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체계적 원소 이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계적 원소 이름은 원자 번호를 십진법으로 표기한 각 자릿수를 특정 이름 토막으로 바꾸고, 뒤에 -ium을 붙여 만든 원소의 임시 이름이다. 이 명명법은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에서 제정되었으며, 아직 발견되지 않은 원소나, 공식 명칭이 부여되기 전의 원소에 사용된다. 각 숫자 자리에는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이름 토막이 배정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규칙이 적용된다. 체계적 이름은 원소 기호와 함께 사용되며, 발견된 원소는 IUPAC의 기준을 충족하면 발견자가 제안한 이름을 사용한다.

2. 규칙

어떤 원소의 체계적 원소 이름은 원자 번호를 십진법으로 표기한 각 자리를 표에 따라 해당하는 이름 토막으로 바꾸고 뒤에 -ium을 붙여 이은 것이다.[1] 이름 토막의 어원은 라틴어그리스어에서 왔는데, 두 언어를 함께 쓴 이유는 모든 이름 토막이 서로 다른 글자로 시작되게 (따라서 기호 토막이 중복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1]

자리이름 토막기호 토막
0niln
1unu
2b(i)b
3tr(i)t
4quadq
5pentp
6hexh
7septs
8octo
9en(n)e



다만 글자가 중복되어 이상하게 보이는 이름을 피하기 위하여 다음 두 법칙이 적용된다.[1]


  • 마지막 자리가 2(-bi-)거나 3(-tri-)이면 원소 이름은 -biium이나 -triium이 아닌 -bium이나 -trium으로 끝난다.[1][2]
  • 숫자에서 -90-이라는 자리들이 연달아 있으면 원소 이름은 -ennnil-이 아닌 -ennil-이 된다.[1]


해당 원소 이름에 대응되는 원소 기호는 단순히 각 토막의 맨 첫 글자를 딴 뒤 그 중 맨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꾼 것이다.[1]

전통적으로 접미사 ''-ium''은 금속(또는 적어도 금속으로 예상되는 원소)에만 사용되었으며, 다른 원소는 다른 접미사를 사용했다. 할로겐은 ''-ine''을 사용했고, 비활성 기체는 대신 ''-on''을 사용했다. 그러나 체계적인 이름은 그룹에 관계없이 모든 원소에 ''-ium''을 사용한다.[2] 따라서 원소 117과 118은 각각 ''ununseptium''과 ''ununoctium''이었고, ''ununseptine''과 ''ununocton''이 아니었다.[2]

3. 원소 이름 및 기호 예시

체계적 원소 이름 및 기호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원자 번호체계적 명명법의 요소체계적 이름원소 기호한국어 명명법의 요소한국어 이름
119un+un+enniumUnunenniumUue운+운+에늄운운에늄
120un+bi+niliumUnbiniliumUbn운+비+늄운비늄
121un+bi+uniumUnbiuniumUbu운+비+우늄운비우늄
130un+tri+niliumUntriniliumUtn운+트리+늄운트리늄
140un+quad+niliumUnquadniliumUqn운+쿼드+늄운쿼드늄
150un+pent+niliumUnpentniliumUpn운+펜트+늄운펜트늄
160un+hex+niliumUnhexniliumUhn운+헥스+늄운헥스늄
170un+sept+niliumUnseptniliumUsn운+셉트+늄운셉트늄
180un+oct+niliumUnoctniliumUon운+옥트+늄운옥트늄
190un+en[8]+niliumUnenniliumUen운+엔+늄운엔늄
200bi+nil+niliumBinilniliumBnn비+닐+늄비닐늄
201bi+nil+uniumBiniluniumBnu비+닐+우늄비닐우늄
202bi+nil+bium[8]BinilbiumBnb비+닐+븀비닐븀
300tri+nil+niliumTrinilniliumTnn트리+닐+늄트리닐늄
400quad+nil+niliumQuadnilniliumQnn쿼드+닐+늄쿼드닐늄
500pent+nil+niliumPentnilniliumPnn펜트+닐+늄펜트닐늄
900en[8]+nil+niliumEnnilniliumEnn엔+닐+늄엔닐늄



이 규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체계적 원소 이름을 적용할 수 있다.


