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스피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롱스피크는 미국 콜로라도주에 위치한 산으로, 해발 4,345m로 콜로라도에서 가장 눈에 띄는 산 중 하나이다. 롱몬트와 러브랜드에서 마운트 미커 뒤로 보이며, 프론트 레인지 도시 회랑 대부분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다. 롱스피크는 스티븐 해리먼 롱 소령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주요 빙하로는 밀스 빙하가 있다. 롱스피크는 등반가들에게 인기 있는 곳으로, 다양한 등반 루트가 있으며, 특히 '키홀 루트'가 일반적이다. 롱스피크는 쥘 베른의 소설 《지구에서 달까지》에 등장하며, 이사벨라 버드의 여행기에도 묘사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키마운틴 국립공원 - 콜로라도강
콜로라도강은 미국 콜로라도주의 로키산맥에서 발원하여 캘리포니아만으로 흐르는 북미 남서부의 주요 강으로, 콜로라도고원을 가로지르며 그랜드 캐니언과 같은 협곡을 형성하고, 후버 댐, 글렌 캐니언 댐 등을 통해 미국 서부 지역의 수자원 및 전력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콜로라도주의 산 - 파이크스 피크
파이크스 피크는 콜로라도주 로키산맥에 있는 해발 4,302m의 산으로, 분홍색 화강암 지형과 극지 기후, 웅장한 모습으로 유명하며, 과거 유트족에게는 "Tava"로 불렸고 현재는 미국 국가 사적지로 보호받고 있으며, 매년 모터 경주와 불꽃놀이가 열리고 하이웨이와 철도를 통해 정상에 오를 수 있다. - 콜로라도주의 산 - 엘버트산
엘버트 산은 콜로라도주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로, 소나무 산맥에 위치하며 석영암 지질 구조를 가진 고산으로, 등반 시 고산병과 뇌우에 주의해야 하고, 1870년 새뮤얼 히트 엘버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다양한 야생 동물의 서식지이다. - 로키산맥 - 치누크 바람
치누크 바람은 푄 현상의 일종으로 산을 넘으며 기온이 상승하는 바람이며, 앨버타 지역에서 자주 발생하고 기온 상승, 치누크 아치 형성, 해빙 등의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 로키산맥 - 산사람
산사람은 1810년대부터 1880년대까지 로키 산맥에서 모피 사냥, 탐험, 정착 활동을 한 사람들로, 모피 무역에 종사하며 서부 개척 시대 정찰병, 가이드로 활약한 짐 브리저, 키트 카슨, 휴 글래스 등이 대표적이다.
롱스피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표고 | 4345.22 m |
중요도 | 896 m |
고립 | 70.2 km |
좌표 | 40.2550135° N, 105.6151153° W |
위치 | 로키 산맥 국립공원, 볼더 카운티, 콜로라도주, 미국 |
산맥 | 프런트 레인지, 트윈 픽스 산괴 최고봉 |
등반 정보 | |
최초 등반 | 1868년 존 웨슬리 파월과 일행 |
가장 쉬운 경로 | 키홀: 스크램블, YDS 3등급 |
기타 정보 | |
지형도 | USGS 7.5' 지형도: 롱스 피크, 콜로라도 |
2. 지리 및 특징
롱스 피크는 롱몬트와 러브랜드에서 미커 산 뒤로 보이며, 북부 프론트 레인지 도시 회랑의 대부분 지역에서도 직접 볼 수 있다. 콜로라도에서 가장 두드러진 산 중 하나로, 대평원 서쪽 가장자리에서 약 2743.20m 높이로 솟아 있다.
이 봉우리는 1820년 6월 30일 미국 정부를 위한 탐험 중 프론트 레인지를 처음 발견한 스티븐 해리먼 롱 소령[8][11]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해발 약 4240.07m의 인근 미커 산과 함께 두 산은 때때로 '''트윈 피크스'''라고 불린다(근처에 있는 트윈 시스터스라고 불리는 더 낮은 산과 혼동하지 말 것).
