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엘리엇 스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엘리엇 스피어는 1867년 펜실베이니아에서 태어나 1947년 사망한 미국의 장로교 선교회 비서이자 신학자이다. 프린스턴 대학교를 졸업하고 학생 자원 운동의 순회 모집 담당자로 활동했으며, 미국 장로교 선교회의 비서로 임명되어 이란, 인도,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 선교 활동을 펼쳤다. 그는 근본주의-현대주의 논쟁에서 온건한 입장을 취했으며, 성경의 역사적 정확성과 전통적인 기독교 교리를 옹호하면서도 기독교의 사회적 비전을 수용했다. 스피어는 '순결, 정직, 이타심, 사랑'의 네 가지 원칙을 선교 활동의 기준으로 제시했으며, 이는 도덕 재무장과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 프로그램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는 다양한 저술을 통해 선교 원칙과 실천을 강조했으며, '예수의 4가지 원칙'은 그의 대표적인 유산으로 남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교 단체 - 한국외항선교회
한국외항선교회는 1974년 설립된 초교파적 선교기관으로, 국제 항구에 입항하는 외항 선원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복음의 역수출과 타문화권 선교, 민간 외교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국내 주요 항만에서 다양한 사역을 펼치고 있다. - 선교 단체 - 국제아프리카내지선교회
국제아프리카내지선교회(AIM)는 스코틀랜드 출신 피터 카메론 스콧에 의해 시작되어 아프리카 전역에서 복음 전파, 제자 훈련, 의료, 교육, 출판, 방송 등의 사역을 수행하며 아프리카 교회를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선교사 - 주문모
청나라 출신 가톨릭 신부 주문모는 1794년 조선에 잠입하여 선교 활동을 하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였으며, 초기 조선 천주교회 성장에 기여하여 2014년 시복되었다. - 선교사 - 방지일
방지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시대에 활동한 장로교 목사이자 선교사로, 중국 선교, 신사참배 저항, 독립운동 지원, 한국 개신교 발전 기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장로교 단체 - 총회
총회는 종교적, 사회적 목적으로 많은 사람이 모이는 집회를 뜻하는 용어로, 교회나 종교 단체의 최고 의결 기관, 국제 기구의 주요 의사결정 기구, 국가 및 지방 의회의 명칭 등으로 사용되며, 신약성경에서는 신앙 공동체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 장로교 단체 - 한국기독교장로회
한국기독교장로회는 1953년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분립된 개신교 장로교 교단으로, 신학적 견해 차이로 분립되어 진보적인 신학 노선을 따르며 사회 참여에 적극적으로 활동한다.
로버트 엘리엇 스피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67년 9월 10일 |
출생지 | 헌팅던, 미국 |
사망일 | 1947년 11월 23일 |
사망지 | 로어 메리언 타운십, 펜실베이니아 |
직업 | 미국 장로교 종교 지도자 및 선교사 |
2. 생애
로버트 엘리엇 스피어는 1867년 9월 10일 펜실베이니아 헌팅던에서 태어나 1947년 11월 3일 펜실베이니아 로어 메리온 타운십에서 사망했다. 필립스 아카데미와 프린스턴 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공부했다. 학생 자원 운동(SVM)에서 활동했고, 미국 장로교 선교회 비서로 임명되어 페르시아, 인도, 중국, 한국, 일본 등지를 방문하며 선교 활동을 펼쳤다. 1893년 에마 돌 베일리와 결혼하여 다섯 자녀를 두었으며, 아들 엘리엇 스피어는 노스필드 마운트 허먼 학교 교장으로 재직 중 살해당했고, 딸 마가렛 베일리 스피어는 옌칭 여자 대학 학장 및 십리 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1937년 은퇴했다.[2]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로버트 엘리엇 스피어는 1867년 9월 10일 펜실베이니아 헌팅던에서 태어났다. 1886년 필립스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1889년 프린스턴을 졸업했으며, 1890년부터 1891년까지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공부했다.[2] 1889년부터 1890년까지 학생 자원 운동(SVM)의 순회 모집 담당자로 활동했으며,[2] 아서 태판 피어슨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2. 2. 학생 자원 운동과 선교 활동
