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얼오디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얼오디오(RealAudio)는 다운로드와 동시에 재생이 가능한 스트리밍 미디어 형식으로,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 인터넷 라디오 등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HTTP, PNA/PNM, RTSP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했으며, 파일 형식은 .ra, .rm, .rv 등을 사용했다. 다양한 오디오 코덱을 지원하며, 헬릭스 커뮤니티를 통해 기술 개방을 시도했으나, MP3,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어도비 플래시 등에 의해 대체되었다. 리얼네트웍스의 리얼플레이어가 공식 플레이어이며, MPlayer, 리얼 얼터너티브 등 비공식 플레이어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디오 코덱 - NICAM
    NICAM은 1970년대 BBC에서 개발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으로, 32kHz 샘플링 주파수와 14비트 PCM을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인코딩하고 스테레오 음향, 이중 언어 방송, 데이터 채널 전송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아날로그 방송의 음성 전송 방식으로 사용되었으나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으로 사용이 줄어들었다.
  • 오디오 코덱 - G.711
    G.711은 8 kHz 표본 추출 주파수와 64 kbit/s의 비트 전송률을 갖는 파형 음성 코더로, μ-law와 A-law라는 두 가지 컴팬딩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부록 I, II 및 확장 표준을 통해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효율성과 음질을 높인다.
리얼오디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종류오디오 파일 포맷
확장자.ra, .ram, .rm, .rmvb
MIME 형식audio/vnd.rn-realaudio, audio/x-pn-realaudio
매직 넘버.raý
개발리얼 네트워크
발표1995년 4월
컨테이너RealMedia, Matroska
기술 정보
설명RealAudio는 리얼 네트워크에서 개발한 독점 오디오 포맷이다. 주로 인터넷 스트리밍에 사용되었다.
관련 정보RealMedia
RealVideo

2. 역사

1990년대 후반, 실시간 음악 스트리밍의 등장은 온라인 음악 접근 방식에 혁명을 일으켰다. 1998년 인터넷 뮤직 넷(Internet Music Net)은 이 분야의 선구자가 되어 사용자들에게 리얼오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직접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다.[5]

1990년대 중반 프로그레시브 네트웍스(Progressive Networks)에 의한 리얼오디오의 개발은 인터넷을 통한 오디오 콘텐츠의 효율적인 스트리밍을 가능하게 했다. 인터넷 뮤직 넷은 이러한 혁신을 활용하여 1998년 실시간 음악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최초의 웹사이트 중 하나로 출시되었다. 웹사이트가 보관된 특성상 구체적인 기능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지만, 아티스트 선택 및 장르 탐색과 같은 기능을 제공했을 것으로 보인다.[5]

인터넷 뮤직 넷의 선구적인 접근 방식은 실시간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광범위한 채택에 길을 열었다. 이 웹사이트가 대중화한 주문형 음악 접근 방식은 스포티파이 및 판도라와 같은 미래 산업 거대 기업의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5]

인터넷 뮤직 넷의 최종 운명(예: 운영 중단 또는 인수 여부)은 불분명하지만, 온라인 음악 소비의 발전에 대한 기여는 부인할 수 없다. 이 웹사이트는 오늘날 우리가 음악을 경험하는 방식을 형성한 초창기 노력을 증명하는 것이다.[5]

2. 1. 개발 초기

1995년 출시 당시 '''리얼오디오''' 파일의 확장자는 '.ra'로 정의되었다.[1] 1997년 리얼네트웍스는 RealVideo라는 비디오 포맷을 출시했다.[1] 오디오와 비디오 포맷을 조합한 것은 RealMedia라고 부르며, 확장자를 '.rm'으로 했다.[1]

리얼네트웍스의 최신 인코더인 RealProducer에서는 오디오 전용 파일에 다시 '.ra'를, 비디오 전용 파일에 '.rv'를 사용하게 되었다.[1]

'.ram'(RealAudioMetadata)과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파일은 스트림 파일에 대한 링크로 웹 페이지 등에서 이용된다.[1]

2. 2. 스트리밍 기술의 발전

HTTP를 사용하여 리얼오디오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얼오디오 파일은 일반 웹 페이지와 유사하게 검색되지만, 파일의 첫 부분이 수신되는 즉시 재생이 시작되고 나머지 파일이 다운로드되는 동안 계속 재생된다. HTTP 스트리밍은 미리 녹음된 파일에 가장 적합하므로, 라이브 방송에 더 적합한 몇 가지 대체 프로토콜이 개발되었다.[1]

