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저스 & 해머스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저스 & 해머스타인은 20세기 미국 뮤지컬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작곡가 리처드 로저스와 작사가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협업 듀오이다. 이들은 1920년 컬럼비아 대학교 바시티 쇼에서 처음 협력했으며, 이후 1940년대 초 로렌츠 하트의 건강 악화로 인해 로저스가 해머스타인에게 협업을 제안하면서 본격적인 파트너십을 시작했다. 1943년 뮤지컬 《오클라호마!》를 시작으로 《회전목마》, 《남태평양》, 《왕과 나》, 《사운드 오브 뮤직》 등 시대를 초월한 명작들을 잇따라 발표하며 뮤지컬 극 형식을 혁신했다. 이들의 작품은 인종차별, 성차별 등 사회적 문제들을 다루는 한편, 춤과 노래, 드라마를 통합하여 뮤지컬의 예술적 수준을 끌어올렸으며, 스티븐 손드하임 등 후대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사망 - 이기붕
이기붕은 이승만 정권에서 요직을 두루 거치며 권력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으나,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몰락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1960년 사망 - 아사누마 이네지로
아사누마 이네지로는 일본 사회당 위원장으로, 사회주의 운동가, 정치인으로서 일본 노농당 창립, 도쿄 시의회 의원, 국회 의원, 사회당 재건, 헌법 9조 개정 및 재군사화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나, 1960년 미일 안보 조약 개정 반대 투쟁 중 극우 청년에게 암살당했다. - 미국의 작사가 - 마빈 게이
마빈 게이는 소울, R&B, 펑크 등 다양한 장르를 소화하고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음악으로 흑인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가수이자 작곡가, 배우이다. - 미국의 작사가 - 니콜 키드먼
니콜 키드먼은 호주 영화로 데뷔하여 할리우드에서 성공을 거둔 호주계 미국인 배우이자 제작자로, 《디 아워스》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고 에미상과 골든 글로브상을 수상하는 등 연기력과 영향력을 인정받으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미국의 작곡가 - 에프렘 짐발리스트
러시아 제국 출신 미국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지휘자, 음악 교육자인 에프렘 짐발리스트는 레오폴트 아우어의 제자로서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명성을 얻었고 커티스 음악원에서 후학을 양성했으며 은퇴 후에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심사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 미국의 작곡가 - 마빈 게이
마빈 게이는 소울, R&B, 펑크 등 다양한 장르를 소화하고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음악으로 흑인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가수이자 작곡가, 배우이다.
로저스 & 해머스타인 | |
---|---|
기본 정보 | |
![]() | |
직업 | 극작가, 작곡가 |
활동 기간 | 1943년 ~ 1959년 |
국적 | 미국 |
구성원 | |
대표 작품 | |
수상 | |
텔레비전 명예의 전당 | 1954년 |
외부 링크 |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초기 활동 및 파트너십
로저스와 해머스타인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만나 ''플라이 위드 미'' 등의 작품을 함께 작업했다. 로저스는 로렌츠 하트와 20년 넘게 콤비를 이루어 ''코네티컷 양키''(1927), ''아기들''(1937), ''시라큐스의 청년들''(1938) 등 다수의 브로드웨이 극장 히트작을 냈다.[4]
해머스타인은 제롬 컨과 함께 ''쇼 보트''(1927)를 만들었는데, 이는 미국 뮤지컬 극장의 걸작 중 하나로 손꼽힌다.[5] 그 외에도 ''써니''(1925), ''스위트 아델린''(1929) 등을 함께 작업했다.
