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말레이시아의 6개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는 총 24개 팀이 참가했으며, 조별 리그를 거쳐 16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아르헨티나가 우루과이를 결승전에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아다이우통(브라질)이 득점왕, 니콜라스 올리베라(우루과이)가 골든볼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청소년 축구 - 1997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1997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는 이집트에서 개최되어 브라질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호나우지뉴, 이케르 카시야스, 사비 에르난데스 등 미래의 축구 스타들이 참가했다. - 1997년 세계 선수권 대회 -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1997년 8월 1일부터 10일까지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된 국제 육상 대회로, 세르히 부브카의 장대높이뛰기 우승 등 세계적인 선수들이 기량을 겨뤘으나 도핑 적발 및 판정 논란 등의 사건도 있었다. - 1997년 세계 선수권 대회 - 1997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1997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는 이집트에서 개최되어 브라질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호나우지뉴, 이케르 카시야스, 사비 에르난데스 등 미래의 축구 스타들이 참가했다.
199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199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다른 명칭 | Piala Dunia B-20 FIFA 1997 Piala Dunia Belia FIFA 1997 |
![]() | |
개최국 | 말레이시아 |
개최 기간 | 1997년 6월 16일 – 1997년 7월 5일 |
참가 팀 수 | 24개국 |
참가 연맹 수 | 6 |
개최 도시 수 | 6 |
경기장 수 | 6 |
경기 수 | 52 |
총 득점 | 165 |
총 관중 수 | 655827 |
결과 | |
우승 | 아르헨티나 (3회) |
준우승 | 우루과이 |
3위 | 아일랜드 |
4위 | 가나 |
페어 플레이 상 | 아르헨티나 |
개인 수상 | |
최다 득점자 | 아다이우통 (10골) |
최우수 선수 | 니콜라스 올리베라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95년 |
다음 대회 | 1999년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경기는 6개의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
샤알람 | 샤알람 스타디움 | 80,000명 |
알로르스타르 | 다룰 아만 스타디움 | 32,387명 |
조호르바루 | 탄 스리 다토 하지 하산 유노스 스타디움 | 30,000명 |
캉아르 | 투앙쿠 셰드 푸트라 스타디움 | 20,000명 |
쿠안탄 | 다룰 막무르 스타디움 | 40,000명 |
쿠칭 | 사라왁 스타디움 | 40,000명 |
총 24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3. 본선 진출 팀
연맹 예선 본선 진출 팀 AFC (아시아) 199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CAF (아프리카) 1997년 아프리카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CONCACAF (북중미&카리브) 1996년 CONCACAF U-20 토너먼트
CONMEBOL (남아메리카) 1997년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
OFC (오세아니아) 1997년 OFC U-20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유럽) 1996년 UEFA U-18 축구 선수권 대회
개최국
4. 조별 리그
199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조별 리그는 6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1, 2위 팀과 각 조 3위 팀 중 상위 4개 팀이 16강에 진출했다.
- 시간은 현지 시간 (UTC+8)
각 조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 A조: 우루과이, 모로코, 벨기에 16강 진출, 말레이시아 탈락.
- B조: 브라질, 프랑스 16강 진출,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한민국 탈락.
- C조: 가나, 아일랜드, 미국 16강 진출, 중국 탈락.
- D조: 스페인, 일본 16강 진출, 파라과이, 코스타리카 탈락.
- E조: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16강 진출, 헝가리 탈락.
- F조: 잉글랜드, 멕시코, 아랍에미리트 16강 진출, 코트디부아르 탈락.
각 조 3위 팀 간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A | 벨기에 | 3 | 1 | 1 | 1 | 4 | 4 | 0 | 4 |
E | 캐나다 | 3 | 1 | 1 | 1 | 3 | 3 | 0 | 4 |
C | 미국 | 3 | 1 | 0 | 2 | 2 | 3 | -1 | 3 |
F | 아랍에미리트 | 3 | 1 | 0 | 2 | 2 | 10 | -8 | 3 |
D | 파라과이 | 3 | 0 | 2 | 1 | 5 | 6 | -1 | 2 |
B | 남아프리카 공화국 | 3 | 0 | 1 | 2 | 2 | 6 | -4 | 1 |
벨기에, 캐나다, 미국, 아랍에미리트가 16강에 추가로 진출했다.
4. 1. A조
득점: 세크티우이 , 캄마 , 엘바로디득점: 살라예타 , 할렛 , 로페스
득점: 판 한덴호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