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버모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버모륨(Lv)은 2000년 7월에 발견된 인공적으로 합성된 원소로, 원자 번호 116번이다. 퀴륨-248과 칼슘-48의 핵융합 반응을 통해 처음 합성되었으며, 2012년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를 기념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리버모륨은 16족(산소족)에 속하며, 폴로늄 아래에 위치한다. 알려진 동위원소는 매우 짧은 반감기를 가지며, 핵 안정성 연구를 통해 안정의 섬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리버모륨의 화학적 성질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지만, 폴로늄과 유사할 것으로 예측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니스트 로런스 -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는 1952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 의해 설립되어 미국 에너지부의 지원을 받아 국가핵안보국 산하에서 핵무기 설계 및 관리, 글로벌 안보, 에너지 및 환경 문제 등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는 미국의 국립 연구소이다.
  • 어니스트 로런스 - 로런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로런스 버클리 국립연구소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시작하여 미국 에너지부 산하 국립 연구소로 발전했으며, 가속기 개발, 핵융합 연구, 유전체학, 나노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16개의 원소 발견, 15명의 노벨상 수상자 배출, 5개의 국립 과학 사용자 시설 운영을 통해 과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16족 원소 - 텔루륨
    텔루륨은 은백색의 금속성 광택을 가진 부서지기 쉬운 반금속 원소로, 광전도성을 보이며 셀레늄, 황과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나타내고 구리 정련 부산물로 얻어져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지만, 텔루륨과 그 화합물은 경미한 독성을 지닌 희귀 원소이다.
  • 16족 원소 - 셀레늄
    셀레늄은 육방정계의 회색 형태가 가장 안정적인 비금속 원소로, 생명체의 필수 미량 영양소로서 항산화 효과 및 갑상선 호르몬 대사에 관여하며, 유리 제조, 반도체 등 산업적으로도 활용되지만 과다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 전이후 금속 - 인듐
    인듐은 은백색의 무른 금속 원소로, 낮은 경도와 뛰어난 전연성을 가지며, LCD 투명 전극, 반도체, 태양전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아연 광석의 부산물이다.
  • 전이후 금속 - 알루미늄
    알루미늄은 은백색의 가볍고 가공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열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합금 형태로 널리 사용되며, 보크사이트에서 추출되어 재활용 또한 활발히 이루어진다.
리버모륨
리버모륨 정보
원소 이름리버모륨
영어 이름Livermorium
일본어 이름リバモリウム (리바모리우무)
원자 번호116
원소 기호Lv
이전 원소모스코븀
다음 원소테네신
위 원소Po
아래 원소불명
주기7
16
블록p
겉모습불명
원자 질량[293]
전자 배치[Rn] 5f14 6d10 7s2 7p4 (추정)
껍질 당 전자 수2, 8, 18, 32, 32, 18, 6
CAS 등록 번호54100-71-9
물리적 성질
녹는점 (섭씨)300 (추정)
끓는점 (섭씨)900 (추정)
밀도 (g/cm3)12.9 (α-Lv, 추정)
공유 반지름175
결정 구조단순 입방 격자 (α-Lv, 추정)
단순 능면체 격자 (β-Lv, 추정)
동위 원소
리버모륨-290존재 비율: 인공 방사성 동위 원소
반감기: 7.1 ms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10.84 MeV
붕괴 생성물: 286 Fl
리버모륨-291존재 비율: 인공 방사성 동위 원소
반감기: 18 ms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10.74 MeV
붕괴 생성물: 287 Fl
리버모륨-292존재 비율: 인공 방사성 동위 원소
반감기: 18 ms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10.66 MeV
붕괴 생성물: 288 Fl
리버모륨-293존재 비율: 인공 방사성 동위 원소
반감기: 61 ms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10.54 MeV
붕괴 생성물: 289 Fl

2. 역사

2000년 7월 19일 두브나의 러시아연방핵연구소(JINR)에서 퀴륨-248 표적에 칼슘-48 이온을 충돌시켜 리버모륨-293을 처음으로 합성하였다.[10][63] 이 발견은 2000년 12월에 발표되었다.[10][63]

:\,^{48}_{20}\mathrm{Ca} + \,^{248}_{96}\mathrm{Cm} \to \,^{296}_{116}\mathrm{Lv} ^{*} \to \,^{293}_{116}\mathrm{Lv} + 3\,^{1}_{0}\mathrm{n}

