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아사상충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아사상충증은 로아사상충(Loa loa)에 의해 발생하는 기생충 감염 질환으로, 주로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 지역에서 발생한다. 이 질환은 사슴파리과 곤충인 Chrysops 속의 매개체를 통해 전파되며, 감염 시 피부, 눈, 림프계 등에서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주요 증상으로는 눈에서 벌레가 발견되는 것과 팔다리 부종(칼라바 부종), 가려움증 등이 있으며, 심한 경우 뇌병증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진단은 현미경 검사를 통한 미세사상충 검출, 혈청학적 검사, 그리고 칼라바 부종과 같은 임상 증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치료는 디에틸카바마진(DEC)과 이버멕틴 등의 약물을 사용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매개체인 파리의 물림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생충병 - 회충증
회충증은 회충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회충 알이 섞인 음식 섭취를 통해 감염되며 장폐색, 내장 손상, 폐렴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대변 검사로 진단하고 위생 시설 개선과 구충제 사용으로 치료 및 예방한다. - 기생충병 - 낭미충증
낭미충증은 돼지촌충 유충인 낭미충이 인체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병으로, 경구-분변 경로를 통해 감염되며 뇌, 눈, 근육 등에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고, CT, MRI 등으로 진단하여 항기생충제 투여, 수술 등으로 치료하며 위생 개선, 돼지고기 위생 관리 등으로 예방할 수 있다. - 눈병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눈병 - 백내장
백내장은 노화, 외상, 방사선, 특정 질환 및 약물 등으로 수정체가 혼탁해져 시력 저하, 흐릿한 시야, 눈부심, 왜곡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시력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현재 유일한 치료법은 인공수정체 삽입 수술이다. - 인수공통감염병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는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2019년 중국 우한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유행했고, 발열, 기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백신 접종 등으로 예방하고, 덱사메타손 등 약물로 치료한다. - 인수공통감염병 - SARS-CoV
SARS-CoV는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을 일으킨 코로나바이러스로, 주로 동물을 통해 전파되어 근육통, 두통, 발열 등의 전신 증상과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며, SARS-CoV-2와 유전적으로 유사하다.
로아사상충증 | |
---|---|
개요 | |
![]() | |
기타 명칭 | 로아증 로아사상충증 칼라바르 부종 이동성 부종 열대성 부종 아프리카 눈벌레 |
임상 정보 |
2. 역사
로아사상충증의 첫 사례는 1770년 산토도밍고 총독령에서 기록되었다. 프랑스 외과 의사 몽긴은 한 여성의 눈에서 벌레를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몇 년 후인 1778년, 프랑수아 기요는 아메리카로 가는 프랑스 배에서 서아프리카 노예들의 눈에서 벌레를 발견했고, 한 남성의 눈에서 벌레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20]
로아사상충증은 사슴파리과 등에 속 ''Chrysops''종—''C. dimidiata''와 ''C. silacea''—을 통해 로아사상충의 감염성 유충(L3)이 사람에게 전파되어 발생한다.[5] 이들은 피를 빨아먹는 곤충으로, 낮에 주로 활동하며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의 열대 우림과 같은 환경에서 발견된다.
