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빙벽 등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빙벽 등반은 얼어붙은 폭포나 고드름과 같은 얼음 지형을 오르는 스포츠이다. 1960년대 아이스 액스와 아이스 툴의 발명으로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으며, 북미 로키 산맥과 유럽 알프스 산맥에서 인기를 얻었다. 빙벽 등반은 WI(Water Ice) 등급 시스템을 사용하며, WI1부터 WI7까지의 난이도가 일반적이나, 헬름켄 폭포와 같은 곳에서는 WI10 이상의 등급도 사용된다. 빙벽 등반은 프런트 포인팅 기술을 중심으로 하며, 아이스 액스, 크램폰, 아이스 스크루 등 특수한 장비를 사용한다. 국제등반연맹(UIAA)은 아이스클라이밍 월드컵과 월드 챔피언십과 같은 대회를 개최하여 이 스포츠를 규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등반 - 볼더링
    볼더링은 맨손과 암벽화만을 사용하여 낮은 높이의 암벽을 오르는 스포츠이며, 19세기 후반 훈련 형태로 시작되어 20세기 초 프랑스에서 발전했고, V 스케일 등의 등급으로 난이도를 평가하며, 클라이밍 슈즈와 크래시 패드 등의 장비를 사용한다.
  • 등반 - 캐니어닝
    캐니어닝은 래펠링, 등반, 수영 등을 포함하는 산악 협곡 탐험 활동으로, 웨트슈트와 무선 해머 드릴의 발달로 대중화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위험 요소로는 돌발 홍수 등이 있다.
  • 겨울 스포츠 - 쇼트트랙
    쇼트트랙은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발전한 동계 스포츠로,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30m×60m 타원형 트랙에서 여러 선수가 경쟁하는 개인 및 단체 경기가 존재하고, 한국은 쇼트트랙 강국이다.
  • 겨울 스포츠 - 노르딕 복합
    노르딕 복합은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스키 점프를 결합한 겨울 스포츠로, 19세기 노르웨이에서 시작되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여자 경기가 세계 선수권 대회에 추가되었고 다양한 경기 방식과 대회가 존재한다.
  • 개인 스포츠 - 마라톤
    마라톤은 기원전 490년 마라톤 전투에서 승전보를 전한 전령 이야기에서 유래되어 1896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42.195km 장거리 달리기 경주로, 남녀 경기로 나뉘어 세계 각지에서 개최되며 여성 참여는 20세기 후반에 확대되었다.
  • 개인 스포츠 - 팔씨름
    팔씨름은 두 사람이 팔을 굽혀 손을 잡고 상대방의 손을 테이블에 닿게 하여 승패를 가리는 스포츠로, 에도 시대 일본에서 시작되어 미국에서 전문 스포츠로 발전했으며, 국제팔씨름연맹, 세계팔씨름연맹 등의 단체가 존재하고, 다양한 기술과 전략, 규칙이 적용된다.
빙벽 등반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종류등반
기술아이스바일
크램폰
프런트 포인팅
등반 형태
유형알파인 등반
믹스 클라이밍
드라이툴링
장비
주요 장비아이스바일
크램폰
아이스 스크류
기타 장비헬멧
하네스
로프
카라비너
퀵드로우
빙벽화
기술
주요 기술프런트 포인팅
알파인 등반 기술
안전
위험 요소빙벽 낙석
추락
장비 고장
악천후
역사
발전알파인 등반의 발전과 함께 시작
점차 독립적인 스포츠로 발전
관련 활동
관련 활동믹스 클라이밍
관련 활동드라이툴링
관련 활동알파인 등반
기타 정보
주요 지역캐나다 로키 산맥
미국 알래스카 산맥
유럽 알프스 산맥
아시아 히말라야 산맥
대한민국 설악산