  • 123번 원소: un + bi + tri + ium = 운비트륨(Unbitrium, Ubt)
  • 208번 원소: bi + nil + oct + ium = 비닐옥튬(Biniloctium, Bno)
  • 457번 원소: quad + pent + sept + ium = 쿼드펜트셉튬(Quadpentseptium, Qps)
  • 888번 원소: oct + oct + oct + ium = 옥톡톡튬(Octoctoctium, Ooo)
  • 1583번 원소: un + pent + oct + tri + ium = 운펜톡트트륨(Unpentocttrium, Upot)
  • 7203번 원소: sept + bi + nil + tri + ium = 셉트비닐트륨(Septbiniltrium, Sbnt)
  • 24982번 원소: bi + quad + enn + oct + bi + ium = 비쿼드엔녹트븀(Biquadennoctbium, Bqeob)
  • 352859번 원소: tri + pent + bi + oct + pent + enn + ium = 트리펜트비옥트펜텐늄(Tripentbioctpentennium, Tpbope)
  • 462802번 원소: quad + hex + bi + oct + nil + bi + ium = 쿼드헥스비옥트닐븀(Quadhexbioctnilbium, Qhbonb)
  • 769855번 원소: sept + hex + enn + oct + pent + pent + ium = 셉트헥스엔녹트펜트펜튬(Septhexennoctpentpentium, Sheopp)
  • 8238483번 원소: oct + bi + tri + oct + quad + oct + tri + ium = 옥트비트리옥트쿼드옥트트륨(Octbitrioctquadocttrium, Obtoqot)


2018년 현재 발견된 가장 큰 원자 번호는 118번 오가네손이다. 발견 전이라도 발견을 위한 실험이나 이론적인 연구를 보고하기 위해 미발견 원소의 체계적 이름이 사용된다.

전자 궤도의 관점에서 이론상 존재 가능한 최대 원소는 173번 운셉트트륨(Ust)이라는 지적도 있다.[9] 따라서 그 이후의 원소를 상정한다면, 통상의 원소와는 구조가 다른 이온성 원자핵으로서의 존재를 가정하게 된다. 또한 여기까지의 원소를 합성할 수 있을지도 아직 불명이며, 영원히 발견되지 않는 가공의 원소가 될 가능성도 있다.

4. IUPAC 명명법

임시 이름은 원소의 원자 번호에서 체계적으로 파생되며 101 ≤ ''Z'' ≤ 999에만 적용된다.[1] 각 숫자는 표에 따라 "수치 근"으로 번역된다. 근은 연결되고 이름은 접미사 ''-ium''으로 완성된다. 일부 근은 라틴어이고 다른 근은 그리스어인데, 이는 두 개의 숫자가 같은 문자로 시작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예: 라틴어에서 파생된 ''quint''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그리스어에서 파생된 ''pent''가 사용된다). 보기 흉한 이름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가지 생략 규칙이 있다.

전통적으로 접미사 ''-ium''은 금속(또는 적어도 금속으로 예상되는 원소)에만 사용되었으며, 다른 원소는 다른 접미사를 사용했다. 할로겐은 ''-ine''을 사용했고, 비활성 기체는 대신 ''-on''을 사용했다. 그러나 체계적인 이름은 그룹에 관계없이 모든 원소에 ''-ium''을 사용한다. 따라서 원소 117과 118은 각각 ''ununseptium''과 ''ununoctium''이었고, ''ununseptine''과 ''ununocton''이 아니었다.[2] 이것은 확인된 후 이러한 원소가 받는 일반명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소 117과 118은 현재 각각 ''테네신''과 ''오가네손''이다. 이러한 일반명에 대해서는, 모든 원소는 접미사 ''-ium''을 받지만, 할로젠과 같이 17족에 속하는 원소는 ''-ine''을, 비활성 기체와 같이 18족에 속하는 원소는 ''-on''을 받는다.[2]

