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두타불급 잠수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두타불급 잠수함은 프랑스 해군이 운용한 핵추진 탄도 미사일 잠수함(SNLE)이다. 1958년 샤를 드골의 프랑스 대통령 선출 이후, 프랑스는 미국과 소련으로부터 독립적인 외교 정책을 추구하며 핵 억지력 확보에 집중했다. 르두타불급은 1963년 프로젝트 승인 이후 개발되었으며, 16개의 미사일 격실을 갖추고 M1, M2, M20 미사일을 탑재했다. 1971년 취역한 르두타블을 시작으로 총 6척이 건조되었으며, 앵플렉시블은 M4 미사일을 탑재했다. 르두타블은 현재 해군 박물관선으로 보존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잠수함 함급 - 루비급 잠수함
루비급 잠수함은 프랑스 해군이 운용하는 원자력 추진 공격 잠수함으로, 독특한 특징과 아메티스트 개조를 거쳤으며 쉬프랑급 잠수함으로 대체되고 있다. - 프랑스의 잠수함 함급 - 스코르펜급 잠수함
스코르펜급 잠수함은 프랑스와 스페인 해군이 개발했으나 수출용으로 전환된 디젤-전기 잠수함이며, 다양한 하위 유형이 있고 칠레, 말레이시아, 인도, 브라질 등에서 운용하며, 214형 잠수함과 경쟁했고 기밀 정보 유출 사건으로 논란이 있었다. - 핵추진 잠수함 - 원자력 잠수함
원자력 잠수함은 원자로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장기간 잠항 능력과 강력한 공격력을 갖춘 해양 전력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했지만, 스텔스 성능 저하, 핵폐기물 문제, 사고 가능성 등의 과제를 안고 국제 정세 변화에 따라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 핵추진 잠수함 - 시에라급 잠수함
시에라급 잠수함은 소련/러시아 해군의 공격형 핵잠수함으로, 티타늄 합금 선체를 사용하여 경량화와 저소음 성능을 달성했으며, 미국 SSBN/SSN 저지를 목표로 개발된 945형(시에라 I급)과 945A형(시에라 II급)으로 나뉜다.
르두타불급 잠수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함 종류 | 탄도 미사일 잠수함 |
함급 정보 | |
이름 | 르두타블급 |
건조 | DCNS |
이전 함급 | 없음 |
이후 함급 | 트리옹팡급 잠수함 |
건조 척수 | 6척 |
퇴역 척수 | 6척 |
제원 | |
배수량 | 수상 8,080톤 |
길이 | 128m |
폭 | 10.60m |
흘수선 | 10m |
추진 | 1 x PWR |
속력 | 20노트 이상 |
항속 거리 | 무제한 |
탑승 인원 | 장교 15명 |
센서 | |
종류 | 1 DRUA 33 |
무장 | |
미사일 | 16 x M4 미사일 |
어뢰 | 4 x 533 mm 어뢰관 |
기타 | |
동급 함선 | 르두타블; 테리블; 푸드루와이앙; 앵돔타블; 토낭; 앵플렉시블 |
![]() |
2. 역사적 배경
1958년 프랑스 입법 선거에서 샤를 드골이 프랑스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프랑스군은 큰 변화를 맞이했다. 새 정부는 미국 주도의 군사 정책에 대한 불만을 이유로 프랑스군을 NATO 통합 지휘 체계에서 철수시켰다. 1960년대부터 프랑스 외교 정책은 냉전 시대의 양대 강국인 미국과 소련으로부터 독립적인 노선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재편되었으며, 이는 "억제 - 개입 - 방어"라는 구호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외교 정책 기조 아래, 특히 '억제' 능력 확보를 위해 잠수함을 기반으로 한 독자적인 핵 억지력 구축이 프랑스 해군 전력 증강의 핵심 목표가 되었다.[3]
새로운 핵추진 탄도 미사일 잠수함(SNLE) 부대는 영국 왕립 해군과 비슷한 규모로 구상되었다. 그러나 영국과 달리 프랑스는 다른 국가로부터 기술 지원을 받기 어려웠고, 특히 미국은 프랑스 해군에 원자로 제작에 필요한 농축 우라늄 제공을 거부했다. 프랑스 핵 프로그램은 기술적 기반이 부족한 상태에서 시작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정부는 1963년 독자적인 핵 잠수함 건조 계획을 승인했다. 프랑스 해군은 민간 연구 기관인 프랑스 대체 에너지 및 원자력 위원회(CEA, Commissariat à l'énergie atomique et aux énergies alternativesfra)와 협력하여 핵추진 기술 개발에 나섰다. CEA는 미국으로부터 실험용 토지 사용을 허가하는 대가로 일부 농축 우라늄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카다라슈 연구 센터에 육상 시험용 원자로가 건설되었고, 실제 핵추진 잠수함의 운용 환경을 모사한 시험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프랑스는 자체적으로 고장력 강철을 개발하고 핵 추진 시스템에 적합한 잠수함 선체 설계 기술을 확보하는 등 관련 기술력을 축적했다.