2. 역사

빙벽 등반은 수십 년 동안 알파인 등반 기술의 일부였다. 1960년대, 야심찬 초기 빙벽 등반가들은 더 어려운 빙벽 루트를 등반하기 위해 피톤을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이것은 위험하고 매우 불안정했다. 1960년대, 이본 쇼이나르(Yvon Chouinard)가 "클라이맥스(Climax)"라는 곡선형 톱니형 픽을 가진 새로운 나무 손잡이 아이스 액스를 디자인하면서 돌파구가 마련되었다.[5] 이어 1970년, 해미시 맥이네스(Hamish MacInnes)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픽을 가진 전금속 알루미늄 합금 아이스 액스인 "테러닥틸(Terrordactyl)"(또는 테러)을 디자인했다. 이 두 아이스 액스는 빙벽 등반에 혁명을 일으켰고, 결국 떨어지는 픽이지만 곡선형이고 톱니형 끝(현재 익숙한 "바나나 모양")을 가진 현대의 전금속 아이스 액스(나중에는 아이스 툴)로 통합되었다.[5]



쇼이나르와 맥이네스의 아이스 액스는 북미 로키 산맥과 유럽 알프스의 얼어붙은 폭포 등반에 대한 관심을 폭발적으로 증가시켰다. 빙벽 등반가이자 등반 저술가인 라파엘 슬라윈스키(Raphael Slawinski)는 미국 알파인 저널(American Alpine Journal)에 다음과 같이 썼다. "1980년대 초, 빙벽 등반은 알피니스트의 무기 중 하나에 불과했지만, 완전히 발전된 기술적 예술로 발전했습니다. 폭포에서 얻은 기술은 새로운 세대의 알파인 등반을 낳았습니다. 캐나다 로키 산맥의 '슬립스트림(Slipstream)'(WI4+, 1979)은 폭포 얼음과 알파인 등반의 차이를 모호하게 했습니다. 알래스카 산맥의 '문플라워 버트리스(Moonflower Buttress)'(WI6 M7 A2, 1983)는 주요 알파인 첫 등반에 최고 수준의 빙벽 등반 기술을 적용했습니다. 그리고 목록은 계속됩니다. 폭포 빙벽 등반은 처음에는 그 자체로 추구되었지만, 결국 알파인 등반에 혁명을 일으켰습니다." [26]

1980년대 말까지 빙벽 등반가들은 WI6-7 등급에서 등반할 수 있는 한계에 도달했다. 궁극적으로 매체가 수직으로 매달리는 고유한 경향은 개발 가능성을 제한했다.[20] 믹스 클라이밍은 제프 로우와 같은 선구자들이 더 급진적인 빙벽 지형인 매달린 고드름에 도달하기 위해 맨 바위 돌출부와 지붕을 드라이 툴링하면서 빙벽 등반의 발전을 주도하기 시작했다. 그 정점은 1994년 베일에서 로우의 역사적인 '옥토푸시(Octopussy)'(WI6, M8) 등반으로, 현대 믹스 등반의 탄생으로 이어졌다.[26]

2010년 팀 에멧(Tim Emmett)과 윌 갓(Will Gadd)이 캐나다 헬름켄 폭포에서 빙벽 루트를 개척하기 시작하면서 빙벽 등반 개발이 기술적 발전에서 도약을 이루게 된다. 헬름켄 폭포의 독특한 특징은 심하게 돌출된 빙벽 루트를 제공했으며, 다음 10년 동안 2020년 '마션 미션(Mission to Mars)' 등급이 WI13까지 제안되었다. 에멧과 갓은 헬름켄 폭포를 빙벽 등반의 요세미티(Yosemite) 잠재력이 있는 곳으로 여긴다.[22]

발 디 코뉴, 이탈리아 ''Repentance Super'' WI5-6


다음 빙벽 등반 루트들은 알파인 등반 기술에서 독립적인 스포츠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빙벽 등반 등급 기준과 표준의 발전에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26]

