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진위 (축구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진위는 중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그는 1998년 랴오닝 훙윈에서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2004년 산둥 타이산으로 이적하여 2010년 은퇴할 때까지 팀의 주축 공격수로 활약했다. 랴오닝 훙윈 시절에는 1999년 리그 준우승, 2002년 득점왕을 기록했고, 산둥 타이산에서는 3번의 리그 우승(2006, 2008, 2010), 2번의 FA컵 우승(2004, 2006)을 이끌었다. 또한, 중국 국가대표팀 선수로 1998년 아시안 게임 동메달, 2004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에 기여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활동하며, 중국 여자 대표팀 수석 코치, 선양 중쩌, 창저우 슝스, 장쑤 FC, 우한 창장, 윈난 위쿤, 랴오닝 티에런의 감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축구 감독 - 하오하이둥
하오하이둥은 중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공격수로 활약하며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내 최다 득점자이며 다롄 스더에서 전성기를 보내고 셰필드 유나이티드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으며, 2020년에는 중국 공산당 비판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중국의 축구 감독 - 리톄
리톄는 중국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2002년 FIFA 월드컵 진출에 기여했으나, 은퇴 후 승부 조작 및 뇌물 수수 혐의로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 2004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은 우즈베키스탄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소련 시대부터 강력한 축구 기반을 다졌으며 독립 후 AFC에 가입하여 1994년 아시안 게임 우승, 2011년 AFC 아시안컵 4위 등의 성적을 거두며 아시아 축구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지만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아직 이루지 못했다. - 2004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 -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9년 창설되어 1966년 공식 데뷔한 바레인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2000년대 초반 월드컵 예선 최종 진출, 2019년 서아시아 선수권 대회와 걸프컵 우승 등을 통해 아시아 축구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걸프 지역 국가들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랴오닝 훙윈의 축구 선수 - 빌리 셀레스키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선수 빌리 셀레스키는 A리그, UAE 프로 리그, 중국 슈퍼 리그, J1 리그 등 여러 클럽에서 활약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국가대표팀으로도 한 경기에 출전했고 A리그 올스타에도 선정되었다. - 랴오닝 훙윈의 축구 선수 - 최영일 (축구인)
최영일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 행정가로, 중앙 수비수 포지션에서 활약하며 두 번의 FIFA 월드컵에 국가대표로 출전했고, 현재는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리진위 (축구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리진위 |
로마자 표기 | Li Jinyu |
출생일 | 1977년 7월 6일 |
출생지 | 선양시, 랴오닝성, 중국 |
키 | 1.80m |
포지션 | 스트라이커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선전 유소년 |
유소년 클럽 연도 | 1993–1998 |
클럽 | 랴오닝 FC |
연도 | 1998–2003 |
출장 | 100 |
득점 | 46 |
임대 클럽 | AS 낭시 |
임대 연도 | 1999 |
임대 출장 | 6 |
임대 득점 | 0 |
클럽 | 산둥 루넝 |
연도 | 2004–2010 |
출장 | 151 |
득점 | 74 |
총 출장 | 257 |
총 득점 | 120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중국 |
국가대표 연도 | 1997–2008 |
국가대표 출장 | 70 |
국가대표 득점 | 24 |
감독 경력 | |
현재 클럽 | 랴오닝 톄런 |
연도 | 2024- |
이전 클럽 | 중국 여자 대표팀 (수석 코치) |
연도 | 2011 |
이전 클럽 | 선양 선베이 (수석 코치) |
연도 | 2012–2013 |
이전 클럽 | 선양 선베이 |
연도 | 2013–2014 |
이전 클럽 | 스자좡 융창 (감독 대행) |
연도 | 2016 |
이전 클럽 | 장쑤 쑤닝 (감독 대행) |
연도 | 2017 |
이전 클럽 | 우한 창장 |
연도 | 2021–2023 |
이전 클럽 | 윈난 위쿤 |
연도 | 2023-2024 |
수상 내역 | |
아시안 게임 | 1998 방콕 동메달 |
2. 클럽 경력
선전 FC 유소년팀 출신인 리진위는 1998년 랴오닝 훙윈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98-99 시즌에는 프랑스 리그앙의 AS 낭시에 임대되어 활약하기도 했다. 랴오닝 훙윈에서 1998년과 2002년 중국 FA컵 준우승, 1998년 중국 갑급리그 준우승에 기여했고, 2002년에는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다. 2004년 산둥 타이산으로 이적하여 2010년 은퇴할 때까지 2006년, 2008년, 2010년 리그 3회 우승, 2004년 중국 슈퍼 리그컵 우승, 중국 FA컵 2회 우승(2004, 2006)을 기록했다. 특히 2006년과 2007년에는 2년 연속 리그 득점왕을 차지하며 절정의 기량을 과시했다.
