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이 2세 드 라 트레무아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 2세 드 라 트레무아유는 푸아투 출신의 프랑스 귀족으로, 브르타뉴를 프랑스에 귀속시키기 위한 광기 전쟁에서 프랑스 왕실 군대를 지휘하여 생토뱅뒤코르미에 전투에서 승리했다. 그는 이탈리아 전쟁에 참전하여 포르노보 전투와 아냐델로 전투에 참여했으며, 노바라 전투에서는 패배했다. 이후 마리냐노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파비아 전투에서 아르카부스에 의한 부상으로 사망했다. 그는 가브리엘 드 부르봉과 결혼하여 샤를 1세를 낳았고, 루이사 보르자와 재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투아르 자작, 탈몽 공작 등의 작위를 받았으며, 파리 8구의 라 트레무아유 거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60년 출생 - 방유령
    방유령은 1460년에 태어나 1529년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김종직의 문인이며 갑자사화로 파직되었으나 복귀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훈구파이면서 사림파를 두둔하는 등 복잡한 정치적 행보를 보였다.
  • 1460년 출생 - 안당
    안당은 안경의 손자이자 안돈후의 아들이며, 안처겸, 안처함, 안처근을 자녀로 둔 인물로, 송익필 가문과는 외척 관계를 맺었으나, 친족 관련 고변으로 복잡한 관계가 되었다.
루이 2세 드 라 트레무아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루이 2세 드 라 트레무아유의 초상화, 도메니코 길란다이오 또는 그의 조수 중 한 명이 그림.
루이 2세 드 라 트레무아유의 초상화, 도메니코 길란다이오 또는 그의 조수 중 한 명이 그림.
이름루이 2세 드 라 트레무아유
출생일1460년 9월 29일
출생지투아르, 푸아투, 프랑스 왕국
사망일1525년 2월 24일
사망지파비아
사망 원인아르케부스 총상
아버지루이 1세 드 라 트레무아유
배우자가브리엘 드 부르봉 (1484년 7월 28일 결혼)
루이사 보르자 (1517년 4월 7일 결혼)
자녀샤를 1세 드 라 트레무아유
친척루이 1세 드 몽팡시에 백작
프랑수아 2세 드 라 트레무아유
루이즈 드 코에티비
체사레 보르지아
작위투아르 자작
塔尔蒙公
경력
직함탈몽 공
기네 백작
베농 백작
쉴리 남작
크라옹 남작
몽타귀 남작
몰레옹 남작
릴부샤르 남작
레 섬의 영주
로슈포르 영주
마랑 영주
국왕 수석 시종무관
군사 경력
참전 전투광인 전쟁
생토뱅뒤코르미에 전투
이탈리아 전쟁
포르노보 전투
노바라 전투 (1500년)
아냐델로 전투
노바라 전투 (1513년)
마리냐노 전투
파비아 전투 (전사)

2. 생애

루이 2세 드 라 트레무아유는 푸아투의 유력 귀족 가문 출신으로 투아르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루이 1세 드 라 트레무아유와 마르그리트 당부아즈이다.

그는 프랑스 왕국을 위해 여러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광기 전쟁 당시 프랑스 왕실 군대를 지휘하여 브르타뉴 공국과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으며, 이후 이탈리아 전쟁에도 참전하여 활약했다. 1525년 파비아 전투에서 국왕 프랑수아 1세를 보호하던 중 전사했다.

그는 1484년 가브리엘 드 부르봉과 결혼하여 외아들 샤를을 두었으나, 샤를은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했다.[3] 이후 1517년 루이자 보르자와 재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그의 사후 가독은 손자인 프랑수아가 계승했다.

2. 1. 군사 경력

옛 판화에서의 루이 2세 드 라 트레무아유.