연도루트 이름등급위치초등자비고
1979SlipstreamWI4+캐나다 로키 산맥짐 엘징가, 존 로클란알파인 등반과 순수 빙벽 등반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초기의 중요한 사례이자 로키 산맥 최초의 주요 알파인 세락 폭포 루트[27]
1983Gimme ShelterWI6캐나다 로키 산맥케빈 도일, 팀 프라이젠초기 WI7 후보 루트, 당시 최고 난이도[20], 이후 WI6으로 조정[28]
1987RiptideWI6-7캐나다 로키 산맥래리 오스트랜더, 제프 마셜초기 WI7 후보 루트, 당시 최고 난이도[20], 이후 WI6+로 조정[29][30]
1988Reality BathWI7 X캐나다 로키 산맥마크 트와이트, 랜디 랙클리프재등반되지 않음, 아마도 최초의 WI7[20]
1989Repentance SuperWI5-6발 디 코뉴, 이탈리아François Damilano|프랑수아 다밀라노프랑스어, Gian Carlo Grassi|지안 카를로 그라시it, 풀비오 콘타당시 유럽에서 가장 어려운 빙벽 루트, 현재는 등급 조정[31]
2002Rites of PassageWI7+키치너 산, 캐나다 로키 산맥에릭 뒤메락, 필립 펠레초기 WI8 평가, 당시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루트 중 하나[20][32]
2010CentrecourtWI7+가스타이너탈, 오스트리아알베르트 라이히트프리드, 베네딕트 푸르너당시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루트 중 하나[33][34][35]



헬름켄 폭포의 등급 기준은 다음과 같다.[36]

연도루트 이름등급초등자비고
2010Spray OnWI10팀 에멧, 윌 가드최초의 WI10, 볼트 설치[22][36]
2011WolverineWI11팀 에멧, 클레멘 프렘를최초의 WI11, 볼트 설치[22][36][37]
2016Interstellar SpiceWI12팀 에멧, 클레멘 프렘를최초의 WI12, 볼트 설치[22][36][38]
2020Mission to MarsWI13팀 에멧, 클레멘 프렘를최초의 WI13, 볼트 설치[22][38]



노르웨이 류칸의 유명한 ''립톤''( WI7 )을 솔로 등반하는 등반가


다수의 빙벽 등반가들이 보호 장비(예: 아이스 스크루) 없이 도끼와 크램폰과 같은 장비만을 사용하는 솔로 등반 스타일로 새로운 등급 기준을 세웠다.

연도루트 이름등급위치초등자비고
1997Sea of VapoursWI6+캐나다 로키 산맥Guy Lacelle|기 가셀영어당시 WI7+로 간주[39]
2017Beta Block SuperWI7스위스 브라이트방플루다니 아놀드[40][41]


3. 종류

아이스클라이밍은 아이스툴과 크램폰이라는 특수 장비를 사용하여 얼어붙은 물 얼음이나 얼어붙은 눈밭으로 이루어진 루트를 오르는 것이다.[1][12] 알파인 등반의 일부로 발전했으며, 여전히 알피니스트 기술의 핵심 요소이다.[26]

아이스클라이밍은 다양한 등반 루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빙벽 루트의 한 유형은 얼어붙은 폭포, 특히 산의 면이나 산 아래 계곡을 따라 흘러내리는 폭포이다. 빙벽 등반 루트는 일년 내내 영구적으로 얼어붙는 고산의 눈 덮인 쿨루아르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거대한 고드름(빙추) 또한 빙벽 루트 및 믹스 루트의 일부로 등반되지만, 종종 위험하게 부러질 수 있어 여러 빙벽 등반가의 사망 원인이 되기도 한다.[17]

루트가 완전히 얼음으로 구성되지 않고 맨 바위 요소가 있는 경우 믹스 클라이밍으로 알려져 있다. 루트에 얼음이 전혀 없지만 클라이머가 여전히 아이스툴과 크램폰을 사용하는 경우 드라이 툴링으로 알려져 있다.[1][12] 믹스 클라이밍과 드라이 툴링 루트는 볼트로 완전히 설치될 수 있어(스포츠 클라이밍 암벽 등반 루트와 같이) 전통적인 아이스클라이밍 루트에 대한 더 안전한 대안으로 인기를 얻었다.[17]