미세사상충은 1890년 안과의사 스티븐 맥켄지에 의해 확인되었다. 로아사상충증의 흔한 임상 증상인 국소 혈관부종은 1895년 나이지리아 해안 도시 칼라바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로 인해 "칼라바" 부종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관찰은 스코틀랜드 출신 안과의사 더글라스 아길-로버트슨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로아사상충''과 칼라바 부종의 연관성은 1910년(패트릭 맨슨)이 되어서야 인지되었다. 매개체, 즉 ''Chrysops'' 속의 종류는 1912년 영국의 기생충학자 로버트 톰슨 레이퍼에 의해 확인되었다.[20]
3. 원인
3. 1. 전파
사슴파리과 등에 속 ''Chrysops''종—''C. dimidiata''와 ''C. silacea''—의 매개체를 통해 ''로아사상충''의 감염성 유충(L3)이 사람에게 전파된다. 이 매개체는 피를 빨아먹는, 낮에 무는 곤충이며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의 열대 우림과 같은 환경에서 발견된다. 감염성 유충(L3)은 사람 숙주의 피하 조직에서 성충(L5)으로 성숙하며, 이후 성충은—수컷과 암컷 벌레가 있다는 가정하에—교미하여 미세사상충을 생성한다. 감염 주기는 감염되지 않은 망고파리 또는 사슴파리가 미세사상충증을 앓고 있는 사람 숙주로부터 혈액을 섭취할 때 계속되며, 이 전파 단계는 미세사상충의 일주기성과 ''Chrysops'' spp.의 낮 동안 무는 경향의 조합으로 가능하다.[5]
3. 2. 매개체
사슴파리과 등에과의 ''Chrysops'' 속에 속하는 ''C. dimidiata''와 ''C. silacea''는 로아사상충의 감염성 유충(L3)을 사람에게 전파하는 매개체이다.[5] 이들은 낮에 피를 빨아먹는 곤충으로,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의 열대 우림과 같은 환경에서 발견된다. 감염성 유충(L3)은 사람 숙주의 피하 조직에서 성충(L5)으로 성숙하며, 이후 수컷과 암컷 벌레가 교미하여 미세사상충을 생성한다. 감염 주기는 감염되지 않은 망고파리 또는 사슴파리가 미세사상충증을 앓고 있는 사람 숙주로부터 혈액을 섭취할 때 계속되며, 이는 미세사상충의 일주기성과 ''Chrysops'' 종의 낮 동안 무는 경향이 결합하여 가능해진다.[5]
''로아사상충''은 여러 종의 등에에 의해 전파되지만, 가장 두드러진 두 매개체는 ''Chrysops'' 속에 속하는 ''C. dimidiata''와 ''C. silacea''이다. 이 종들은 아프리카에만 존재하며, 사슴파리 또는 망고파리로 알려져 있다.[7]
''Chrysops'' 종은 5mm에서 20mm 사이의 작은 크기로, 큰 머리와 아래를 향한 입 부위를 가지고 있다.[5][7] 날개는 투명하거나 갈색 반점이 있으며, 흡혈 습성을 지니고 늪, 시내, 저수지, 썩어가는 식물과 같은 숲과 진흙이 있는 서식지에 서식한다. 암컷 망고파리와 사슴파리는 두 번째 무리의 알을 낳기 위해 혈액을 필요로 하며, 물 근처에 알을 낳고 5~7일 만에 부화한다. 유충은 물이나 토양에서 성숙하며,[5] 썩어가는 동물 및 식물 제품과 같은 유기물을 먹고 성장한다. 파리 유충은 1cm에서 6cm 사이의 크기이며,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1~3년이 걸린다.[7] 완전히 성숙한 ''C. dimidiata''와 ''C. silacea''는 모든 등에류와 마찬가지로 주간에 흡혈하는 경향을 보인다.[5]
망고파리가 물 때 사용하는 열상 방식 때문에 물린 상처는 매우 고통스러울 수 있다. 모기가 피부를 찌르는 것과 달리, 망고파리 (및 사슴파리)는 피부에 열상을 내고 피를 핥아 먹는다. 암컷 파리는 생식 목적을 위해 상당한 양의 혈액을 필요로 하므로, 첫 번째 식사 중에 방해를 받으면 동일한 숙주로부터 여러 번 식사할 수 있다.[5]
''C. dimidiata''와 ''C. silacea''는 덮인 열대 우림에 끌리지만, 그곳에서는 물지 않고 숲을 떠나 개방된 지역에서 주로 흡혈한다. 이 파리들은 나무 불에서 나는 연기에 끌리며, 시각적 단서와 이산화탄소 기체의 감각을 이용하여 선호하는 숙주인 인간을 찾는다.[6]
