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컨 근지구 소행성 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링컨 근지구 소행성 연구(LINEAR)는 공군우주사령부의 망원경을 사용하여 근지구 천체를 발견하는 프로젝트이다. 1970년대 후반 화이트 샌즈 미사일 시험장에 실험 시설이 세워졌고, 1990년대에 디지털 탐지 기술을 활용하여 소행성을 자동 탐지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1996년부터 1.0m 망원경을 사용하여 관측을 시작했으며, 이후 두 번째 망원경과 0.5m 망원경을 추가하여 관측 범위를 넓혔다. LINEAR는 14만 개 이상의 소행성을 발견했으며, 여러 혜성 및 기타 천체의 발견에도 기여했다. 또한, 일본의 하야부사 2 프로젝트와 협력하여 소행성 류구의 명칭을 결정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링컨 근지구 소행성 연구 | |
---|---|
개요 | |
이름 | 링컨 근지구 소행성 연구 |
원래 이름 | Lincoln Near-Earth Asteroid Research |
약칭 | LINEAR |
운영 | |
조직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링컨 연구소 |
목표 | 지구 근접 천체 탐색 및 추적 |
관측 | |
파장 | 가시광선 |
역사 | |
시작 | 1998년 |
종료 | 2016년 |
식별 코드 | |
천문대 코드 | 704 |
2. 연혁
1970년대 후반 화이트 샌즈 미사일 시험장에 링컨 연구소 실험 실험장(eng, ETS) 시설(관측소 부호 704)이 건설되면서 프로젝트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초기 프로토타입 단계에서는 저조도 비디오 카메라가 활용되었다.
1994년, 새로운 디지털 탐지기 기술을 이용한 자동 소행성 탐지 방안이 제안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LINEAR 프로젝트는 1996년부터 근지구 천체 발견 시설 운영을 시작했다. 이 시설은 공군우주사령부의 지상 기반 전기광학식 딥 스페이스 감시(GEODSS)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1m 구경의 망원경을 활용했다.
초기 테스트를 거쳐 1998년 3월 첫 번째 LINEAR 망원경이 완전 가동에 들어갔으며, 1999년 10월에는 두 번째 1m 망원경이 탐사 작업에 추가되어 관측 능력을 향상시켰다. 2002년에는 앞서 발견된 천체들의 추적 관측을 전담하기 위해 0.5m 구경의 세 번째 망원경이 도입되어 운영 효율을 높였다.
관측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매사추세츠주 렉싱턴의 한스컴 공군 기지 내 링컨 연구소 시설로 전송되어 처리 과정을 거친다. 이후 분석된 발견 결과는 소행성체 센터로 전달되어 공식적으로 기록된다.
2. 1. 1970년대
1972년에 첫 시험이 실시되었다. 1970년대 후반, 링컨 연구소의 실험 실험장(eng, ETS) 시설(관측소 부호 704)이 화이트 샌즈 미사일 시험장에 세워졌다. 이 프로젝트의 초기 프로토타입에서는 저조도 비디오 카메라가 사용되었다.2. 2. 1990년대
1994년, 소행성을 자동으로 탐지하기 위해 새로운 디지털 탐지기 기술을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LINEAR 프로젝트는 1996년부터 근지구 천체 발견 시설 운영을 시작했다. 이 시설은 공군우주사령부의 지상 기반 전기광학식 딥 스페이스 감시(GEODSS)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1m 구경의 망원경을 활용했다. 이 광시야각 망원경은 본래 지구 궤도를 도는 우주선을 광학적으로 관측하기 위해 만들어졌다.1997년 3월부터 7월까지 진행된 초기 실전 테스트에서는 1024×1024 화소의 전하결합소자(CCD) 검출기가 사용되었다. 이 CCD는 망원경 시야의 약 5분의 1만 감당했지만, 4개의 근지구 천체를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1997년 10월에는 망원경의 2 제곱도 시야각을 모두 포괄하는 더 큰 1960×2560 픽셀 CCD가 장착되어 시험에 사용되었고, 이를 통해 9개의 근지구 천체를 발견했다. 1997년 11월부터 1998년 1월 사이에는 두 종류의 CCD를 함께 사용하여 5개의 근지구 천체를 추가로 발견했다.
첫 번째 LINEAR 망원경은 1998년 3월에 완전 가동에 들어갔다. 1999년 10월 초, 두 번째 1m 망원경이 탐사 작업에 추가되어 관측 능력이 향상되었다.