리얼오디오의 첫 번째 버전은 PNA 또는 PNM이라는 독점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스트리밍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했다. 이후 리얼네트웍스는 IETF 표준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RTSP)로 전환했지만, RTSP는 연결 관리에만 사용하고, 실제 오디오 데이터는 자체 독점 RDT 프로토콜로 전송되었으며 처음에는 비밀로 유지했다. 최근, Helix Community 프로젝트를 통해 RDT 프로토콜에 대한 일부 사양이 공개되었다. 2004년경, 오픈 소스 MPlayer 프로젝트는 RDT 스트림을 재생하는 방법을 개발했다.[1]

2. 3. 경쟁과 쇠퇴

2000년 초까지 리얼오디오는 인터넷 라디오 등 인터넷 상의 스트리밍 오디오 형식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 말부터 폭발적으로 보급된 MP3, AAC, 플래시 등 경쟁 포맷에 밀려 점유율이 감소했다. 또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가 일부 버전의 리얼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코덱을 지원하게 되면서 경쟁은 더욱 심화되었다.

리얼네트웍스는 헬릭스 커뮤니티(Helix Community)라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 개방을 시도했지만, 일부 오디오 코덱은 여전히 독점으로 유지되어 모든 리얼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는 없었다.

3. 파일 형식 및 확장자

RealAudio 파일은 원래 '''ra'''(Real Audio) 확장자로 식별되었다. 1997년, 리얼네트웍스는 RealVideo라는 비디오 형식도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오디오와 비디오 형식을 결합한 RealMedia는 파일 확장자 '''.rm'''을 사용했다. 그러나 Real의 주력 인코더인 RealProducer의 최신 버전은 오디오 전용 파일에 '''.ra'''를 다시 사용하고, 비디오 파일(오디오 포함 여부와 관계없이)에는 '''.rv'''를, VBR 비디오 파일에는 '''.rmvb'''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3. 1. .ra, .rm, .rv

1995년 리얼오디오 파일의 확장자는 '''.ra'''였다.[1] 1997년 리얼네트웍스는 RealVideo라는 비디오 포맷을 출시했다.[2] 오디오와 비디오 포맷을 조합한 것은 RealMedia라고 부르며, 확장자를 '''.rm'''으로 했다.[2]

리얼네트웍스의 최신 인코더인 RealProducer에서는 오디오 전용 파일에 다시 '''.ra'''를, 비디오 전용 파일에 '''.rv'''를 사용한다.[2]

'''.ram''' (RealAudioMetadata)과 '''.smil''' (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파일은 스트림 파일에 대한 링크로 웹 페이지 등에서 이용된다.[2]

3. 2. .ram, .smil

.ram (Real Audio Metadata) 및 .smil (SMIL) 파일 형식은 웹 페이지에서 스트리밍 링크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파일은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링크가 포함된 작은 텍스트 파일이다.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하면 웹 브라우저는 .ram 또는 .smil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사용자의 미디어 플레이어를 실행한다. 미디어 플레이어는 파일에서 PNM 또는 RTSP URL을 읽고 스트림을 재생한다.

4. 코덱

RealAudio는 다양한 오디오 코덱을 사용하여 압축되며, 각 코덱은 4자 코드로 식별된다. 최신 버전의 RealPlayer는 모든 RealAudio 파일을 재생할 수 있지만, 다른 프로그램은 모든 코덱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4. 1. 음성 코덱

리얼오디오 파일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오디오 코덱을 사용하여 압축된다.

코덱설명버전
lpcJ, 14_4IS-54 VSELP리얼오디오 1
28_8G.728 LD-CELP리얼오디오 2
dnetAC3리얼오디오 3
siprSipro Lab Telecom ACELP-NET리얼오디오 4/5
cookG2/쿡 코덱리얼오디오 6
atrcATRAC3리얼오디오 8
raacAAC리얼오디오 9
racpHE-AAC리얼오디오 10
ralfRealAudio 무손실 포맷리얼오디오 10


4. 2. 오디오 코덱

리얼오디오 파일은 여러 오디오 코덱을 사용하여 압축된다. 각 코덱은 4자 코드로 식별된다. 다음은 각 코덱과 각 코덱이 도입된 버전을 나열한 표이다.