4. 기술

빙벽 등반 기술은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지만,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적용하려면 경험과 기술이 필요하다.[13] 특히 WI4 등급 이상의 매우 가파른 빙벽에서는 비효율적인 기술이 등반가의 체력을 빠르게 소모시키고,[14] "빙벽 등반의 황금률"인 "떨어지지 마라"를 위반하게 될 수 있어 매우 중요하다.[15]

현대 아이스클라이밍은 front pointing|프런트 포인팅영어 기법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이는 등반자가 크램폰의 앞쪽 스파이크를 얼음에 박아 얼음벽을 오르는 기술이다. 프런트 포인팅에서 중요한 부분은 발꿈치가 너무 높이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암벽등반에서처럼 발꿈치를 높이 들어 올리거나, 반대로 너무 낮게 하면 크램폰 앞쪽의 이빨이 얼음에서 빠져나가 발이 미끄러질 수 있다.[13]

등반가가 위쪽 얼음 도끼에 체중을 실은 채 오른쪽 다리를 앞으로 뻗어 쪼그리고 앉은 자세를 취하고 있다.


상승 시, 빙벽 등반가는 양발을 정확히 수평으로 어깨너비만큼 벌리고, 발끝을 얼음벽으로 향하게 한 채, 무릎을 약간 앞으로 구부려 얼음에 닿도록 하여 균형 잡힌 자세로 시작한다.[13] 얼음 도끼(또는 아이스툴)는 거의 같은 높이로 잡지 않는데, 같은 높이로 잡으면 매우 비효율적이고 체력 소모가 심한 "치킨 윙" 동작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등반가 위쪽에 최대 신장에 가깝게 높이 놓인 도끼와 그 아래에 놓인 도끼가 있을 것이다(반대쪽 사진 참조).[13]

위쪽 도끼가 얼음에 고정되면, 등반가는 위쪽 도끼에 체중을 실은 상태에서 다시 발이 수평이 될 때까지 "스쿼트 자세"로 발을 들어 올린다.[13][14] 발이 고정되어 발끝이 얼음벽을 향하게 되면, 등반가는 똑바로 일어서서 다른 도끼로 몸 위쪽의 다음 최대 신장 위치에 도달하도록 스윙을 시작한다.[13][14] 이 기술은 "스쿼트-스탠드-스윙"이라고 설명된다.[14]

; 로프워크

  • Belaying|빌레이영어 - 지상에서 로프를 잡고 안전 확보를 하는 것. 안전 확보를 하는 사람을 빌레이어라고 부른다.
  • A자 래핑
  • 아발라코프(V자 래핑)
  • 래펠

5. 장비

빙벽 등반에는 일반적인 암벽 등반 장비 외에 얼음에서의 활동을 위한 특수 장비가 필요하다.[12]


  • 아이스 액스/아이스툴: 현대 빙벽 등반에는 두 개의 아이스 액스 또는 인체공학적 아이스툴이 필요하다. UIAA 주관 경기에서는 보조 장비로 사용될 수 있어 리쉬(leash) 사용이 금지되지만, 극한의 믹스 등반이 아닌 경우에는 발이 미끄러질 때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리쉬를 사용하기도 한다.[12]


  • 크램폰: 알파인 등반에서 사용하는 이중 포인트 크램폰보다 정교한 조작과 정확한 절삭을 위해 단일 포인트 크램폰을 주로 사용한다. 미니 아이스툴과 같은 형태의 "수직형" 앞쪽 포인트는 절삭력이 좋지만 안정성이 떨어져 예고 없이 빠질 수 있으며, 얼스와 같이 평평한 "수평형" 앞쪽 포인트는 안정성이 더 좋다.[12]