2. 1. 랴오닝 훙윈 시절
선전 FC 유소년팀 출신으로 1998년 랴오닝 훙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3년까지 팀의 주축 공격수로 활약하며 1998년 중국 갑급리그 준우승 및 차기 시즌 1부 리그 승격, 1998년과 2002년 중국 FA컵 준우승에 기여했다. 특히 2002년에는 리그 27경기에서 15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을 차지했다.[1] 1999년에는 프랑스 리그앙의 AS 낭시로 임대되어 잠시 활동하기도 했다.[1] 랴오닝 훙윈에서 뛰는 동안 리그 우승을 차지하지는 못했지만, 개인적으로는 2002년에 첫 골든 부트 상을 수상하며 최고의 스트라이커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다.[2]2. 2. 산둥 타이산 시절
2004년 산둥 타이산으로 이적한 리진위는 2010년 은퇴할 때까지 6년간 팀의 주축 공격수로 활약했다. 이 기간 동안 리그 3회 우승(2006, 2008, 2010), 중국 FA컵 2회 우승(2004, 2006), 2004년 중국 슈퍼 리그컵 우승, 2007년 A3 챔피언스컵 준우승에 기여했다.[3] 특히 2006년과 2007년에는 리그 43경기에서 41골을 기록하며 2년 연속 득점왕을 차지했고, 2007년에는 하오하이둥의 기록을 깨고 중국 슈퍼리그 역대 최다 득점자에 등극했다.[3]산둥 타이산은 2004년 시즌 초, 당시 중국 축구 이적료 최고액인 490만위안을 지불하고 리진위를 영입했다.[3] 리진위는 이적 후 곧바로 팀의 핵심 선수가 되었고, 그 해 중국 FA컵과 중국 슈퍼리그 컵 우승을 이끌며 구단의 기대에 부응했다. 2006년에는 리그 우승과 FA컵 우승을 동시에 달성하고, 개인적으로는 리그 득점왕까지 차지하며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3]
2008년에는 득점력이 다소 떨어져 리그 6골에 그쳤지만, 팀은 또 한 번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4] 2010년에는 비주류 선수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리그 우승에 기여한 후 은퇴를 결정했다.
3. 국가대표팀 경력
리진위는 1997년 FIFA U-20 월드컵에 중국 U-20 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했고, 1997년 미국과의 친선 경기에서 중국 성인대표팀 소속으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5] 1998년 아시안 게임에서 8경기 6골을 기록하며 중국 대표팀의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고, 2004년 AFC 아시안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6] 2005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 1득점을 기록하며 중국의 사상 첫 동아시안컵 우승에 일조했다.[11] 2008년, A매치 통산 73경기 26골의 기록을 남기고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다.[12]
2002년 FIFA 월드컵에서는 최종 명단에 포함되지 못했다.[13] 2007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당시 감독이었던 주광후의 판단에 따라 최종 명단에서 제외되었다.[14]
4. 지도자 경력
2011년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수석 코치를 맡으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7]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자신의 고향팀인 선양 중쩌의 수석 코치 및 감독을 역임하며 2013 시즌 중국 갑급리그 6위의 성적을 이끌었다. 2013년 5월 13일, 성적 부진으로 해임된 류즈차이를 대신하여 중국 갑급 리그 팀인 선양 선베이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7] 2016년과 2017년에는 창저우 슝스와 장쑤 FC의 감독 대행을 역임했다.