1889년부터 1890년까지 스피어는 학생 자원 운동(SVM)의 순회 모집 담당자로 활동했다.[2] 1891년, 그는 미국 장로교 선교회의 비서로 임명되었다. 1896-97년에 페르시아, 인도, 중국, 한국, 일본의 선교지를 방문했고, 1909년에는 남아메리카를 방문했으며 이후에도 비슷한 순방을 했다. 프린스턴에서 그는 아서 태판 피어슨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의 지도 아래, 장로교회의 해외 선교는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다. 스피어는 1937년에 은퇴했다.2. 3. 결혼과 가정
스피어는 1893년 에마 돌 베일리와 결혼하여 다섯 자녀를 두었다.[3] 아들 엘리엇 스피어 (1898–1934)는 노스필드 마운트 허먼 학교 교장이었으나, 1934년 9월 14일 캠퍼스 내 자택에서 살해당했다.[3] 딸 마가렛 베일리 스피어 (1900–1997)는 1930년대 중국 옌칭 여자 대학 학장이었으며, 1944년부터 1965년까지 십리 학교의 교장이었다.[4]2. 4. 말년과 죽음
스피어는 1937년에 은퇴했다.[2] 그는 은퇴 후에도 저술 활동을 계속하며, 선교와 신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널리 알렸다. 1947년 11월 3일 펜실베이니아 로어 메리온 타운십에서 사망했다.[4]3. 신학
로버트 엘리엇 스피어는 장로교 평신도로서, 근본주의-현대주의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는 전통적인 기독교 교리를 옹호하면서도, 사회적 비전을 수용하여 신학적 자유주의자들과 가까운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
3. 1. 근본주의-현대주의 논쟁에서의 입장
그는 ''근본주의''에 두 편의 글을 기고했음에도 불구하고,[5] 일부에서는 그를 자유주의자로 칭하기도 한다. 이는 그가 미국 장로교에 동조하고 존 그레샴 메이천과 대립하며 근본주의-현대주의 논쟁(1930년대의 반 자유주의/현대주의 논쟁)에 휩싸였기 때문이다.[6][7] 스피어는 성경의 역사적 정확성, 동정녀 탄생, 그리스도의 부활과 같은 전통적인 기독교 교리를 옹호했지만, 동시에 기독교의 사회적 비전을 받아들여 일부 보수주의자들이 용납할 수 없는 정도로 신학적 자유주의자들과 더 가까운 입장을 취했다.[8] 그는 칼 바르트가 "다시는 잃어버리기 쉬운 진리의 본질적인 측면을 회복했다"고 말했다고 한다.3. 2. 선교 신학
스피어는 선교를 기독교 신앙의 핵심 요소로 보았으며, 선교 원칙과 실천에 대한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2] 그는 예수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순결, 정직, 이타심, 사랑'이라는 네 가지 원칙을 제시하고, 이를 선교 활동의 기준으로 삼았다.[11] 이 원칙은 훗날 도덕 재무장[9]과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10] 프로그램에도 "4가지 절대 원칙" 또는 "4가지 기준"으로 적용되었다. 프랭크 부크만은 로버트 E. 스피어를 높이 평가했지만,[9] 예일 대학교의 헨리 버트 라이트 교수가 수정하여 사용한 4가지 원칙을 사용했다.[12]4. 영향
로버트 엘리엇 스피어는 20세기 초 개신교 선교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그는 학생 자원 운동(SVM)을 통해 수많은 젊은이들을 선교사로 헌신하게 했으며, 미국 장로교 선교회의 비서로서 해외 선교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스피어는 수많은 설교, 기사, 팜플렛, 책을 썼으며, 그중에는 전기, 성경 주석, 기독교 생활에 관한 책들이 있다. 대부분 선교 원칙과 실천에 관한 것이지만, 일부는 논쟁적인 사회 문제도 다루었다.[2] 그의 저술은 선교사뿐만 아니라 일반 신도들에게도 널리 읽히며, 선교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그는 예수의 4가지 원칙(순결, 정직, 이타심, 사랑)을 만들었는데,[11] 이는 도덕 재무장[9]과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10]에 "4가지 절대 원칙" 또는 "4가지 기준"으로 적용되었다. 스피어는 자신의 성경 연구를 바탕으로 이 4가지 원칙을 예수의 핵심 가르침 중 하나로 여겼다. 도덕 재무장의 창시자인 프랭크 부크만 박사는 로버트 E. 스피어를 높이 평가했지만,[9] 그는 예일 대학교의 헨리 버트 라이트 교수가 수정하여 사용한 4가지 원칙의 버전을 사용했다.[12]
특히, 그의 선교 신학은 한국 개신교에도 영향을 미쳐, 한국 교회의 선교 방향 설정에 중요한 지침이 되었다.