2. 1. 지형
롱스 피크는 롱몬트, 콜로라도와 러브랜드, 콜로라도에서 미커 산 뒤로 보이며, 북부 프론트 레인지 도시 회랑의 대부분 지역에서도 직접 볼 수 있다. 콜로라도에서 가장 두드러진 산 중 하나로, 대평원 서쪽 가장자리에서 약 2743.20m 높이로 솟아 있다.
이 봉우리는 1820년 6월 30일 미국 정부를 위한 탐험 중 프론트 레인지를 처음 발견한 스티븐 해리먼 롱 소령[8][11]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해발 약 4240.07m의 인근 미커 산과 함께 두 산은 때때로 '''트윈 피크스'''라고 불린다(근처에 있는 트윈 시스터스라고 불리는 더 낮은 산과 혼동하지 말 것). 롱스피크에는 밀스 빙하(Mills Glacier)라는 빙하가 하나 남아 있는데, 이 빙하는 캐즘 호수(Chasm Lake) 바로 위, 동쪽 면 기저부 해발 약 약 3901.44m 지점에 위치해 있다.[19] 더 도브(The Dove)라고 불리는 영구 설원은 롱스피크 북쪽에 위치해 있다. 롱스피크는 콜로라도에서 빙하를 가진 50개 미만의 산 중 하나이다.[20]
2. 2. 빙하
롱스피크에는 밀스 빙하라는 빙하가 하나 남아 있다. 이 빙하는 캐즘 호수 바로 위, 동쪽 면 기저부 해발 약 3900m 지점에 위치해 있다.[19] 더 도브라고 불리는 영구 설원은 롱스피크 북쪽에 위치해 있다. 롱스피크는 콜로라도에서 빙하를 가진 50개 미만의 산 중 하나이다.[20]2. 3. 기후
다음은 롱스피크의 기후 정보이다.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기온이며, 고도는 약 4069.08m이다.[9]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F) | 약 -6.3°C | 약 -6.7°C | 약 -3.8°C | 약 -1.6°C | 약 3.5°C | 약 10.0°C | 약 13.3°C | 약 12.3°C | 약 8.7°C | 약 2.2°C | 약 -2.7°C | 약 -6.2°C |
평균 기온 (°F) | 약 -12.6°C | 약 -13.1°C | 약 -10.4°C | 약 -8.1°C | 약 -3.1°C | 약 2.9°C | 약 6.4°C | 약 5.5°C | 약 1.9°C | 약 -3.9°C | 약 -8.6°C | 약 -12.2°C |
평균 최저 기온 (°F) | 약 -18.7°C | 약 -19.4°C | 약 -17.0°C | 약 -14.4°C | 약 -9.6°C | 약 -4.2°C | 약 -0.6°C | 약 -1.3°C | 약 -4.8°C | 약 -10.1°C | 약 -14.4°C | 약 -18.1°C |
평균 강수량 (인치) | 약 7.85cm | 약 8.26cm | 약 9.68cm | 약 12.57cm | 약 10.16cm | 약 5.54cm | 약 6.93cm | 약 6.60cm | 약 6.58cm | 약 6.88cm | 약 7.80cm | 약 7.70cm |
3. 역사
롱스 피크는 1820년 6월 30일 미국 정부를 위한 탐험 중 프론트 레인지를 처음 발견한 스티븐 해리먼 롱 소령[8][11]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롱스피크는 롱몬트, 콜로라도와 러브랜드, 콜로라도에서 미커 산 뒤로 보이며, 북부 프론트 레인지 도시 회랑의 대부분 지역에서도 직접 볼 수 있다. 콜로라도에서 가장 두드러진 산 중 하나로, 대평원 서쪽 가장자리에서 약 2743.20m 높이로 솟아 있다.
해발 약 4240.07m의 인근 미커 산과 함께 두 산은 때때로 '''트윈 피크스'''라고 불린다(근처에 있는 트윈 시스터스라고 불리는 더 낮은 산과 혼동하지 말 것).
