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젠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젠우는 중국의 작가이자 번역가로, 1906년 산시성 윈청에서 태어났다. 그는 베이징 사범대학 부속 중학교, 칭화 대학을 졸업하고 파리 대학교에서 유학하며 귀스타브 플로베르를 연구했다. 귀국 후에는 광둥성 지난 대학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중일 전쟁 시기에는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서 활동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베이징 대학과 중국과학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리젠우는 각본, 소설, 번역 등 다양한 작품 활동을 했으며, 특히 단막극을 통해 도시 하층민의 삶을 묘사했다. 그는 플로베르, 스탕달 등 프랑스 작가의 작품을 번역하여 중국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어-중국어 번역가 - 쉬즈모
중국의 시인이자 작가인 쉬즈모는 낭만주의와 자유시의 영향을 받아 현대 중국어로 자유로운 형식과 현대적인 감각을 담은 시를 발표하여 중국 시의 근대화에 기여했으며, 린후이인, 루샤오만과의 사랑으로도 유명하다. - 프랑스어-중국어 번역가 - 린수
린수는 청나라 말기부터 중화민국 초기에 활동하며 200편이 넘는 해외 작품을 번역하고 옌푸와 함께 징스 대학당에서 활동하다 베이징에서 사망한 번역가, 작가, 교육자이다. - 윈청시 출신 - 관우
관우는 후한 말기 ~ 삼국시대 촉한의 무장이자 정치인으로, 유비, 장비와 도원결의를 맺은 의형제로서 유비를 보좌하며 뛰어난 무예와 충절로 이름을 알렸으나, 손권의 계략으로 최후를 맞이한 후 동아시아에서 신으로 숭배받고 대중문화에서 영웅적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강직함과 자만심이 정치적 판단력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도 받는 인물이다. - 윈청시 출신 - 설인귀
설인귀는 당나라 초기의 무장으로, 태종의 고구려 원정에서 시작해 고종 때까지 활약하며 공을 세웠고, 고구려 멸망 후 안동도호부 책임자가 되어 유민을 다스렸으나, 토번과의 전투 패배와 모함으로 유배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으며, 그의 용맹함과 지략은 후대에 널리 알려져 민간 설화와 연극의 소재가 되었고 한국에서는 감악산 산신으로 숭배받기도 한다. - 중국의 극작가 - 마오둔
마오둔은 중국 근현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중국 공산당의 중요 인물로서,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을 통해 중국 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는 문화 정책을 이끌고 그의 업적을 기리는 마오둔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중국의 극작가 - 톈한
톈한은 중국의 극작가이자 시나리오 작가, 가사 작가, 영화 제작자로, '의용군행진곡'을 작사하고 남국사와 남국예술학원을 설립하여 중국 연극계에 영향을 미쳤으나 문화대혁명으로 투옥되어 사망 후 명예 회복되었다.
리젠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어 이름 | 리젠우 (李健吾) |
원어 이름 (언어) | zh |
필명 | 류시웨이 (刘西渭) |
출생일 | 1906년 8월 17일 |
출생지 | 윈청 현, 산시 성, 중국 |
사망일 | 1982년 11월 24일 |
사망지 | 베이징, 중국 |
직업 | 작가, 극작가, 번역가 |
언어 | 중국어, 프랑스어 |
모교 | 칭화 대학 파리 대학교 |
활동 기간 | 1933년–1982년 |
장르 | 소설, 드라마 |
대표 작품 | 《보바리 부인》 |
![]() | |
기타 정보 | |
국적 | 중국 |
민족 | 한족 |
로마자 표기 | Lǐ Jiànwǔ |
2. 생애
리젠우는 산시성 윈청현(運城縣, 현재의 윈청시) 출신으로, 그의 아버지 리밍펑(李鳴鳳)은 신해혁명 시기 산시 혁명군 지도자로 활동했으며 이후 군 간부로 복무했다.[3] 아버지가 북양정부에서 일하게 되면서 리젠우는 가족과 함께 베이징으로 이주하여 학교를 다녔다. 하지만 1919년, 리젠우가 13세 때 아버지가 정적들에 의해 살해당하는 비극을 겪었다.[3]
어린 시절부터 연극에 관심을 보였던 그는 베이징 사범대학 부설 중학교와 칭화 대학에서 공부하며 문학 창작과 연극 활동을 병행했다.[3] 1925년에는 교육부 장관 마쥔우에게 반대하다 가택 연금을 당하기도 했다.[3]
1931년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 대학교에서 유학하며 귀스타브 플로베르를 연구했고, 1933년 귀국하여 《플로베르 평전》을 출간했다.[3] 이후 지난 대학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3] 귀스타브 플로베르, 스탕달 등 프랑스 작가들의 문학 작품을 중국어로 번역하는 데 힘썼다.