5. 수상 내역
wikitext
클럽 | ||
---|---|---|
대회 | 결과 | 비고 |
중국 갑급리그 | 준우승 | 1998 |
중국 FA컵 | 준우승 | 1998, 2002 |
중국 슈퍼리그 | 우승 | 2006, 2008, 2010 |
중국 슈퍼리그 | 준우승 | 2004 |
중국 슈퍼리그 | 3위 | 2005, 2007 |
중국 FA컵 | 우승 | 2004, 2006 |
중국 FA컵 | 준우승 | 2005 |
중국 슈퍼 리그컵 | 우승 | 2004 |
A3 챔피언스컵 | 준우승 | 2007 |
국가대표팀 | ||
대회 | 결과 | 비고 |
1998년 아시안 게임 | 동메달 | |
2004년 AFC 아시안컵 | 준우승 | |
2005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우승 | |
개인 | ||
수상 | 연도 | |
중국 슈퍼리그 득점왕 | 2002, 2006, 2007 | |
중국 슈퍼리그 올해의 팀 | 2002, 2004, 2006, 2007 |
5. 1. 클럽
선전 FC 유소년팀 출신으로 1998년 랴오닝 훙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2003년까지 랴오닝 훙윈의 주축 공격수로 활약하며 1998년 중국 갑급리그 준우승 및 1부 리그 승격, 1998년과 2002년 중국 FA컵 준우승에 기여했다. 2002년에는 리그 27경기에서 15골을 기록하여 득점왕을 차지하기도 했다. 1999년에는 프랑스 리그앙의 AS 낭시에 임대되어 잠시 활동했다.[1]2004년, 산둥 타이산으로 이적한 후 2010년 은퇴할 때까지 6년간 팀의 주축 공격수로 활약했다. 산둥 타이산 소속으로 리그 3회 우승(2006, 2008, 2010), 중국 슈퍼리그 2004 준우승, 중국 FA컵 2회 우승(2004, 2006), 2004년 중국 슈퍼 리그컵 우승, 2005년 중국 FA컵 준우승, 리그 3위 2회(2005, 2007), 2007년 A3 챔피언스컵 준우승을 달성했다. 특히 2006년과 2007년에는 리그 43경기에서 41골을 기록하며 2년 연속 득점왕을 차지했고, 프로 통산 3번의 리그 득점왕을 기록했다.
2004년 산둥 루넝은 당시 중국 축구 이적료 최고액인 490만위안을 지불하고 리진위를 영입했다. 리진위는 이적 후 중국 FA컵과 중국 슈퍼리그 컵 우승에 기여했고, 2006년에는 리그 우승, 중국 FA컵 우승, 득점왕을 모두 차지하며 최고의 활약을 펼쳤다. 2007년에는 하오하이둥의 득점 기록을 경신했으나,[3] 팀은 리그 우승에 실패했다. 2008년에는 득점력이 다소 감소했지만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4] 2010년에는 주전 경쟁에서 밀려났지만 다시 한번 리그 우승을 경험한 후 은퇴했다.
; 랴오닝 훙윈
; 산둥 타이산
- 중국 슈퍼리그 : '''우승''' (2006, 2008, 2010), 준우승 (2004), 3위 (2005, 2007)
- 중국 FA컵 : '''우승''' (2004, 2006), 준우승 (2005)
- 중국 슈퍼 리그컵 : '''우승''' (2004)
- A3 챔피언스컵 : 준우승 (2007)
5. 2. 국가대표팀
1997년 FIFA U-20 월드컵에 중국 U-20 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했고, 1997년 첫 날 미국과의 친선 경기에서 중국 성인대표팀 소속으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5]1998년 아시안 게임에서 8경기 6골로 대회 득점 랭킹 단독 5위에 이름을 올리며 팀의 동메달 획득을 주도했고, 자국에서 열린 2004년 AFC 아시안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6]
2005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도 1득점을 기록하며 중국의 사상 첫 동아시안컵 우승에 일조했으며, 2008년 A매치 통산 73경기 26골의 기록을 남긴 뒤 11년간의 국가대표팀 생활을 마감했다.