이 반응으로 생성된 리버모륨 원자는 알파 붕괴를 통해 10.54 MeV의 붕괴 에너지플레로븀 동위원소로 붕괴하였다.[10] 붕괴 생성물인 플레로븀 동위원소는 1999년 6월에 처음 합성된 플레로븀 동위원소의 특성과 일치했으며, 원래 288Fl로 지정되었다.[10][63] 그러나 2002년 12월 후속 연구 결과, 합성된 플레로븀 동위원소는 실제로 289Fl이었으며, 따라서 합성된 리버모륨 원자의 지정 또한 293Lv로 수정되었다.[14][67] 2001년 4월~5월, 추가 실험을 통해 리버모륨 원자 2개를 더 검출하였다.[101]

1998년 후반, 폴란드 물리학자 로베르트 스몰란추크(Robert Smolańczuk)는 초중원소 합성을 위한 원자핵 융합에 대한 계산 결과를 발표했다.[4][57] 그의 계산은 과 크립톤(Krypton)을 융합하여 리버모륨과 오가네손을 합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4][57]

:\,^{86}_{36}\mathrm{Kr} + \,^{208}_{82}\mathrm{Pb} \to \,^{293}_{118}\mathrm{Og} + \,^{1}_{0}\mathrm{n} \to \,^{289}_{116}\mathrm{Lv} + \,^{4}_{2}\mathrm{He}

1999년,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LBNL) 연구진은 이 예측을 이용하여 리버모륨과 오가네손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으나,[5][58] 이듬해, LBNL을 포함한 다른 어떤 연구자도 이 결과를 재현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논문은 철회되었다.[7][60]

2009년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국제순수·응용물리연합(IUPAP) 합동 작업 그룹은 283Cn 관련 데이터를 인정함으로써 리버모륨-291의 발견을 간접적으로 인정했다.[15] 2011년, IUPAC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 두브나 연구팀의 실험을 평가하여 2004년부터 2006년까지의 결과를 리버모륨 확인으로 받아들였고, 이 원소는 공식적으로 발견된 것으로 인정받았다.[16] 리버모륨 합성은 2012년 독일 중이온연구소(GSI)[17]와 2014년 및 2016년 일본 RIKEN(이화학연구소)에서[17][18] 독립적으로 확인되었다.

멘델레예프의 명명법에 따르면, 리버모륨은 '에카-폴로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20] 1979년 IUPAC은 원소의 발견이 확인되고 이름이 결정될 때까지 체계적 원소 이름인 '우눈헥슘'(Ununhexium, Uuh)을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

IUPAC 권고에 따르면, 새로운 원소를 발견한 사람 또는 발견자는 이름을 제안할 권리가 있다.[24] 리버모륨의 발견은 플레로븀의 발견과 함께 2011년 6월 1일 IUPAC 합동 작업반(JWP)에 의해 인정되었다.[16] JINR 부소장에 따르면, 두브나 팀은 원래 원소 116을 두브나가 위치한 모스크바주를 따서 '모스코븀'이라고 명명하려고 했지만,[25] 나중에 이 이름을 원소 115에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리버모륨'이라는 이름과 기호 'Lv'는 2012년 5월 23일에 채택되었다.[26][27] 이 이름은 JINR과 함께 발견에 협력한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버모어시에 있는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를 기념하는 것이다. 도시 이름은 영국 출신의 귀화 멕시코 시민이자 미국 목장주인 로버트 리버모어(Robert Livermore)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로버트 리버모어(Robert Livermore), 리버모륨의 간접적 이름의 유래

2. 1. 발견 이전 시도

1977년,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LLNL)에서 퀴륨(Cm)-248과 칼슘(Ca)-48 반응을 이용해 리버모륨 합성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1] 1978년, 러시아 핵물리학연구소(Joint Institute for Nuclear Research, JINR) 플레로프 핵반응 연구소(Flerov Laboratory of Nuclear Reactions, FLNR)에서도 같은 반응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985년, 독일 중이온연구소(Gesellschaft für Schwerionenforschung, GSI)와 버클리 연구팀의 공동 실험 역시 실패했으며, 계산된 핵 반응 단면적 한계는 10–100 pb였다.[2]

1995년, GSI에서 지그프리트 호프만(Sigurd Hofmann)이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Pb)-208과 셀레늄(Se)-82 반응을 이용해 리버모륨 합성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3]

2. 2. 발견

2000년 7월 19일 두브나의 러시아연방핵연구소(JINR)에서 퀴륨-248 표적에 칼슘-48 이온을 충돌시켜 리버모륨-293을 처음으로 합성하였다.[10][63] 이 발견은 2000년 12월에 발표되었다.[10][63]

:\,^{48}_{20}\mathrm{Ca} + \,^{248}_{96}\mathrm{Cm} \to \,^{296}_{116}\mathrm{Lv} ^{*} \to \,^{293}_{116}\mathrm{Lv} + 3\,^{1}_{0}\mathrm{n}