코덱설명버전
lpcJ, 14_4IS-54 VSELP리얼오디오 1
28_8G.728 LD-CELP리얼오디오 2
dnetAC3리얼오디오 3
siprSipro Lab Telecom ACELP-NET리얼오디오 4/5
cookG2/쿡 코덱리얼오디오 6
atrc소니 ATRAC3리얼오디오 8
raacMPEG-4 LC-AAC리얼오디오 9
racpMPEG-4 HE-AAC리얼오디오 10
ralfRealAudio Lossless 형식리얼오디오 10



최신 버전의 RealPlayer는 모든 RealAudio 파일을 재생할 수 있지만, 다른 프로그램은 모든 코덱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5. 플레이어

RealAudio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공식 플레이어는 리얼네트웍스(RealNetworks)의 리얼플레이어 SP(RealPlayer SP)이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의 일부 기능에 대한 논란으로 인해 많은 대체 플레이어가 개발되었다. 리얼오디오가 처음 소개되었을 때, 리얼네트웍스는 오디오 형식이나 인코딩 방법에 대한 기술적인 세부 사항을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리얼오디오에 사용된 일부 오디오 코덱이 휴대 전화디지털 텔레비전에 사용된 코덱과 동일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 정보를 바탕으로 리얼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이 가능해졌다.

5. 1. 공식 플레이어

RealMedia 콘텐츠의 공식 플레이어는 리얼네트웍스(RealNetworks)의 리얼플레이어 SP(RealPlayer SP)이며, 현재 버전은 16이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바이너리 형태로 제공된다. 이 프로그램의 몇 가지 기능은 논란의 여지가 있었고, 많은 대체 플레이어가 개발되었다. 리얼네트웍스는 처음에 오디오 형식을 비밀로 유지하여 대체 플레이어 개발을 막으려 했다. 그러나 최근 리얼네트웍스는 다소 더 개방적으로 노력했고, 자사의 미디어 프레임워크를 확장하기 위해 협업 오픈 소스 프로젝트인 헬릭스 커뮤니티(Helix Community)를 설립했다.

현재 MPlayer와 리얼 얼터너티브(Real Alternative)를 포함한 다양한 비공식 플레이어가 존재한다.[2] 그러나 리얼 얼터너티브는 오디오 데이터를 직접 디코딩하지 않고, 공식 리얼플레이어동적 연결 라이브러리(DLL)에 의존한다.[2] 따라서 리얼 얼터너티브가 작동하려면 리얼플레이어(또는 최소한 DLL)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2] 대부분의 다른 플레이어는 자체 오디오 코덱 라이브러리를 가진 FFmpeg를 기반으로 한다.[2] FFmpeg의 오디오 코덱은 형식에 대한 공개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리얼플레이어 또는 헬릭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2] 또한 Windows 미디어 플레이어(Windows Media Player)가 일부 버전의 리얼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코덱을 얻을 수도 있다.[2]

리얼네트웍스는 헬릭스 플레이어를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제공했지만, 일부 오디오 코덱은 독점적으로 유지했으며, 헬릭스 플레이어는 모든 리얼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없다.[3]

5. 2. 비공식 플레이어

MPlayer, VLC 미디어 플레이어, 리얼 얼터너티브(Real Alternative) 등 다양한 비공식 플레이어가 존재한다. 리얼 얼터너티브는 공식 리얼플레이어DLL을 사용하므로 리얼플레이어가 설치되어 있어야 작동한다. 대부분의 다른 플레이어는 FFmpeg를 기반으로 하며,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개발된 오디오 코덱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Windows 미디어 플레이어(Windows Media Player)에서 일부 버전의 리얼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코덱도 구할 수 있다.

6. 비판

리얼플레이어와 RealAudio는 설치할 때 사용자 정보를 지나치게 많이 수집하고, 광고를 넣으며,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 때문에 사용자들의 비판을 받았다.[1] 이는 RealAudio와 리얼플레이어가 사용자들에게서 멀어지는 이유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1] RealAudio는 폐쇄적인 정책과 독점적인 코덱 사용으로 인해, 다른 미디어 플레이어와 호환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1] 이러한 문제점은 RealAudio가 쇠퇴하는 원인이 되었다.[1]

리얼네트웍스는 헬릭스 커뮤니티 플레이어를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제공했지만, 일부 오디오 코덱은 독점적인 방식을 유지하여, 헬릭스 플레이어는 모든 RealAudio 파일을 재생할 수는 없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RealPlayer 8 FAQ http://service.real.[...]
[2] 웹사이트 Radio Labs: RealMedia - an update https://www.bbc.co.u[...] 2024-02-03
[3] 문서 MPlayer
[4] 웹사이트 RealAudio http://homerecording[...] 2011-08-20
[5] 웹사이트 Internet Music Net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