체계적인 기호는 각 근의 첫 글자를 가져와 첫 글자를 대문자로 변환하여 형성된다. 이로 인해 명명된 원소에 사용된 한두 글자 기호 대신 세 글자 기호가 생성된다. 그 이유는 두 글자 기호를 생성하는 모든 계획이 영구적으로 명명된 원소의 기호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완전한 체계성에서 벗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원자 번호가 100보다 큰 원소의 명명에 대한 권장 사항은 [https://www.degruyter.com/view/journals/pac/51/2/article-p381.xml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숫자어원기호발음예시
0nil라틴어 nihil ("영")nunbinilium
1un라틴어 unus ("하나")uunbiunium
2bi라틴어 bis ("두 번")bunbibium
3tri라틴어 tres ("셋")
그리스어 tria ("셋")
tunbitrium
4quad라틴어 quattuor ("넷")qunbiquadium
5pent그리스어 pente ("다섯")punbipentium
6hex그리스어 hex ("여섯")hunbihexium
7sept라틴어 septem ("일곱")sunbiseptium
8oct라틴어 octo ("여덟")
그리스어 okto ("여덟")
ounbioctium
9en(n)그리스어 ennea ("아홉")eunbiennium
접미사-(i)um라틴어 -um (중성 단수)없음
colspan=7 |



2018년 현재 발견된 118개 원소는 모두 개별적인 영구 이름과 기호를 받았다.[3] 따라서 체계적인 이름과 기호는 이제 원소 118, 오가네손을 넘어 발견되지 않은 원소에만 사용된다. 이러한 원소가 발견되면, 발견이 IUPAC/IUPAP Joint Working Party의 기준을 충족하고 수용될 때까지 체계적인 이름과 기호를 유지하며, 발견자에게 영구적인 이름과 기호를 제안하도록 초청한다. 이 이름과 기호가 제안되면, 공식화되어 체계적인 이름과 기호를 대체하기 전에 의견 수렴 기간이 있다.

체계적인 이름을 권장했을 때(1978년)에는 이미 원자 번호 103, 로렌슘까지 모든 원소에 공식적으로 이름이 부여되었습니다. 체계적인 이름은 원소 101(멘델레븀), 102(노벨륨), 103(로렌슘)에 대해 주어졌지만, 이들은 "IUPAC에서 이미 승인한 일반명에 대한 부차적인 대안"에 불과했다.[1] 다음 원소들은 발견이 수용된 후 일반명으로 최종적으로 대체될 때까지 한동안 체계적인 이름만 승인된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Z체계적정식연도
기호이름기호이름최초 발표된 확실한 합성명명됨
104UnqUnnilquadiumRf러더포듐19691997
105UnpUnnilpentiumDb두브늄19701997
106UnhUnnilhexiumSg시보르기움19741997
107UnsUnnilseptiumBh보륨19811997
108UnoUnniloctiumHs하슘19841997
109UneUnnilenniumMt마이트너륨19821997
110UunUnunniliumDs다름슈타튬19952003
111UuuUnununiumRg뢴트게늄19952004
112UubUnunbiumCn코페르니슘19962010
113UutUnuntriumNh니호늄20042016
114UuqUnunquadiumFl플레로븀19992012
115UupUnunpentiumMc모스코븀20042016
116UuhUnunhexiumLv리버모륨20002012
117UusUnunseptiumTs테네신20102016
118UuoUnunoctiumOg오가네손20062016



다음은 문서에 제시된 체계적 원소 이름의 예시이다. 단, 공식 명칭이 결정되어 사용하지 않게 된 것은 제외한다.

원자 번호체계적 명명법의 요소체계적 이름원소 기호한국어 명명법의 요소한국어 이름
119un+un+enniumUnunenniumUue운+운+에늄운운에늄
120un+bi+niliumUnbiniliumUbn운+비+늄운비늄
121un+bi+uniumUnbiuniumUbu운+비+우늄운비우늄
130un+tri+niliumUntriniliumUtn운+트리+늄운트리늄
140un+quad+niliumUnquadniliumUqn운+쿼드+늄운쿼드늄
150un+pent+niliumUnpentniliumUpn운+펜트+늄운펜트늄
160un+hex+niliumUnhexniliumUhn운+헥스+늄운헥스늄
170un+sept+niliumUnseptniliumUsn운+셉트+늄운셉트늄
180un+oct+niliumUnoctniliumUon운+옥트+늄운옥트늄
190un+en[8]+niliumUnenniliumUen운+엔+늄운엔늄
200bi+nil+niliumBinilniliumBnn비+닐+늄비닐늄
201bi+nil+uniumBiniluniumBnu비+닐+우늄비닐우늄
202bi+nil+bium[8]BinilbiumBnb비+닐+븀비닐븀
300tri+nil+niliumTrinilniliumTnn트리+닐+늄트리닐늄
400quad+nil+niliumQuadnilniliumQnn쿼드+닐+늄쿼드닐늄
500pent+nil+niliumPentnilniliumPnn펜트+닐+늄펜트닐늄
900en[8]+nil+niliumEnnilniliumEnn엔+닐+늄엔닐늄