''Chrysops'' 종의 흡혈 습관 연구에 따르면, ''C. dimidiata''와 ''C. silacea''는 약 90%의 경우 인간의 혈액을 섭취하며, 하마, 야생 반추 동물, 설치류 및 도마뱀의 혈액은 나머지 10%를 차지한다.[6]
3. 3. 보균 동물
사람이 로아사상충의 주요 보균 동물이다. 파리 물림 습관 연구에서 하마, 야생 반추동물(예: 물소), 설치류, 도마뱀 등이 부차적인 잠재적 보균 동물로 지목되었다. 사슴파리 매개체인 ''Chrysops langi''에 의해 전파되는 원숭이와 유인원에게서 로아사상충증의 영장류 형태가 존재한다. 인간형과 영장류형 질병 사이에는 교차가 없다.[6]
4. 형태
''로아사상충'' 성충은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 수컷은 길이 30mm~34mm, 폭 0.35mm~0.42mm이고, 암컷은 길이 40mm~70mm, 폭 0.5mm로 수컷보다 상당히 크다. 성충은 사람의 피하 조직에서 살며, 그곳에서 짝짓기를 하고 미세사상충이라고 하는 벌레 모양의 알을 낳는다. 이 미세사상충은 길이 250μm~300μm, 폭 6μm~8μm이며, 피막을 가지고 있고 꼬리 끝까지 뻗어 있는 체핵을 포함하고 있어 다른 사상충과 형태학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5. 생활사
감염된 ''Chrysops'' 파리가 흡혈하는 동안 3기 사상충 유충을 인간 숙주의 피부에 주입하며, 유충은 물린 상처 부위로 침투한다. 유충은 성충으로 발달하여 일반적으로 피하 조직에 서식한다. 암컷 벌레는 길이가 40mm~70mm이고 직경이 0.5mm인 반면, 수컷은 길이가 30mm~34mm이고 직경이 0.35mm~0.43mm이다. 성충은 microfilariae|미세사상충영어을 생산하며, 크기는 250μm~300μm × 6μm~8μm 이고 덮개가 있으며 일주기성을 보인다. 미세사상충은 뇌척수액, 소변 및 가래에서 회수되었다. 낮에는 말초 혈액에서 발견되지만, 순환하지 않는 시기에는 폐에서 발견된다. 파리는 흡혈하는 동안 미세사상충을 섭취한다. 섭취 후, 미세사상충은 덮개를 잃고 파리의 중장에서 혈강을 거쳐 흉부 근육으로 이동한다. 그곳에서 미세사상충은 1기 유충으로 발달하고, 이어서 3기 감염성 유충으로 발달한다. 3기 감염성 유충은 파리의 입술로 이동하여 파리가 흡혈을 할 때 다른 인간을 감염시킬 수 있다.
6. 증상
로아사상충증과 같은 필라리아증은 대개 무증상 마이크로필라리아혈증을 보인다. 일부 환자는 팔과 다리에 림프부종이 나타나기도 한다.
사상충증과 마찬가지로 로아사상충증은 대부분 무증상 미세사상충혈증으로 나타난다. 일부 환자에게서는 림프 기능 부전이 발생하여 림프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 면역 반응에 의해 팔과 다리에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혈관부종 (칼라바 부종)이 흔하게 나타난다. 칼라바 부종은 3cm에서 10cm 면적을 가지며, 때로는 발적을 동반하고 함몰되지 않는다. 만성화되면 근육 힘줄의 결합 조직을 둘러싼 껍질 주위에 낭포성 비대를 형성하여 움직일 때 매우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부종은 1~3일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국소적인 두드러기 (피부 발진) 및 가려움증을 동반할 수 있다. 부종은 불규칙한 시간 간격으로 다른 부위에서 재발한다. 성충이 눈의 결막 하로 이동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며, 이 때문에 ''Loa loa''는 "아프리카 눈벌레"라고도 불린다. 안구를 가로질러 지나가는 것은 감지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5분 미만이 소요된다. 눈벌레는 남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고령은 위험 요인이다. 호산구 증가증은 사상충 감염에서 흔하게 나타난다. 죽은 벌레는 만성적인 농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육아종증 반응과 섬유증이 형성될 수 있다.