수평형(좌), 수직형(우) 크램폰

  • 빙벽화: 크램폰을 부착할 수 있는 강성 등산화를 사용한다. 고급 믹스 클라이밍이나 경기에서는 밑창에 크램폰이 통합된 가벼운 "프루트 부츠"를 사용하기도 한다. 힐 스퍼를 추가하여 오버행 믹스 등반에 활용할 수도 있다.[12]
  • 아이스 스크루: 리드 클라이밍 시 등반 보호 장비로 사용되는 핵심 장비이다. 속이 빈 금속 나사산 강철 튜브 형태로, 한쪽 끝에는 얼음을 자르는 이빨이, 다른 쪽 끝에는 카라비너를 걸 수 있는 행어 아이(eye)가 있다. 얼음에 나사로 고정되며, 설치 각도, 품질, 얼음 상태에 따라 안정성이 달라진다.[12]
  • 기타: 암벽 등반과 동일하게 로프, 하네스, 헬멧, 벨레이 장치 등을 사용한다.[12]


아발라코프 쓰레드(V-쓰레드/A-쓰레드)는 아이스 스크루를 이용해 얼음에 V자형 터널을 만들고 슬링을 통과시켜 루프를 만드는 기술로, 주로 하강이나 빌레이 앵커 지점으로 사용된다.[12]

6. 등급

빙벽 등반에는 WI(Water Ice) 등급 시스템이 사용된다.[17] WI 등급은 WI1부터 WI7까지 있으며, 숫자가 높을수록 난이도가 높다. 헬름켄 폭포와 같은 특수한 환경에서는 WI10 이상의 등급이 사용되기도 한다.

WI 등급은 루트에서 보호 장비를 설치하는 어려움을 어느 정도 고려하지만, M 등급과 마찬가지로 루트의 기술적 및 체력적 난이도에 더 중점을 둔다.[17] 따라서 프랑스식 및 미국식 스포츠 클라이밍 등급과 더 유사하지만, 미국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위험을 나타내는 "R/X" 접미사가 사용된다.[17]

WI 등급은 "경빙"에 대한 등급이며, 알파인 등반 루트에서 자주 접하는 가파른 눈 경사는 명시적으로 등급이 매겨지지 않고 대신 가장 가파른 각도(근사치 또는 범위)가 표시된다(예: 60~70도 경사).[18][19] WI 등급은 "계절적" 경빙에 대한 등급이며, 연중 내내 존재하고 일반적으로 더 단단하고 안정적인 "알파인 아이스"에는 AI 접두사가 사용되므로 '''AI 등급''' 루트는 WI 루트보다 약간 쉽다.[18][19]

캐나다에서는 WI 접두사가 등급에서 생략되는 경우가 있으며, 더 긴 멀티피치 빙벽 루트의 경우 전체적인 작업의 심각성을 반영하는 "난이도"(I~VII의 로마 숫자)도 추가된다(예: 캐나다 빙벽 루트의 등급은 III-5로 표시될 수 있음)[17]

다음 WI 등급과 설명은 미국 알파인 클럽(American Alpine Club)(2013년 재발행)에서 제공하며,[18][19] 추가적인 설명은 윌 개드(Will Gadd)의 것이다.[17]

