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그네사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그네사이트는 접촉 및 광역 변성암 지형에서 산출되는 탄산 마그네슘 광물이다. 주로 중국에서 생산되며, 러시아와 북한에 매장량이 많다. 활석 탄산염 변질 작용을 통해 감람암 등에서 형성되며, 화성에서도 발견된다. 마그네사이트는 소성되어 산화 마그네슘을 생성하여 내화물 재료로 사용되며, 바닥재, 합성 고무, 마그네슘 화학 물질 및 비료 제조에도 활용된다. 또한, 이산화탄소 격리 연구가 진행 중이며, 보석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해석군 - 능아연석
    능아연석은 아연 광상에서 풍화 작용으로 생성되는 다양한 색상의 능면체정계 광물로, 과거에는 칼라민으로 잘못 불렸으며 장식재나 수집품으로 활용된다.
  • 방해석군 - 능철석
    능철석은 능면체 결정 형태로 산출되며, 능망간석 등과 고용체를 형성하고 묽은 염산에 용해되며, 금속 광상 등에서 발견되는 탄산염 철광석이다.
  • 증발암 - 경석고
    경석고는 석고와 함께 발견되는 무수 황산칼슘 광물이며, 다양한 환경에서 생성되고 조각품 제작 및 지반 문제에 사용되기도 한다.
  • 증발암 - 아라고나이트
    아라고나이트는 화학식 CaCO3의 탄산칼슘 광물로, 고압 환경 등에서 생성되며, 생물학적 이용 및 수족관 환경 조성 등에 활용된다.
  • 탄산염 광물 - 방해석
    방해석은 화학식 CaCO₃를 갖는 탄산염 광물로, 석회암의 주성분이며 퇴적암과 변성암에서 흔히 발견되고 복굴절 현상과 다양한 결정 형태를 가지며, 불순물에 따라 다양한 색을 띠고 광학 및 산업, 연구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는 아라고나이트와 동질이상 관계의 다형체이다.
  • 탄산염 광물 - 알라바스터
    알라바스터는 고대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석고 또는 방해석으로 만들어진 광물로, 정교한 조각, 건축, 장식 등에 사용되었고, 스페인 아라곤, 이탈리아 토스카나 등에서 생산된다.
마그네사이트
광물 정보
종류탄산염 광물
화학식MgCO3
IMA 기호Mgs
스트룬츠 분류5.AB.05
결정계삼방정계
공간군Rc
무색, 흰색, 엷은 노란색, 엷은 갈색, 엷은 분홍색, 연보라색
결정형보통 덩어리 모양, 드물게 능면체 또는 육각 기둥 모양
쪼개짐[101] 완전함
깨짐조개껍데기 모양
굳기 정도 (모스 척도)3.5–4.5
광택유리 광택
굴절률nω=1.508 – 1.510 nε=1.700
광학적 성질축성 (−)
복굴절0.191
조흔색흰색
비중3.0–3.2
용융성잘 녹지 않음
용해도뜨거운 염산에 녹으면서 거품 발생
투명도투명 ~ 반투명
기타 특징자외선 하에서 엷은 녹색 ~ 엷은 청색 형광 및 인광을 나타낼 수 있음; 마찰 발광
브라질산 마그네사이트 결정 (11.4 × 9.2 × 3.6 cm)
브라질산 마그네사이트 결정 (11.4 × 9.2 × 3.6 cm)
명칭
영어magnesite
일본어菱苦土石 (りょうくどせき, Ryōkudoseki)
한국어菱苦土石 (능고토석)
구성 원소
원소Mg
C
O

2. 산출

마그네사이트는 다양한 지질 환경에서 여러 과정을 통해 생성된다.

주로 접촉 및 광역 변성암 지형에서 초염기성암, 사문암 및 기타 마그네슘이 풍부한 암석이 변질되어 맥상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생성된 마그네사이트는 종종 미정질 상태이며, 오팔이나 처트 형태의 규산을 포함하기도 한다.

또한, 지하수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가 마그네슘을 함유한 광물을 용해시키면서, 초염기성암 상부의 토양층이나 하층토에 이차 탄산염 형태로 퇴적되기도 한다.

활석 탄산염 변질 작용을 통해서도 감람암이나 다른 초고철질 암석에서 마그네사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녹염기 환경처럼 온도와 압력이 높고 물과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감람석이 탄산화되어 마그네사이트가 만들어진다.