3. 1. 초기 역사
프랑스 모피 상인들은 롱스피크와 미커 산을 Les Deux Oreilles|레 되 조레이프랑스어 (두 귀)라고 불렀다.[11] 아라파호어로는 Neniis-otoyou’uarp (또는 nesótaieuxarp)라고 불렀는데, 이는 "두 개의 산" 또는 "안내자"라는 뜻이다.[23][24]
1890년에는 롱스피크로 불리기 시작했는데,[4] 원래 이름은 봉우리가 보이는 사우스 플랫 강에 요새를 건설한 산 사나이 피에르 루이 바스케스의 이름을 따서 바스케스 봉우리였다.
3. 2. 등정 역사
로키산 국립공원에 있는 롱스피크는 14,000피트 봉우리 중 유일하게 등반가들의 오랜 관심을 받아왔다. 가장 쉬운 등반 경로는 여름철에는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을 정도이다. 롱스피크는 콜럼버스 이전 시대에 원주민들이 독수리 깃털을 얻기 위해 처음 올랐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초로 기록된 등반은 1868년 8월 23일 존 웨슬리 파월의 측량대가 남쪽 면을 통해 이루어졌다.[11] 1871년에는 애디 알렉산더가 롱스피크를 정복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10] 이사벨라 L. 버드도 1870년대에 롱스피크 등반에 대해 언급했다.
롱스피크의 동쪽 면은 높이가 1,675피트이며, "다이아몬드"라고 불리는 1,000피트 높이의 가파른 절벽으로 덮여 있다.[11] (이 이름은 측면에서 거꾸로 보면 잘린 다이아몬드 모양이기 때문에 붙여졌다). 롱스피크에는 또 다른 유명한 지형이 있는데, 정상 남동쪽에 있는 일련의 융기들이 북동쪽에서 보면 비버를 닮았다. 루메나 워트먼 부흘은 롱스피크 동쪽 면을 정복한 최초의 여성이다.
1954년 국립공원 관리청에 다이아몬드 등반을 처음 제안했을 때는 등반이 공식적으로 금지되었으나, 1960년에 이 입장이 바뀌었다. 다이아몬드는 그 해 데이브 리어릭과 밥 캠프스에 의해 처음 등반되었으며, 이 경로는 D1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경로는 앨런 스텍과 스티브 로퍼의 책 ''북미의 50개 클래식 등반''에 포함되었다.[12][13] 이 면에서 가장 쉬운 경로는 1977년에 처음 등반된 캐주얼 루트(5.10a)이다.[14] 이후 이 경로는 다이아몬드 벽을 오르는 가장 인기 있는 경로가 되었다.
클락의 화살표(4급)는 1950년대 로키산 국립공원의 공원 레인저였던 존 마이클 클락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롱스피크 정상 등반 경로이다.[15] 롱스피크를 정복한 최고령자는 1926년 9월 2일, 85번째 생일에 등반한 윌리엄 "빌리" 버틀러 목사였다. 1932년, 클레린 "줌미" 줌월트는 롱스피크를 53번 정복했다.[16]
롱스피크 정상 등반 기록은 짐 데터라인의 428회이다. 짐은 로키산 국립공원의 구조 레인저였다. 2016년 10월 23일, 그는 단독 등반 중 사고로 사망했다. 그는 로키산 국립공원의 산에서 1,000명 이상의 사람들을 구조했으며, 미국 내무부의 용감상을 받았고, "롱스피크 씨"라는 칭호를 얻었다.[17]
2016년 6월 6일, 미군 특수 부대원들이 고산병으로 고통받은 후 구조되었다.[18]
3. 3. 다이아몬드 등반 역사
1868년 8월 23일, 존 웨슬리 파월의 측량대가 남쪽 면을 통해 롱스피크를 처음 등반했다.[11] 1871년에는 애디 알렉산더가 롱스피크를 정복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10]
롱스피크의 동쪽 면은 약 510.54m 높이이며, "다이아몬드"라고 불리는 약 304.80m 높이의 가파른 절벽으로 덮여 있다.[11] 1954년 국립공원 관리청에 다이아몬드 등반이 처음 제안되었을 때는 등반이 금지되었으나, 1960년에 이 입장이 바뀌었다. 그 해 데이브 리어릭과 밥 캠프스가 다이아몬드를 처음 등반했으며, 이 경로는 D1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경로는 앨런 스텍과 스티브 로퍼의 책 ''북미의 50개 클래식 등반''에 목록으로 등재되었다.[12][13] 다이아몬드에서 가장 쉬운 경로는 1977년에 처음 등반된 캐주얼 루트(5.10a)이며,[14] 이후 이 경로는 다이아몬드에서 가장 인기 있는 등반 경로가 되었다.