등급설명윌 개드(Will Gadd)의 추가 설명
WI1낮은 각도, 아이스툴이 필요 없음.[18][19]얼어붙은 강을 따라 10포인트 크램폰으로 스크램블링하는 것과 같으며, 더블 아이스 액스나 프런트 포인팅 기술이 필요하지 않다.[17]
WI2일관된 60º 빙벽, 돌출부가 있을 수 있음; 좋은 보호.[18][19]초보자 루트는 필요한 경우 아이스 액스 하나로 등반할 수 있으며, WI2가 "다른 등급보다 사고가 더 많다"고 언급한다.[17]
WI3지속적인 70º, 80º~90º의 긴 돌출부가 있을 수 있음; 적당한 휴식 지점과 나사를 설치하기에 좋은 자세.[18][19]"로프와 더블 아이스 액스가 필요한 적절한 기술적 빙벽 등반"이라고 부른다.[17]
WI4연속적인 80º 빙벽, 가끔씩 휴식 지점으로 나뉘어진 90º 빙벽의 상당히 긴 구간.[18][19]"강한 초보자는 WI4를 톱로프로 등반할 수 있지만, WI4를 리딩하는 것은 위험하다".[17]
WI5길고 힘들며, 85º~90º 빙벽의 로프 길이로 좋은 휴식 지점이 거의 없거나, 설치하기 어려운 보호 장비가 있는 짧은 피치의 얇거나 상태가 나쁜 빙벽.[18][19]
WI6휴식 지점이 없는 거의 90º 빙벽의 전체 로프 길이 또는 WI5보다 더 불안정한 짧은 피치. 매우 기술적임.[18][19]"최고의 등반가조차 WI6에서 때때로 후퇴할 이유를 발견할 것이다".[17]
WI7위의 [WI6]와 같지만, 얇고 결합이 불량한 빙벽이나 길고 오버행이 있는 결합이 불량한 기둥 위에서. 보호는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렵고 품질이 의심스럽다.[18][19]"반신화적"이며, "높은 대중적 관심을 받지만, 반복 등반 시 WI6이 되는 경우가 많다".[17][20] 2023년, Climbing 잡지는 켄틴 로버츠(Quentin Roberts)와 마르크-앙드레 르클레르(Marc-André Leclerc)와 같은 캐나다 최고의 빙벽 등반가들이 순수 WI7 등급은 자연계에 존재할 수 없다고 공개적으로 말했다고 보도했다.[21]
WI8논의 중.[18][19]"몇 번만 주장되었으며", "나쁜 장비와 나쁜 빙벽" 또는 "물리적 난이도가 M8과 같은 오버행 빙하 세락".[17]



2010년, 팀 에멧과 윌 가드는 캐나다 헬름켄 폭포에서 독특한 특징을 가진 아이스 루트를 개척하기 시작했다. WI7 아이스 루트는 거의 오버행하지 않는 것과 달리, 이 루트들은 극한의 M 등급 루트처럼 상당히 오버행했다. 이는 활동적인 폭포에서 뿜어져 나오는 강렬한 물보라 때문이었는데, 이 물보라가 오버행 루트를 얼음으로 뒤덮어 마른 툴링이 거의 없었고, 모든 동작이 단단한 얼음 위에서 이루어졌다.[22]

이 루트들은 M 등급 등반처럼 볼트가 박혀 있었고(금속 탐지기를 사용하여 볼트를 찾는다),[24] 에멧과 가드는 WI 등급에 대한 지침으로 M 등급과의 연관성을 재확립했다. 그 결과 2010년 WI10의 ''Spray On'', 2011년 WI11의 ''Wolverine'', 2016년 WI12의 ''Interstellar Spice'', 2020년 WI13의 ''Mission to Mars''를 시작으로 "세계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어려운 아이스 클라이밍 루트"로 여겨지는 일련의 새로운 루트가 생겨났다.[22]

헬름켄 WI 루트가 M 등급 등반인지에 대해 아이스 클라이밍계에서는 논쟁이 있었다.[22] 2023년, 영국의 아이스 클라이머 닐 그레샴은 헬름켄 루트가 WI7 루트보다 "확실히 더 어렵다"고 말했고, 자신감 있는 M 등반가라도 헬름켄 WI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23]

에멧은 헬름켄을 요세미티와 같은 아이스 클라이밍에 비유했으며,[22] 세계 최고의 아이스 클라이머들을 불러 모았다.[24]

헬름켄 폭포의 심하게 오버행하는 ''Clash of Titans'' (WI10+)에서 높이 올라간 앙겔리카 라이너.

믹스 클라이밍 등급: M 등급 (M1~M14 이상)[17][18][19]

프랑스 샤모니의 ''Tequila Stuntman'' (M7 WI6)에서 등반 중인 박희용 선수와 송한나래 선수.


빙벽 등반이 혼합등반(즉, 얼음과 암벽 구간이 모두 있는 경우)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된다.
드라이 툴링 등급: D 등급 (D1~D14 이상)[17][25]

빙벽 등반을 맨 바위에서 하는 드라이 툴링으로 할 때, M 등급 대신 'D' 접두사를 사용하여 순수 '드라이 툴링' 루트임을 나타낸다.