국가대표팀 기록 | ||
---|---|---|
대회 | 결과 | 비고 |
1998년 아시안 게임 | 동메달 | 8경기 6골 |
2004년 AFC 아시안컵 | 준우승 | |
2005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우승 |
5. 3. 개인
선전 FC 유소년팀 출신으로 1998년 랴오닝 훙윈 입단을 통해 프로에 입문한 후 2003년까지 팀의 주축 공격수로 활약하며 1998년 중국 갑급리그 준우승 및 차기 시즌 1부 리그 승격, 1998년과 2002년 중국 FA컵 준우승 등에 공헌했고, 2002년에는 리그 27경기 15골로 득점왕에 오르기도 했다. 1999년에는 프랑스 리그앙의 AS 낭시에서 임대 선수로 잠시 활동했다.2004년 산둥 타이산으로 이적 후 2010년 은퇴할 때까지 6년간 팀의 주축 공격수로 활약하며 리그 3회 우승(2006, 2008, 2010), 중국 슈퍼리그 2004 준우승, 중국 FA컵 2회 우승(2004, 2006), 2004년 중국 슈퍼 리그컵 우승, 2005년 중국 FA컵 준우승, 2번의 리그 3위(2005, 2007), 2007년 A3 챔피언스컵 준우승 등에 기여했다. 특히 2006년과 2007년에는 리그 43경기 41골이라는 폭발적인 득점력으로 2연속 득점왕 타이틀을 거머쥐는 등 프로 생활 12년간 3번의 리그 득점왕에 올랐다.
6. 통계
시즌 | 팀 | 국가 | 리그 | 출장 | 골 |
---|---|---|---|---|---|
1998 | 랴오닝 훙윈 | 1 | 0 | 0 | |
98/99 | AS 낭시 | Nancy|낭시프랑스어 | 1 | 6 | 0 |
1999 | 랴오닝 훙윈 | 1 | 13 | 8 | |
2000 | 랴오닝 훙윈 | 1 | 24 | 5 | |
2001 | 랴오닝 훙윈 | 1 | 22 | 11 | |
2002 | 랴오닝 훙윈 | 1 | 27 | 15 | |
2003 | 랴오닝 훙윈 | 1 | 14 | 7 | |
2004 | 산둥 타이산 | 1 | 21 | 13 | |
2005 | 산둥 타이산 | 1 | 17 | 7 | |
2006 | 산둥 타이산 | 1 | 26 | 26 | |
2007 | 산둥 타이산 | 1 | 27 | 15 | |
2008 | 산둥 타이산 | 1 | 24 | 6 | |
2009 | 산둥 타이산 | 1 | 22 | 3 | |
2010 | 산둥 타이산 | 1 | 11 | 4 |
# | 날짜 | 개최지 | 상대팀 | 스코어 | 결과 | 대회 | |
---|---|---|---|---|---|---|---|
1 | 1997년 2월 21일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머데카 스타디움 | 2-0 | 3-1 | 승 | 1997 던힐컵 말레이시아 | |
2 | 1997년 3월 2일 | 1-0 | 3-0 | 승 | |||
3 | 1997년 4월 20일 | 중국 베이징 공인 경기장 | 3-0 | 5-0 | 승 | 친선 경기 | |
4 | 1997년 6월 1일 | 1-0 | 1-0 | 승 | 1998 FIFA 월드컵 예선 | ||
5 | 1998년 11월 30일 | 태국 수랏타니 수랏타니 주립 경기장, 방콕 라자망갈라 국립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3-1 | 4-1 | 승 | 1998년 아시안 게임 | |
6 | 1998년 12월 8일 | 2-1 | 3-1 | 승 | |||
7 | 1998년 12월 10일 | 3-0, 4-0 | 6-1 | 승 | |||
8 | 1998년 12월 12일 | 1-0 | 1-2 | 패 | |||
9 | 1998년 12월 14일 | 1-0, 2-0 | 3-0 | 승 | |||
10 | 2001년 5월 6일 | 캄보디아 프놈펜 램버트 스타디움 | 1-0, 4-0 | 4-0 | 승 | 2002 FIFA 월드컵 예선 | |
11 | 2003년 8월 31일 | 미국 포트로더데일 록하트 스타디움 | 3-1 | 3-4 | 패 | 친선 경기 | |
12 | 2004년 7월 3일 | 중국 충칭 충칭 올림픽 스포츠 센터, 베이징 공인 경기장 | 1-0, 2-0 | 6-0 | 승 | ||
13 | 2004년 7월 17일 | 2-1 | 2-2 | 무 | 2004 AFC 아시안컵 | ||
14 | 2004년 9월 8일 | 말레이시아 페낭 시티 스타디움 | 1-0 | 1-0 | 승 | 2006 FIFA 월드컵 예선 | |