마그네슘 사문석 (리자다이트)이 탄산화되는 변성 반응을 통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 Mg3Si2O5(OH)4 + 3 CO2 → Mg3Si4O10(OH)2 + 3 MgCO3 + 3 H2O

하지만 실험실 환경에서 이 반응을 상온에서 진행하면, 탄산 마그네슘의 삼수화물 형태(네스케호나이트)가 먼저 형성된다.[6] 이는 무수 탄산 마그네슘이 낮은 온도에서 형성되기 어려운 '탈수 장벽'이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가설로 이어졌다.[7] 그러나 물과 유사한 액체인 폼아미드를 이용한 실험 결과, 이러한 탈수 장벽이 결정적인 요인이 아닐 수 있음이 밝혀졌다. 물이 없는 용액에서도 무수 탄산 마그네슘의 핵생성이 어려운 근본적인 이유는 양이온의 탈수가 아니라, 탄산염 음이온의 공간적 배열 문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8]

마그네사이트는 현대의 퇴적물, 동굴, 토양에서도 발견된다. 약 40°C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형성되는 과정은 침전과 용해가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필요로 한다.[9][10][11] 이러한 저온 형성 메커니즘은 대규모 탄소 격리 기술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12] 최근 연구에서는 대기압과 316 K 온도 조건에서 소량의 염산과 탄산나트륨 용액을 주기적으로 번갈아 첨가하는 방식으로 마그네사이트의 산업적 생산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용해와 침전 주기가 불과 몇 시간으로 매우 짧다는 점도 확인되었다.[13][14]

우주에서도 마그네사이트가 발견되었다. 운석 ALH84001과 화성 표면에서 확인되었는데, 특히 화성에서는 위성 궤도에서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해 탐지되었다.[15] 예제로 분화구 근처에서 발견된 Mg 탄산염은 과거 그곳에 존재했던 호수 환경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16] 화성에서 발견된 탄산염의 형성 온도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으며, 화성에서 유래한 ALH84001 운석의 마그네사이트는 저온에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7][18]

감람석의 종류에 따라서도 생성물이 달라질 수 있다. 마그네슘이 풍부한 감람석 (forsterite)은 감람암에서 마그네사이트 생성을 촉진하는 반면, 철이 풍부한 감람석 (fayalite)은 자철석-마그네사이트-실리카 조합의 생성을 선호한다.

그 외에도 스카른 광상이나 백운석질 석회암이 변질되는 과정에서 규회석, 고토광, 활석 등과 함께 산출되기도 한다.

마그네사이트는 높은 온도와 압력을 잘 견디기 때문에 지구 맨틀에서 주요 탄산염 함유 광물 중 하나로 존재하며,[19] 심부 탄소 저장소의 운반체 역할을 할 가능성도 제기되었다.[20] 이러한 특성 때문에 스위스 중부 알프스의 변성 감람암[21]이나 중국 천산의 고압 에클로자이트 암석에서도 발견된다.[22]

마지막으로, 호수 환경에서 특정 세균의 활동을 통해 수화된 Mg 탄산염이나 마그네사이트 형태로 침전되기도 한다.[23][24]

2. 1. 주요 산출지

중국이 최대 생산지이며, 다른 국가들을 압도하고 있으며, 브라질이 그 뒤를 잇는다.[46]

매장량에서는 러시아가 세계 1위이며, 북한은 작은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다음으로 많은 19%의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47]

3. 형성

마그네사이트는 다양한 지질 환경에서 형성된다. 접촉 및 광역 변성암 지형에서는 초염기성암, 사문암 및 기타 마그네슘이 풍부한 암석이 변질될 때 맥상(vein) 형태로 산출된다. 이렇게 형성된 마그네사이트는 종종 미정질 상태이며, 오팔이나 처트 형태의 규산(SiO₂)을 함유하기도 한다. 또한, 초염기성암 상부의 토양층이나 하층토에서도 발견되는데, 이는 지하수에 녹아 있는 CO₂가 마그네슘 함유 광물을 용해시킨 후 이차 탄산염으로 퇴적된 결과이다.

활석 탄산염 변질 작용을 통해서도 마그네사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감람암과 같은 초고철질 암석이 높은 온도와 압력 하에서 물과 이산화탄소와 반응할 때, 감람석의 탄산화 작용으로 마그네사이트가 만들어진다. 이는 녹색편암상과 같은 변성 환경 조건에 해당한다.