7. 관련 단체 및 대회

국제등반연맹(UIAA)은 2002년 최초의 "아이스 월드컵"(IWC) 대회가 새로운 UIAA 규정과 규약에 따라 개최된 이후로 경쟁 빙벽 등반 종목을 조직하고 규제해 왔다.[7] UIAA는 매년 개최되는 UIAA 아이스클라이밍 월드컵(연중 시리즈로 진행)과 격년으로 개최되는 UIAA 아이스클라이밍 월드 챔피언십(일회성 대회) 등 두 가지 주요 경쟁 빙벽 등반 이벤트를 운영한다.[7][8]

2016 UIAA 아이스클라이밍 세계 청소년 선수권 대회, 이탈리아


대부분의 IWC 리드 클라이밍 루트는 볼트로 고정된 건조한 인공 표면에서 진행되며, 드라이 툴링 기술(예: 스테인 풀과 피겨포 동작)을 사용한다.[8] 반면에 IWC 스피드 클라이밍 루트는 표준화된 약 12.19m 높이의 얼음 벽에서 진행되며, 톱 로프 아이스 클라이머가 몇 초 만에 완주할 수 있다(스피드 암벽 등반과 마찬가지로).[8][9]

수년에 걸쳐 UIAA는 아이스 툴에 대한 리쉬 사용 금지(보조 장비로 사용 불가) 및 등반 중 "힐 스퍼" 사용에 대한 규정 강화(휴식을 위한 사용 방지)를 포함하여 경쟁 빙벽 등반 장비에 대한 규정 및 사용을 강화해 왔다.[10]

8. 미디어


  • 더 알피니스트(The Alpinist) (2021): 고인이 된 캐나다 산악인 마크-앙드레 르클레르(Marc-André Leclerc)가 여러 빙벽 루트를 단독 등반한 모습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이다.[42]
  • 터칭 더 보이드(Touching the Void) (2003): 페루 안데스 산맥에서 일어난 유명한 산악 등반 구조 사건을 그린 다큐드라마이다.[42]