중일 전쟁 시기에는 전쟁을 피해 상하이 프랑스 조계로 이주하여 정쩐둬, 아잉, 샤옌 등과 교류하며 문학 활동을 이어갔다.[3]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인 1954년부터는 베이징 대학과 중국과학원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학문 연구와 번역 작업에 매진했다.[3]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리젠우는 1906년 산시성 윈청현(현재의 윈청시)에서 태어났다.[3] 그의 아버지 리밍펑(李鳴鳳)은 신해혁명 시기 산시 혁명군의 지도자로 활동했으며, 이후 북양정부 육군부에서 복무했다. 아버지가 북양정부에서 일하게 되면서 리젠우는 가족과 함께 베이징으로 이주하여 베이징 사범대학교 부속 초등학교에 다녔다.[3] 그러나 1919년, 리젠우가 13세 되던 해에 아버지 리밍펑이 안후이 군벌 장군 천수판(陳樹藩) 등 정적들에게 살해당하면서[3] 힘든 시기를 보내며 여러 곳을 떠돌아다니게 되었다.어린 시절부터 연극에 재능을 보인 리젠우는 동료 학생들과 함께 연극 무대에 올랐다. 특히 천다베이(陳大悲)의 희곡 《유란여사》(幽蘭女士)에서는 여자 역할을 맡기도 했으며, 이 시기 극작가 슝포시(熊佛西)와도 인연을 맺었다. 1921년에는 베이징 사범대학 부설 중학교(베이징 사범대학교 부속 고등학교)[3]에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문학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단막극, 단편 소설, 새로운 형식의 시(신시), 산문 등 다양한 장르의 글을 썼으며, 작가 왕퉁자오(王统照)와도 교류했다.[3]
1925년, 리젠우는 당시 교육부 장관이던 마쥔우의 정책에 반대하다가 가택 연금을 당하기도 했다.[3] 같은 해 칭화 대학에 입학하여 서양 언어와 문학,[3] 그리고 중국 문학을 전공했다. 대학 시절에도 연극에 대한 열정을 이어가 연극 동아리를 운영하며 활동했다.
2. 2. 프랑스 유학과 귀국
1931년, 리젠우는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 대학교에서 유학하며 귀스타브 플로베르를 연구했다.[3] 1933년 학업을 마치고 중국으로 귀국하여 《플로베르 평전》(福樓拜 評傳)을 출간했다. 같은 해부터 광둥성 지난 대학 등에서 문학원 교수로 재직하기 시작했다.[3] 그는 귀스타브 플로베르와 스탕달을 비롯한 프랑스 작가들의 문학 작품을 중국어로 번역하는 작업도 꾸준히 진행했다.중일 전쟁 시기에는 전쟁의 참화를 피해 상하이 프랑스 조계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이곳에서 정쩐둬(鄭振鐸)의 집에 머물며 손님으로 지냈고, 아잉(阿英), 샤옌(夏衍) 등 여러 문인과 교류했다. 또한 당시 청년 작가들의 작품에 대한 평론, 희곡, 단편 소설, 산문 등을 집필하며 문학 활동을 이어간 단체인 '고도 화극'(孤島 話劇, 외톨이섬 연극)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인 1954년부터는 베이징 대학과 중국과학원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학문 연구에 매진했다.
2. 3. 중일 전쟁 시기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리젠우는 전쟁의 폭력을 피해 프랑스 조계지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그곳에서 정전둬(鄭振鐸)의 저택에서 손님으로 지내며 문학 활동을 이어갔다. 그는 당시 청년 작가들의 작품에 대한 평론, 희곡, 단편 소설, 산문 등을 집필하던 문학 단체인 '고도 화극'(孤島 話劇, 외톨이섬 연극)에서 활동했으며, 이 시기에 정전둬, 아잉, 샤옌 등 다른 문인들과 교류하였다.[3]2. 4.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리젠우는 1954년부터 베이징 대학과 중국과학원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3] 그는 귀스타브 플로베르, 스탕달을 비롯한 프랑스 작가들의 문학 작품을 중국어로 번역하는 작업도 지속했다.3. 작품
리젠우는 각본가, 소설가로서 창작 활동을 펼쳤으며, 귀스타브 플로베르와 스탕달 등 프랑스 문학 작품을 번역하여 소개하기도 했다. 그의 주요 작품 활동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서를 참고한다.
