 2012-10-19
[23] 뉴스 'Fall of Roman Empire' Opens https://www.newspape[...] 2020-05-21
[24] 뉴스 Spectacle Opens Cannes Festival https://www.nytimes.[...] 1964-04-30
[25] 웹사이트 Large Format: Ultra Panavision 70 https://ascmag.com/b[...] 2020-05-21
[26] 뉴스 Book Honors Bronston's 'Roman Empire' Picture https://www.newspape[...] 2020-05-21
[27] 서적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www.fantasti[...] Gold Medal Books 1964
[28] 뉴스 Miriam puts a premium on DVD https://www.hollywoo[...] 2020-05-21
[29] 뉴스 Screen: Romans Versus Barbarians https://www.nytimes.[...] 2020-03-15
[30] 간행물 Cinema: Foul Play in the Forum http://content.time.[...] 2020-03-15
[31] 간행물 Movies: Politics and Puppy Love 1964-04-04
[32] 뉴스 The Whole of 'Empire' Not Equal to Some of Its Parts https://www.newspape[...] 1964-03-29
[33] 뉴스 Film Reviews: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variety.com/[...] 2020-03-15
[34] 웹사이트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1964) – Anthony Mann http://www.allmovie.[...] AllMovie 2015-07-20
[35] 서적 Leonard Maltin's 2014 Movie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36] 서적 Movies on TV and Video Cassette 1989–1990 https://books.google[...] Bantam Books
[37] 웹사이트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www.rottento[...]
[38] 간행물 Big Rental Pictures of 1964 https://archive.org/[...] 1965-01-06
[39] 웹사이트 The 37th Academy Awards (1965)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2014-10-05
[40] 웹사이트 Winners & Nominees 1965 https://www.goldengl[...] Hollywood Foreign Press Association 1965
[41] 뉴스 Film Unit Acquired by Pierre Du Pont https://www.nytimes.[...] 1964-03-06
[42] 뉴스 Bronston Film Productions Files Bankruptcy Petition https://www.nytimes.[...] 1964-06-06
[43] 뉴스 Film Maker Bankrupt 1964-06-07
[44] 뉴스 Rita's Fast Burn Over 'Slow Study' https://www.newspape[...] 1971-05-17
[45] 뉴스 Studio Sales Ends Project for Bronston https://www.newspape[...] 1971-06-03
[46] 뉴스 Bronston Ordered by Court To Pay du Pont for Movies https://www.nytimes.[...] 1971-06-18
[47] 뉴스 Movie Producer Told to Pay $3 Million to Former Backer 1971-06-18
[48] 법률 Bronston v. United States https://supreme.just[...] 1973
[49] 웹사이트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1964) - Box office / business http://www.imdb.com/[...] IMDb 2012-03-31
[50] 서적 キネマ旬報ベスト・テン85回全史 1924-2011 キネマ旬報社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