마그네슘 사문석(리자다이트)이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마그네사이트로 변하는 변성 반응도 알려져 있다.

:2 Mg3Si2O5(OH)4 (사문석) + 3 CO2 → Mg3Si4O10(OH)2 (활석) + 3 MgCO3 (마그네사이트) + 3 H2O

하지만 실험실 환경에서 상온에서 이 반응을 시도하면, 무수 탄산 마그네슘(마그네사이트) 대신 수화된 형태인 네스케호나이트(nesquehonite, MgCO3·3H2O)가 형성된다.[6] 이러한 관찰을 통해 마그네사이트가 저온에서 쉽게 형성되기 어려운 "탈수 장벽"이 존재한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7] 그러나 물 대신 폼아미드와 같은 비수용액을 사용한 실험에서는 이러한 탈수 장벽이 결정적인 요인이 아님을 보여주었다. 즉, 근본적인 원인은 양이온(Mg2+)의 탈수 문제보다는, 탄산염 음이온(CO32-)의 공간적 배열이 저온에서 마그네사이트 결정핵 형성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으로 지목된다.[8]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그네사이트는 현대의 퇴적물, 동굴, 토양에서도 발견된다. 약 40°C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마그네사이트가 형성되려면, 침전과 용해가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9][10][11] 이러한 저온 마그네사이트 형성 메커니즘은 대규모 탄소 격리 기술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12] 최근 연구에서는 대기압과 약 43°C 조건에서 소량의 염산과 탄산나트륨 용액을 주기적으로 첨가하는 방식으로, 몇 시간 내에 용해와 침전 주기를 반복시켜 마그네사이트를 산업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했다.[13][14]

마그네사이트는 지구 밖에서도 발견되었다. 화성에서 유래한 운석인 ALH84001에서 확인되었으며, 화성 탐사 위성의 적외선 분광법 관측을 통해 화성 표면에서도 그 존재가 확인되었다.[15] 특히 예제로 분화구 근처에서 감지된 마그네슘 탄산염은 과거 그곳에 존재했던 호수 환경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16] 다만, 화성의 탄산염이 형성된 정확한 온도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진행 중이며, ALH84001 운석 내 마그네사이트는 저온에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7][18]

마그네사이트 형성은 주변 암석의 광물 조성에도 영향을 받는다. 마그네슘이 풍부한 감람석(forsterite)은 감람암 내에서 마그네사이트 생성을 촉진하는 반면, 철이 풍부한 감람석(fayalite) 환경에서는 자철석-마그네사이트-실리카 조합이 더 선호된다.

이 외에도 마그네사이트는 스카른 광상이나, 백운석질 석회암이 변질 작용을 받을 때 형성되기도 하며, 이때 규회석, 페리클레이스, 활석 등과 함께 산출되는 경우가 많다.

고온과 고압에 강한 특성 때문에 마그네사이트는 지구 맨틀에서 탄산염을 함유하는 주요 광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19] 따라서 지구 깊은 곳의 탄소를 저장하고 운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0] 실제로 스위스 중부 알프스의 변성된 감람암[21]이나 중국 톈산 산맥의 고압 에클로자이트 암석에서도 마그네사이트가 발견된다.[22]

마지막으로, 특정 종류의 박테리아가 존재하는 호수 환경에서는 생물학적 과정을 통해 수화된 마그네슘 탄산염이나 마그네사이트가 직접 침전되기도 한다.[23][24]

3. 1. 동위원소 구조

안정 동위원소 지구화학 분야에서는 광물과 분자의 동위원소 구조 연구가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무거운 동위원소들이 분자 내에서 서로 어떻게 결합하는지(결합 시나리오)를 고해상도로 분석하여, 동위원소의 분포가 분자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려는 연구이다.[29] 동위원소가 치환된 분자는 일반적인 분자보다 질량이 더 크기 때문에 분자 진동이 감소하고 더 낮은 영점 에너지를 갖게 된다(참고: 동위원소 효과).

CO2의 단일 및 이중 치환 종을 나타내는 CO2 및 MgCO3의 동위원소 구조


특정 분자 내에서 특정 동위원소 간의 결합(예: 탄산염13C–18O 결합)이 얼마나 풍부한지는 해당 광물이 형성될 당시의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29] 이러한 원리는 클럼프 동위원소 지구화학 연구의 기초를 이룬다.