이 반응으로 생성된 리버모륨 원자는 알파 붕괴를 통해 10.54 MeV의 붕괴 에너지플레로븀 동위원소로 붕괴하였다.[10] 붕괴 생성물인 플레로븀 동위원소는 1999년 6월에 처음 합성된 플레로븀 동위원소의 특성과 일치했으며, 원래 288Fl로 지정되었다.[10][63] 그러나 2002년 12월 후속 연구 결과, 합성된 플레로븀 동위원소는 실제로 289Fl이었으며, 따라서 합성된 리버모륨 원자의 지정 또한 293Lv로 수정되었다.[14][67]

2001년 4월~5월, 추가 실험을 통해 리버모륨 원자 2개를 더 검출하였다.[101] 2004년~2006년, 퀴륨-245 표적을 사용한 실험에서 리버모륨-290과 리버모륨-291의 증거가 발견되었다.

1998년 후반, 폴란드 물리학자 로베르트 스몰란추크(Robert Smolańczuk)는 초중원소 합성을 위한 원자핵 융합에 대한 계산 결과를 발표했다.[4][57] 그의 계산은 과 크립톤(Krypton)을 융합하여 리버모륨과 오가네손을 합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4][57]8636Kr + 20882Pb → 293118Og + n289116Lv + α

1999년,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LBNL) 연구진은 이 예측을 이용하여 리버모륨과 오가네손을 발견했다고 Physical Review Letters지 논문에 발표했고,[5][58] 그 직후 사이언스(Science)지에도 결과를 보고했다.[6][59] 하지만 이듬해, LBNL을 포함한 다른 어떤 연구자도 이 결과를 재현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논문은 철회되었다.[7][60] 2002년 6월, LBNL 소장은 이 두 원소의 발견을 처음 주장한 것이 빅토르 니노프(Victor Ninov)의 조작된 데이터에 기반한 것이라고 발표했다.[8][9][61][62]

2. 3. 발견 확인

2009년 5월, IUPAC/IUPAP 합동 작업 그룹은 코페르니슘 발견을 보고하면서 283Cn 동위원소 발견을 인정했다.[15] 이는 그 손녀 핵종인 283Cn 관련 데이터를 인정함으로써 리버모륨-291의 발견을 간접적으로 인정한 것이었다. 2011년, IUPAC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 두브나 연구팀의 실험을 평가하여 2004년부터 2006년까지의 결과를 리버모륨 확인으로 받아들였고, 이 원소는 공식적으로 발견된 것으로 인정받았다.[16]

리버모륨 합성은 2012년 독일 중이온연구소(GSI)[17]와 2014년 및 2016년 일본 RIKEN(이화학연구소)에서[17][18] 독립적으로 확인되었다.

2. 4. 명명

멘델레예프의 명명법에 따르면, 리버모륨은 '에카-폴로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20] 1979년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은 원소의 발견이 확인되고 이름이 결정될 때까지 체계적 원소 이름인 '우눈헥슘'(Ununhexium, Uuh)[21]을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 화학계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었지만, 이 권고안은 해당 분야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대부분 무시되었고,[22][23] '원소 116'이라고 부르며, 기호로는 ''E116'', ''(116)'', 또는 간단히 ''116''을 사용했다.

IUPAC 권고에 따르면, 새로운 원소를 발견한 사람 또는 발견자는 이름을 제안할 권리가 있다.[24] 리버모륨의 발견은 플레로븀의 발견과 함께 2011년 6월 1일 IUPAC 합동 작업반(JWP)에 의해 인정되었다.[16] JINR 부소장에 따르면, 두브나 팀은 원래 원소 116을 두브나가 위치한 모스크바주를 따서 '모스코븀'이라고 명명하려고 했지만,[25] 나중에 이 이름을 원소 115에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리버모륨'이라는 이름과 기호 'Lv'는 2012년 5월 23일에 채택되었다.[26][27] 이 이름은 JINR과 함께 발견에 협력한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버모어시에 있는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를 기념하는 것이다. 도시 이름은 영국 출신의 귀화 멕시코 시민이자 미국 목장주인 로버트 리버모어(Robert Livermore)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플레로븀과 리버모륨의 명명식은 2012년 10월 24일 모스크바에서 열렸다.[28]

3. 핵합성

다음 표는 리버모륨을 합성하기 위한 표적과 충돌시킨 원자의 조합을 나타낸 것이다.

표적충돌시킨 원자생성물반응 결과
208Pb82Se290Lv
232Th58Fe290Lv아직 반응 시도되지 않음
238U54Cr292Lv
244Pu50Ti294Lv아직 반응 시도되지 않음
248Cm48Ca296Lv
246Cm48Ca294Lv아직 반응 시도되지 않음
245Cm48Ca293Lv
249Cf40Ar289Lv아직 반응 시도되지 않음



오가네손 합성 실험을 실시한 뒤에 리버모륨 합성 실험을 실시하기도 했다. 이는 2006년에 실시한 가장 최근의 합성 실험 반응이다.