2. 3. 2000년대
2002년에는 기존의 CCD가 장착된 0.5m 구경의 세 번째 망원경이 온라인으로 가동되었다. 이 망원경은 앞서 운영되던 두 개의 1m 탐사 망원경이 발견한 천체에 대한 추적 관측을 수행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 추가 망원경 도입으로 LINEAR는 매일 밤 탐색할 수 있는 하늘의 범위를 약 20% 더 늘릴 수 있게 되었다.망원경으로 관측하여 기록된 데이터는 매사추세츠주 렉싱턴에 위치한 한스컴 공군 기지 내의 링컨 연구소 시설로 전송되어 처리된다. 처리 과정을 거쳐 확인된 소행성 발견 정보는 소행성체 센터로 전달된다.
LINEAR의 망원경은 하룻밤에 하늘의 특정 구역을 5번씩 관측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탐색 노력의 대부분은 근지구 천체(NEO)가 집중적으로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황도면을 따라 이루어진다. CCD의 높은 감도와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 덕분에 LINEAR는 매일 밤 넓은 영역의 하늘을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으며, 현재 근지구 천체 발견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3. 관측 시설
1970년대 후반, 뉴멕시코주 화이트 샌즈 미사일 시험장에 '링컨 연구소 실험 테스트 사이트'(ETS, 관측소 코드 704) 시설이 건설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초기 프로토타입은 저조도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했으며, 1994년에는 소행성 자동 탐지를 위해 새로운 디지털 검출기 기술을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LINEAR 프로젝트는 1996년부터 이 시설을 기반으로 근지구 천체 발견 활동을 시작했다. 관측 시설은 뉴멕시코주 소코로 군의 ETS에 위치하며, 여기서 수집된 관측 데이터는 매사추세츠주 렉싱턴의 한스컴 공군 기지 내 링컨 연구소 시설로 전송되어 처리된다. 분석 결과 확인된 발견 정보는 소행성 센터(MPC)로 전달된다.
3. 1. 망원경
LINEAR 프로젝트는 1996년 근지구 천체(NEO) 발견 시설 운영을 시작했으며, 미국 공군우주사령부의 지상 기반 전자-광학 심우주 감시(GEODSS) 용도로 설계된 1m 구경의 망원경을 활용했다. 이 광시야 망원경은 본래 지구 궤도 위성의 광학 관측을 위해 만들어졌다. 초기 현장 테스트에서는 1024 × 1024 픽셀 전하 결합 소자(CCD) 검출기가 사용되었으며, 이는 망원경 시야의 약 5분의 1만 포괄했지만 4개의 근지구 천체를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망원경의 2 제곱도 시야 전체를 포괄하는 1960 × 2560 픽셀 CCD가 설치되어 활용되었다.첫 번째 1m 망원경은 1998년 3월부터 완전히 가동되었다. 1999년 10월에는 두 번째 1m 망원경이 탐색 작업에 추가되어 주 탐사를 담당하게 되었다. 2002년에는 이 두 탐색 망원경이 발견한 천체들의 추적 관측을 위해, 초기에 사용되었던 CCD가 장착된 0.5m 구경의 세 번째 망원경이 온라인으로 도입되었다. 이를 통해 매일 밤 약 20% 더 넓은 하늘 영역을 탐색할 수 있게 되었다.
LINEAR 망원경들은 뉴멕시코주 소코로군의 화이트 샌즈 미사일 사정거리 내 링컨 연구소 실험 시험장(ETS, 관측소 코드 704)에 설치되어 있다. 망원경으로 기록된 관측 데이터는 처리를 위해 매사추세츠주 렉싱턴의 한스컴 공군 기지 내 링컨 연구소 시설로 전송되며, 분석을 통해 확인된 발견 정보는 소행성 센터(MPC)로 전달된다.
3. 2. CCD 검출기
LINEAR 프로젝트 초기에는 저조도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했으나, 1994년 새로운 디지털 검출기 기술이 제안되었다.1997년 3월부터 7월까지 진행된 초기 현장 테스트에서는 1024×1024 픽셀 전하 결합 소자(CCD) 검출기가 사용되었다. 이 CCD는 망원경 시야의 약 5분의 1만을 채웠지만, 4개의 근지구 천체를 발견했다.
이후 1997년 10월에는 망원경의 2제곱도 시야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1960×2560 픽셀 CCD가 설치되었다. 이 더 큰 CCD를 사용하여 9개의 근지구 천체를 추가로 발견했다. 1997년 11월부터 1998년 1월 사이에는 크고 작은 두 CCD를 모두 사용하여 5개의 근지구 천체를 더 발견했다.