마그네사이트 형성 과정에서도 동위원소 효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저온에서 형성된 수화 탄산 마그네슘(수마그네사이트, 네스케호나이트 등)이 광물 용해-침전 또는 탈수 과정을 거쳐 마그네사이트로 변환될 때, 관련된 동위원소 효과가 최종적으로 침전된 마그네사이트의 동위원소 조성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평형 상태가 깨지는 과정, 예를 들어 급격한 CO₂ 탈기나 흡수 등은 특히 저온에서 형성되는 탄산염 광물의 덩어리 동위원소 조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침전이 일어나는 용액의 pH 변화 역시 용존 무기 탄소(DIC) 풀에 영향을 주어 침전되는 탄산염의 동위원소 조성에 변화를 가져온다.[40]

미정질 및 결정질 마그네사이트의 차이.


마그네사이트는 크게 결정질과 미정질(숨정질) 형태로 나뉘는데, 이 둘은 매우 다른 광물 구조를 가진다. 결정질 마그네사이트는 잘 발달된 결정 구조를 가지는 반면, 미정질 마그네사이트는 뚜렷한 결정 형태 없이 미세한 입자들이 모여 있는 형태이다. 덩어리 동위원소 조성은 특정 원자 간의 결합 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러한 결정 구조의 차이는 각기 다른 구조의 마그네사이트에 덩어리 동위원소 정보가 기록되고 보존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특히 광물이 생성된 후 속성 작용이나 매몰로 인한 가열 등 후기 열적 변화를 겪을 때, 원래의 동위원소 정보가 다르게 변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3. 1. 1. 덩어리 동위원소 (Clumped Isotope)

안정 동위원소 지구화학 분야의 최근 발전은 광물과 분자의 동위원소 구조 연구이다. 이는 무거운 동위원소들이 서로 어떻게 결합하는지(결합 시나리오)를 고해상도로 연구하여, 동위원소 구조가 분자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동위원소 치환 분자는 질량이 더 크기 때문에 분자 진동이 감소하고 더 낮은 영점 에너지를 갖게 된다 (참고: 동위원소 효과).

특정 분자 내 특정 결합의 풍부함, 예를 들어 탄산염13C-18O 결합(13C16O18O의 풍부함[29])은 광물이 형성된 온도에 민감하다. 이 원리는 클럼프 동위원소 지구화학의 기초가 되었다. 클럼프 동위원소 온도계는 백운석,[30][31] 방해석,[32] 능철석[33] 등 다양한 탄산염 광물과 메탄[34]산소[35]와 같은 비탄산염 화합물에 대해서도 확립되었다. 양이온과 탄산염 내 산소 간 결합(예: Mg-O, Ca-O) 강도에 따라 다양한 탄산염 광물이 형성되거나 클럼프 동위원소 특성을 다르게 보존할 수 있다.

클럼프 동위원소 분석은 마그네사이트 형성 조건과 침전 유체의 동위원소 조성을 해석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초염기성암 복합체 내 마그네사이트는 주로 두 가지 형태로 발견된다. 정맥이나 맥상광맥에서는 미정질 형태로, 탄산화된 감람암 단위 내에서는 결정질 형태로 나타난다. 미정질 형태는 대부분 가변적으로 풍화되어 낮은 형성 온도를 보인다.[41] 이는 맨틀 유래 유체가 아닌 순환하는 대기수에서 침전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때 용존 무기 탄소(DIC)나 토양 탄소로부터 탄소를 얻으며, 비평형 동위원소 효과의 영향을 받는다. 반면, 조립질 마그네사이트는 매우 높은 형성 온도를 보여 열수 순환 기원임을 시사한다. 이는 맨틀에서 유래한 유체로부터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호수나 내륙 유역 환경에서 형성된 마그네사이트는 증발과 CO2 탈기의 영향으로 일반적으로 탄소(C)와 산소(O)의 무거운 동위원소가 풍부하다. 클럼프 동위원소 분석 결과는 매우 낮은 형성 온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마그네사이트는 pH, 생물 활동, 탈기와 관련된 운동 동위원소 효과의 영향을 받는다. 마그네사이트가 표면 몰드로 형성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침전이 운동학적으로 더 유리한 수화된 Mg-탄산염 형태로 먼저 생성된다. 탄소는 주로 용존 무기 탄소(DIC)나 인근 초염기성 복합체(예: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알틴 플라야[42])에서 공급된다.