인간 숙주 내에서 ''Loa loa'' 유충은 피하 조직으로 이동하여 약 1년, 때로는 최대 4년 안에 성충으로 성숙한다. 성충은 피하 조직에서 분당 1cm 미만의 속도로 이동하며, 짝짓기를 하고 더 많은 미세사상충을 생성한다. 성충은 인간 숙주 내에서 최대 17년까지 살 수 있다.[5]
7. 진단
현미경을 이용해 미세사상충을 검출하는 것은 로아사상충증을 진단하는 실용적인 방법이다. 미세사상충의 주기(오전 10시~오후 2시 사이)에 맞춰 채혈하는 것이 중요하다.[8] 혈액 표본은 두꺼운 도말 표본으로, 김자 염색이나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한다.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 2% 포르말린에 용해된 혈액 표본을 원심 분리하거나(Knott's 기술) 핵공 막을 통해 여과하는 농축 기술을 사용하기도 한다.
순환하는 사상충 항원을 이용한 면역 분석법 항원 검출은 미세사상충증이 낮고 가변적일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한 진단 방법이다. 튀빙겐 열대 의학 연구소는 혈청학적 진단법이 없다고 보고했지만,[9] 최근 ''로아 로아''에 매우 특이적인 검사가 개발되었다. 사상충과 다른 기생충 사이에 항원 교차 반응이 있어 양성 혈청 검사로 감염을 구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지만, 최근 개발된 항체 검출 방법은 제한적이나마 가치가 있다.
새로운 검사는 아직 현장 진단 수준은 아니지만, 로아사상충증과 온코세르카증이 함께 발생하는 고위험 지역과 개인을 চিহ্নিত하는 데 유망하다. 미국 국립 보건원의 토마스 너트먼과 그의 동료들은 루시페라제 면역 침전 분석(LIPS)과 관련된 QLIPS(빠른 버전)를 개발했다. 이전의 LISXP-1 ELISA 검사는 민감도가 낮았지만(55%), QLIPS 검사는 15분 배양으로 높은 민감도(97%)와 특이도(100%)를 제공하여 실용적이다.[10] 이러한 검사는 온코세르카증에 대한 대량 이버멕틴 치료나 로아사상충증에 대한 고용량 디에틸카바마진 투여로 인한 합병증(높은 ''로아 로아'' 미세사상충 부하를 가진 개인의 경우)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칼라바 부종은 육안 진단의 주요 도구이다. 피하 생검으로 채취한 조직 샘플에서 성충을 확인할 수도 있다. 눈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성충도 진단에 사용될 수 있지만, 벌레가 결막을 통과하는 시간이 짧아 흔하지 않다.
과거에는 개심장사상충의 자극 주사를 피부 검사 항원으로 사용했다. 감염된 경우, 추출물은 벌레의 대사 산물이나 죽은 벌레에 의해 유발되는 것과 유사한 인공적인 알레르기 반응인 칼라바 부종을 일으켰다.
혈액 검사는 모든 경우는 아니지만 많은 경우에 유용하며, 로아사상충증 환자의 1/3은 무미세사상충증이다. 반대로 호산구 증가증은 로아사상충증의 경우 거의 확실하며, 호산구 분획에 대한 혈액 검사가 유용할 수 있다.[4]
8. 예방
디에틸카바마진(DEC)은 ''로아사상충'' 감염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21][11]
가봉의 평화 봉사단 자원 봉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DEC 투여 그룹에서 감염자가 발생하지 않은 반면, 위약 그룹에서는 20명 중 6명이 감염되었다. 항사상충 IgG 항체 혈청 반응 양성률도 위약 그룹에서 훨씬 높았다. 권장되는 예방 투여량은 매주 300mg의 DEC를 경구 투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유일한 부작용은 메스꺼움이었다.[21][11]
위약 그룹 | DEC 투여 그룹 | |
---|---|---|
감염자 수 | 20명 중 6명 | 16명 중 0명 |
항사상충 IgG 항체 혈청 반응 양성률 | 높음 | 낮음 |
연구자들은 숲, 토지 피복, 강우량, 온도, 토양 유형 등의 예측 변수를 사용하여 서식지 및 인간 정착 패턴을 지리 매핑하면, 현장 진단 검사 없이도 로아사상충의 전파를 추정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12]
지리 매핑 및 화학 예방 요법 외에도, 말라리아 예방과 동일한 전략, 즉 DEET 함유 살충제, 퍼메트린 처리 의류, 두껍고 긴 소매와 긴 바지 착용을 통해 망고파리나 사슴파리의 물림을 줄여야 한다. 로아사상충증 매개체는 낮에 활동하므로, 모기장은 효과가 없다.