3. 1. 저온 핵융합

1998년에 (208Pb)을 표적으로 하여 셀레늄(82Se)을 충돌시켜 리버모륨-290을 합성하려고 했지만 실패하였다.

3. 2. 고온 핵융합

1998년에 우라늄-238을 표적으로 하여 크로뮴-54를 충돌시켜 리버모륨-292를 합성하려 했지만 실패하였다.[102]

2000년 7월 19일, 러시아연방핵연구소(JINR) 과학자들이 퀴륨-248 표적에 가속된 칼슘-48 이온을 충돌시켜 리버모륨 합성에 처음으로 성공하였다. 단일 원자가 검출되었으며, 알파 붕괴를 통해 10.54 MeV의 붕괴 에너지플레로븀 동위원소로 붕괴되었다. 이 결과는 2000년 12월에 발표되었다.[10]

:248Cm영어 + 48Ca영어296Lv*영어293Lv영어 + 3 1n영어289Fl영어 + α

붕괴 생성물인 플레로븀 동위원소는 1999년 6월에 처음 합성된 플레로븀 동위원소의 특성과 일치했으며, 원래 288Fl영어로 지정되었다.[10] 이는 모 원소인 리버모륨 동위원소를 292Lv영어로 지정해야 함을 의미했다. 그러나 2002년 12월 후속 연구 결과, 합성된 플레로븀 동위원소는 실제로 289Fl영어이었으며, 따라서 합성된 리버모륨 원자의 지정 또한 293Lv영어로 수정되었다.[14]

3. 3. 기타 합성 방법

2024년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연구팀은 244Pu와 50Ti의 반응으로 290Lv 원자 2개를 합성했다고 보고했다.[29][30][31] 2023년 두브나에 있는 JINR의 초중원소 공장에서는 238U와 54Cr 반응을 연구하여 새로운 동위원소 288Lv 원자 1개를 보고했다.[39] JINR 연구팀은 2024년 242Pu와 50Ti 반응을 연구하여 288Lv과 그 붕괴 생성물에 대한 추가 데이터를 확보하고 새로운 동위원소 289Lv을 발견했다.[38]

4. 동위 원소

동위 원소발견 연도발견 방법
290Lv2002249Cf(48Ca,3n)[107]
291Lv2003245Cm(48Ca,2n)[105]
292Lv2004248Cm(48Ca,4n)[108]
293Lv2000248Cm(48Ca,3n)[100]



리버모륨은 코페르니슘(원소 112)과 플레로븀(원소 114)을 중심으로 한 안정의 섬 근처에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되는 높은 핵분열 장벽으로 인해, 이 안정의 섬 내의 어떤 원자핵도 알파 붕괴와 일부 전자 포획 및 베타 붕괴에 의해서만 붕괴될 것이다. 알려진 리버모륨 동위원소는 안정의 섬에 충분한 중성자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더 무거운 동위원소가 일반적으로 더 수명이 길기 때문에 안정의 섬에 접근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10][16]

초중원소는 핵융합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한 핵융합 반응은 생성된 복합핵의 여기 에너지에 따라 "고온" 및 "저온" 핵융합으로 나눌 수 있다. 고온 핵융합 반응에서는 매우 가볍고 고에너지의 발사체가 매우 무거운 표적(악티늄족 원소)으로 가속되어 높은 여기 에너지(~40–50 MeV)의 복합핵이 생성되며, 이는 핵분열하거나 여러 개(3~5개)의 중성자를 방출할 수 있다.[36] 저온 핵융합 반응(일반적으로 4주기의 더 무거운 발사체와 더 가벼운 표적, 보통 비스무트를 사용)에서는 생성된 융합 핵의 여기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낮아(~10–20 MeV) 핵분열 반응을 일으킬 확률이 감소한다. 융합된 핵이 바닥 상태로 냉각됨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의 중성자만 방출한다. 고온 핵융합 반응은 악티늄족 원소가 현재 거시적인 양으로 만들 수 있는 원소 중 가장 높은 중성자 대 양성자 비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 중성자가 풍부한 생성물을 만드는 경향이 있다.[37]

더 많은 리버모륨 동위원소, 특히 알려진 동위원소보다 중성자가 몇 개 더 많거나 적은 동위원소(286Lv, 287Lv, 294Lv, 295Lv)의 합성을 통해 초중핵의 특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는 표적 제작에 사용할 수 있는 상당히 수명이 긴 퀴륨의 동위원소가 많기 때문이다. 가벼운 동위원소는 퀴륨-243과 칼슘-48을 융합하여 만들 수 있다. 이들은 알파 붕괴 사슬을 거쳐 고온 핵융합으로는 달성하기에 너무 가볍고 저온 핵융합으로는 생성하기에 너무 무거운 초악티늄족 원소 동위원소로 끝난다.