반면, 변성암 내 마그네사이트는 매우 높은 형성 온도를 보인다. 형성 당시 유체(모유체)의 동위원소 조성 또한 무거우며, 이는 전형적인 변성 유체의 특징이다. 이러한 고온 형성 환경은 유체 포유물 연구뿐 아니라, 함께 산출되는 석영-마그네사이트를 이용한 전통적인 산소 동위원소 온도 측정법으로도 확인되었다.

종종 마그네사이트는 함께 산출되는 백운석이나 방해석보다 낮은 클럼프 동위원소 온도를 기록한다.[43]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예: 맨틀 유래 유체)에서 방해석과 백운석이 먼저 침전하면서 유체 내 Mg/Ca 비율을 높이고, 이후 유체가 냉각되거나 다른 유체와 혼합되면서 더 낮은 온도에서 마그네사이트가 침전하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함께 존재하는 다른 탄산염 광물은 마그네사이트의 동위원소 조성 해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화성 탄산염의 기원 연구에도 클럼프 동위원소 분석이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CO2의 기원, 과거 화성의 기후 및 물 순환 조건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최근 클럼프 동위원소 온도 측정법을 적용한 연구는 ALH84001 운석 내 탄산염이 지하수가 낮은 온도에서 증발하는 조건에서 형성되었으며, 이때 CO2는 화성 대기에서 유래했음을 시사한다.[44]

3. 1. 2. 분석 및 보정

덩어리 동위원소 분석 과정에서는 몇 가지 고려할 점이 있다.

알려지지 않은 조성을 가진 시료를 측정할 때는 표준 물질을 함께 측정해야 한다. 분석 과정의 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내부 표준 물질과 기준 물질을 사용하는데, 주로 방해석과 대리석이 표준 물질로 쓰인다.

덩어리 동위원소 측정값을 온도로 변환하려면 온도에 따른 덩어리 동위원소 조성 변화를 보여주는 보정 곡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마그네사이트에 대한 고유한 보정 곡선은 아직 없다. 일부 실험 결과에서 광물 침전 온도와 덩어리 동위원소로 추정한 온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보고되어[37], 마그네사이트만의 보정 곡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불일치는 마그네사이트의 화학 결합 방식이 방해석이나 백운석과 다르거나, 분석 시 산 분해 과정이 더 높은 온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일 수 있다.

덩어리 동위원소 분석으로 얻은 온도를 이용하면, 시료가 생성될 당시 주변 유체(모체 유체)의 탄소(C) 및 산소(O) 동위원소 조성을 계산할 수 있다. 이는 동위원소 분별 현상이 온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문헌에 보고된 마그네사이트와 유체 사이의 산소 및 탄소 동위원소 분별 인자 값들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며[37], 이러한 분별 양상이 실험적으로 명확히 확인되지도 않았다.

4. 용도

살렘산 마그네사이트


마그네사이트는 다양한 산업 분야와 예술 분야에서 활용된다. 석회 생산과 유사하게, 마그네사이트를 숯과 함께 소성하면 산화 마그네슘(MgO)을 얻을 수 있다. 이 형태의 광물은 페리클라아제라고도 불리며, 대량의 마그네사이트는 주로 산화 마그네슘을 생산하기 위해 소성된다. 산화 마그네슘은 고로, 가마, 소각로 등의 내벽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내화물(내열성 재료)이다.

마그네사이트를 소성하는 온도에 따라 생성되는 산화물의 반응성이 달라진다. 이는 크게 ''경소''(light-burned)와 ''사소''(dead-burned)로 구분되며, 주로 제품의 표면적과 반응성(요오드 값으로 측정)에 따라 나뉜다.