5. 저서 목록
제목 | 출판 연도 |
---|---|
The Man Christ Jesus | 1896 |
진실한 삶의 기념: H. M. 비버의 전기(A Memorial of a True Life: Biography of H. M. Beaver) | 1898 |
The Man Paul | 1900 |
장로교 해외 선교(Presbyterian Foreign Missions) | 1901 |
선교 원칙과 실천(Missionary Principles and Practice) | 1902 |
예수의 원리(The Principles of Jesus) | 1902 |
호레이스 트레이시 피트킨의 기념(A Memorial of Horace Tracy Pitkin) | 1903 |
젊은이의 질문(Young Man's Questions) | 1903 |
선교와 현대사(Missions and Modern History) (2권) | 1904 |
한 남자의 표(The Marks of a Man) | 1907 |
기독교와 국가(Christianity and the Nations) | 1910 |
세상의 빛(The Light of the World) | 1911 |
남아메리카의 문제(South American Problems) | 1912 |
선교 지도력 연구(Studies of Missionary Leadership) | 1914 |
요한 복음(John's Gospel) | 1915 |
남성의 본질(The Stuff of Manhood) | 1917 |
기독교인, 교회, 그리고 전쟁(The Christian Man the Church and the War) | 1918 |
복음과 새로운 세계(The Gospel and the New World) | 1919 |
극동의 선교 개척자(A Missionary Pioneer in the Far East) | 1922 |
그리스도의 마음을 구하며(Seeking the Mind of Christ) | 1926 |
아메리카의 통합(The Unity of the Americas) | 1926 |
몇 가지 살아있는 문제들(Some Living Issues) | 1930 |
예수 그리스도의 최종성(The Finality of Jesus Christ) | 1933 |
하루에 5분(Five Minutes a Day) | 1943 |
봄베이의 조지 보웬(George Bowen of Bombay) | 1938 |
그리스도의 신성(The Deity of Christ) | |
그리스도와 삶(Christ and Life) | |
극복한 젊은이들(Young Men Who Overcame) | |
한 혈통(Of One Blood) | 1924 |
신실함으로 발견된 사람들(Men Who Were Found Faithful) | 1912 |
마음의 주(The Master of the Heart) |
참조
[1]
간행물
Speer, Robert Elliott
[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ristian Missions
https://books.google[...]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ristian Missions
2018-05-24
[3]
뉴스
Madera Tribune, Volume LXX, Number 22, 26 May 1937; California Digital Newspaper Collection.
https://cdnc.ucr.edu[...]
1937-05-26
[4]
뉴스
Margaret Speer, 96, educator
https://www.newspape[...]
2020-11-03
[5]
문서
Chapter 28 "God in Christ the Only Revelation of the Fatherhood of God" (originally, Chapter III Volume III, pp.61-75) and Chapter 54 "Foreign Missions, or World-Wide Evangelism" (originally, Chapter IV Volume ?, pp.64-84)
[6]
웹사이트
1933 Book review
http://continuing.wo[...]
[7]
웹사이트
Machen-Speer Debate–Historic Event in Presbyterian Church Christianity Today 3.12 (Mid-April 1933): 19-2
http://continuing.wo[...]
[8]
문서
Bradley J. Longfield, "The Presbyterian Controversy: Fundamentalists, Modernists, and Moderates"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7
[9]
서적
The Spiritual Vision of Frank Buchman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2013
[10]
웹사이트
Origins of Moral Inventory, Moral Inventory backdrop
http://www.aatheorig[...]
The AA Original Way Group website
2018-05-24
[11]
서적
The Principles of Jesus
https://archive.org/[...]
Fleming H. Revell
1902
[12]
웹사이트
The Four Absolutes - Their Source, Application, and Significance
http://silkworth.net[...]
silkworth.net website, your global resource for AA history
2018-05-24
[13]
간행물
Speer, Robert Elliot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