15 | 2004년 11월 17일 | 중국 광저우 톈허 스타디움 | 1-0, 4-0 | 7-0 | 승 | ||
16 | 2005년 9월 3일 | 대한민국 대전 대전월드컵경기장 | 1-0 | 2-2 | 무 |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
17 | 2006년 9월 10일 | 중국 친황다오 친황다오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쑤저우 쑤저우 스포츠 센터 | 1-0 | 4-0 | 승 | 친선 경기 | |
18 | 2007년 2월 7일 | 2-1 | 2-1 | 승 | |||
19 | 2007년 10월 21일 | 5-0 | 7-0 | 승 | 2010 FIFA 월드컵 예선 |
팀 | 국가 | 시작 | 종료 | 기록 | ||||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
선양 중저 | 2013년 5월 13일 | 2014년 5월 12일 | 32 | 12 | 11 | 9 | ||
스자좡 융창 (임시) | 2016년 7월 15일 | 2016년 10월 30일 | 13 | 4 | 4 | 5 | ||
장쑤 쑤닝 (임시) | 2017년 6월 1일 | 2017년 6월 11일 | 1 | 0 | 0 | 1 | ||
우한 창장 | 2021년 12월 4일 | 2023년 1월 25일 | 43 | 10 | 7 | 26 | ||
윈난 위쿤 | 2023년 9월 7일 | 2024년 5월 22일 | 16 | 13 | 2 | 1 | ||
랴오닝 티에런 | 2024년 7월 2일 | 현재 | 3 | 2 | 1 | 0 | ||
합계 | 98 | 41 | 15 | 42 |
6. 1. 클럽
선전 FC 유소년팀 출신으로 1998년 랴오닝 훙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3년까지 랴오닝 훙윈의 주축 공격수로 활약하며 1998년 중국 갑급리그 준우승 및 차기 시즌 1부 리그 승격, 1998년과 2002년 중국 FA컵 준우승에 공헌했다. 2002년에는 리그 27경기에서 15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을 차지했다. 1999년에는 프랑스 리그앙의 AS 낭시에서 임대 선수로 잠시 활동하기도 했다.[1]2004년, 산둥 타이산으로 이적한 후 2010년 은퇴할 때까지 팀의 핵심 공격수로 활약하며 리그 3회 우승(2006, 2008, 2010), 중국 슈퍼리그 2004 준우승, 중국 FA컵 2회 우승(2004, 2006), 2004년 중국 슈퍼 리그컵 우승, 2005년 중국 FA컵 준우승, 리그 3위 2회(2005, 2007), 2007년 A3 챔피언스컵 준우승 등에 기여했다. 특히 2006년과 2007년에는 리그 43경기에서 41골을 기록하며 2년 연속 득점왕을 차지하는 등 프로 생활 12년 동안 3번의 리그 득점왕에 올랐다.[2][3][4]
리진위는 선전 젠리바오가 후원하는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브라질에서 유학한 경험이 있으며, 이를 통해 중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1997 FIFA 세계 청소년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이 대회에서의 활약으로 AS 낭시의 관심을 받아 임대 이적했지만, 성공적인 시간을 보내지는 못했다.[9] 중국으로 돌아온 후 랴오닝 훙윈과 계약하여 1999년 리그 준우승에 기여하며 잠재력을 보여주었다.[10]
2004년 산둥 루넝 타이산은 당시 중국 축구 이적료 최고액인 490만위안을 지불하고 리진위를 영입했다. 그는 팀의 핵심 멤버로서 중국 FA컵과 중국 슈퍼리그 컵 우승을 이끌었다. 2006년에는 리그 우승, 중국 FA컵 우승, 득점왕을 모두 차지하며 최고의 활약을 펼쳤다. 2007년에는 하오하이둥의 득점 기록을 경신하며 리그 최다 득점 선수로 등극했다.[11] 2008년에는 득점력이 다소 떨어졌지만, 팀은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12] 2010년에는 비주류 선수가 되었지만, 다시 한번 리그 우승을 차지하고 은퇴를 결정했다.