4. 주요 등반 루트
로키산 국립공원에 있는 유일한 14,000피트 봉우리인 롱스피크는 오랫동안 등반가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가장 쉬운 등반 경로도 여름철에만 "기술적"인 어려움이 없을 정도이다. 롱스피크는 콜럼버스 이전 시대의 원주민들이 독수리 깃털을 채취하기 위해 처음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초의 기록된 등반은 1868년 8월 23일, 존 웨슬리 파월의 측량대에 의해 남쪽 면을 통해 이루어졌다.[11] 1871년에는 애디 알렉산더가 롱스피크를 정복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10] 이사벨라 L. 버드도 1870년대의 등반을 언급한 바 있다.
롱스피크의 동쪽 면은 약 510.54m 높이의 가파른 절벽이며, "다이아몬드"라고 불리는 약 304.80m 높이의 절벽으로 덮여 있다.[11] 롱스피크에는 또 다른 유명한 모습이 있는데, 정상 남동쪽의 일련의 융기는 북동쪽에서 보면 비버를 닮았다. 루메나 워트먼 부흘은 롱스피크 동쪽 면을 정복한 최초의 여성이다.
1954년 국립공원 관리청에 다이아몬드 등반이 처음 제안되었을 때는 등반이 금지되었으나, 1960년에 이 입장이 바뀌었다. 다이아몬드는 그 해 데이브 리어릭과 밥 캠프스에 의해 처음 등반되었으며, 이 경로는 D1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경로는 앨런 스텍과 스티브 로퍼의 책 ''북미의 50개 클래식 등반''에 등재되었다.[12][13] 이 면에서 가장 쉬운 경로는 1977년에 처음 등반된 캐주얼 루트(5.10a)이며, 현재 가장 인기 있는 경로가 되었다.[14]
클락의 화살표(4급)는 1950년대 로키산 국립공원의 공원 레인저였던 존 마이클 클락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5] 1926년에는 윌리엄 "빌리" 버틀러 목사가 85세 생일에 롱스피크를 정복하여 최고령 등반 기록을 세웠다. 1932년, 클레린 "줌미" 줌월트는 롱스피크를 53번 정복했다.[16]
롱스피크 정상 등반 최다 기록은 짐 데터라인의 428회이다. 그는 로키산 국립공원의 구조 레인저였으며, 2016년 사고로 사망하기 전까지 1,000명 이상의 사람들을 구조하고 미국 내무부의 용감상을 받았다. 그는 "롱스피크 씨"라는 칭호를 얻기도 했다.[17]
2016년 6월 6일에는 미군 특수 부대원들이 고산병으로 구조되기도 했다.[18]
롱스피크에는 이스트 롱스피크 트레일, 롱스피크 트레일, 키홀 루트, 클라크 애로우, 쉘프 트레일 등 다양한 등산로가 있다. 정상 등반을 원하지 않는 하이커를 위해 산에는 덜 어려운 하이킹 코스도 있다. 피콕 풀과 캐즘 호수는 인기 있는 하이킹 목적지이며, 잘 관리된 트레일을 따른다. 볼더 필드, 키홀 또는 거의 방문하지 않는 캐즘 뷰(마운트 레이디 워싱턴과 롱스피크 동쪽 면 사이의 능선)까지 하이킹하는 것도 보람이 있다. 야영은 볼더 필드에서 가능하며, 하단부의 개블린 숲과 같은 산의 낮은 부분에서도 가능하다. 기술 등반가는 적절한 허가를 받으면 이스트 페이스 기슭과 캐즘 뷰에서 사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샌드 비치 호수에서 산의 남쪽으로 야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4. 1. 일반 등반 루트 (키홀 루트)
