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라 (통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라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된 통화 단위로, 현재 터키, 레바논, 시리아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고 있다. 터키 리라는 1844년 오스만 제국 시대에 도입되어 터키와 북키프로스 튀르크 공화국, 그리고 터키가 점령한 시리아 북부에서 사용되며, 레바논 리라와 시리아 리라는 아랍어로 "리라"라고 불린다. 과거에는 이탈리아, 몰타, 바티칸, 산마리노 등 다양한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나, 유로화 도입 등으로 인해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운드 (통화) - 카롤링거 통화체계
카롤링거 통화체계는 샤를마뉴 대제가 도입한 프랑크 왕국의 통화 시스템으로, 파운드를 무게 단위로, 은화 데나리우스를 사용하고 1 솔리두스 = 12 데나리우스의 계산 단위를 적용했으며, 유럽 각지로 확산된 후 십진법 화폐로 전환되면서 사라졌다. - 파운드 (통화) - 뉴질랜드 파운드
뉴질랜드 파운드는 한때 뉴질랜드의 공식 통화였으나, 대공황과 가치 변동을 거쳐 1967년 뉴질랜드 달러로 대체되었다. - 유럽의 통화 - 독일 마르크
독일 마르크는 1871년부터 2002년까지 독일의 공식 통화였으며, 통일 독일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미국 달러 다음으로 큰 국제 준비 통화였으나 유로화 도입으로 대체되었다. - 유럽의 통화 - 아이슬란드 크로나
아이슬란드 크로나는 아이슬란드의 공식 통화로, 덴마크 크로네에서 유래되었으며, 독립 후 독자적인 통화 정책을 시행하여 동전 발행, 화폐 개혁, 환율 고정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중앙은행이 관리하며 캐시리스 사회로 전환 중이고, 금융 위기 이후 가치 변동을 겪고 있다.
| 리라 (통화) | |
|---|---|
| 화폐 정보 | |
| 통화 | 리라 |
| 기호 | ₤ (과거) TL (현재 터키 리라) |
| ISO 4217 코드 | ITL (과거 이탈리아 리라) TRL (1923–2005 터키 리라) TRY (현재 터키 리라) |
| 사용 국가 | |
| 현재 사용국 | 터키 (터키 리라) |
| 과거 사용국 | 이탈리아 (이탈리아 리라, 유로로 대체) 산마리노 (산마리노 리라, 유로로 대체) 바티칸 시국 (바티칸 리라, 유로로 대체) 나폴레옹 치살피나 공화국 알바니아 레바논 시리아 몰타 이스라엘 |
| 역사적 정보 | |
| 어원 | 라틴어 libra (리브라, "저울" 또는 "파운드" 의미) |
| 복수형 | 리레 (lira 복수형) |
| 보조 단위 | 센테시모 (이탈리아 리라, 1/100) 쿠루슈 (터키 리라, 1/100) |
| 과거 가치 | 금 5.18 그램 |
| 사용 | |
| 약어 | L, £, ₤ |
| 발행 기관 | 이탈리아 은행 (과거) 터키 중앙은행 (현재) |
| 주조 | 과거: 이탈리아 조폐국 현재: 터키 조폐국 |
| 현재 가치 | |
| 환율 | 환율은 변동하므로, 현재 가치는 환율 정보를 참고하십시오. |
2. 명칭 및 기호
라틴어로 천칭을 의미하며, 질량의 단위이기도 했던 리브라 (libra)가 어원이다. 화폐로서는 질량 1리브라의 은의 가치를 나타냈다. 이탈리아어의 법칙에 따라 이중 자음 중 첫 번째 자음이 탈락하여 리라 (lira)가 되었다.
libra 또는 lira의 머리글자를 도안화한 통화 기호 £는 이탈리아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영국 등에서는 파운드의 통화 기호로 사용되고 있다. 통화 기호에는 그 외 L, £나 L에 국명의 머리글자를 붙인 것 등이 있다.
- 터키 리라는 터키 리라 기호 (₺)를 사용한다.
- 레바논 리라는 라틴 문자에서 £L (숫자 앞에) 또는 L.L. (숫자 뒤에)를 사용하고, 아랍 문자에서는 ل.ل.를 사용한다.