루이 2세는 브르타뉴 공작 프랑수아 2세의 세력이 약화된 광기 전쟁 (La Guerre Folle|라 게르 폴fra, 또는 도화 전쟁) 동안 프랑스 왕실 군대를 지휘하여 브르타뉴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488년 3월, 그는 샤를 8세에 의해 브르타뉴의 중장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7월 28일 생토뱅뒤코르미에 전투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브르타뉴의 실질적인 독립을 종식시켰다.

이후 이탈리아 전쟁에도 여러 차례 참전했다. 주요 참전 전투는 다음과 같다.

  • '''포르노보 전투''' (1495년)
  • '''아냐델로 전투''' (1509년): 프랑스군의 승리에 기여했다.
  • '''노바라 전투''' (1513년): 프랑스군 사령관을 맡았으나, 10,000명의 병력으로 13,000명의 스위스 용병에게 매복 공격을 당해 큰 패배를 겪었다.
  • '''마리냐노 전투''' (1515년): 프랑수아 1세의 지휘 아래 프랑스의 승리를 이끌었다.


루이 2세 드 라 트레무아유와 가브리엘 드 부르봉.


1525년 2월 24일, 파비아 전투에서 전사했다. 전투 막바지에 프랑스군이 1,500명의 스페인 아르카부스 사수들에게 기습을 당했을 때, 라 트레무아유는 다른 고위 귀족들과 함께 국왕 프랑수아 1세를 보호하기 위해 싸웠다. 이 과정에서 심장에 아르카부스 총탄을 맞고 말에서 떨어져 사망했다.

2. 2. 혼인

1484년 7월 28일, 루이 2세는 루이 1세 드 몽팡시에의 딸인 가브리엘 드 부르봉(1447년–1516년)과 첫 번째 결혼을 했다.[3] 두 사람 사이에서는 외아들 샤를 1세 드 라 트레무아유(1485년–1515년)가 태어났다. 샤를 1세는 루이즈 드 쿠아티비와 결혼하여 프랑수아 2세 드 라 트레무아유를 낳았다.

1517년 4월 7일, 루이 2세는 발렌티누아 공작 체사레 보르자와 그의 프랑스인 부인 샬로트 달브레 사이에서 태어난 유일한 적녀인 16세의 루이사 보르자와 두 번째 결혼을 했다. 이 결혼에서는 자녀가 없었다. 루이 2세가 사망한 지 5년 후, 루이사 보르자는 부르봉뷔세(Bourbon-Busset)의 영주 필리프 드 부르봉과 재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3. 작위

루이 2세 드 라 트레무아유는 생애 동안 다양한 작위를 얻었다. 그는 탈몽 공작(Prince de Talmontfra), 투아르 자작(Vicomte de Thouarsfra), 기네 백작(Comte de Guînesfra), 베농 백작(Comte de Bénonfra), 쉴리 남작(Baron de Sullyfra), 크라옹 남작(Baron de Craonfra), 몽타쥐 남작(Baron de Montagufra), 몰레옹 남작(Baron de Mauléonfra), 일부샤르 남작(Baron de l'Ile-Bouchardfra) 등의 귀족 작위를 보유했다. 또한 일드레 영주(Seigneur des Iles de Réfra), 로슈포르 영주(Seigneur de Rochefortfra), 마랑 영주(Seigneur de Maransfra)이기도 했다. 이와 함께 프랑스 국왕의 최고 시종(Premier Chambellan du Roifra)이라는 중요한 궁정 직위도 맡았다.

4. 유산

파리 8구에 있는 라 트레무아유 도로(Rue de La Trémoille)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2]

참조

[1] 서적 The Berlitz Travellers Guide to France https://books.google[...] Berlitz International, Incorporated 1994-01-01
[2] 서적 The Penguin Guide to France, 1989 https://books.google[...] Penguin Group (USA) Incorporated
[3] 웹사이트 Gabrielle, Cts de Benon(capet22:F3) http://genealogy.euw[...] genealogy.euweb. 2005-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