7월 중순부터 9월 초까지 이어지는 여름 시즌에는 롱스피크 정상에 오르기 위해 약간의 기술적인 등반이 필요하다. 이 기간 외에도 인기 있는 "키홀" 루트는 여전히 개방되어 있지만, 얼음 형성과 눈이 내려 크램폰과 아이스 액스를 최소한으로 포함한 전문 등반 장비 사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등급이 모든 "기술적인" 등반으로 격상된다. 콜로라도에서 가장 어려운 클래스 3의 포티너(fourteener, 해발 약 4267.20m 이상 봉우리) 스크램블 중 하나이다.[21]트레일 헤드에서 정상까지의 하이킹 거리는 편도 13.5km이며, 총 고도 상승은 약 1485.90m이다. 대부분의 하이커는 이른 새벽에 출발하여 정상에 도달한 후, 오후 잦은 뇌우로 인한 낙뢰 위험이 있기 전에 수목 한계선 아래로 돌아온다. 하이킹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하이킹 시작 10km 지점인 볼더 필드에서 시작된다. 바위 위를 기어 올라간 후, 하이커는 10.5km 지점에서 키홀에 도달한다.

그 다음 약 0.40km 구간은 좁은 벼랑을 따라 스크램블을 해야 하며, 벼랑 가장자리에서 305m 이상 되는 절벽이 있는 곳도 많다. 하이킹의 다음 부분은 트러프를 따라 183m 이상 수직으로 올라간 다음, 하이킹에서 가장 노출된 구간인 내로우스에 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내로우스 바로 너머의 노치는 풋볼 경기장 크기의 평평한 정상으로 이어지는 가파른 등반인 홈스트레치의 시작을 알린다. 볼더 필드에서 하룻밤 야영하는 것도 가능하며(허가 필요), 이 경우 덜 힘든 이틀 하이킹이 된다. 하지만 이것은 요소에 상당히 노출되어 있으며, 야영 짐을 가지고 약 10.30km 동안 약 1005.84m의 등반을 해야 한다. 롱스피크를 등반하거나 하이킹하다가 59명이 사망했다. 국립공원관리청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매년 두 명이 이 산을 오르려다 사망한다. 경험이 부족한 등산객은 위험을 줄이고 정상에 오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가이드의 도움을 받는 것이 권장된다.
표준 "키홀" 루트 외에도 롱스피크에는 더 어렵고 기술적인 등반 코스가 있다.
4. 2. 기타 등반 루트
롱스피크에는 표준 "키홀" 루트 외에도 더 어렵고 기술적인 등반 코스들이 있다. 등반가들은 등반 전 자격 요건을 갖춘 지도를 받아야 하며, 롱스피크에서는 매년 사망 사고가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한다.몇몇 일반적인 루트들은 다음과 같다.