2018년 현재 발견된 가장 큰 원자 번호는 118번 오가네손이다. 발견 전이라도 발견을 위한 실험이나 이론적인 연구를 보고하기 위해 미발견 원소의 체계적 이름이 사용된다.

전자 궤도의 관점에서 이론상 존재 가능한 최대 원소는 173번 운셉트트륨(Ust)이라는 지적도 있다.[9] 따라서 그 이후의 원소를 상정한다면, 통상의 원소와는 구조가 다른 이온성 원자핵으로서의 존재를 가정하게 된다. 또한 여기까지의 원소를 합성할 수 있을지도 아직 불명이며, 영원히 발견되지 않는 가공의 원소가 될 가능성도 있다.

원소 명명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체계명은 체계적으로 정해지는 이점이 있지만, 이미 사용되어 온 전통적인 명칭(관용명)에 맞지 않고, 재미도 없는 것이며, 어디까지나 잠정적인 것에 불과하다. 그래서 신원소의 명칭 및 원소 기호에 대한 명명에 대해서는 2002년에 IUPAC으로부터 권고가 나왔다.[13][14]。여기에서는 발견자가 이름(관용명)을 제안할 권리를 가진다고 한다. 또한, 전통에 부합하도록,

a. 신화상의 개념이나 등장인물(신)(천체를 포함)

b. 광물이나 유사한 물질

c. 장소나 지리적인 영역

d. 원소의 성질

e. 과학자에게 헌명

의 어느 하나에 의해 명명되어야 하며, 과거에 다른 원소에 사용된 명칭(폐기명) · 원소 기호는 재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한다. 또한 금속 원소는 -ium으로 끝나야 하지만, 17족의 원소는 -ine으로 18족의 원소는 -on으로 각각 끝나야 한다고 한다.

덧붙여, 권고에는 100번 원소 이후에 대한 명명이라고 명기되어 있으며, 정식 명칭(관용명)이 결정될 때까지 "몇 번 원소"라는 호칭 또는 잠정명인 체계명을 사용하고, 그리고 원소 기호가 필요하다면 '''3문자의 잠정적인 원소 기호'''를 사용해야 한다는 취지가 명기되어 있다. 이것은 잠정명인 체계명은 정식 명칭이 정해질 때까지의 이용을 상정하고 있으며, 또한 2002년 권고 시점에서는 체계적인 원소 기호가 기껏해야 2문자가 되는 99번 원소까지의 모든 원소의 관용명과 그 원소 기호가 명명 · 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잠정적인 기호는 모두 3문자의 원소 기호이다(반대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체계명은 관용명에 우선하여 사용되어야 할 것이 아니므로, 반대로 '''체계명으로 기존의 (99번까지의) 원소를 명명하는 것을 금지하지는 않지만 상정되어 있지도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이 때문에 기껏해야 2문자가 되는 체계적인 원소 기호, 예를 들어 B나 He, Ne가 종래의 기호와 동음이의어가 되는 상황은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이국 원자에 대한 체계적인 명명법은 존재하지 않지만, 뮤오니움 (muonium, 원소 기호 Mu)은 IUPAC에서 명명되었으며, 화합물도 합성되어 명명되었다.[15]。''''''그 외, 원소 기호를 가지는 이국 원자에는 포지트로늄 (positronium, 원소 기호 Ps)이 있다.

