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비아타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비아타르는 핀란드 민족 서사시 《칼레발라》에 등장하는 악녀이다. 투오니의 눈 먼 딸이자 늙고 사악한 마녀로, 죽음의 땅에서 가장 사악한 존재로 묘사된다. 또한 모든 악의 근원이며 북쪽 땅의 모든 질병과 역병을 일으키는 존재로 여겨진다. 《칼레발라》를 편찬한 엘리아스 뢴로트는 로비아타르와 루오히를 다른 인물로 설정했지만, 민요에서는 두 이름이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로비아타르와 루오히가 동일한 여신의 지역적 변형이라는 가설을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여신 - 로우히
    로우히는 핀란드 신화 서사시 칼레발라에 등장하는 강력한 마녀 여왕으로, 포흐욜라 북부 왕국을 다스리며 변신 능력과 강력한 마법을 지녔고, 삼포를 둘러싸고 바이네뫼이넨과 대립하는 주요 적대자이다.
  • 핀란드의 여신 - 벨라모
    벨라모는 핀란드 신화에 등장하는 물의 여신이며, 앰비언트 포크 음악가의 곡에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 칼레발라의 등장인물 - 로우히
    로우히는 핀란드 신화 서사시 칼레발라에 등장하는 강력한 마녀 여왕으로, 포흐욜라 북부 왕국을 다스리며 변신 능력과 강력한 마법을 지녔고, 삼포를 둘러싸고 바이네뫼이넨과 대립하는 주요 적대자이다.
  • 칼레발라의 등장인물 - 쿨레르보
    핀란드 신화의 영웅 쿨레르보는 칼레발라 서사시에 등장하여 불우한 환경과 학대 속에서 복수심과 고립으로 파멸에 이르는 비극적인 운명을 지닌 인물로,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 죽음의 여신 - 산타 무에르테
    산타 무에르테는 멕시코에서 "성스러운 죽음"을 의미하는 민간 신앙으로, 여성 해골 형상으로 묘사되며 순수, 보호, 정의 등 다양한 속성을 상징하며 멕시코, 미국, 중앙아메리카를 중심으로 빠르게 신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가톨릭 교회의 비판과 마약 밀매 연관성 논란도 있는 종교 운동이다.
  • 죽음의 여신 - 프로세르피나
    프로세르피나는 로마 신화에서 평민의 권리를 옹호하는 여신이자 리베르 파테르의 여성적 측면인 리베라로 숭배받았으며, 후에 페르세포네와 동일시되면서 케레스의 딸이자 지하 세계의 여왕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로비아타르
기본 정보
유형여신
문화핀란드 신화
기능죽음
질병
고통
이름
로마자 표기Loviatar
다른 이름Lovetar
Louhiatar
Louhi

2. 칼레발라에서의 로비아타르

칼레발라에서 로비아타르는 투오니(죽음의 신)의 눈 먼 딸이자 늙고 사악한 마녀로 묘사된다. 그녀는 모든 악의 근원이자 북쪽 땅의 질병과 역병을 일으키는 존재이다.

2. 1. 묘사

Louhiatarfi는 45번째 룬에 등장한다. 존 마틴 크로포드의 번역본에서는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투오니의 눈 먼 딸,

:늙고 사악한 마녀, Louhiatarfi,

:죽음의 땅의 모든 여자들 중 최악,

:마나의 아이들 중 가장 흉측한,

:모든 악의 근원,

:북쪽 땅의 모든 질병과 역병,

:마음, 영혼, 얼굴이 검은,

:라팔라의 사악한 천재,

:길가에 그녀의 침대를 만들었다.

:죄와 슬픔의 들판에서;

:동풍에 등을 돌렸다.

:폭풍우의 근원 쪽으로,

:아침의 차가운 바람으로.

2. 2. 역할

투오니의 눈 먼 딸이자 늙고 사악한 마녀 로비아타르는 죽음의 땅에서 최악의 여자이자 마나의 아이들 중 가장 흉측한 존재로 묘사된다. 그녀는 모든 악의 근원이자 북쪽 땅의 모든 질병과 역병을 퍼뜨리는 존재이며, 마음, 영혼, 얼굴이 검다고 표현된다. 로비아타르는 라팔라의 사악한 천재로, 길가에 침대를 만들고 죄와 슬픔의 들판에서 활동한다. 또한 동풍에 등을 돌리고 폭풍우의 근원 쪽으로 향하며, 아침의 차가운 바람을 일으킨다고 묘사된다.

3. 루오히와의 관계

엘리아스 뢴로트가 《칼레발라》를 편찬했을 때, 로비아타르와 루오히는 서로 다른 등장인물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그가 참고한 민요에서는 두 이름이 종종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일부 노래에서는 루오히가 아홉 가지 질병의 어머니로 묘사되기도 한다.[4][5]

3. 1. 공통점

엘리아스 뢴로트가 칼레발라를 편찬했을 때, 로비아타르와 루오히를 서로 다른 등장인물로 만들었다. 그러나 뢴로트가 서사시 편찬에 사용한 민요에서는 이들의 이름이 종종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일부 노래에서는 루오히가 아홉 가지 질병의 어머니로 나타나기도 한다.[4][5] 또 다른 노래에서는 로비아타르에게 "포흐욜라의 창녀 여주인"이라는 칭호가 부여되기도 한다.[6][7]

3. 2. 차이점

엘리아스 뢴로트가 《칼레발라》를 편찬했을 때, 로비아타르와 루오히는 서로 다른 등장인물로 만들었다. 그러나 뢴로트가 서사시를 편찬하는 데 사용한 민요에서는 이 두 이름이 종종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일부 노래에서는 루오히 자신이 아홉 가지 질병의 어머니였다.[4][5]

노래에서 루오히와 여러 형태의 로비아타르 사이에는 한 가지 차이점이 있다. 로비아타르의 이름은 질병이 그녀에게로 돌아가도록 추방하는 주문에서만 나타나는 반면, 루오히의 이름은 서사시 또는 서술적인 노래에서도 나타난다. 루오히는 영웅들에게 퀘스트를 부여하며,[8] 렘민카이넨과 주문 대결을 벌인다.[9]

3. 3. 가설

일부 학자들은 루오히와 로비아타르가 같은 여신의 지역적 변형이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한다. 루오히가 주된 이름이었던 지역에서 서사시가 작곡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흐욜라의 여주인에 관한 서사시의 많은 부분은 그녀에게 특정 이름을 부여하지 않는다.[10]

참조

[1] 논문 The Mythology of the Kalevala, with Notes on Bear-Worship among the Finns 1928
[2] 웹사이트 Kalevala http://www.sacred-te[...] 1888
[3] 서적 Suomalainen mytologia 1967
[4] folk songs Suomen Kansan Vanhat Runot http://www.finlit.fi[...]
[5] 논문 The Mythology of the ''Kalevala'', with Notes on Bear-Worship among the Finns 1928
[6] folk songs SKVR http://www.finlit.fi[...]
[7] 논문 The Mythology of the Kalevala, with Notes on Bear-Worship among the Finns 1928
[8] folk songs SKVR http://www.finlit.fi[...]
[9] folk songs SKVR http://www.finlit.fi[...]
[10] folk songs SKVR http://www.finlit.fi[...]
[11] 논문 The Mythology of the Kalevala, with Notes on Bear-Worship among the Finns Folkore Enterprises, Ltd. 1928
[12] 서적 Suomalainen mytologia 1967
[13] 웹사이트 Kalevala, Rune XLV http://www.sacred-te[...] 18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