1940년대 초, 하트가 알코올 의존증과 정서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자, 로저스는 해머스타인에게 함께 일할 것을 제안했다.[7]
2. 1. 컬럼비아 대학교 시절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로저스와 해머스타인은 1920년 바시티 쇼인 ''플라이 위드 미''(Fly With Me)에서 처음으로 협력했다.[3] 이 쇼의 노래는 원래 로저스(신입생)와 로렌츠 하트가 작곡했지만, 심사 위원회에 있던 해머스타인이 수정 단계에서 두 곡을 추가했다. 이들은 1921년 바시티 쇼 ''유 윌 네버 노(You'll Never Know)''에서 다시 협력하며 파트너십의 기반을 다졌다.[3]3. 주요 작품
로저스 앤 해머스타인은 뮤지컬 극의 혁신을 가져온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다음은 그들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작품명 | 초연 연도 | 극장 | 내용 및 특징 | 주요 넘버 |
---|---|---|---|---|
플라이 위드 미 | 1920 | 컬럼비아 대학교 | 로저스와 해머스타인의 초기 협력 작품. 로렌츠 하트도 참여했다. | |
오클라호마! | 1943 | 린 릭스의 희곡 "Green Grow the Lilacs" 원작. 노래와 춤으로 플롯과 등장인물을 발전시키는 혁신적인 스토리텔링 기법을 선보임. | "Oh, What a Beautiful Mornin", "The Surrey with the Fringe on Top", "People Will Say Were in Love", "Oklahoma!" | |
회전목마 | 1945 | 매제스틱 극장 | 페렌츠 몰나르의 희곡 릴리움 원작. 반(反) 영웅적 주인공을 다룬 비극적인 줄거리. | "회전목마 왈츠", "만약 당신을 사랑한다면", "6월은 온통 터져 나오네", "당신은 결코 혼자 걷지 않으리" |
스테이트 페어 | 1945 | 필 스토옹의 소설 원작. 로저스 & 해머스타인이 영화를 위해 직접 음악을 작곡한 유일한 작품. | "It Might as Well Be Spring" | |
남태평양 | 1949 | 제임스 미치너의 소설 Tales of the South Pacific영어 원작. 1950년 퓰리처상 드라마 부문 수상. 인종차별 문제를 정면으로 다룸. | "Bali Hai영어", "Younger Than Springtime영어", "Some Enchanted Evening영어", "Youve Got to Be Carefully Taught영어" | |
왕과 나 | 1951 | 마거릿 랜던의 소설 "Anna and the King of Siam" 원작. 19세기 태국 왕실 배경. 동서양 문화의 충돌과 이해를 다룸. | "I Whistle a Happy Tune", "Hello, Young Lovers", "Getting to Know You", "Shall We Dance?" | |
신데렐라 | 1957 | 텔레비전을 위해 제작한 유일한 작품. 줄리 앤드루스 주연. | "In My Own Little Corner", "Ten Minutes Ago", "Impossible: It's Possible" | |
플라워 드럼 송 | 1958 | C. Y. 리의 소설 원작. 1950년대 샌프란시스코 차이나타운 배경. | ||
사운드 오브 뮤직 | 1959 | 폰 트라프 가족의 실화 바탕. 로저스 & 해머스타인의 마지막 합작품. 나치즘에 저항하는 가족의 이야기. | "The Sound of Music", "Do-Re-Mi", "My Favorite Things", "Climb Ev'ry Mountain", "Edelweiss" |
3. 1. 오클라호마! (1943)
린 릭스의 희곡 "Green Grow the Lilacs"를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뮤지컬 드라마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노래와 춤을 통해 플롯과 등장인물을 발전시키는 혁신적인 스토리텔링 기법을 선보였다. "Oh, What a Beautiful Mornin'", "The Surrey with the Fringe on Top", "People Will Say We're in Love", "Oklahoma!" 등 주옥같은 넘버들이 탄생했다. 1955년 영화화되어 아카데미상을 수상했으며, 70mm 와이드스크린으로 촬영된 최초의 장편 영화로 기록되었다.3. 2. 회전목마 (1945)
페렌츠 몰나르의 희곡 ''릴리움''을 원작으로 한 ''회전목마''는 루벤 마물리안이 연출을 맡아 1945년 4월 19일 브로드웨이 매제스틱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존 레이트, 잔 클레이턴 등이 출연하였으며, 890회 공연 후 1947년 5월 24일에 막을 내렸다.이 작품은 "회전목마 왈츠"(연주곡), "만약 당신을 사랑한다면", "6월은 온통 터져 나오네", "당신은 결코 혼자 걷지 않으리"와 같은 명곡들을 탄생시켰다. 특히, "회전목마 왈츠"는 로저스 앤 해머스타인 뮤지컬 중 유일하게 서곡이 없는 이 작품의 시작을 알리는 곡으로 유명하다.[13]
''회전목마''는 반(反) 영웅적 주인공을 다룬 비극적인 줄거리,[44] 노래와 대사, 춤이 어우러진 긴 음악 시퀀스 등으로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작품이었다. 1956년에는 고든 맥레이와 셜리 존스 주연의 영화로도 제작되었다.[44]
3. 3. 스테이트 페어 (1945)
필 스토옹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뮤지컬 영화로, 로저스 & 해머스타인이 영화를 위해 직접 음악을 작곡한 유일한 작품이다. It Might as Well Be Spring으로 아카데미 주제가상을 수상했다. 1962년에 리메이크되었으며, 1996년에는 브로드웨이 뮤지컬로도 제작되었다.3. 4. 남태평양 (1949)