무거운 동위원소 294Lv와 295Lv는 무거운 퀴륨 동위원소 퀴륨-250과 칼슘-48을 융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 핵반응의 단면적은 약 1 피코바른이지만, 아직 표적 제작에 필요한 양으로 250Cm을 생산할 수 없다.

5. 성질

리버모륨은 7s27p4의 원자가 전자 배열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7p 부껍질의 분열을 고려하여 7s27p1/227p3/22로 나타낼 수도 있다. 리버모륨의 녹는점끓는점은 칼코젠족 원소의 경향을 따를 것으로 예상되어, 폴로늄보다 높은 온도에서 녹지만, 더 낮은 온도에서 끓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폴로늄보다 밀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α-Lv: 12.9g/cm3; α-Po: 9.2g/cm3).[46] 폴로늄과 마찬가지로 α와 β 동소체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46]

5. 1. 핵 안정성

리버모륨은 코페르니슘(원소 112)과 플레로븀(원소 114)을 중심으로 한 안정의 섬 근처에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높은 핵분열 장벽으로 인해 이 안정의 섬 내의 어떤 원자핵도 알파 붕괴와 일부 전자 포획 및 베타 붕괴에 의해서만 붕괴될 것이다. 알려진 리버모륨 동위원소는 실제로 안정의 섬에 충분한 중성자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더 무거운 동위원소가 일반적으로 더 수명이 길기 때문에 안정의 섬에 접근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10][16]

5. 2. 물리적 성질 (예측)

리버모륨은 7s27p4의 원자가 전자 배열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7p 부껍질의 분열을 고려하여 7s27p1/227p3/22로 나타낼 수도 있다. 리버모륨의 녹는점과 끓는점은 칼코겐족 원소의 경향을 따를 것으로 예상되어, 폴로늄보다 높은 온도에서 녹지만, 더 낮은 온도에서 끓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폴로늄보다 밀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α-Lv: 12.9 g/cm3; α-Po: 9.2 g/cm3).[46] 폴로늄과 마찬가지로 α와 β 동소체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46]

5. 3. 화학적 성질 (예측)

리버모륨은 16족 원소 중 가장 무거운 원소로, 폴로늄 아래에 위치하며 화학적 성질이 폴로늄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7p 원소 중에서는 이론적으로 가장 적게 연구된 원소이다.

리버모륨은 다른 16족 원소들처럼 6개의 원자가 전자를 가지며, 최외각 전자 배열은 7s27p4로 예측된다. 하지만 스핀-궤도 상호작용과 같은 상대론적 효과로 인해 7s 전자는 매우 안정화되어 비활성 전자쌍 효과가 폴로늄보다 강하게 나타난다. 7p 부껍질은 더 안정된 7p1/2와 덜 안정된 7p3/2로 분리되는데, 7p1/2는 두 번째 비활성 전자쌍처럼 작용하고 7p3/2는 화학 반응에 참여할 수 있다.[44] 이러한 7p 부껍질 분열을 반영하여 리버모륨의 원자가 전자 배열을 7s27p21/27p23/2로 나타내기도 한다.

상대론적 효과로 인해 리버모륨의 가장 안정적인 산화 상태는 +2로 예상되며, +4 상태는 불안정할 것이다. 7s 전자의 강한 안정화로 인해 +6 상태는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리버모륨의 화합물 중에서는 수소화 리버모륨(LvH2)이 주목할 만하다. LvH2는 가장 무거운 칼코겐 수소화물이자 의 가장 무거운 동족체이다. 폴로늄 수소화물처럼 공유 결합성을 가지는 분자 화합물일 것으로 예상되며, 스핀-궤도 상호작용의 영향으로 Lv-H 결합은 더 길고 H-Lv-H 결합각은 더 클 것으로 예측된다.[47]

다음은 리버모륨의 예상되는 화학적 성질을 요약한 표이다.