  • ''경소'' 제품은 일반적으로 450°C에서 900°C 사이의 온도로 소성하여 만든다. 이 제품은 표면적이 넓고 반응성이 우수하다.
  • ''사소'' 제품은 900°C 이상의 고온에서 소성한다. 이 온도에서는 재료가 반응성 있는 결정 구조를 잃고 화학적으로 비활성 상태가 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용광로 내벽과 같은 내화물 재료로 더 선호된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 화재 분석: 마그네사이트 컵은 높은 온도를 견딜 수 있어 컵핑(cupellation) 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
  • 건축 자재: 바닥재(마그네사이트 스크리드)의 결합제로 사용된다.[25]
  • 화학 산업: 합성 고무 생산 시 촉매 및 충전재로 사용되며, 마그네슘 기반 화학 물질 및 비료 제조에도 활용된다.
  • 환경 연구: 온실 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대규모로 격리하는 방안으로 마그네사이트 활용 연구가 진행 중이다.[26] 특히 사문암에서 유래한 오피올라이트(지각 위에 놓인 맨틀 암석)가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마그네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오만의 오피올라이트를 이용한 연구에서 일부 진전이 있었으나[27], 인공적인 과정에서 유체 흐름을 위한 충분한 다공성-투과성을 확보하는 것이 주요 과제로 남아있다.


광택 처리 및 염색된 마그네사이트 구슬


마그네사이트는 보석 및 장식용으로도 사용된다. 절단, 천공, 연마 과정을 거쳐 구슬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마그네사이트 구슬은 염색을 통해 다양한 색상을 낼 수 있으며, 특히 터키석과 유사한 옅은 청색으로 염색되어 유통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하울라이트와 혼동되어 판매되거나, 터키석이나 라피스 라줄리의 대용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재일 미국인 예술가 이사무 노구치는 그의 일부 작품에서 마그네사이트를 조각 재료로 사용하기도 했다.[28]

5. 이산화탄소 격리

마그네사이트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대규모 탄소 격리 기술 개발에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12] 온실 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마그네사이트 형태로 대규모로 저장하여 격리하는 방안의 실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26]

이 연구는 주로 오피올라이트에 주목하는데, 오피올라이트는 지각 위에 놓인 맨틀 암석으로 사문암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사문암이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마그네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만의 오피올라이트를 이용한 연구에서 일부 진전이 보고되었다.[27] 하지만 이러한 인공적인 탄소 격리 과정이 성공하려면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유체가 암석 내부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다공성)과 연결성(투과성)이 필요한데, 감람암과 같은 암석은 이러한 특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주요한 어려움으로 지적된다.

6. 브로이넬석

을 조금 포함하는 아종을 '''브로이넬석'''(breunnerite|브로이넬석영어)이라고 한다.

7. 안전성

사람들은 직장에서 마그네사이트를 흡입하거나, 피부 또는 눈에 접촉함으로써 노출될 수 있다.

미국 직업 안전 보건청(OSHA)은 작업장에서 마그네사이트 노출에 대한 법적 제한(허용 노출 기준)을 8시간 작업일 기준으로 총 노출 15mg/m3, 호흡 노출 5mg/m3로 설정했다. 미국 국립 직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은 8시간 작업일 기준으로 총 노출 10mg/m3, 호흡 노출 5mg/m3의 권고 노출 기준(REL)을 설정했다.[45]