South Pacific영어은 제임스 미치너의 소설 Tales of the South Pacific영어을 원작으로 한 뮤지컬이다. 이 작품은 1950년 퓰리처상 드라마 부문을 수상했다.[17] "Bali Ha'i영어", "Younger Than Springtime영어", "Some Enchanted Evening영어" 등 주옥같은 노래들이 스탠더드 넘버가 되었다. 인종차별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You've Got to Be Carefully Taught영어"는 논란 속에서도 작품의 핵심 메시지를 전달했다. 1958년에 영화화되었으며, 한국 전쟁 당시 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다.3. 5. 왕과 나 (1951)
마거릿 랜던의 소설 "Anna and the King of Siam"을 원작으로 한 뮤지컬로, 19세기 태국 왕실을 배경으로 한다. "I Whistle a Happy Tune", "Hello, Young Lovers", "Getting to Know You", "Shall We Dance?" 등의 노래가 이 작품에서 나왔다. 1956년 영화로 만들어졌으며, 율 브린너는 이 영화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받았다. 동서양 문화의 충돌과 이해를 다루는 주제는 한국 관객들에게도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켰다.3. 6. 신데렐라 (1957)
신데렐라는 로저스 앤 해머스타인이 텔레비전을 위해 제작한 유일한 작품이다.[46] 줄리 앤드루스가 주연을 맡아 에미상 후보에 올랐다. "In My Own Little Corner", "Ten Minutes Ago", "Impossible: It's Possible" 등의 곡이 사랑받았다.1965년, 1997년 TV 영화로 리메이크되었으며, 2013년에는 브로드웨이 뮤지컬로도 제작되었다.
3. 7. 플라워 드럼 송 (1958)
C. Y. 리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1950년대 샌프란시스코 차이나타운을 배경으로 한다. 대부분 아시아계 배우들로 구성된 캐스팅으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50] 1961년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2002년에는 브로드웨이에서 리바이벌되었다.[51]3. 8. 사운드 오브 뮤직 (1959)
폰 트라프 가족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로저스 & 해머스타인의 마지막 합작품이다. "The Sound of Music", "Do-Re-Mi", "My Favorite Things", "Climb Ev'ry Mountain", "Edelweiss" 등 수많은 명곡이 탄생했다. 1965년 영화화되어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하며, 브로드웨이 뮤지컬 영화 중 가장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나치즘에 저항하는 폰 트라프 가족의 이야기는 한국 관객들에게도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44][45]4. 사회적 문제 묘사
로저스 & 해머스타인은 작품에서 20세기 초 뮤지컬의 유쾌하고 감상적인 분위기에서 벗어나 인종차별, 성차별, 계급 차별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었다.[32] 예를 들어, ''회전목마''는 가정 폭력을,[33] ''남태평양''은 인종차별을 다루었다.[34] 폰 트라프 가족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사운드 오브 뮤직''은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에 대한 오스트리아인들의 시각을 보여준다.[35]
5. 유산 및 영향
로저스 & 해머스타인은 뮤지컬 극 형식을 재창조했다. 20세기 초, 프린세스 극장 뮤지컬과 제롬 컨과 해머스타인의 ''쇼 보트'' 등 몇몇 중요한 사례를 제외하면, 뮤지컬은 대개 기발하거나 익살스러웠고, 스타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로저스 & 해머스타인은 이후 많은 뮤지컬이 생각을 자극하는 줄거리와 성숙한 주제를 담고, 연극, 춤, 노래, 드라마의 모든 측면이 통합된 전체로 결합되도록 큰 영향을 주었다. 스티븐 손드하임은 로저스 & 해머스타인이 자신의 작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했다.[24]
로저스 & 해머스타인은 "공식 뮤지컬"이라고 불리는 기법을 사용했다. 어떤 사람들은 이 방식을 칭찬하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예측 가능성 때문에 비판하기도 한다. "공식 뮤지컬"은 예측 가능한 줄거리를 가진 뮤지컬을 의미할 수 있지만, 로저스 & 해머스타인 등장인물의 캐스팅 요구 사항을 지칭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 팀의 뮤지컬은 강한 바리톤 리드, 섬세하고 가벼운 소프라노 리드, 테너 조연 리드, 알토 조연 리드로 구성된다. 이러한 일반화에 대한 예외가 있지만, 오디션 과정을 단순화하고 관객에게 로저스 & 해머스타인 뮤지컬에서 기대할 수 있는 가창력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 공식은 ''메리 위도우''와 같은 오페레타에서도 사용되었다.