성질예측값
가장 안정적인 산화 상태+2
+4 산화 상태불안정, 강한 전기음성도 리간드에서만 안정
+6 산화 상태존재하지 않음
수소화물LvH2 (공유 결합성 분자 화합물)


6. 실험적 화학

리버모륨의 화학적 특성에 대한 명확한 규명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50][51] 2011년, 칼슘-48(48Ca) 입자를 아메리슘-243(243Am)과 플루토늄-244(244Pu) 표적에 충돌시키는 반응을 통해 니호늄, 플레로븀, 모스코븀 동위원소를 생성하는 실험이 수행되었다. 표적에는 비스무트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었고, 핵자 전달 반응에서 비스무트와 폴로늄의 일부 동위원소가 생성되었다. 이는 예상치 못한 결과였지만, 비스무트와 폴로늄의 무거운 동족체인 모스코븀과 리버모륨의 향후 화학적 연구에 도움이 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51] 생성된 핵종인 비스무트-213(213Bi)과 폴로늄-212m(212mPo)은 850 °C에서 수소화물인 213BiH3212mPoH2 형태로 탄탈럼으로 고정된 석영 울 필터 장치를 통과하였다. 이는 이러한 수소화물이 놀랍도록 열적으로 안정적임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그들의 무거운 동족체인 McH3와 LvH2는 p-블록 주기율표의 경향을 단순히 외삽하면 열적으로 덜 안정적일 것으로 예상된다.[51] 화학적 연구가 이루어지기 전에 BiH3, McH3, PoH2, LvH2의 안정성과 전자 구조에 대한 추가적인 계산이 필요하다. 모스코븀과 리버모륨은 순수한 원소로서 충분히 휘발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가까운 미래에 화학적으로 연구될 수 있을 것이다. 리버모륨은 이러한 성질에서 가벼운 동족체인 폴로늄과 유사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 알려진 모든 리버모륨 동위원소의 반감기가 짧다는 것은 이 원소가 여전히 실험 화학 연구에 접근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51][52]