4. 1. 과거에 사용된 체계적 이름

101번 멘델레븀(Mendelevium, Md)부터 118번 오가네손(Oganesson, Og)까지의 원소들은 한때 체계적 이름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모두 정식 이름으로 대체되었다. 이들은 과거 문헌에서만 나타나며, IUPAC의 문서에는 101번부터 103번 원소까지의 체계적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원자 번호계통명원소 기호관용명원소 기호최초 발견 보고결정 연도
101운닐우니움Unu멘델레븀Md1955년rowspan="3" |
102운닐비움Unb노벨륨No1958년
103운닐트리움Unt로렌슘Lr1961년
104운닐콰듐Unq러더포듐Rf1964년[10]1997년
105운닐펜튬Unp두브늄Db1970년
106운닐헥슘Unh시보르가늄Sg1974년
107운닐셉튬Uns보륨Bh1976년[11]
108운닐옥튬Uno하슘Hs1984년
109운닐엔니움Une마이트네륨Mt1982년
110운운닐리움Uun다름슈타튬Ds1994년2003년
111운운우니움Uuu뢴트게늄Rg2004년
112운운비움Uub코페르니슘Cn1996년2010년
113운운트리움Uut니호늄Nh2003년[12]2016년
114운운콰듐Uuq플레로븀Fl1999년2012년
115운운펜튬Uup모스코븀Mc2004년2016년
116운운헥슘Uuh리버모륨Lv2001년2012년
117운운셉튬Uus테네신Ts2009년2016년
118운운옥튬Uuo오가네손Og2002년


5. 장점 및 단점

숫자에 해당하는 접사를 조합하고 '-ium'만 붙이면 되므로 편리하다.

뒤에 0이 계속 있는 숫자(예시: 1000) 같은 경우는 0이 nil이므로 1000번 원소면 unnilnilnilium(운닐닐닐륨)인데 발음이 어렵다. 체계적 원소 이름은 이것이 단점이다.

5. 1. 장점

숫자에 해당하는 접사를 조합하고 '-ium'만 붙이면 되므로 편리하다.

5. 2. 단점

뒤에 0이 계속 있는 숫자(예시: 1000) 같은 경우는 0이 nil이므로 1000번 원소면 unnilnilnilium(운닐닐닐륨)인데 발음이 어렵다. 체계적 원소 이름은 이것이 단점이다.

6. 기타

6. 1. 파인마늄과 카자늄

6. 2. 이종 원자

7. 같이 보기

IUPAC 명명법은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에서 제정한 화학 물질 명명법이다. 초우라늄 원소는 원자 번호가 92번인 우라늄보다 더 큰 원소를 말한다. 에카는 드미트리 멘델레예프가 아직 발견되지 않은 원소를 지칭하기 위해 주기율표에서 바로 위에 있는 원소에 붙인 명칭이다.

참조

[1] 웹사이트 Element names >100 https://www.qmul.ac.[...]
[2] 논문 How to name new chemical elements http://rua.ua.es/dsp[...] DeGruyter 2016
[3] 웹사이트 IUPAC Announces the Names of the Elements 113, 115, 117, and 118 https://iupac.org/iu[...] IUPAC 2016-11-30
[4] 간행물 Recommendations for the Naming of Elements of Atomic Numbers Greater than 100 http://www.iupac.org[...] J. Chatt 1979
[5] 웹사이트 atomic symbol http://goldbook.iupa[...] GOLD BOOK, IUPAC 2010-03-04
[6] 서적 元素(図解雑学) ナツメ社 2005-11
[7] 문서 119番以降の元素は未発見のため、発見報告のある系統名のみの元素がなくなった。
[8] 문서 "bi"または"tri"が"ium"と連結する場合は、連続する"ii"をひとつにまとめて"bium"、"trium"と表記する。また、"enn"が"nil"または"nilium"と連結する場合は、3つ連続する"n"を2つに短縮して"ennil"、"ennilium"と表記する(IR-3.1.1, IUPAC Redbook, 2005.)。
[9] 뉴스 水兵リーベ僕の船……113番元素は「ニホニウム」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6-06-09
[10] 문서 その後、1969年の[[カリフォルニア大学バークレー校]]による発見が正式とされた。
[11] 문서 その後、1981年の[[重イオン研究所]]による発見が正式とされた。
[12] 문서 その後、2004年の[[理化学研究所]]による発見が正式とされた。
[13] 논문 Naming of new elements (IUPAC Recommendations 2002) http://media.iupac.o[...] 2002
[14] 논문 How to name new chemical elements (IUPAC Recommendations 2016)
[15] 논문 Names for muonium and hydrogen atoms and their ions http://www.iupac.org[...] 2011-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