클럽 | 시즌 | 리그 | ||
---|---|---|---|---|
디비전 | 출장 | 골 | ||
랴오닝 FC | 1998 | 중국 갑 A 리그 | 0 | 0 |
1999 | 13 | 8 | ||
2000 | 24 | 5 | ||
2001 | 22 | 11 | ||
2002 | 27 | 15 | ||
2003 | 14 | 7 | ||
합계 | 100 | 46 | ||
AS 낭시 | 1998–99 | 프랑스 디비시옹 1 | 6 | 0 |
합계 | 6 | 0 | ||
산둥 타이산 | 2004 | 중국 슈퍼리그 | 21 | 13 |
2005 | 17 | 7 | ||
2006 | 26 | 26 | ||
2007 | 27 | 15 | ||
2008 | 24 | 6 | ||
2009 | 22 | 3 | ||
2010 | 14 | 4 | ||
합계 | 151 | 74 | ||
합계 | 257 | 120 |
6. 2.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리진위는 1997년 FIFA U-20 월드컵에 중국 U-20 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했고, 1997년 2월 1일 미국과의 친선 경기에서 중국 성인대표팀 소속으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5] 2004년 AFC 아시안컵에서 중국 대표팀의 준우승에 기여했다. 2008년까지 A매치 통산 73경기 26골을 기록했다.[6]# | 날짜 | 개최지 | 상대팀 | 스코어 | 결과 | 대회 | ||
---|---|---|---|---|---|---|---|---|
1 | 1997년 2월 21일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머데카 스타디움 | 2-0 | 3-1 | 승 | 1997 던힐컵 말레이시아 | ||
2 | 1997년 3월 2일 | 1-0 | 3-0 | 승 | ||||
3 | 1997년 4월 20일 | 중국 베이징 공인 경기장 | 3-0 | 5-0 | 승 | 친선 경기 | ||
4 | 1997년 6월 1일 | 1-0 | 1-0 | 승 | 1998 FIFA 월드컵 예선 | |||
5 | 1998년 11월 30일 | 태국 | ||||||
6 | 1998년 12월 8일 | 2-1 | 3-1 | 승 | ||||
7 | 1998년 12월 10일 | rowspan="2" | 3-0 | 6-1 | 승 | |||
8 | 4-0 | |||||||
9 | 1998년 12월 12일 | 1-0 | 1-2 | 패 | ||||
10 | 1998년 12월 14일 | rowspan="2" | 1-0 | 3-0 | 승 | |||
11 | ||||||||
12 | 2001년 5월 6일 | 캄보디아 프놈펜 램버트 스타디움 | rowspan="2" | 1-0 | 4-0 | 승 | 2002 FIFA 월드컵 예선 | |
13 | 4-0 | |||||||
14 | 2003년 8월 31일 | 미국 포트로더데일 록하트 스타디움 | 3-1 | 3-4 | 패 | 친선 경기 | ||
15 | 2004년 7월 3일 | 중국 | ||||||
16 | 2-0 | |||||||
17 | 2004년 7월 17일 | 2-1 | 2-2 | 무 | 2004 AFC 아시안컵 | |||
18 | 2004년 9월 8일 | 말레이시아 페낭 시티 스타디움 | 1-0 | 1-0 | 승 | 2006 FIFA 월드컵 예선 | ||
19 | 2004년 11월 17일 | 중국 광저우 톈허 스타디움 | rowspan="2" | 1-0 | 7-0 | 승 | ||
20 | 4-0 | |||||||
21 | 2005년 9월 3일 | 대한민국 대전 대전월드컵경기장 | 1-0 | 2-2 | 무 |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
22 | 2006년 9월 10일 | 중국 | ||||||
23 | 2007년 2월 7일 | 2-1 | 2-1 | 승 | ||||
24 | 2007년 10월 21일 | 5-0 | 7-0 | 승 | 2010 FIFA 월드컵 예선 |
6. 3. 감독