참조

[1] 논문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2021
[2] 문서 Handbook of Mineralogy http://rruff.geo.ari[...]
[3] 웹사이트 Mindat.org http://www.mindat.or[...]
[4] 웹사이트 Webmineral data http://webmineral.co[...]
[5] 서적 Manual of Mineralogy Wiley
[6] 논문 Einige Bemerkungen über die Entstehung von Magnesit und Sideritlagerstätten 1916
[7] 서적 Sedimentary carbonate minerals Springer Verlag 1973
[8] 논문 Testing the cation-hydration effect on the crystallization of Ca – Mg- CO3 systems 2013
[9] 논문 Low-temperature nucleation of magnesite and dolomite http://www.jcdeelman[...] 1999
[10] 논문 Synthesis of magnesite at low temperature https://www.research[...] 2011
[11] 논문 Magnesite formation through temperature and pH cycling as a proxy for lagoon and playa environments 2020
[12] 논문 Mineral carbonation of CO2 2008
[13] 논문 Effect of pH cycling and zinc ions on calcium and magnesium carbonate formation in saline fluids at low temperature 2021
[14] 논문 Acceleration of dolomitization by zinc in saline waters 2019
[15] 논문 Orbital identification of carbonate-bearing rocks on Mars 2008
[16] 논문 The mineral diversity of Jezero crater: Evidence for possible lacustrine carbonates on Mars March 2020
[17] 논문 An evaporation model for formation of carbonates in the ALH84001 Martian meteorite 1998
[18] 논문 Petrologic evidence for low-temperature, possibly flood evaporitic origin of carbonates in the ALH84001 meteorite 1998
[19] 논문 Stability of magnesite and its high-pressure form in the lowermost mantle January 2004
[20] 논문 Carbonates at high pressures: Possible carriers for deep carbon reservoirs in the Earth's lower mantle https://link.aps.org[...] 2016-09-23
[21] 논문 A New Interpretation of Centimetre-scale Variations in the Progress of Infiltration-driven Metamorphic Reactions: Case Study of Carbonated Metaperidotite, Val d'Efra, Central Alps, Switzerland 2005-04-22
[22] 논문 Ultra-high pressure metamorphism in western Tianshan, China: Part II. Evidence from magnesite in eclogite July 2002
[23] 논문 Magnesium isotope fractionation during hydrous magnesium carbonate precipitation with and without cyanobacteria http://www.sciencedi[...] 2012-01-01
[24] 논문 Using Mg Isotopes to Trace Cyanobacterially Mediated Magnesium Carbonate Precipitation in Alkaline Lakes 2013-01-01
[25]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magnesite flooring http://www.wcdeckwat[...]
[26] 웹사이트 Scientists find way to make mineral which can remove CO2 from atmosphere https://phys.org/new[...] 2018-08-15
[27] 논문 Rates and Mechanisms of Mineral Carbonation in Peridotite: Natural Processes and Recipes for Enhanced, in situ CO2Capture and Storage 2011-05-30
[28] 웹사이트 Ford Fountain for the New York World's Fair https://archive.nogu[...] 2022-01-02
[29] 논문 13C–18O bonds in carbonate minerals: A new kind of paleothermometer http://www.sciencedi[...] 2006-03-15
[30] 논문 Experimental calibration of clumped isotope reordering in dolomite http://www.sciencedi[...] 2018-12-01
[31] 논문 Calibration of dolomite clumped isotope thermometry 2016-12-02
[32] 논문 The kinetics of solid-state isotope-exchange reactions for clumped isotopes: A study of inorganic calcites and apatites from natural and experimental samples https://escholarship[...] 2015-05-01
[33] 논문 Experimental calibration of clumped isotopes in siderite between 8.5 and 62 °C and its application as paleo-thermometer in paleosols June 2019
[34] 논문 Formation temperatures of thermogenic and biogenic methane https://www.science.[...] 2014-06-27
[35] 논문 Measurements of 18O18O and 17O18O in the atmosphere and the role of isotope-exchange reactions 2012
[36] 논문 SIMS Bias on Isotope Ratios in Ca-Mg-Fe Carbonates (Part III): δ18O and δ13C Matrix Effects Along the Magnesite-Siderite Solid-Solution Series 2017-11-22
[37] 논문 Clumped-isotope thermometry of magnesium carbonates in ultramafic rocks 2016-11-01
[38] 논문 Temperature dependence of oxygen isotope fractionation of CO2 from magnesite-phosphoric acid reaction 2002-02-01
[39] 논문 An isotopic study of siderites, dolomites and ankerites at high temperatures 1986-06-01
[40] 논문 Kinetic clumped isotope fractionation in the DIC-H2O-CO2 system: Patterns, controls, and implications 2020-01-01
[41] 논문 Paired stable isotopes (O, C) and clumped isotope thermometry of magnesite and silica veins in the New Caledonia Peridotite Nappe https://hal-insu.arc[...] 2016-06-01
[42] 논문 Magnesite formation in playa environments near Atlin, British Columbia, Canada 2019-06-01
[43] 논문 Coexisting serpentine and quartz from carbonate-bearing serpentinized peridotite in the Samail Ophiolite, Oman 2012-06-17
[44] 논문 Carbonates in the Martian meteorite Allan Hills 84001 formed at 18 ± 4 °C in a near-surface aqueous environment 2011-10-11
[45] 웹사이트 CDC –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 Magnesite https://www.cdc.gov/[...] 2015-11-19
[46] 웹사이트 世界のマグネサイト生産量 国別ランキング・推移 https://www.globalno[...] 2021-10-27
[47] 웹사이트 鉱物資源マテリアルフロー2018マグネシウム(Mg) https://mric.jogmec.[...] 2021-10-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