매개체 제거 전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크리소스'' 매개체의 제한적인 비행 범위에도 불구하고[13], 야외에서 물고, 넓은 범위를 가지며, 숲에 서식하고 탁 트인 곳에서 무는 습성 때문에 매개체 제거는 흔하지 않다. 로아사상충증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으며, 관련 보고도 거의 없다.
9. 치료
로아사상충증의 치료에는 화학 요법이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성충 제거 수술 후 전신 치료를 실시한다. 현재 치료에 주로 선택되는 약물은 디에틸카바마진(DEC)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성인 및 소아에 대한 DEC 권장 복용량은 1일 3회, 21일 동안 체중 1kg당 8–10mg이다.[14] DEC는 미세사상충(microfilariae)에 효과적이며, 성충(macrofilariae)에도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14]
이버멕틴 또한 권장되는 약물로, 미세사상충의 수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지만 성충에는 효과가 없다. 미세사상충 밀도가 8000mf/mL 미만인 환자에게 권장되는 이버멕틴 복용량은 150μg/kg이다.
미세사상충 수치가 높거나 온코세르카증이 함께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환자의 경우, DEC나 이버멕틴 치료는 금기이거나 초기 용량을 매우 낮춰야 할 수 있다. 이는 약물의 빠른 미세사상충 살충 작용이 뇌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초기 알벤다졸 투여가 이버멕틴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버멕틴은 DEC보다 작용 속도가 느린 미세사상충 살충 효과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위험할 수 있다.[14] CDC에서 권장하는 알벤다졸 복용량은 200mg을 1일 2회, 21일 동안 복용하는 것이다. DEC 치료를 두 번 이상 실패하여 완치되지 않은 경우, 추가적인 알벤다졸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로아사상충'' 감염 관리에 수술이 필요할 수 있지만, 벌레 제거 수술을 수행해야 하는 시간은 매우 짧다. 2007년 가봉 이민자 남성에게서 성충을 제거하는 수술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파라카인 및 포비돈 요오드 점안액을 사용하고, 철사 눈꺼풀 확대경을 사용했다. 윗부분에 0.5ml의 2% 리도카인과 1:100,000 에피네프린을 주사했다. 2mm 절개 후 움직이지 않는 벌레를 겸자로 제거했다. 수술 후 가티플록사신 점안액과 연고를 사용하고 안대를 착용했으며,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15]
10. 역학
2009년 기준으로 로아사상충증은 서부 또는 중앙 아프리카의 11개 국가에서 고유하게 나타나며, 약 1,200만~1,300만 명이 이 질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1] 발병률이 높은 국가는 카메룬,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나이지리아, 가봉, 적도 기니이다. 앙골라, 베냉, 차드, 우간다에서도 감염 사례가 존재하지만, 감염률은 낮다.[21] 한때 가나, 기니, 기니비사우, 코트디부아르, 말리에서도 발병했지만, 현재는 사라졌다.[21]
''Loa loa''가 고유한 지역에서 감염률은 인구의 9%에서 70%까지 다양하다.[4] 특히 인구의 20% 이상에서 미세사상충증이 발생하는 지역은 이버멕틴 대량 치료 시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위험이 높다.[21]
로아사상충증의 매개체는 ''Chrysops dimidiata''와 ''C. silacea''라는 두 종류의 등에이다.
미국에서도 간혹 사례가 보고되지만, 이는 고유 지역을 방문한 여행자에게 국한된다.[15][16]
1990년대에는 혈액 도말 검사를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것이 로아사상충증의 감염 정도를 확인하는 유일한 방법이었지만, 고유 지역에서는 실용적이지 않았다. 온코세르카증(회선사상충증)에 대한 대량 이버멕틴 치료가 시작되면서 합병증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이버멕틴은 미세사상충을 죽이는 약물인데, 로아사상충증에 함께 감염되어 미세사상충 수치가 높은 환자에게는 뇌병증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SAE)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17]
이러한 심각한 부작용(SAE) 발생으로 인해 더욱 정확한 진단 검사법 개발의 필요성이 커졌다.