윌리엄 A. 에버렛과 폴 R. 레이드는 ''오클라호마!''가 "''쇼 보트''처럼 이정표가 되어, 20세기 연극의 중요한 순간에 대해 글을 쓰는 후대 역사가들이 ''오클라호마!''와의 관계에 따라 시대를 구분하기 시작했다"고 썼다. 마크 러벅은 ''라이트 오페라 완간(The Complete Book of Light Opera)''에서 "''오클라호마!'' 이후, 로저스 & 해머스타인은 ''회전목마'', ''왕과 나'', ''남태평양''과 같은 걸작을 통해 뮤지컬 극 형식에 가장 중요한 공헌을 했다. 종종 사회적 사고를 풍부하게 담은 생생한 연극을 창작하는 그들의 사례는 다른 재능 있는 작가들이 자신만의 뮤지컬 극을 만들 수 있도록 필요한 격려를 제공했다."라고 덧붙였다.[26]
1950년, 로저스 & 해머스타인 팀은 "뉴욕시에 대한 뛰어난 공헌을 인정받아" 뉴욕 백년 협회의 금메달 상을 받았다. 그들은 또한 1999년 파트너십을 기념하는 미국 우체국 우표로도 명예를 얻었다. 뉴욕 시에 있는 리처드 로저스 극장은 로저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포브스는 2009년 로저스 & 해머스타인을 고인이 된 유명인사 수입 순위 2위로 2.35억달러로 선정했다.[27] 2010년, 이 팀의 음악의 오리지널 영화 편곡이 복원되어 런던 로열 앨버트 홀에서 존 윌슨 오케스트라에 의해 프롬스 콘서트에서 공연되었다.[28]
참조
[1]
웹사이트
"Oklahoma!"
http://www.americanh[...]
2010-08-04
[3]
웹사이트
Sing a Song of Morningside
https://www.thevarsi[...]
2021-08-28
[4]
웹사이트
Rodgers and Hart Biography
http://www.guidetomu[...]
2009-04-05
[5]
웹사이트
Show Boat
http://www.theatrehi[...]
theatrehistory.com
[6]
웹사이트
All the Things You Are (1939)
http://www.jazzstand[...]
jazzstandards.com
2010-03-15
[7]
AllMusic
Lorenz Hart Biography
"https://www.allmusi[...]
2009-09-23
[8]
뉴스
How Rodgers and Hammerstein Revolutionized Broadway
https://www.npr.org/[...]
2018-04-09
[9]
AllMusic
Oklahoma! (MCA/Capitol)
"https://www.allmusi[...]
[11]
웹사이트
"Richard Rodgers and Oscar Hammerstein II for ''Oklahoma!''"
https://www.pulitzer[...]
Pulitzer.org
1944
[13]
ASIN
"Richard Rodgers Conducts Richard Rodgers'"
https://www.amazon.c[...]
Columbia Odyssey
[14]
웹사이트
Oscar Hammerstein II
https://awardsdataba[...]
Search Results – Academy Awards Database
[15]
뉴스
Dorothy Manners
https://news.google.[...]
Toledo Blade
1969-06-05
[16]
간행물
'You\'ve Got to Be Carefully Taught': The Politics of Race in Rodgers and Hammerstein\'s \'South Pacific\'
https://www.jstor.or[...]
2000
[17]
잡지
R&H's Alltime Mark With 4-Show B'way Takeover; Some Famed Precedents
https://archive.org/[...]
1953-08-26
[18]
웹사이트
"Lost ''Cinderella'' Footage On View at NYC's Museum of TV & Radio"
http://www.playbill.[...]
Playbill.com
2002-06-20
[19]
웹사이트
Julie Andrews: Awards & Nominees
http://www.emmys.com[...]
Emmys.com
[20]
뉴스
Ratings
Broadcasting-Telecasting
1957-05-06
[21]
서적
Flower Drum Songs: The Story of Two Musicals
https://books.google[...]
McFarland and Co.
[23]
웹사이트
Oscar Hammerstein II
http://www.rnh.com/b[...]
rnh.com, Rodgers & Hammerstein Organization
[24]
웹사이트
Hammerstein biography on PBS
https://www.pbs.org/[...]
pbs.org
[26]
웹사이트
American Musical Theatre: An Introduction
http://www.theatrehi[...]
theatrehistory.com
[27]
웹사이트
Top-Earning Dead Celebrities
https://www.forbes.c[...]