3. 1. 각본
연도 | 작품명 | 비고 |
---|---|---|
1926년 | 취자의 미래 | |
1927년 | 어머니의 꿈 | 원제: 도박과 전쟁 |
1932년 | 신호 | 원제: 불선 밖 |
1932년 | 노왕과 그의 동지들 | 원제: 불선 안 |
1934년 | 13년 | |
1941년 | 황화 | |
1942년 | 마판기 | 원제: 초망상부 |
1944년 | 청춘 |
3. 2. 소설
- 서산의 구름 (1928)
- 한 병사와 그의 부인 (1929)
- 심병 (1931)
- 사명집결 (1938)
- 단단 (1938)
- 사명 (1940)
3. 3. 번역
- ''어떤 미치광이의 회고록'' (Mémoires d'un foufre) (귀스타브 플로베르)
- ''감정 교육'' (L'Éducation sentimentalefre) (귀스타브 플로베르)
- ''바보 사전'' (Dictionnaire des idées reçuesfre) (귀스타브 플로베르)
- ''보바리 부인'' (Madame Bovaryfre) (귀스타브 플로베르)
- ''이탈리아 연대기'' (Chroniques italiennesfre) (스탕달)
- ''아르망스'' (Armancefre) (스탕달)
- ''적과 흑'' (Le Rouge et le Noirfre) (스탕달)
- ''뤼시앵 뢰뱅'' (Lucien Leuwenfre) (스탕달)
- ''파르마의 수도원'' (La Chartreuse de Parmefre) (스탕달)
4. 작품 특징
리젠우의 작품은 주로 도시 하층민의 고된 삶과 인간 내면의 갈등을 다루었다. 특히 각본에서는 노동자, 병사, 하인 등 사회적으로 소외된 인물, 그중에서도 여성 인물에게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보였다. 소설 역시 인간 자아의 투쟁과 도시 노동자의 삶을 주요 소재로 삼아, 인간 본성의 모순과 갈등을 깊이 있게 탐구했다.
그의 작품 전반에는 제국주의와 군벌 통치에 반대하는 애국적인 민주주의 사상이 깔려 있으며, 이를 통해 계급에 따른 인간성을 섬세하게 묘사하고자 했다. 또한, 원작이 있는 경우 중국의 현실에 맞게 철저히 각색하여 현지화하는 능력이 뛰어났다. 치밀한 구성과 생생하고 현실감 있는 언어 구사, 개성 있는 인물 묘사는 그의 작품이 지닌 주요한 문체적 특징으로 평가받는다.
4. 1. 각본
연도 | 작품명 | 비고 |
---|---|---|
1926년 | 취자의 미래 | |
1927년 | 어머니의 꿈 | 원제: 도박과 전쟁 |
1932년 | 신호 | 원제: 불선 밖 |
1932년 | 노왕과 그의 동지들 | 원제: 불선 안 |
1934년 | 13년 | |
1941년 | 황화 | |
1942년 | 마판기 | 원제: 초망상부 |
1944년 | 청춘 |
리젠우의 각본은 대부분 단막극 형식으로, 도시 하층민의 고달픈 삶을 주로 다루었다. 작품 속 주인공들은 대부분 노동자, 병사, 하인 등 사회적으로 소외된 계층이었다. 특히 운명의 초점은 항상 여성 인물에게 맞추어졌다.
그의 작품은 소재와 스타일이 다양했으며, 원작이 있는 경우 기본적인 구상만을 가져와 배경, 줄거리, 인물을 철저하게 중국 현실에 맞게 각색하여 공연 당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작품 전반에는 제국주의와 군벌 통치에 반대하는 애국적인 민주주의 사상이 관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계급에 따른 인간성을 깊이 있게 묘사하고자 했다.
치밀한 구성과 언어 구사, 뚜렷한 개성을 지닌 인물 묘사가 특징으로 꼽힌다. 생생하고 현실감 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극 낭만주의 작가로 평가받는다.
4. 2. 소설
인간 자아의 투쟁과 도시 노동자들의 삶을 바탕으로 한 소설을 자주 창작하였다. 인간 본성의 분석에 중점을 두고, 인간 내면의 모순과 갈등을 깊이 있게 묘사하는 특징을 지닌다.주요 소설 작품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작품명 |
---|---|
1928 | 서산의 구름 |
1929 | 한 병사와 그의 부인 |
1931 | 심병 |
1938 | 사명집결 |
1938 | 단단 |
1940 | 사명 |
참조
[1]
웹사이트
李健吾:一个关于抄袭的《声明》
http://dangshi.peopl[...]
[2]
웹사이트
李健吾:一个关于抄袭的《声明》
http://news.xinmin.c[...]
[3]
웹사이트
李健吾 (1906~1982)
http://www.chinawrit[...]
[4]
서적
《包法利夫人》
People's Literature Publishing House
2008-06-01
[5]
서적
《意大利遗事》
Joint Publishing
2013-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