- 시리아 리라는 라틴 문자에서 £S (숫자 앞에) 또는 L.S. (숫자 뒤에)를 사용하고, 아랍 문자에서는 ل.س를 사용한다.
- 이탈리아 리라는 공식 기호가 없었지만, 약어 L.와 Lit. 및 기호 ₤ (두 줄), £ (한 줄)이 모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유니코드 시스템은 레거시 HP 문자 세트와의 호환성을 위해 이탈리아 리라에 리라 기호 ₤ (U+20A4)를 할당했다.[1] 파운드 기호 £ (U+00A3)와 마찬가지로, 한 줄과 두 줄 버전이 다른 글꼴 스타일로 처리될 수 있는데, 이탈리아나 다른 곳에서 어느 스타일이 우세했는지에 대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 몰타 리라는 1986년 이전에는 £M을 사용했고, 그 이후에는 Lm을 사용했다 (둘 다 접두사로 사용). 비공식적으로는 £M이 계속 사용되었다.
3. 역사
리라는 라틴어 libra|리브라la에서 유래한 화폐 단위로, 본래 질량 단위였으나 은의 가치를 나타내는 화폐로 사용되었다. 역사적으로 이탈리아와 그 주변국, 오스만 제국 및 이후 튀르키예 등 여러 지역에서 통용되었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그 가치는 달랐다.
3. 1. 기원
리라의 어원은 라틴어로 천칭을 의미하며, 질량의 단위이기도 했던 libra|리브라la이다. 화폐 단위로서 리라는 질량 1리브라의 은 가치를 나타냈다. 이 단어는 이탈리아어로 변하면서 lira|리라it가 되었다.libra|리브라la 또는 lira|리라it의 머리글자를 도안화한 통화 기호 £는 이탈리아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영국 등에서는 파운드의 통화 기호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 외에도 L, £나 L에 국명의 머리글자를 붙인 형태 등 다양한 통화 기호가 사용된다.
3. 2. 오스만 제국과 튀르키예
터키 리라는 1844년 오스만 제국 시대에 도입되었다. 현재 터키 리라는 튀르키예와 북키프로스 튀르크 공화국의 통화이며, 튀르키예가 점령한 시리아 북부에서도 사용된다.3. 3. 이탈리아와 주변국
리라는 이탈리아 통일 이후 1999년 유로화 도입 전까지 이탈리아의 공식 통화로 사용되었다.[2] 리라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천칭을 의미하며 질량의 단위이기도 했던 리브라(libra)에서 유래했다. 화폐 단위로서 리라는 질량 1리브라에 해당하는 은의 가치를 나타냈다. 이탈리아어의 음운 규칙에 따라 리브라(libra)의 첫 번째 자음이 탈락하여 리라(lira)가 되었다. 이탈리아 통일 이전에는 루카 리라, 교황령 리라, 파르마 리라, 사르데냐 리라, 토스카나 리라 등 여러 지역에서 리라를 사용했지만 가치는 서로 달랐다.리라의 통화 기호로는 libra 또는 lira의 머리글자를 도안화한 £가 이탈리아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이는 영국 등에서 파운드의 기호로도 쓰인다. 그 외에도 L이나 L에 국가명의 머리글자를 붙인 형태도 사용되었다.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주변의 일부 국가에서도 리라 또는 동일한 가치의 통화를 사용했으며, 이후 유럽 통화 통합 과정에서 유로로 전환되었다.
| 국가 | 통화 | 유로 전환 시점 |
|---|---|---|
| 이탈리아 | 이탈리아 리라 | 2002년 2월 28일 |
| 산마리노 | 산마리노 리라 | 2001년 12월 31일 |
| 바티칸 시국 | 바티칸 리라 | 2001년 12월 31일 |
| 몰타 | 몰타 리라 | 2007년 12월 31일 |
| 키프로스 | 키프로스 파운드 (키프로스 리라) | 2007년 12월 31일 |
4. 현재 사용 중인 리라
튀르키예 리라는 1844년 오스만 제국 시대에 처음 도입되었다. 현재 튀르키예 리라는 튀르키예와 북키프로스 튀르크 공화국의 공식 통화이며, 터키가 점령한 시리아 북부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2005년에 화폐 개혁으로 '신 터키 리라'가 도입되었으나, 2009년부터 발행된 신권은 다시 '터키 리라'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튀르키예 리라의 보조 통화는 쿠루쉬(kuruş|쿠루쉬tur)이며, 1 리라는 100 쿠루쉬에 해당한다.