Forbes.com
2009-10-27
[28]
뉴스
:Proms 2010: Prom 49: A celebration of Rodgers and Hammerstein, review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6-10-27
[29]
웹사이트
Episode #298
http://www.tv.com/wh[...]
TV.com
1956-02-19
[30]
웹사이트
Main Street to Broadway - Trailer - Showtimes - Cast - Movies - New York Times
http://movies.nytime[...]
2007-11-18
[32]
뉴스
Rodgers and Hammerstein remembered for their art and their emotional impact: The Sound of Their Music
https://www.baltimor[...]
Baltimore Sun
1994-12-18
[33]
뉴스
Carousel – review
https://www.theguard[...]
2012-08-21
[34]
뉴스
"Music: A new ''South Pacific'' by the City Oper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7-03-02
[35]
잡지
"Movie vs. Reality: The Real Story of the von Trapp Family"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05
[36]
웹사이트
"Oklahoma'!"
https://www.american[...]
2010-08-04
[37]
문서
Rodgers and Hammerstein began writing together before the era of the Tonys. Oklahoma! opened in 1943 and Carousel in 1945, but the first Tonys were not awarded until 1947.
[38]
웹사이트
Rodgers and Hart Biography
http://www.guidetomu[...]
2009-04-05
[39]
웹사이트
"Show Boat"
http://www.theatrehi[...]
The Complete Book of Light Opera
1962
[40]
웹사이트
"All the Things You Are (1939)"
https://www.jazzstan[...]
2010-03-15
[41]
Allmusic
Lorenz Hart Biography
http://www.allmusic.[...]
2009-09-23
[42]
Allmusic
Oklahoma! (MCA/Capitol)
http://www.allmusic.[...]
[43]
문서
The film was shot in two versions, the Todd-AO one, distributed by Mike Todd's Magna productions, and a CinemaScope version for theatres that were not, at that time, able to handle Todd-AO. The Cinemascope version was released by RKO a year after the Todd-AO version and is the one that most audiences have seen.
[44]
서적
Richard Rodgers
Yale University Press
1998
[45]
웹사이트
"'Richard Rodgers Conducts Richard Rodgers'"
https://www.amazon.c[...]
Columbia Odyssey
2012-12-20
[46]
뉴스
Dorothy Manners
https://news.google.[...]
Toledo Blade
1969-06-05
[47]
웹사이트
Lost Cinderella Footage On View at NYC's Museum of TV & Radio
https://www.playbill[...]
2002-06-20
[48]
웹사이트
Julie Andrews: Awards & Nominees
http://www.emmys.com[...]
2012-12-22
[49]
뉴스
Ratings
http://americanradio[...]
Broadcasting-Telecasting
1957-05-06
[50]
서적
The Rodgers and Hammerstein Encyclopedia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7
[51]
웹사이트
Oscar Hammerstein II
https://rnh.com/bio/[...]
2014-10-28
[52]
웹사이트
Hammerstein biography on PBS
https://www.pbs.org/[...]
2008-11-29
[53]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Music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54]
웹사이트
"American Musical Theatre: An Introduction"
http://www.theatrehi[...]
The Complete Book of Light Opera
1962
[55]
뉴스
Top-Earning Dead Celebrities
https://www.forbes.c[...]
Forbes.com
2009-10-27
[56]
뉴스
Proms 2010: Prom 49: A celebration of Rodgers and Hammerstein, review
https://www.telegrap[...]
2016-10-27
[57]
웹사이트
http://www.tv.com/wh[...]
[58]
웹사이트
Main Street to Broadway overview
https://movies.nytim[...]
[59]
서적
The Rodgers and Hammerstein Encyclopedia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7
[60]
뉴스
Rodgers and Hammerstein remembered for their art and their emotional impact: The Sound of Their Music
https://www.baltimor[...]
Baltimore Sun
1994-12-18
[61]
뉴스
"'Carousel' – review"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2-08-21
[62]
뉴스
"Music: A new 'South Pacific' by the City Oper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7-03-02
[63]
간행물
Movie vs. Reality:The Real Story of the von Trapp Family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05-01-01
[64]
웹사이트
"Oklahoma'!"
http://www.americanh[...]
2010-08-04
[65]
문서
Rodgers and Hammerstein began writing together before the era of the Tonys. Oklahoma! opened in 1943 and Carousel in 1945, but the first Tonys were not awarded until 1947.
[66]
웹사이트
"American Musical Theatre: An Introduction"
http://www.theatrehi[...]
The Complete Book of Light Opera
1962-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