온코세르카증과 로아사상충증이 함께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이버멕틴 대량 치료가 심각한 부작용(SAE)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카메룬에서 이버멕틴 대량 치료를 연구한 결과, 부작용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 이버멕틴 치료 후 12~24시간 이내 : 피로, 식욕 부진, 두통, 관절통, 허리 통증, 굽은 걸음걸이, 발열, 위통, 설사 등이 나타남.[18]
- 2일 : 혼란, 흥분, 구음 장애, 벙어리증, 요실금, 혼수상태 등이 나타남. 미세사상충 수치가 높을수록 부작용이 심각함.[18]
- 2~5일 : 눈(망막, 결막) 출혈이 나타남. 치료 후 최대 5주까지 보일 수 있으며, 미세사상충 수치가 높을수록 심각함.[18]
혈뇨와 단백뇨 또한 이버멕틴 치료 후 관찰될 수 있다.
환자는 보통 이버멕틴 치료 후 6~7개월 이내에 회복되지만, 합병증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위장 출혈, 패혈성 쇼크, 큰 농양 등으로 사망할 수 있다.[18]
이버멕틴 투여 후 심각한 부작용(SAE)의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 세 가지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1. 이버멕틴이 미세사상충의 운동성을 유발하여 뇌 미세 순환을 막는다.
2. 미세사상충이 뇌 모세혈관으로 이동하여 뇌 조직 내부로 들어가 약물 치료를 피하려고 한다.
3. 이버멕틴 치료 후 ''L. loa''에서 박테리아가 방출되어 뇌에 과민 반응 및 염증을 유발한다.
독시사이클린은 온코세르카증의 성충과 원인이 되는 박테리아(''Wolbachia'')를 죽이는 효과가 있고, ''L. loa''의 미세사상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약물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독시사이클린은 치료 기간이 길고, 내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19]
로아사상충증은 온코세르카증과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이버멕틴 대량 투여 시 심각한 부작용(SAE)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미세사상충 치료 전에 정확한 진단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로아사상충증 치료제인 디에틸카바마진도 미세사상충 수치가 높은 환자에게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4]
11. 합병증 (온코세르카증 중복 감염 관련)
온코세르카증은 또 다른 사상충증으로, 이버멕틴으로 치료한다. 그러나 이버멕틴은 로아사상충증에 함께 감염되어 미세사상충 부하가 높은 환자에게는 위험할 수 있다. 많은 수의 미세사상충이 죽으면서 일부가 눈과 뇌 부근에 있을 경우 뇌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경학적 심각한 이상 반응(SAEs)은 지난 10년 동안 자주 보고되었다.[17]
중앙 및 서아프리카에서 온코세르카증을 치료하기 위해 이버멕틴을 대량 투여하면 SAEs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는 결막 및 망막 출혈, 혈뇨, 뇌병증 등이 포함되며, 이는 모두 치료 전 환자의 ''L. loa'' 미세사상충 수치와 관련이 있다.[18]
카메룬에서 이버멕틴 대량 치료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버멕틴 치료 후 12~24시간 이내에 피로, 식욕 부진, 두통, 관절통, 허리 통증 등이 나타났다. 굽은 걸음걸이와 발열, 위통, 설사도 보고되었다.
- 2일째에는 혼란, 흥분, 구음 장애, 벙어리증, 요실금 등이 나타났고, 혼수상태도 보고되었다. 부작용의 심각도는 미세사상충 부하가 높을수록 증가했다.
- 눈 출혈(특히 망막 및 결막)은 치료 후 2~5일 사이에 나타났으며, 최대 5주까지 지속될 수 있다.
- 혈뇨와 단백뇨도 관찰되었으며, ''L. loa'' 미세사상충 부하가 높을 때 더 심하게 나타났다.