참조

[1] 서적 Ice World: Techniques and Experiences of Modern Ice Climbing The Mountaineers
[2] 뉴스 Woman dies saving fellow climber from ice column collapse in Utah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3-05-11
[3] 간행물 Was I Wrong To Call For a Rescue? https://www.climbing[...] Climbing 2024-05-10
[4] 간행물 Four Tips to Lead Ice With Confidence https://www.climbing[...] Climbing 2023-05-10
[5] 웹사이트 Legendary Climber Dr. Hamish MacInnes Dies https://gripped.com/[...] Gripped Magazine 2023-05-06
[6] 웹사이트 The Moonflower Buttress (Bibler/Klewin) https://www.mountain[...] MountainProject 2023-09-08
[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https://iceclimbing.[...] International Climbing and Mountaineering Federation 2023-05-06
[8] 간행물 The Strange Underworld of Competition Ice Climbing https://www.outsideo[...] Outside 2023-05-05
[9] 간행물 Fish Out of Ice: A Beginner Takes on the Ice Climbing World Cup https://www.climbing[...] Climbing 2023-05-06
[10] 웹사이트 UIAA Statement on Competition Ice Climbing https://iceclimbing.[...] International Climbing and Mountaineering Federation 2023-05-05
[11] 웹사이트 The Best Ice and Mixed Climbing Tools for 2023 https://gripped.com/[...] Gripped Magazine 2023-04-30
[12] 서적 Ice & Mixed Climbing: Modern Technique Mountaineers Books 2003
[13] 간행물 Steep Ice Climbing Technique https://www.ukclimbi[...] UKClimbing 2024-09-09
[14] 간행물 Steep Ice Climbing Skills Special https://www.climbing[...] Climbing 2024-09-09
[15] 웹사이트 Ice Climbing for Beginners: Don’t Ever Fall https://gripped.com/[...] Gripped Magazine 2024-09-09
[16] 웹사이트 Six Classic WI6 Canadian Rockies Ice Climbs https://gripped.com/[...] Gripped Magazine 2023-05-05
[17] 서적 Ice & Mixed Climbing: Modern Technique Mountaineers Books 2003
[18] 간행물 International Grade Comparison Chart https://web.archive.[...] Alpinist 2023-05-01
[19] 학술지 International Grade Comparison Chart https://publications[...] American Alpine Journal 2023-05-01
[20] 웹사이트 New Ice Climb Gets Elusive WI7, Here's Some Grade History https://gripped.com/[...] Gripped Magazine 2023-05-05
[21] 간행물 New Sends We Cared About: A WI 6+ Free Solo FA (and more) https://www.climbing[...] Climbing 2023-12-22
[22] 간행물 Emmett talks about "Mission to Mars" and Helmcken Falls https://www.climber.[...] Climbr 2023-05-05
[23] 웹사이트 Hard New Climb at One of Canada's Highest Waterfalls https://gripped.com/[...] Gripped Magazine 2023-05-05
[24] 웹사이트 Huge Canadian Waterfall Attracts Strong Climbers in Winter https://gripped.com/[...] Gripped Magazine 2023-05-05
[25] 웹사이트 Tom Ballard claims world's first D15 dry tooling climb in the Dolomites https://www.planetmo[...] PlanetMountain 2023-05-02
[26] 학술지 Degrees of Freedom: From dry tooling to figure fours, M-climbing in the mountains is redefining the vision of what's a climbable line http://publications.[...] American Alpine Journal 2023-05-01
[27] 웹사이트 Jim Elzinga and Slipstream, a 35-Year Story https://gripped.com/[...] Gripped Magazine 2023-05-06
[28] 웹사이트 Gimme Shelter in Canadian Rockies Climbed in 2019 https://gripped.com/[...] Gripped Magazine 2023-05-06
[29] 웹사이트 Legendary Rockies Riptide WI6+ Climbed in 2021 https://gripped.com/[...] Gripped Magazine 2023-05-06
[30] 웹사이트 10 of Canada's Hardest Ice Climbs at WI6+ https://gripped.com/[...] Gripped Magazine 2023-05-06
[31] 웹사이트 Repentance Super, the most coveted ice climb in Cogne https://www.planetmo[...] PlanetMountain
[32] 간행물 Rites of Passage: Canadian WI 8 Repeated https://www.climbing[...] Climbing 2023-05-06
[33] 웹사이트 Centercourt WI7+, new extreme ice climb in Austria's Gasteinertal by Leichtfried and Purner https://www.planetmo[...] PlanetMountain 2023-05-06
[34] 간행물 Austrians Overcome X-rated Grade WI7 Ice http://www.alpinist.[...] Alpinist 2023-05-06
[35] 간행물 New Austrian Ice Route Given WI7+ https://www.climbing[...] Climbing 2023-05-06
[36] 잡지 These are the 10 hardest climbs in the world https://www.redbull.[...] 2021-12-09
[37] 웹사이트 Wolverine and the first WI 11 in the history of ice climbing https://www.planetmo[...] 2013-01-10
[38] 잡지 "Mission to Mars" Is Tim Emmett and Klem Premrl's New WI 13 (What?!) at Helmcken Falls https://www.rockandi[...] 2020-02-19
[39] 웹사이트 Guy Lacelle and His Epic Ice Solos on Trophy Wall https://gripped.com/[...] 2020-12-03
[40] 웹사이트 Dani Arnold free solo climbs Beta Block Super icefall up Breitwangfluh in Switzerland https://www.planetmo[...] 2018-01-23
[41] 웹사이트 Dani Arnold Free Soloing a 1,000-Foot WI 7 Ice Climb https://www.rockandi[...] 2018-01-28
[42] 웹사이트 The 20 Best Climbing Films of All Time https://www.outsideo[...] 2022-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