참조

[1] 논문 Search for Superheavy Elements in the Bombardment of 248Cm with48Ca
[2] 논문 Attempts to Produce Superheavy Elements by Fusion of 48Ca with 248Cm in the Bombarding Energy Range of 4.5–5.2 MeV/u https://zenodo.org/r[...]
[3] 학회발표 The discovery of elements 107 to 112 https://www.epj-conf[...] 2016-12-01
[4] 논문 Production mechanism of superheavy nuclei in cold fusion reactions 1999-01-01
[5] 논문 Observation of Superheavy Nuclei Produced in the Reaction of {{SimpleNuclide|Krypton|86}} with {{SimpleNuclide|Lead|208}} https://zenodo.org/r[...] 1999-01-01
[6] 논문 Berkeley Crew Bags Element 118 1999-01-01
[7] 뉴스 Results of element 118 experiment retracted http://enews.lbl.gov[...] Berkeley Lab 2001-07-21
[8] 논문 Misconduct: The stars who fell to Earth 2002-01-01
[9] 웹사이트 Element 118 disappears two years after it was discovered https://web.archive.[...] 2001-08-02
[10] 논문 Observation of the decay of 292116 2000-01-01
[11] 웹사이트 Confirmed results of the 248Cm(48Ca,4n)292116 experiment https://e-reports-ex[...] LLNL report 2003-01-01
[12] 논문 Measurements of cross sections and decay properties of the isotopes of elements 112, 114, and 116 produced in the fusion reactions 233,238U, 242Pu, and 248Cm + 48Ca http://www.jinr.ru/p[...] 2004-01-01
[13] 논문 Review of even element super-heavy nuclei and search for element 120 https://zenodo.org/r[...] 2016-01-01
[14] 논문 Measurements of cross sections and decay properties of the isotopes of elements 112, 114, and 116 produced in the fusion reactions 233,238U, 242Pu, and 248Cm+48Ca http://www1.jinr.ru/[...]
[15] 논문 Discovery of the element with atomic number 112 http://media.iupac.o[...] 2009-01-01
[16] 논문 Discovery of the elements with atomic numbers greater than or equal to 113 (IUPAC Technical Report) 2011-01-01
[17] 논문 The reaction 48Ca + 248Cm → 296116* studied at the GSI-SHIP
[18] 논문 Measurement of the 248Cm + 48Ca fusion reaction products at RIKEN GARIS http://www.nishina.r[...]
[19] 논문 Study of the Reaction 48Ca + 248Cm → 296Lv* at RIKEN-GARIS 2017-01-01
[20] 논문 The Search for New Elements: The Projects of Today in a Larger Perspective
[21] 논문 Recommendations for the Naming of Elements of Atomic Numbers Greater than 100 1979-01-01
[22] 웹사이트 The Heaviest Elements in the Universe http://cyclotron.tam[...] 2009-01-31
[23] 논문 Darmstadtium and Beyond http://pubs.acs.org/[...]
[24] 논문 Naming of new elements(IUPAC Recommendations 2002) http://media.iupac.o[...] 2002-01-01
[25] 웹사이트 Russian Physicists Will Suggest to Name Element 116 Moscovium http://www.rian.ru/s[...] rian.ru 2011-01-01
[26] 웹사이트 Names and symbols of the elements with atomic numbers 114 and 116 (IUPAC Recommendations 2012) http://pac.iupac.org[...] IUPAC
[27] 웹사이트 News: Start of the Name Approval Process for the Elements of Atomic Number 114 and 116 http://www.iupac.org[...]
[28] 웹사이트 Synthesis of superheavy elements http://newuc.jinr.ru[...] Joint Institute for Nuclear Research 2016-01-01
[29] 웹사이트 A New Way to Make Element 116 Opens the Door to Heavier Atoms https://newscenter.l[...]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2024-07-23
[30] 뉴스 Heaviest element yet within reach after major breakthrough https://www.nature.c[...] 2024-07-23
[31] 논문 Towards the Discovery of New Elements: Production of Livermorium (Z=116) with 5
[36] 논문 Discovery of the element with atomic number 112 (IUPAC Technical Report) http://doc.rero.ch/r[...] 2009-01-01
[37] 논문 Creating superheavy elements 1989-01-01
[38] 웹사이트 Synthesis and study of the decay properties of isotopes of superheavy element Lv in Reactions 238U + 54Cr and 242Pu + 50Ti https://indico.jinr.[...] Joint Institute for Nuclear Research 2024-11-02
[39] 뉴스 В ЛЯР ОИЯИ впервые в мире синтезирован ливерморий-288 http://www.jinr.ru/p[...] Joint Institute for Nuclear Research 2023-11-18
[40] 학회발표 Interesting fusion reactions in superheavy region https://indico.jinr.[...] Joint Institute for Nuclear Research 2023-07-30
[41] 논문 Ways to produce new superheavy isotopes with ''Z'' = 111–117 in charged particle evaporation channels 2017-01-01
[42] 웹사이트 JINR Annual Reports 2000–2006 http://www1.jinr.ru/[...] Joint Institute for Nuclear Research 2013-08-27
[43] 논문 Synthesis of superheavy nuclei: A search for new production reactions 2008-01-01
[44] 서적 Relativistic Methods for Chemists 2010-01-01
[45] 논문 Diatomic molecules between very heavy elements of group 13 and group 17: A study of relativistic effects on bonding 2001-01-01
[46] 웹사이트 Gas phase chemistry with SHE – Experiments http://cyclotron.tam[...] Texas A & M University 2017-04-27
[47] 논문 An Anomalous Bond Angle in (116)H2. Theoretical Evidence for Supervalent Hybridization. https://figshare.com[...] 2006-01-01
[48] 서적 Greenwood&Earnshaw2nd
[49] 논문 Gradients for two-component quasirelativistic methods. Application to dihalogenides of element 116
[50] 논문 Superheavy elements at GSI: a broad research program with element 114 in the focus of physics and chemistry 2012-01-01
[51] 논문 First foot prints of chemistry on the shore of the Island of Superheavy Elements 2013-01-01
[52] 서적 The Chemistry of Superheavy Element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1-30
[53] 웹사이트 element-114-is-named-flerovium-and-element-116-is-named-livermorium http://iupac.org/new[...] 2018-03-11
[54] 논문 Search for Superheavy Elements in the Bombardment of 248Cm with48Ca