- 일반적으로 환자는 6~7개월 이내에 회복되었지만,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위장 출혈, 패혈성 쇼크, 큰 농양 등으로 사망할 수 있다.[18]
SAEs의 원인에 대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이버멕틴이 미세사상충의 운동성을 유발하여 뇌 미세 순환을 막는다.
2. 미세사상충이 뇌 모세혈관으로 이동하여 약물 치료를 피하려 한다.
3. 뇌 수준의 과민 반응 및 염증, ''L. loa''에서 박테리아 방출 등이 관련된다. (''Wolbachia'' 참고)[18]
독시사이클린은 온코세르카증 치료제로 제안되었으며, ''O. volvulus'' 성충과 ''Wolbachia'' 박테리아를 죽이는 데 효과적이고 ''L. loa'' 미세사상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연구에 따르면 독시사이클린은 최소한의 합병증으로 두 기생충에 모두 감염된 사람들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독시사이클린 내성 ''Wolbachia'' 출현 가능성과 긴 치료 요법은 단점이다.[19]
로아사상충증은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온코세르카증과 함께 발생하여 문제가 된다. 온코세르카증 치료제인 이버멕틴은 ''Loa loa'' 미세사상충 수치가 높은 환자에게 SAEs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세사상충 살충 치료 전에 위험이 높은 지역 및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진단 검사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로아사상충증 치료제인 디에틸카바마진도 미세사상충 수치가 높은 환자에게 투여 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4]
12. 동의어
아프리카 눈벌레, 로아이아시스, 로아이나, ''Loa loa'' 사상충증, 필라리아 로아, 눈물관 사상충, 결막하 사상충, 칼라바 부종, 일과성 부종, 미세사상충 주행 등이 있다.[21] 감염원인 ''Loa loa''는 토착 용어 자체이며, 지역마다 다른 많은 용어가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참조
[1]
서적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Saunders Elsevier
[2]
논문
A call for loiasis to be added to the WHO list of neglected tropical diseases.
2022-10
[3]
논문
Filarial worm (Loa loa) in the anterior chamber. Report of two cases
1975-03
[4]
문서
Markell and Voge's Medical Parasitology
William A. Petri, Jr.
[5]
논문
Loiasis: African eye worm
2008-10
[6]
논문
The host preferences of Chrysops silacea and C. dimidiata (Diptera: Tabanidae) in an endemic area of Loa loa in the Congo
1989-04
[7]
웹사이트
Vector Control – Horseflies and deerflies (tabanids)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1997
[8]
웹사이트
CDC – Loiasis – Diagnosis
https://www.cdc.gov/[...]
2019-04-18
[9]
Webarchive
Loiasis.
https://web.archive.[...]
The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2009
[10]
논문
Rapid, Novel, Specific, High-Throughput Assay for Diagnosis of ''Loa loa'' Infection
2008-07
[11]
문서
Diethylcarbamazine prophylaxis for human loiasis. Results of a double-blind study.
1988
[12]
논문
Satellite mapping of Loa loa prevalence in relation to ivermectin use in west and central Africa
2000-09
[13]
논문
Density and dispersal of the loaiasis vector Chrysops dimidiata in southern Cameroon
2000-09
[1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dpd.cdc.g[...]
[15]
문서
Surgical Management of Conjunctival Loiasis.
2008
[16]
문서
Loa-loa in the District of Columbia.
1971
[17]
논문
Encephalopathy after ivermectin treatment in a patient infected with Loa loa and Plasmodium spp
http://www.ajtmh.org[...]
2008-04
[18]
간행물
Clinical picture, epidemiology and outcome of Loa-associated serious adverse events related to mass ivermectin treatment of onchocerciasis in Cameroon
https://filariajourn[...]
2003
[19]
문서
Community-directed delivery of doxycycline for the treatment of onchocerciasis in areas of co-endemicity with loiasis in Cameroon
2009
[20]
논문
History of Human Parasitology
2002-10
[21]
웹사이트
The Gideon Online
http://web.gideononl[...]
[22]
서적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https://archive.org/[...]
Saunders Elsevi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