레바논 파운드와 시리아 파운드는 해당 국가의 공식 아랍어 명칭으로 '리라'(ليرة|리라ara)라고 불린다.
요르단 디나르는 요르단의 통화이지만, 요르단 리라라고 불리기도 한다.
5. 과거에 사용되었던 리라
리라(Lira)는 과거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 통용되었던 화폐 단위이다. 특히 이탈리아에서는 이탈리아 통일 이후부터 1999년 유로화 도입 결정 이전까지 공식 통화로 사용되었다.[2] 이탈리아 리라는 2002년 2월 28일까지 유통되었으며, 이후 유로화로 완전히 대체되었다.
이탈리아 외에도 산마리노, 바티칸 시국, 몰타, 키프로스 등 여러 국가에서 리라를 사용했으며, 이들 국가 역시 대부분 유로화를 도입하면서 리라 사용을 중단했다. 오스만 제국의 리라는 현대 터키 리라의 전신이며, 이스라엘에서도 초기에 리라(파운드)를 사용했다. 이탈리아가 통일되기 전에는 루카, 교황령, 파르마, 사르데냐, 토스카나 등 이탈리아 내 여러 지역에서 각기 다른 가치를 지닌 리라를 사용하기도 했다.
5. 1. 소멸된 기타 리라
| 통화명 | 사용 지역/국가 | 사용 기간 | 대체 통화/비고 |
|---|---|---|---|
| 교황령 리라 | 교황령 | 1866–1870 | 바티칸 리라로 전환 (이탈리아 리라와 동일 가치) |
| 나폴리 리라 | 나폴리 왕국 | 1812–1813 | 이탈리아 리라에 통합 |
| 루카 리라 | 루카 공국 | ~1800년, 1826–1847 | 이탈리아 리라에 통합 |
| 몰타 리라 | 몰타 | 1825–2007 | 2008년 유로에 통합 |
| 바티칸 리라 | 바티칸 시국 | 1929–2002 | 유로에 통합 |
| 베네치아 리라 | 베네치아 공화국 | 1472–1807 | 이탈리아 리라에 통합 |
| 사르데냐 리라 | 사르데냐 왕국 | 1816–1861 | 이탈리아 리라에 통합 |
| 산마리노 리라 | 산마리노 | 1860년대–2002 | 유로에 통합 |
| 에리트레아 리라 |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 | 1885–1921 | 에리트레아 탈레로로 대체 추정 |
| 오스만 리라 | 오스만 제국 | 1844–1923 | 터키 리라로 전환. (구 터키 리라는 2004년까지 사용 후 2005년 신 터키 리라로 디노미네이션됨) |
| 이스라엘 리라 | 이스라엘 | 1948–1980 | 1980년 구 셰켈로 대체됨. לירה|리라he, 복수형 לירות|리로트he. 이스라엘 파운드라고도 함. |
| 이탈리아 리라 | 이탈리아 | 1861–2002 | 1999년 유로에 통합 (2002년부터 지폐 및 동전 사용) |
| 이탈리아 왕국 리라 | 나폴레옹 시대 이탈리아 왕국 | 1807–1814 | - |
|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리라 |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 1938–1941 | 동아프리카 실링으로 대체됨 |
|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리라 |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 1925–1938 |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리라로 대체됨 |
| 키프로스 리라/파운드 | 키프로스 | 1879–2007 | 2008년 유로에 통합 |
| 토스카나 리라 | 토스카나 대공국 | ~1807년, 1814–1826 | 이탈리아 리라에 통합 |
| 트리폴리타니아 리라 | 영국 점령 하 리비아 | 1943–1951 | 리비아 파운드로 대체됨 |
| 파르마 리라 | 파르마 공국 | ~1802년, 1815–1859 | 이탈리아 리라에 통합 |
| 프랑스 리브르 | 프랑스 왕국 | 781–1794 | 프랑스 프랑으로 전환 |
참조
[1]
서적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8.0 – Core Specification
The Unicode Consortium
[2]
서적
The Merchants' Handbook
https://books.google[...]
Edward Stanfo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