2010년 선수 은퇴 후 이듬해인 2011년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수석 코치로 본격적인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2012 시즌부터 2014 시즌까지 자신의 고향팀인 선양 중쩌의 수석 코치 및 감독으로 지내며 2013 시즌 중국 갑급리그 6위의 성적을 이끌었다. 2016 시즌과 2017 시즌에는 창저우 슝스와 장쑤 FC의 감독 대행을 역임했다.[7] 2013년 5월 13일, 부진한 성적으로 경질된 류즈차이를 대신하여 중국 갑급 리그 팀인 선양 선베이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7]팀 | 국가 | 시작 | 종료 | 기록 | ||||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
선양 중저 | 2013년 5월 13일 | 2014년 5월 12일 | 32 | 12 | 11 | 9 | ||
스자좡 융창 (임시) | 2016년 7월 15일 | 2016년 10월 30일 | 13 | 4 | 4 | 5 | ||
장쑤 쑤닝 (임시) | 2017년 6월 1일 | 2017년 6월 11일 | 1 | 0 | 0 | 1 | ||
우한 창장 | 2021년 12월 4일 | 2023년 1월 25일 | 43 | 10 | 7 | 26 | ||
윈난 위쿤 | 2023년 9월 7일 | 2024년 5월 22일 | 16 | 13 | 2 | 1 | ||
랴오닝 티에런 | 2024년 7월 2일 | 현재 | 3 | 2 | 1 | 0 | ||
합계 | 98 | 41 | 15 | 42 |
참조
[1]
웹사이트
LI Jinyu
https://web.archive.[...]
2012-08-28
[2]
웹사이트
China 1999
https://www.rsssf.or[...]
2012-08-28
[3]
뉴스
China's Asian Cup reject Li makes a point with 100th goal
http://www.chinadail[...]
chinadaily.com.cn
2012-08-28
[4]
웹사이트
China 2008
https://www.rsssf.or[...]
2012-08-28
[5]
웹사이트
China PR 1-1 USA
http://teamchina.fre[...]
2012-08-28
[6]
뉴스
Soccer-China leave top scorer Li out of Asian Cup squad
https://archive.toda[...]
uk.reuters.com
2012-08-28
[7]
웹사이트
沈北官方宣布李金羽担任主教练 刘志才自动离职
http://cnsoccer.tita[...]
2013-05-27
[8]
웹사이트
Li, Jinyu
https://www.national[...]
National-football-teams.com
2019-08-22
[9]
웹사이트
LI Jinyu
http://www.fifa.com/[...]
2012-08-28
[10]
웹사이트
China 1999
http://www.rsssf.com[...]
2012-08-28
[11]
뉴스
China's Asian Cup reject Li makes a point with 100th goal
http://www.chinadail[...]
chinadaily.com.cn
2012-08-28
[12]
웹사이트
China 2008
http://www.rsssf.com[...]
2012-08-28
[13]
웹사이트
China PR 1-1 USA
http://teamchina.fre[...]
2012-08-28
[14]
뉴스
Soccer-China leave top scorer Li out of Asian Cup squad
http://uk.reuters.co[...]
uk.reuters.com
2012-08-28
[15]
웹사이트
沈北官方宣布李金羽担任主教练 刘志才自动离职
http://cnsoccer.tita[...]
2013-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