핵추진 시스템 개발과 동시에 탄도 미사일과 핵탄두 개발도 진행되었다. 미사일 수중 발사 시험을 위해 특수 구조물인 케이슨이 건설되었으며, 1967년에는 시험 잠수함 짐노트(Gymnote)에 미사일 유도 및 항법 시스템을 탑재하여 성능을 시험했다. 첫 번째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시험 발사는 1968년 말 랑드 시험 센터(Centre d'Essais des Landesfra)에서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핵탄두는 태평양의 모루로아 환초에서 실시된 핵실험을 통해 개발되었다. 이러한 독자적인 핵 기술 개발 노력의 결과로 프랑스 최초의 핵추진 탄도 미사일 잠수함인 르두타불급이 탄생하게 되었으며[3], 프랑스 독자 핵무기 전력화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게 되었다.[4]
3. 설계
"미사일 발사 핵잠수함(Sous-marin Nucléaire Lanceur d'Engins, SNLE)"으로 지정된 이 잠수함은 프랑스가 독자적인 핵무기 전력을 갖추기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설계 및 건조된 최초의 SNLE이다.[3] 초기 설계 제원은 전체 길이 128m, 선폭 10.6m, 흘수 10m였다. 초기 배수량은 수상 약 7620352.50kg, 잠수 시 약 9144423.00kg이었으나, 나중에는 수상 배수량이 약 8128376.00kg로 증가했다.
동력원으로는 1기의 가압 경수로를 탑재하여 증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해 2개의 증기 터빈과 2개의 교류 발전기를 구동한다. 터보 전기 방식을 채택하여, 터보 감속 드라이브를 통해 하나의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거나, 교류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를 정류기를 거쳐 직류 모터로 스크류를 구동시켜 16200마력의 출력을 낸다.[4] 원자로, 터빈, 모터 등 주요 기관은 미사일 격납고 후방, 함미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4] 비상시를 대비하여 전기 비상 추진 장치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5000nmi의 항속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잠항 가능 심도는 200m 이상이며, 최대 속도는 20kn이다. 각 잠수함은 15명의 장교와 120명의 사병으로 구성된 2개의 교대 근무조로 운용되었다.
주 무장인 16기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수직 발사관은 사령탑 후방 중앙부에 2열로 배치되어 있으며,[4] 자위용 어뢰 발사관 4문은 함수에 있다.[4] 초기에는 M1, M2, M20 미사일을 탑재했으나, 1번함 ''르두타불''을 제외한 나머지 함들은 개수를 통해 신형 M4 및 M45 미사일을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후계함인 르 트리옹팡급 원자력 잠수함은 1997년부터 취역을 시작했다.
3. 1. 무장
''르두타불''급 잠수함은 프랑스 독자적인 핵무기 전력화의 일환으로 계획·건조되었다.[3] 프랑스 최초의 SNLE(핵추진 탄도 미사일 잠수함)로서, 주력 무장으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을 탑재한다.
SLBM을 위한 수직 미사일 발사관은 사령탑 후방, 함의 중앙부에 2열로 배치되어 총 16기가 장착되어 있다.[4] 건조 초기에는 함마다 다른 종류의 미사일을 탑재했다.
1977년에는 M1과 M2 미사일이 모두 M20 MSBS로 교체되었다. 이후, 1번함 ''르두타불''을 제외한 나머지 함들은 대규모 개수 공사를 거쳐 더 크고 성능이 향상된 신형 미사일인 M4 및 M45를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자위용 무장으로 함수에 어뢰 발사관 4문을 갖추고 있다.[4]
4. 동급 함정
번호 | 함명 | 기공 | 진수 | 취역 | 퇴역 | 비고 |
---|---|---|---|---|---|---|
S611 | 르 르두타블 | 1964년 3월 30일 | 1967년 3월 29일 | 1971년 12월 1일 | 1991년 12월 | 박물관선 |
S612 | 르 테리블 | 1967년 6월 24일 | 1969년 12월 12일 | 1973년 1월 1일 | 1996년 | |
S610 | 르 푸드로와이앙 | 1969년 12월 12일 | 1971년 12월 4일 | 1974년 7월 6일 | 1998년 | 최초로 M2 미사일 탑재 |
S613 | 랑동타블 | 1971년 12월 4일 | 1974년 8월 17일 | 1976년 12월 23일 | 2003년 | |
S614 | 르 토낭 | 1974년 10월 | 1977년 9월 17일 | 1980년 4월 3일 | 1999년 12월 |
4. 1. 준동형함
랑플렉시블은 르두타불급을 개량한 함[3]이며, 단독 급으로 취급되는 경우도 있다.5. 운용 현황
1번 잠수함인 ''르두타블''(Redoutable)은 1963년에 발주되어 셰르부르에서 건조되었고, 1967년에 진수되어 1971년에 취역했다. 이 잠수함은 1974년부터 M2 MSBS 미사일로 무장을 교체했으며, 이는 다시 1977년부터 M20 MSBS 미사일로 대체되었다.
''르두타블''을 제외한 모든 잠수함은 1985년부터 대대적인 개량을 거쳐 2세대 MIRV 기술이 적용된 M4 미사일을 탑재하게 되었다. 각 잠수함의 재취역 시기는 다음과 같다.
잠수함 | 재취역 연도 |
---|---|
토낭(Tonnant) | 1987년 |
앵돔타블(Indomptable) | 1989년 |
테르블(Terrible) | 1990년 |
푸드로와용(Foudroyant) | 1993년 |
''르두타블''은 2002년부터 프랑스 셰르부르-옥트빌에 있는 해군 박물관인 ''라 시테 드 라 메르''(Cité de la Mer)에서 박물관선으로 보존되고 있다. 보존 과정에서 원자로가 있던 구획은 안전을 위해 새로운 구획으로 교체되었다.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60 Years of Marine Nuclear Power 1955–2015
https://www.lynceans[...]
2015-08
[2]
웹사이트
À BORD DU SOUS-MARIN LE REDOUTABLE
https://www.citedela[...]
[3]
간행물
フランス海軍の戦後戦略とその潜水艦部隊
海人社
1992-09
[4]
간행물
フランス潜水艦のテクノロジー
海人社
199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