[55] 논문 Attempts to Produce Superheavy Elements by Fusion of 48Ca with 248Cm in the Bombarding Energy Range of 4.5-5.2 MeV/u
[56] 학회발표 The discovery of elements 107 to 112 https://www.epj-conf[...] 2016-12-01
[57] 논문 Production mechanism of superheavy nuclei in cold fusion reactions 1999-01-01
[58] 논문 Observation of Superheavy Nuclei Produced in the Reaction of 86Kr with 208Pb 1999-01-01
[59] 논문 Berkeley Crew Bags Element 118 1999-01-01
[60] 뉴스 Results of element 118 experiment retracted http://enews.lbl.gov[...] Berkeley Lab 2008-01-18
[61] 논문 Misconduct: The stars who fell to Earth 2002-01-01
[62] 웹사이트 Element 118 disappears two years after it was discovered https://web.archive.[...] 2012-04-02
[63] 논문 Observation of the decay of 292116 2000-01-01
[64] 보고서 Confirmed results of the 248Cm(48Ca,4n)292116 experiment https://e-reports-ex[...] LLNL report 2008-03-03
[65] 논문 Measurements of cross sections and decay properties of the isotopes of elements 112, 114, and 116 produced in the fusion reactions 233,238U, 242Pu, and 248Cm + 48Ca http://www.jinr.ru/p[...] 2004-01-01
[66] 논문 Review of even element super-heavy nuclei and search for element 120 2016-01-01
[67] 논문 Measurements of cross sections and decay properties of the isotopes of elements 112, 114, and 116 produced in the fusion reactions 233,238U, 242Pu, and 248Cm+48Ca
[68] 논문 Discovery of the element with atomic number 112 http://media.iupac.o[...] 2009-01-01
[69] 논문 Discovery of the elements with atomic numbers greater than or equal to 113 (IUPAC Technical Report) 2011-01-01
[70] 논문 The reaction 48Ca + 248Cm → 296116* studied at the GSI-SHIP
[71] 논문 Measurement of the 248Cm + 48Ca fusion reaction products at RIKEN GARIS http://www.nishina.r[...]
[72] 논문 Study of the Reaction 48Ca + 248Cm → 296Lv* at RIKEN-GARIS 2017
[73] 논문 The Search for New Elements: The Projects of Today in a Larger Perspective
[74] 논문 Recommendations for the Naming of Elements of Atomic Numbers Greater than 100 1979
[75] 웹사이트 The Heaviest Elements in the Universe http://cyclotron.tam[...] 2012-03-09
[76] 논문 Darmstadtium and Beyond http://pubs.acs.org/[...]
[77] 서적 Transactinides and the future element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78] 논문 Naming of new elements(IUPAC Recommendations 2002) http://media.iupac.o[...] 2002
[79] 웹사이트 Russian Physicists Will Suggest to Name Element 116 Moscovium http://www.rian.ru/s[...] rian.ru 2011
[80] 웹사이트 News: Start of the Name Approval Process for the Elements of Atomic Number 114 and 116 http://www.iupac.org[...]
[81] 웹사이트 Names and symbols of the elements with atomic numbers 114 and 116 (IUPAC Recommendations 2012) http://pac.iupac.org[...] IUPAC
[82] 웹사이트 Synthesis of superheavy elements http://newuc.jinr.ru[...] Joint Institute for Nuclear Research 2016
[83] 학회자료 Future of superheavy element research: Which nuclei could be synthesized within the next few years? https://iopscience.i[...] IOP Science 2013
[84] 서적 Van Nostrand's scientific encyclopedia Wiley-Interscience 2002
[85] 논문 Superheavy elements: a prediction of their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1975
[86] 논문 Discovery of the element with atomic number 112 (IUPAC Technical Report) 2009
[87] 논문 Creating superheavy elements 1989
[88] 웹사이트 JINR Annual Reports 2000-2006 http://www1.jinr.ru/[...] Joint Institute for Nuclear Research
[89] 논문 Synthesis of superheavy nuclei: A search for new production reactions 2008
[90] 논문 Diatomic molecules between very heavy elements of group 13 and group 17: A study of relativistic effects on bonding 2001
[91] 논문 Relativistic Effects and the Chemistry of the Heavier Main Group Elements
[92] 논문 Predicting the Properties of the 113–120 Transactinide Elements
[93] 웹사이트 Gas phase chemistry with SHE - Experiments http://cyclotron.tam[...] Texas A & M University 2015
[94] 논문 An Anomalous Bond Angle in (116)H2. Theoretical Evidence for Supervalent Hybridization. 2006
[95] 서적 Greenwood&Earnshaw2nd
[96] 논문 Gradients for two-component quasirelativistic methods. Application to dihalogenides of element 116
[97] 논문 Superheavy elements at GSI: a broad research program with element 114 in the focus of physics and chemistry 2012
[98] 논문 First foot prints of chemistry on the shore of the Island of Superheavy Elements IOP Science 2013
[99] 서적 The Chemistry of Superheavy Element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00] 논문 Observation of the decay of 292116 2008-03-03
[101] 논문 Confirmed results of the 248Cm(48Ca,4n)292116 experiment LLNL report 2008-03-03
[102] 웹인용 List of experiments 2000-2006 http://opal.dnp.fmph[...] 2007-07-23
[103] 웹인용 Search for Superheavy Elements in the Bombardment of 248Cm with 48Ca http://prola.aps.org[...]
[104] 웹인용 Attempts to Produce Superheavy Elements by Fusion of 48Ca with 248Cm in the Bombarding Energy Range of 4.5-5.2 MeV/u http://prola.aps.org[...]
[105] 논문 Measurements of cross sections for the fusion-evaporation reactions 244Pu(48Ca,xn)292−x114 and 245Cm(48Ca,xn)293−x116 2008-03-03
[106] 논문 Synthesis of the isotopes of elements 118 and 116 in the 249Cf and 245Cm+48Ca fusion reactions http://scitation.aip[...] 2008-03-03
[107] 문서 우누녹튬
[108] 논문 Measurements of cross sections and decay properties of the isotopes of elements 112, 114, and 116 produced in the fusion reactions 233,238U , 242Pu , and 248Cm+48Ca http://prola.aps.org[...] 2008-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