- 노스 페이스 케이블 루트: 키홀 루트를 따라 볼더 필드까지 올라간 후, 봉우리의 북쪽 면을 오른다. 5급 이하의 등반 피치 1~2개를 필요로 하며, 롱스피크를 오르내리는 가장 빠른 방법 중 하나이다. 20세기 초에는 강철 케이블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1973년에 제거되었고, 현재는 일부 볼트가 로프 하강 앵커로 사용된다.[17]
- 키너스 루트: 엘카나 램 목사의 이름을 딴 램스 슬라이드를 등반하는 전통적인 등산 코스이다. 시즌 후반에는 얼음이 얼고, 브로드웨이 선반을 횡단한 후 5급 이하의 등반을 한다.[10]
- 로프트를 경유하는 루트: 로프트는 롱스피크와 그 남동쪽 이웃인 마운트 미커 사이의 반 영구적인 설원이다. 4급 클라크 애로우 루트도 로프트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산 서쪽에서 올라가 키홀 루트와 연결된다.[15][22]
- 이스트 페이스를 경유하는 루트: 이스트 페이스는 다이아몬드와 로우어 이스트 페이스를 포함하는 약 304.80m 이상의 가파른 벽이다. 이곳에서의 등반은 5.10에서 5.13까지의 기술적인 등반을 필요로 한다. 다이아몬드 면의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올라가는 루트가 있으며, 오른쪽 루트는 종종 원조 등반이 필요하고 벽에서 하룻밤을 보내야 할 수도 있다. 이곳의 바위는 젖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자유 등반이 가능한 루트도 있다. 등반 시에는 고도와 고산 조건을 고려하고, 난이도 등급을 확인해야 한다.[14]
- 노치 콜루아를 경유하는 루트: 암벽 등반과 빙벽 등반을 포함하는 기술적인 등반이다. 노치 콜루아는 다이아몬드 면의 왼쪽에 있다.
5. 갤러리
참조
[1]
논문
Moving mountains: reevaluating the elevations of Colorado mountain summits using modern geodetic techniques
2024-04
[2]
웹사이트
Longs Peak, Colorado
http://www.peakbagge[...]
Peakbagger.com
2016-01-02
[3]
간행물
2016-01-02
[4]
간행물
2014-11-14
[5]
웹사이트
Longs Peak Routes
https://www.14ers.co[...]
14ers.com
[6]
서적
Best Summit Hikes in Colorado: An Opinionated Guide to 50+ Ascents of Classic and Little-Known Peaks from 8,144 to 14,433 Feet
https://books.google[...]
Wilderness Press
2012-08-01
[7]
웹사이트
Colorado Places: Their Native American Names
https://www.colorado[...]
2024-01-12
[8]
웹사이트
Colorado History: William Byers among first white men to climb Longs Peak
http://www.reporterh[...]
Loveland Reporter Herald
2015-01-29
[9]
웹사이트
PRISM Climate Group, Oregon State University
http://prism.oregons[...]
PRISM Climate Group, Oregon State University
2023-10-09
[10]
서적
The magnificent mountain women : adventures in the Colorado Rocki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0
[11]
서적
A Climbing Guide To Colorado's Fourteeners
https://archive.org/[...]
[12]
서적
Fifty Classic Climbs of North America
Sierra Club Books
[13]
서적
Climb!: The History of Rock Climbing in Colorado
The Mountaineers Books
[14]
웹사이트
Casual Route
http://www.mountainp[...]
Mountain Project
[15]
웹사이트
Boulder Daily Camera
http://boulderdailyc[...]
[16]
웹사이트
Hiking Essentials - Rocky Mountain National Park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17]
웹사이트
Jim Detterline touched many lives as a climbing ranger in Rocky Mountain Nat'l Park - Alpinist.com
http://www.alpinist.[...]
[18]
웹사이트
Special Forces Rescued From Colorado's 14,000-Foot Longs Peak
https://www.nbcnews.[...]
[19]
웹사이트
Mills Glacier, CO - N40.25556° W105.60972°
https://www.topoques[...]
[20]
웹사이트
Glaciers of Colorado
http://glaciers.rese[...]
Portland State University
[21]
웹사이트
Home of Colorado's Fourteeners and High Peaks
http://www.14ers.com
14ers.com
[22]
문서
A Climber's Guide to the Rocky Mountain National Park Area
1971
[23]
웹사이트
Center for the Study of Indigenous Languages of the West
https://www.colorado[...]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2020-10-21
[24]
웹사이트
Longs Peak
https://coloradoency[...]
Colorado Encyclopedia
2015-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