LINEAR 프로그램은 CCD의 높은 감도와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 덕분에 매일 밤 넓은 영역의 하늘을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장점은 LINEAR가 현재 근지구 천체 발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주요 원인이다.
3. 3. 데이터 처리
망원경으로 기록된 데이터는 처리를 위해 매사추세츠주 렉싱턴의 한스컴 공군 기지에 있는 링컨 연구소 시설로 전송된다.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거쳐 탐지된 결과는 소행성 센터(Minor Planet Center)로 전달된다.4. 발견 성과
LINEAR 프로젝트는 147,707개의 소행성체를 발견하였다. 또한 11P/Tempel–Swift–LINEAR, 158P/Kowal-LINEAR, 160P/LINEAR, 165P/LINEAR 등을 포함한 여러 주기 혜성을 단독 또는 공동으로 발견하거나 재발견하였다. 특히 176P/LINEAR(118401 LINEAR)는 혜성과 소행성 양쪽으로 모두 분류되는 드문 천체 중 하나이다.[1] 이러한 발견 성과를 통해 LINEAR는 지구 근접 천체(NEO) 탐색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현재 NEO 발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4. 1. 소행성
LINEAR는 147,707개 이상의 소행성을 발견했다. 발견된 주요 소행성으로는 (137108) 1999 AN10, (179806) 2002 TD66, 2004 FH 등이 있다. LINEAR가 발견한 소행성 중 하나인 (231937) 2001 FO32는 2021년 3월 21일 지구 근처를 지나갔다.[1]또한 LINEAR는 여러 주기 혜성을 발견, 공동 발견 또는 재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11P/Tempel–Swift–LINEAR, 146P/Shoemaker-LINEAR, 148P/Anderson-LINEAR, 156P/Russell-LINEAR, 158P/Kowal-LINEAR, 160P/LINEAR, 165P/LINEAR 등이 포함된다. 특히 176P/LINEAR(118401 LINEAR)는 혜성과 소행성 양쪽으로 모두 분류된 드문 천체 중 하나이다.
4. 2. 혜성
LINEAR 프로젝트는 다수의 소행성을 발견하는 것 외에도 여러 주기 혜성을 발견하거나 공동 발견, 재발견하였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혜성들이 포함된다.- 11P/Tempel–Swift–LINEAR
- 146P/Shoemaker-LINEAR
- 148P/Anderson-LINEAR
- 156P/Russell-LINEAR
- 158P/Kowal-LINEAR
- 160P/LINEAR (LINEAR 43)
- 165P/LINEAR (LINEAR 10)
- 176P/LINEAR (LINEAR 52, 118401 LINEAR) - 이 천체는 혜성과 소행성 양쪽으로 모두 분류되는 5개의 천체 중 하나이다.
4. 3. 기타 천체
LINEAR는 다수의 소행성과 주기 혜성 외에도 (137108) 1999 AN10, (179806) 2002 TD66, 2004 FH와 같은 주목할 만한 천체들을 발견하였다. 이 중 (231937) 2001 FO32는 LINEAR가 발견한 천체로, 2021년 3월 21일 지구 근처를 통과하였다.[1]5. 하야부사 2 프로젝트와의 협력
LINEAR 프로그램이 1999년 발견한 소행성 1999 JU3는 2006년 일본의 하야부사 2 프로젝트 탐사 후보로 선정되었다.[1] 이후 하야부사 2 프로젝트 팀의 요청과 LINEAR 팀의 승낙을 거쳐, 이 소행성은 류구(Ryugu)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5. 1. (162173) 류구
1999년 5월 10일, LINEAR 프로그램은 소행성 1999 JU3를 발견했다. 이후 2006년 10월, "하야부사 후속기" 제안서에서 이 소행성이 탐사 후보 천체로 선정되었다.2013년 8월, 하야부사 2 프로젝트 팀은 LINEAR 팀에게 1999 JU3의 이름을 제안할 수 있도록 요청했고, LINEAR 팀은 이를 승낙했다.
2015년 7월부터 8월까지 명칭 공모 캠페인이 진행되었고, 그 결과 "류구"라는 이름이 선정되었다.
2015년 9월, LINEAR 팀은 국제천문연맹(IAU)에 1999 JU3를 "류구"로 명명해 줄 것을 신청했다. 같은 해 9월 28일, 이 소행성은 공식적으로 (162173) 류구(Ryugu)라는 명칭을 부여받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